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575Y1 - 장식용 수족관 - Google Patents

장식용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575Y1
KR200347575Y1 KR20-2004-0000768U KR20040000768U KR200347575Y1 KR 200347575 Y1 KR200347575 Y1 KR 200347575Y1 KR 20040000768 U KR20040000768 U KR 20040000768U KR 200347575 Y1 KR200347575 Y1 KR 200347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aquarium
water
decorative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실
Original Assignee
이호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실 filed Critical 이호실
Priority to KR20-2004-0000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식용 수족관이 실내의 주변 장식물과 매우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독특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수족관은,
내부에 수서생물과 수중 장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102)를 형성하고,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101)와;
상기 선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체를 안정되게 지탱시키는 좌대(103)와;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마스트(104)와;
상기 마스트를 앞뒤, 좌우에서 지탱하는 다수의 지색(105)과;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106) 및 스피커(10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수족관{The aquarium}
본 고안은 수서생물을 관상용으로 사육하는 장식용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단순한 어항 형상이나 사각형상의 수족관 형상을 탈피하여서 수족관을 요트와 같은 배모양으로 형성하고, 수족관으로부터 파도소리와 같은 음향이 발생하도록 하여서 각종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장식용 수족관이 실내의 주변 장식물과 매우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독특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장식용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을 전시하는 것은 생명체를 사육, 연구, 보호하는 목적이 있고, 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있으며, 초기의 수족관은 단순하거나 종별로 분리된 형태로 전시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수족관은 바다의 생생한 모습을 전하고자, 다양한 수조와 생태환경이 함께 전시되고 있다.
그래서 현재 수족관들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여러 종의 바다 생물이 함께 어우러진 형태이다. 전시수조의 내부나 외부 환경에 쓰이는 재료들도 환경보호의 일환으로 인공으로 환경을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재와 재질로 인해 사실적인 생태환경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수조를 설치와 관상 방식 및 규모별로 분류하면 설치방식에 의한 분류로는 고정수조와 이동수조로 나뉘고, 관상방식에 의한 분류로는 측면관상형수조, 상향관상형수조, 하향관상형수조(천정수조·수중터널)로 나뉘며, 규모에 의한 분류로는 1종 또는 동종 수족의 수용이나 전시할 때의 개별수조, 다양한 수족군의 유영상태나 대형의 어류를 전시할 때의 대형수조, 수조 내의 물을 순환시켜 일정 방향의 조류를 만드는 회유수조가 있다. 이 외에도 마이크로 애쿼리움, 터치풀 등 현미경과 렌즈를 이용한 수조와, 손으로 해양생물을 직접 만질 수 있는 수조 등도 있다.
수조를 설계할 때는 안전성, 수밀성, 방청, 수온유지, 수질보존, 조명, 수처리 방법 등에 주의해야 한다. 그밖에 수압, 해수, 대형 어류가 부딪힐 때의 하중, 수조의 크기와 재질, 수압 등의 요소가 고려된 방수재와 마감재, 어류에게 치명적인 독성과 부식 방지를 위한 재료의 선택 등도 고려해야 할 요소다.
수족관의 사육형식으로는, 지수식과 유수식(流水式)의 두 가지로 크게 구별할 수 있고, 지수식은 수조에 물을 채우기만 해도 되는 것으로, 생물을 오랫동안 사육하기는 곤란하다. 그런데 부속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조만으로도 사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초기의 수족관은 모두 이 형식을 채택하였다.
한편, 유수식은 방류식과 순환식으로 나뉘고, 방류식(개방식)은 바다에서 물을 끌어와서 수조 속에 넣고, 사용 후에는 바다에 버리는 방법이며, 이는 항상 신선한 물을 다량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족관은 1년 내내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는 해안에 위치해야 한다는 불리한 점이 있다.
순환식은 수족관 내에 물을 저장하여 이것을 수조 안에 넣고, 사용 후에는 다시 원래의 저수장소로 보내는 방법이다. 도중에 여과조를 설치하여 물을 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누수하는 곳이 없는 한 물의 보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도시에서도 이 형식의 수족관을 세우는 일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해안과 가까워도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없는 관광지나 대도시의 수족관은 모두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수족관에서 사육하는 수서생물로는 수서포유류(강치, 물개, 돌고래 등), 파충류(거북, 뱀, 악어 등), 양서류(개구리, 도롱뇽 등), 어류, 원구류(칠성장어류),갑각류(새우, 게 등), 연체동물(조개류, 오징어, 문어 등), 극피동물(불가사리, 해삼 등), 강장동물(말미잘, 산호 등), 종자식물(붕어마름, 물수세미 등), 조류(藻類) 등 광범위한 동식물이 사육되는데, 어류가 가장 많다.
