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88Y1 - 농업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88Y1
KR200346888Y1 KR20-2003-0034806U KR20030034806U KR200346888Y1 KR 200346888 Y1 KR200346888 Y1 KR 200346888Y1 KR 20030034806 U KR20030034806 U KR 20030034806U KR 200346888 Y1 KR200346888 Y1 KR 200346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pport plate
output side
gears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이엔지
Priority to KR20-2003-0034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개폐기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또는 보온비닐, 통풍용비닐 등을 개폐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측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장착사용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하부에 파이프나 봉 등을 꽂아 지지시키는 홈과 모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암나사구멍을 가진 개폐기 하우징과, 상기 개폐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내륜측에 치차가 형성된 고정형 내륜기어와, 상기 내륜기어에 치합되며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에 형성된 자전기어에 의해 공전하는 3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3개의 유성기어와 중심축을 지지하는 입력측지지판 및 출력측지지판과, 상기 출력측지지판에 연결설치되며 상기한 내륜기어보다 치차수가 1~5개 많고 상기 유성기어에 치합구동되며 소정의 전위각을 가진 전위기어를 플렌지의 내측면에 고정한 출력측 스플라인 축과, 상기 출력측 스플라인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장설치되고 하우징에 결합되는 개폐기 캡과, 입력측지지판과 하우징의 결합부위 그리고 출력측지지판과 출력측스플라인축과 일체로 형성된 플렌지의 결합부위에 장착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출력측 스플라인축에 과부하가 작용하더라도 소정의 전위각을 가진 전위기어에 의해 유성기어의 치차 또는 전위기어에 형성된 치차의 파손율 및 마모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사용의 안정성과 내구성 및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입력측지지판과 하우징의 결합부위, 그리고 출력측지지판과출력측 스플라인축의 플렌지결합부위에 베어링을 장착함으로서, 동력전달시 유동및 흔들림이 전혀 없게 되어 소음 및 진동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개폐기{reduction gear for agriculture}
본 고안은 농업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에 설치사용되는 보온비닐이나 보온덮개, 또는 비닐하우스의 측면커버용 비닐 등등을 자동으로 개폐시킬때 사용되는 개폐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개폐기 작동이 매우 정숙하게 이루어지고, 내구성이 증대되어 수명이 연장되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개폐기는 파이프나 봉 등을 꽂아 지지시키는 홈과모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암나사구멍을 가진 개폐기 하우징과, 상기 개폐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내륜측에 치차가 형성된 고정형 내륜기어와, 상기 내륜기어에 치합되며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에 형성된 자전기어에 의해 공전하는 3개의 유성기어와, 상기 3개의 유성기어와 중심축을 지지하는 입력측지지판 및 출력측지지판과, 상기 출력측지지판에 연결설치되며 상기한 내륜기어보다 치차수가 1~5개가 더 많고 상기 유성기어에 치합구동되는 구동형 내륜기어와, 상기 구동형 내륜기어를 플렌지의 내측면에 고정시킨 출력측 스플라인 축과, 상기 출력측 스플라인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장설치되고 하우징에 결합되는 개폐기 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농업용 개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 밖에 없었다.
즉, 유성기어를 공전시키는 자전기어를 가진 중심축을 지지함에 있어서, 자전기어와 유성기어, 그리고 고정형 및 구동형 내륜기어와의 치합상태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기에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중심축이 미세하게 유동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어 사용시 매우 시끄럽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는 것이다.
