KR200348389Y1 - 녹화용 마대 - Google Patents

녹화용 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389Y1
KR200348389Y1 KR20-2004-0000236U KR20040000236U KR200348389Y1 KR 200348389 Y1 KR200348389 Y1 KR 200348389Y1 KR 20040000236 U KR20040000236 U KR 20040000236U KR 200348389 Y1 KR200348389 Y1 KR 200348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paper
seed
greening
vegeta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태
Original Assignee
문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태 filed Critical 문상태
Priority to KR20-2004-0000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쪽 면에 종자를 배치하고 흙을 담아놓은 마대로 일정면적을 녹화(綠化)하기 위한 녹화용 마대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마로 이루어진 마대의 안쪽 면에 두겹으로 이루어진 식생용지와 이 두겹의 식생용지의 사이에 비료와 함께 산포된 종자 및 상기 식생용지 상에 배치된 무명천을 차례로 포개어서 고정하고, 마대의 입구측에는 입구를 조여주기 위한 마끈을 고정하여, 상기 마대에 옥토를 담고 마끈으로 입구를 조인 후 녹화를 하고자 하는 경사면에 옥토가 담긴 여러 개의 마대를 축조하면 마대 내의 식생용지 사이에 산포된 종자가 상기 옥토에서 발아하여 경사면에서 식생하도록 한 녹화용 마대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종자의 발아를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 식생용지의 곳곳에 바늘구멍을 뚫어놓거나, 상기 식생용지의 폭방향 일부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접어 길이방향 전체에 씨앗 저장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씨앗 저장부 내에 종자를 산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종자가 옥토 내로 보다 수월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한 녹화용 마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화용 마대{A Gunny bag for tree planting}
본 고안은 안쪽 면에 종자를 배치하고 옥토를 담아놓은 마대로 일정면적을 녹화(綠化)하기 위한 녹화용 마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종자를 식생용지와 함께 안쪽에 배치하여 고정하고 내부에는 옥토를 담아놓은 마대로 예컨대 도로나 초지공원 등등의 경사면에 축조함으로써 종자가 발아하여 녹화(綠化)되도록 한 녹화용 마대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나 일반국도 또는 스키장, 초지공원, 골프장 등을 건설하거나 하천의 제방을 정비하고 나면 흙이 그대로 드러나는 경사면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그대로 두게 되면 비 등으로 인해 흙이 유실되어 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에, 잔디와 같은 식물이 사기 경사면에 식생하도록 하는 녹화(綠化) 작업을 필수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녹화 작업의 방식은 지금까지 경사면에 식생시키고자 하는 식물의 종자를 심고 경사면의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넓은 그물망을 덮어놓고 있으나, 경사면의 토양이 비옥하지 않으면 종자가 발아하는데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식물이 잘 자라지 않게 되어 상기 식물의 경사면 식생에 실패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이 완만한 경우에는 그나마 큰 문제가 없지만 급경사일 경우 종자를 심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녹화 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더욱이 경사면이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에 종자를 직접 심어 식생하도록 한다는 것은 급경사면에 종자를 심어 식생하도록 하는 것보다도 더 어려운 일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할 수 없이 어려운 작업을 감수하면서 녹화를 하는 실정에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경사면의 녹화 작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연 마로 이루어진 마대의 안쪽 면에 두겹으로 이루어진 식생용지와 이 두겹의 식생용지의 사이에 비료와 함께 산포된 종자 및 상기 식생용지 상에 배치된 무명천을 차례로 포개어서 고정하고, 마대의 입구측에는 입구를 조여주기 위한 마끈을 고정하여, 상기 마대에 옥토를 담고 마끈으로 입구를 조인 후 녹화를 하고자 하는 경사면에 옥토가 담긴 여러 개의 마대를 축조하면 마대 내의 식생용지 사이에 산포된 종자가 상기 옥토에서 발아하여 경사면에서 식생하도록 한 녹화용 마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상기 종자의 발아를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 식생용지의 곳곳에 바늘구멍을 뚫어놓거나, 상기 식생용지의 폭방향 일부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접어 길이방향 전체에 씨앗 저장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씨앗 저장부 내에 종자를 산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종자가 옥토 내로 보다 수월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한 녹화용 마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녹화용 마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일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용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화용 마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용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용지의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마대, 2a,2b,20,30...식생용지,