어류 중에서도 회유어(回游魚)와 심해어는 적고, 천해성(淺海性)인 정착어가 많다. 따라서 대양을 회유하는 다랑어, 가다랑어 등은 수족관에서 사육되지 않고 있다. 해조류에 대해서도 장기사육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되어 있다.
수서생물은 물 속에서 먹이를 먹고 배설하므로, 장기간 동안 사육할 때는 물이 오염되기 쉽다. 물고기가 먹고 성장할 때, 먹이의 몇 %가 물고기의 몸 안에 머물러 영양분으로 변하는가는 어종과 먹이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물고기의 체중증가량의 5∼10배의 먹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먹이의 대부분은 배설되어 물 속에 축적된다고 생각해야 한다.
수족관의 여과조는 일반적으로 작은 모래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래알은 물 속에 있는 먼지를 걸러낸다. 이외에 모래알 위에 붙어 있는 질화세균이나, 다른 세균의 작용에 의해서 물 속에 있는 질소화합물을 암모니아로, 또 암모니아를 질산으로 산화시켜 무해화시킨다. 모래알 위에 세균이 지나치게 증식하면 물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과조가 막히므로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야 한다.
본 고안은 수족관 중에서 장식용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식용 수족관은 소형 수족관 내에 이산화탄소 공급수단과 물분사수단 및 수온조절용 히터 등을 설치하여, 수초 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수족관의 상방에서 아래로 뿜어내리는 가는 물줄기가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장식용 수족관은 수서생물의 사육 상태를 관람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나 일반 가정의 실내에 설치되어 장식효과와 더불어 관상용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수족관은 투명 유리판이나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항아리 형태(어항) 또는 박스 형태로 제작되는데, 비교적 부피가 큰 박스 형태의 수족관인 경우에는 수족관 내에 채워진 물 속의 용존산소량(BOD)을 높이는 산소공급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물이 오염된 경우 수족관 속의 물을 비우는 배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수초의 성장에 필요한 빛 에너지의 제공수단으로 램프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장식용 수족관은 수서생물의 배출물과 먹이 찌꺼기에 의해 물이 점점 혼탁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오염된 물에 의해 수서생물이 질병에 걸려서 폐사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종래의 장식용 수족관들은 그 형상과 모양이 지극히 단순한 항아리 형상의 어항 형태로 구성되거나 장방 사각형의 박스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실내에 설치되는 장식용으로서 수족관으로는 우아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매우 부적합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장식용 수족관은, 내부에 수서생물과 수중 장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체를 안정되게 지탱시키는 좌대와;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마스트(Mast)와; 상기 마스트를 앞뒤, 좌우에서 지탱하는 다수의 지색(支索)과;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과 스피커로 구성하므로서,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의 주변 장식물과 매우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독특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식용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장식용 수족관은 종래 단순한 어항 형상이나 사각의 수족관 형상을 탈피하여서 수족관을 배모양으로 형성하고, 수족관으로부터 파도소리와 같은 음향이 발생하도록 하여 실내분위기를 좀더 색다르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장식용 수족관의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중앙 횡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중앙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족관 101 : 선체
102 : 공간부 103 : 좌대
104 : 마스트 105 : 지색
106 : IC칩 107 : 스피커
108 : 갑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장식용 수족관은,
내부에 수서생물과 수중 장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체를 안정되게 지탱시키는 좌대와;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마스트(Mast)와;
상기 마스트를 앞뒤, 좌우에서 지탱하는 다수의 지색(支索)과;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 및 스피커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식용 수족관에 따르면,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의 주변 장식물과 장식용 수족관이 매우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배 모양의 장식용 수족관으로 인해 독특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수족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수족관(100)은,
내부에 수서생물과 수중 장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102)를 형성하고,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101)와;
상기 선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체를 안정되게 지탱시키는 좌대(103)와;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마스트(104)와;
상기 마스트를 앞뒤, 좌우에서 지탱하는 다수의 지색(105)과;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106) 및 스피커(10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선체(101)는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선체의 내부에 수납된 각종 수서생물이나 수중 장식품을 외부에서 들여다 볼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선체(101)의 상단에는 갑판(108)을 둥그스럼하게 형성하여서 갑판 상에 마스트(104)와 지색(105)을 나사식 결합이나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색(105)은 중앙의 마스트(104)를 지탱할 수 있도록, 마스트의 상단에서부터 갑판의 가장자리까지 연결하도록 앞뒤, 좌우에 비스듬하게 고정설치되며,
상기 좌대(103)는 선체(101)의 둥근 밑바닥을 가장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다.