또, 구동형 내륜기어가 고정형 내륜기어와 같은 치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유성기어의 치차와 맞물려 감속회전하는 과정에서 스플라인축에 과부하가 작용하게 되면 구동형 내륜기어의 치차 이뿌리면이 심하게 마모 또는 파손되게 되며, 이때 마모 또는 파손된 칩이 구동형 내륜기어와 유성기어사이에 끼이거나 유동하면서 엄청난 마찰소음과 심한 경우 구동형 내륜기어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어 스플라인축이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유성기어 및 자전기어를 지지하는 입력측 및 출력측 유성기어지지판과 하우징 및 스플라인축과 구동형 내륜기어를 가진 플렌지의 결합부위에 유성기어의 요동및 부드러운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베어링을 장착하고, 구동형 내륜기어의 치차수를 고정형내륜기어의 치차수보다 많게 형성하면서 전위각을 크게 형성한 전위기어로 구성함으로서 유성기어의 치차가 맞물려 작용할 때 내륜기어의 이뿌리면에 작용하는 부하가 최소화되게 하여 구동의 정숙성을 유도함과 동시에 스플라인축에 작용하는 과부하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대응 및 구동되게 하여 구동형 내륜기어의 작용을 하는 전위기어의 내구성과 수명연장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고정형 내륜기어와 전위기어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모터와 클러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본 고안의 농업용 개폐기(100)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파이프나 봉 등을 꽂아 지지시키는 홈(11)과 모터(1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암나사구멍(13)을 가진 통상의 개폐기 하우징(1);과,
상기 개폐기 하우징(1)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내륜측에 치차가 형성된 통상의 고정형 내륜기어(2)와,
상기 내륜기어(2)에 치합되며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31)에 형성된 자전기어(32)에 의해 공전하는 3개로 구성된 통상의 유성기어(33);와,
상기 3개의 유성기어(33)와 중심축(31)을 지지하는 통상의 입력측지지판(34) 및 출력측지지판(34')과,
상기 출력측지지판(34')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한 내륜기어(2)보다 치차수가 1~5개 더 많고, 상기 유성기어(33)에 치합 구동되며 전위각을 크게 형성한 전위치차(21)를 가진 전위기어(2')를 플렌지(41)의 내측면에 고정시킨 출력측 스플라인 축(4)과;,
상기 출력측 스플라인축(4)을 지지하는 베어링(42)이 내장설치되고 하우징(1)에 결합되는 개폐기 캡(5)으로 구성되며,
입력측지지판(34)과 하우징(1)의 결합부위에 각각 베어링삽입턱(34a)과 베어링삽입홈(14)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베어링(6)을 결합 고정시키고, 출력측 지지판(34')과 출력측 스플라인축(43)의 플렌지(41)의 결합부위에도 각각 베어링삽입턱(34a')과 베어링 삽입홈(44)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베어링(6')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7은 클러치이고, 8은 보온덮개, 9는 보온덮개의 축, 10,10'는 체결볼트, 20은 유성기어의 축, 20a, 20b는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우징(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자전기어(32)와 일체로 된 중심축(31) 끝단에 소정의 풀리 또는 기어를 장착하고 모터(12)의 중심축에도 상기 풀리나 기어에 대응하는 풀리 또는 기어를 장착구성하거나, 또는 중심축(31)에 모터(12)의 축을 직렬로 연결구성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모터(12)의 동력은 중심축(31)을 통하여 자전기어(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자전기어(32)와 치합되어 공전하는 3개 유성기어(33)가 자전기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자전)되면서 자전기어(32)를 중심으로 이송(공전)하게 되며, 상기 유성기어는 고정형내륜기어(2)의 내륜에 형성된 치차에 맞물려 안정적으로 공전하게 된다.
또, 상기 유성기어는 이나비가 넓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형내륜기어(2)의 이나비는 유성기어의 1/2정도로 형성되어 있어 유성기어의 이나비중 나머지 1/2에 전위기어(2')의 치차가 맞물려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전위기어(2')는 출력측스플라인축(4)의 플렌지(41)내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형 내륜기어(2)보다 치차수가 1~5개가 더 많은 형태이며, 전위각이 커서 유성기어(33)의 공전에 따라 크게 감속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출력측 스플라인축에 보온덮개나 보온비닐 등을 권취한 축 또는 파이프를 연결구성한 상태에서 보온덮개 등을 개폐시킬 때 과부하가 걸리더라도 전위기어(2')에 형성된 전위치차의 이뿌리면이 유성기어의 치차와 맞물렸을 때 마찰부하를 최소화시키도록 형성하였으므로 무리없이 출력측 스플라인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지나친 과부하로 인하여 전위치차의 이뿌리면이 마모된다 하더라도 마모율이 매우 적어 전위기어 또는 유성기어의 치차가 파손되는 등의 폐단은 일소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와 같이 본고안에서와 같은 전위기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성기어의 치차와 마찰저항을 받는 부분이 커져서 치차의 파손이 자주 발생되고, 일단 치차가 파손되면,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매우 커짐은 물론 파손된 치차의 입자가 유성기어와 자전기어, 그리고 고정형 내륜기어및 구동형 내륜기어사이에 끼이게 되어 모터의 과열과 더불어 부하를 크게 야기시키게 되고, 더불어 출력측 스플라인축이 전혀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로 되어 보온덮개등의 개폐를 중단시키게 되는 경우도 자주발생하였다는 것이며, 이와 같이 보온덮개 개폐를 못하는 상황이 야기되면 작물이 동해, 또는 냉해를 입게 되어 농가의 피해가 매우 커지게 된다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폐단이 