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207Y1 -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207Y1
KR200347207Y1 KR20-2004-0001474U KR20040001474U KR200347207Y1 KR 200347207 Y1 KR200347207 Y1 KR 200347207Y1 KR 20040001474 U KR20040001474 U KR 20040001474U KR 200347207 Y1 KR200347207 Y1 KR 200347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terminal
line
viewfinde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1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촬영 시의 피사체를 중앙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뷰파인더로 사용되는 표시부에 맞춤선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카메라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출력되는 화상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선을 상기 뷰파인더에 출력하는 촬영 지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맞춤선이 출력됨에 따라 카메라 촬영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device for taking a photograph in mobile}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촬영 시의 피사체를 중앙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뷰파인더로 사용되는 표시부에 맞춤선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는 그 종류가 여러 가지인 바, 그 주요 기능은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것이지만 상대방과 여러 가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과 더불어 여러 가지 부가 기능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카메라 기능이다. 이동 단말기에 고정 또는 착탈식으로 카메라가 장착되고 사용자가 촬영한 화상을 저장하거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카메라폰)에서는 통상적으로 액정화면인 표시부를 뷰파인더(viewfinder)로 사용한다. 카메라 촬영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부에 출력되고 사용자는 표시부에 출력되는 화상을 보면서 상하좌우 균형을 맞추어 촬영을 한다.
그런데, 카메라 촬영을 하다 보면 단말기가 기울어지거나 균형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촬영을 하게 되어, 촬영된 화상의 상하좌우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카메라 촬영시에 눈짐작만으로 균형을 맞추며 촬영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카메라폰으로 촬영 시 뷰파인더(표시부)에 맞춤선이 출력됨에 따라 균형있는 화상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즉, 촬영하고자 하는 화상에 중앙선이나 황금분할선 등이 오버랩(overlap)됨으로써 화상의 균형을 맞추기가 용이하도록 하고자 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촬영의 일 실시예도
도 3 및 도 4는 맞춤선의 일 실시예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맞춤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출력되는 화상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선을 상기 뷰파인더에 출력하는 촬영 지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 촬영 지원모듈은, 상기 뷰파인더에 출력되는 화상에, 상기 맞춤선을 오버랩(overlap)하여 출력한다. 이 맞춤선은, 중앙 표시선 또는 하나 이상의 황금비율 분할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촬영의 일 실시예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맞춤선의 일 실시예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는 키입력부(10)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주파 신호의 증폭 및 필터링, 신호 변/복조를 수행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30)와, 단말기의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40)와, 무선주파 송/수신부(3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및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제어부(2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로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60) 및 피사체 촬영을 위한 카메라(80)와 촬영 지원모듈(70)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80)는 단말기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과, 사용할 때에 단말기에 장착하고 사용하지 않을때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착탈식이 있다. 근래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디지털 카메라를 대체하는 수준까지 이르고 있다.
카메라가 구비된 단말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액정화면인 표시부(40)가 뷰파인더(viewfinder) 기능을 하지만, 이후 표시부(40) 이외에 카메라 촬영을 위한 전용 뷰파인더가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80)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되기 위한 피사체의 화상(동영상 촬영인 경우에는 동영상)이 액정화면인 표시부(40)를 통해 출력되는데, 촬영 지원모듈(70)은 이때 표시부(40)에 맞춤선이 출력되도록 한다.
카메라(80) 촬영을 위한 신호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를 카메라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화상이 표시부(40)에 출력되기 전이라도 카메라 모드가 되면 맞춤선이 표시부(40)에 출력되게 된다.
도 2와 같이, 촬영되기 위한 화상이 표시부(40)에 출력될 때, 맞춤선(100)이 표시부(40)에 출력된 화상에 오버랩(overlap)됨으로써 사용자는 화상의 균형을 맞추기가 용이해진다. 도 2에서 출력된 맞춤선(100)은 촬영된 화상에는 포함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맞춤선(100)은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중앙 표시선이거나, 인간이 느끼는 가장 안정적이며 편하게 느껴지는 요소를 내재하고 있다는 황금비율 분할선이거나 격자무늬, 좌우분할 눈금 등일 수 있으며, 화상의 상하좌우 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을 준다.
도 3 및 도 4에 맞춤선의 일 실시예인 격자무늬와 좌우분할 눈금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이나 도 4와 같은 맞춤선이 화상과 함께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하좌우 균형을 맞추기가 더욱 용이하다.
메모리(50)에 여러가지 종류의 맞춤선이 저장되어 있으며, 맞춤선 선택을 위한 메뉴에서 하나의 맞춤선을 선택할 수 있다. 맞춤선 선택을 위한 메뉴에는 기존에 맞춤선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포함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촬영 시 상하좌우 균형을 맞추는데 도움을 주는 중앙 표시선 등의 맞춤선이 출력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출력되는 화상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선을 상기 뷰파인더에 출력하는 촬영 지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지원모듈은
    상기 뷰파인더에 출력되는 화상에, 상기 맞춤선을 오버랩(overlap)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선은
    중앙 표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선은
    하나 이상의 황금비율 분할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KR20-2004-0001474U 2004-01-19 2004-01-19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KR200347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4U KR200347207Y1 (ko) 2004-01-19 2004-01-19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74U KR200347207Y1 (ko) 2004-01-19 2004-01-19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207Y1 true KR200347207Y1 (ko) 2004-04-08

Family

ID=4942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74U KR200347207Y1 (ko) 2004-01-19 2004-01-19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2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713B1 (ko) 촬영 방법, 촬영 장치, 및 이동 단말
US6823198B2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KR100261607B1 (ko)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KR2009004249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US20050231604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50067286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KR20040104777A (ko) 듀얼 카메라 장착 단말기
KR20110021817A (ko) 사진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H11146370A (ja) 携帯形テレビ電話装置
KR20070058263A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촬영방법
KR20050102060A (ko) 빔프로젝터를 겸비한 휴대용전자기기
JP20013204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KR200347207Y1 (ko)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장치
KR2006001308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JP2005175977A (ja) 携帯端末装置
KR20050004810A (ko) 촬영된 이미지 표시 장치 및 촬영된 이미지 표시 방법
JP2006345572A (ja) 携帯端末装置
KR20060010089A (ko)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501565B2 (ja) 電子機器
JP2007158892A (ja) 画像送受信システム、携帯型画像受信装置、画像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62142B1 (ko) 영상 촬영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546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3차원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438169B1 (ko) 화상 전화기의 화상 조정 시스템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445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멀티미디어 방송 수행 방법 및그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