상기 선체(101)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106)과 스피커(107)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에 대한 기술구성은 일반적인 전기공학이나 전자공학에서 공지 공용된 통상의 멜로디회로를 적용하여서 IC칩(106)에 미리 입력된 각종 음향이 스피커(107)를 통하여 흘러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선택적으로 상기 갑판(108)의 내부 저면에는 야간에 빛을 발하도록 전구(도시안됨)를 설치하여서 야간에도 장식용 수족관으로서 실내 분위기를 우아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수족관(10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일정한 장소에 재치하여 두면 장식용 수족관이 실내의 주변 장식물과 매우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독특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수족관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수족관(100)은, 내부에 수서생물과 수중 장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101)와; 상기 선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체를 안정되게 지탱시키는 좌대(103)와;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마스트(104)와; 상기 마스트를 앞뒤, 좌우에서 지탱하는 다수의 지색(105)과;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106) 및 스피커(107)로 구성하므로서, 실내의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의 주변 장식물과 장식용 수족관이 매우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고, 독특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장식용 수족관은, 종래 단순한 어항 형상이나 사각의 수족관 형상을 탈피하여서 수족관을 배모양으로 형성하고, 수족관으로부터 파도소리와 같은 음향이 발생하도록 하므로서 실내분위기를 좀더 색다르게 연출할 수 있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수서생물과 수중 장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부(102)를 형성하고, 투명의 유리나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101)와;
    상기 선체의 하단에 설치되어 선체를 안정되게 지탱시키는 좌대(103)와;
    상기 선체의 중심선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워설치되는 마스트(104)와;
    상기 마스트를 앞뒤, 좌우에서 지탱하는 다수의 지색(105)과;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자연의 소리나 파도소리 등 각종 음향을 발생시키는 IC칩(106) 및 스피커(10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장식용 수족관.
KR20-2004-0000768U 2004-01-12 2004-01-12 장식용 수족관 KR200347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68U KR200347575Y1 (ko) 2004-01-12 2004-01-12 장식용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768U KR200347575Y1 (ko) 2004-01-12 2004-01-12 장식용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575Y1 true KR200347575Y1 (ko) 2004-04-17

Family

ID=4942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768U KR200347575Y1 (ko) 2004-01-12 2004-01-12 장식용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5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US4231322A (en) Apparatus for growing oysters and other molluscs
KR101002567B1 (ko)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KR200396100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CN101288385B (zh) 一种适用于泥沙底海域的底播式海水养殖设施
KR20170002916U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CN104542422A (zh) 一种利用鱼缸摸拟深海环境核潜艇运行的组合式鱼缸及应用
KR20160094669A (ko) 홍해삼 해중 양식틀
JP2006217895A (ja) クルマエビの養殖方法および養殖システム
KR101489428B1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
KR200347575Y1 (ko) 장식용 수족관
CN205511641U (zh) 一种带照明的人工鱼礁
JP2016086800A (ja) アクアリウム水槽
KR20140017970A (ko) 장식용 수족관
JPH08322428A (ja) ホタルの養殖装置
JP6987365B2 (ja) 平面配置型二枚貝育成システム
EP0901987B1 (en) Method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or the like and water quality improving shading means used therefor
KR100374749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벨트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KR100374747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로프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방법
Powell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hibits for elasmobranchs
TWM637689U (zh) 養殖廊道裝置
KR100475445B1 (ko) 간,만조 기능을 갖춘 해양수족관
KR100374750B1 (ko) 생물자원 육성을 위한 망사형 인공수초 및 이를 이용한수질정화방법
KR101734316B1 (ko) 복합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