일소됨과 동시에 과부하가 작용할 때 치차의 마모는 어느정도 야기된다 하더라도 치차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폐단이 일소되어 사전에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여유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농가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유성기어(33) 및 중심축(31)을 지지하는 입력측지지판(34)과 출력측지지판(34'), 그리고 하우징(1)과 플렌지(41)사이에 베어링(6)과 (6')를 개재함으로서 모터(12)의 동력에 의해 출력측스플라인 축(4)이 구동하는 과정에서 중심축(31)과 입력측 및 출력측지지판(34)(34')이 미세한 요동은 물론 흔들림이 전혀 없이 안정적이면서도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보온덮개 등을 개폐시 매우 정숙하고, 또, 개폐기의 수명연장에도 일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개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형 내륜기어를 전위각을 크게 형성한 전위기어로 구성하고, 유성기어 및 중심축을 지지하는 입력측 및 출력측 지지판과 하우징 및 스플라인축 플렌지사이에 베어링을 장착구성함으로서 구동이 매우 정숙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수명이 장구하게 연장되는 개폐기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파이프나 봉 등을 꽂아 지지시키는 홈(11)과 모터(1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암나사구멍(13)을 가진 통상의 개폐기 하우징(1);과,
    상기 개폐기 하우징(1)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내륜측에 치차가 형성된 통상의 고정형 내륜기어(2);와,
    상기 내륜기어(2)에 치합되며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31)에 형성된 자전기어(32)에 의해 공전하는 3개로 구성된 통상의 유성기어(33);와,
    상기 3개의 유성기어(33)와 중심축(31)을 지지하는 입력측지지판(34) 및 출력측지지판(34')과,
    상기 출력측지지판(34')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한 내륜기어(2)보다 치차수가 1~5개 더 많고, 상기 유성기어(33)에 치합 구동되며 전위각을 크게 형성한 전위치차(21)를 가진 전위기어(2')를 플렌지(41)의 내측면에 고정시킨 출력측 스플라인 축(4)과;,
    상기 출력측 스플라인축(4)을 지지하는 베어링(42)이 내장설치되고 하우징(1)에 결합되는 개폐기 캡(5);과,
    입력측지지판(34)과 하우징(1)의 결합부위에 각각 베어링삽입턱(34a)과 베어링삽입홈(14)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베어링(6)을 결합 고정시키고, 출력측 지지판(34')과 출력측 스플라인축(43)의 플렌지(41)의 결합부위에도 각각 베어링삽입턱(34a')과 베어링 삽입홈(44)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 베어링(6')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개폐기.
KR20-2003-0034806U 2003-11-06 2003-11-06 농업용 개폐기 KR200346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06U KR200346888Y1 (ko) 2003-11-06 2003-11-06 농업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06U KR200346888Y1 (ko) 2003-11-06 2003-11-06 농업용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88Y1 true KR200346888Y1 (ko) 2004-04-03

Family

ID=4942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06U KR200346888Y1 (ko) 2003-11-06 2003-11-06 농업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463B1 (ko) 2012-06-19 2014-06-18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비닐하우스용 보온 덮개 개폐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463B1 (ko) 2012-06-19 2014-06-18 주식회사 성훈라이팅 비닐하우스용 보온 덮개 개폐의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202B2 (ja) 回転−直動変換機構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US8051737B2 (en) Worm gear drive
US8021218B2 (en) Linear travel air damper
CA2125259A1 (en) Actuator and Zone Valve
US6295883B1 (en) Opening and closing type interior device
KR100870193B1 (ko) 온실용 자동 개폐기
TW565669B (en) Valve driving device and assembly thereof
JP2010504220A (ja) 手持ち式工作機械
JP2013534396A (ja) 自動車の開閉パネルのためのモータによる駆動装置
US20050064980A1 (en) Geared motor
JP4844213B2 (ja) ダンパー装置
KR200346888Y1 (ko) 농업용 개폐기
WO2009000134A1 (fr) Ensemble pivotant d'ouverture et de fermeture automatique à fonctions manuelles
CN1307217A (zh) 电动机式风门装置
US6062363A (en) Drive engagement mechanism
CN213015919U (zh) 车辆尾门的电动撑杆和车辆
CN101783543A (zh) 一种电机组件
JP4625745B2 (ja) ギヤードモータ、扉開閉装置、および冷蔵庫
US11525522B2 (en) Self-retaining, magnetically-coupled and directly-operated four-way reversing valve
JP2016113778A (ja) 水門開閉器の補助駆動装置
CN202483316U (zh) 电动合页装置
US20180073597A1 (en) Pancake gear motor
JPWO2007116788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CN211901470U (zh) 自动调节中心距的离合结构及减速器
RU2004134199A (ru) Задвиж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