3...종자, 4...무명천,
5...마끈, 6...바늘구멍,
21,31...씨앗 저장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천연 마의 껍질로 만들어진 마실로 직조하여 마대(麻袋)를 구성하되, 상기 마대의 안쪽에 일반적인 종이로 된 두겹의 식생용지와 이 식생용지의 사이에 비료와 함께 산포되어 있는 녹화용 종자 및 상기 식생용지의 상부에 부착된 무명천이 마대의 내면에서부터 차례로 포개어져 고정되고, 상기 마대의 입구를 조여주는 천연 마의 마끈이 입구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식생용지 면에 산발적으로 바늘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식생용지는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용지면과 수직으로 접혀 있어 접힌 부분이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씨앗 저장부로 형성되며, 상기 식생용지의 씨앗 저장부 내에 녹화용 종자가 산포되어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식생용지는 종이와 무명천 위에 종자를 넣고 오므려서 묶은 씨앗 저장부를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식생용지 상에 부착되어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자는 사계절용 잔디씨앗 또는 자생식물 씨앗 중의 어느 하나 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녹화용 마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일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용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자루형태의 마대(麻袋)(1)는 약초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 마(麻)의 껍질에서 추출된 마실로 직조하여 만들되, 한지(韓紙)와 같은 일반적인 종이로 된 두겹의 얇은 식생용지(2a)(2b)가 상기 마대의 안쪽 면 전체를 둘러싸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식생용지의 사이에는 비료와 함께 녹화시키고자 하는 잔디종류 중 하나인 종자(3)가 골고루 산포되어 있으며, 식생용지(2b) 상의 전체에는 표면에 통공이 넓게 형성된 무명천(광목)(4)이 포개어져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마대(1)의 입구측 둘레의 안쪽에는 천연 마로 만든 마끈(5)을 집어넣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마끈에 의해 마대의 입구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또, 녹화를 위한 상기 식물의 종자는 겨울에도 싹을 틔우는 사계절용 잔디의 씨앗들 중의 하나로 하거나, 잔디 외에 코스모스 등의 여러 가지 자생식물 중 하나의 씨앗으로 할 수도 있고, 한 쪽의 상기 식생용지(2b) 전체면에 산발적으로 바늘구멍(6)을 뚫어놓음으로써 상기 종자(3)가 상기 바늘구멍을 통해 보다 잘 발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화용 마대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마대에 종자가 충분히 발아될 수 있을 정도로 비옥한 옥토를 가득 채워넣고 입구측에 고정된 마끈으로 상기 마대의 입구를 단단히 조여주면 녹화작업을 위한 기본적인 마대를 완성하게 되고, 이와 같이 완성된 여러 개의 마대를 가지고 도로나 제방 등의 경사진 곳에 위로 올라가면서 서로 엇갈리면서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축조자업을 함으로써 일단은 일차적인 녹화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에, 2∼3년이 경과하게 되면 마대와 식생용지 및 무명천은 부패하여 자연분해로 옥토와 혼합되어 일종의 비료로 전환되고, 상기 식생용지 사이에 있던 종자는 옥토에서 발아하고 뿌리를 내려 도로나 제방 등의 경사진 곳에서 식생하게 됨으로써 완전한 녹화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식생용지에서는 두겹의 식생용지(2a)(2b) 사이에 종자가 산포되어 있어 마대에 담겨지는 옥토와 식생용지를 사이에 두고 접촉하고 있으나, 종자가 제대로 발아되기 위해서는 상기 종자가 옥토 내에 파묻혀 있는 것이 보다 유리하므로, 다음과 같은 형태의 식생용지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용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대의 안쪽 면 전체에 배치되는 식생용지(20)의 폭방향 일부를 용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접어서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된 씨앗 저장부(21)로 형성하되, 용지가 접힌 부분의 씨앗 저장부가 상기 식생용지의 길이방향 전체,즉 마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씨앗 저장부 내에 녹화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자를 산포해 놓고 마대에 옥토를 담아놓음으로써, 상기 씨앗 저장부의 양면으로 옥토가 접촉되어 마대와 식생용지 등이 부패하여 자연분해로 사라지게 되면 결국에 종자는 상기 옥토에 파묻혀 있는 상태가 되어, 상기 종자의 발아가 보다 잘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식생용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대의 안쪽 면 전체에 배치되는 식생용지(30) 상에 다른 형태의 씨앗 저장부(31), 즉 종이와 무명천 위에 종자를 넣고 오므려서 묶은 씨앗 저장부(31)를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접착제로 접착시켜 부착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생용지 상에 다른 형태의 씨앗 저장부(31)가 젖꼭지처럼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녹화용 마대에 의해 도로를 건설할 때 양쪽 도로면 에 형성되는 경사면이나 스키장의 활로, 초지공원, 골프장 공사 등에는 물론, 홍수피해, 산불피해, 산사태로 인해 토사가 유실된 부분에 알맞은 각도로 쌓아올리는 축조작업만 하게 되면 토사가 유실되기 전에 식물이 식생하고 있던 자연의 상태로 원상복구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녹화용 마대에 의하면, 여러 개의 종자가 내부에 있는 마대를 쌓아올리는 축조작업에 의해 간단하게 녹화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홍수 등으로 인한 토양의 유실로 형성된 급경사면이나 거의 수직면에서도 녹화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종자가 마대의 안쪽 전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각도로 마대를 쌓아올려도 녹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소규모의 산사태 등에는 마대를 쌓아올리기만 하면 녹화를 완성할 수 있게 되어 복구작업이 그만큼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마대를 축조하는 방법에 의해 종래의 녹화작업에 비해 공사기간을 상당량 단축할 수 있어 원가절감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게, 석축작업을 할 장소를 녹화용 마대로 대체하여 축조할 수 있어 이도 역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연환경을 회손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사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천연 마의 껍질로 만들어진 마실로 직조하여 마대(麻袋)를 구성하되;
    상기 마대의 안쪽에 일반적인 종이로 된 두겹의 식생용지와 이 식생용지의 사이에 비료와 함께 산포되어 있는 녹화용 종자 및 상기 식생용지의 상부에 부착된 무명천이 마대의 내면에서부터 차례로 포개어져 고정되고;
    상기 마대의 입구를 조여주는 천연 마의 마끈이 입구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마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지 면에 산발적으로 바늘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마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지는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용지면과 수직으로 접혀 있어 접힌 부분이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씨앗 저장부로 형성되며, 상기 식생용지의 씨앗 저장부 내에 녹화용 종자가 산포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마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지는 종이와 무명천 위에 종자를 넣고 오므려서 묶은 씨앗 저장부를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식생용지 상에 부착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마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는 사계절용 잔디씨앗 또는 자생식물 씨앗 중의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용 마대.
KR20-2004-0000236U 2004-01-06 2004-01-06 녹화용 마대 KR200348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236U KR200348389Y1 (ko) 2004-01-06 2004-01-06 녹화용 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236U KR200348389Y1 (ko) 2004-01-06 2004-01-06 녹화용 마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586A Division KR20050072841A (ko) 2004-01-06 2004-01-06 녹화용 마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389Y1 true KR200348389Y1 (ko) 2004-04-28

Family

ID=4942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236U KR200348389Y1 (ko) 2004-01-06 2004-01-06 녹화용 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3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19B1 (ko) 2009-09-21 2010-05-19 (주)경동기술공사 복수의 식생매트를 이용한 경사면 보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19B1 (ko) 2009-09-21 2010-05-19 (주)경동기술공사 복수의 식생매트를 이용한 경사면 보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9066B (zh) 一种沙化土地植被恢复方法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US11700800B2 (en) Protective tree tube, method, and revetment using tree contained in same
KR20070030370A (ko) 짚코 원단 네트와 그의 제조방법
CN103250527A (zh) 一种杨树的选育与栽植方法
WO2007025419A1 (fr) Procédé de captage étendu dans le désert
KR20070009807A (ko) 영양식생매트 및 그것을 사용한 수목 이식 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KR200348389Y1 (ko) 녹화용 마대
KR20050072841A (ko) 녹화용 마대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002043B1 (ko) 법면녹화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법면 녹화시공방법
KR200404060Y1 (ko) 짚코 원단 네트
KR100873750B1 (ko) 캡슐형 식생공간을 갖는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4602B1 (ko)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KR100949915B1 (ko) 녹화용 식생 백과 그 제조방법
JP2002363991A (ja) 硬質急斜面用緑化工
CN201533512U (zh) 一种无土球宽冠高树的栽植装置
KR200313046Y1 (ko) 녹화용 마대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CN210562230U (zh) 一种高陡边坡绿化种植结构
JP3425931B2 (ja) 法面の緑化構造
CN216532786U (zh) 一种应用于混凝土盖板上的绿化系统
KR20080097539A (ko) 녹화용 상토 씨줄네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