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746Y1 -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746Y1
KR200346746Y1 KR20-2004-0000489U KR20040000489U KR200346746Y1 KR 200346746 Y1 KR200346746 Y1 KR 200346746Y1 KR 20040000489 U KR20040000489 U KR 20040000489U KR 200346746 Y1 KR200346746 Y1 KR 200346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groove
wedge
resin tub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차순
Original Assignee
허차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차순 filed Critical 허차순
Priority to KR20-2004-0000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시 고무패킹이 경사면에 형성된 압축돌기에 의해 압착되게 함과 동시에 쐐기를 통하여 고무패킹이 상하로 벌어지면서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를 조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pipe}
본 고안은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시 고무패킹이 경사면에 형성된 압축돌기에 의해 압착되게 함과 동시에 쐐기를 통하여 고무패킹이 상하로 벌어지면서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를 조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지하에 매설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의 연결 방법을 보면 스텐레스 밴드를 이용하여 관과 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방법과, 메시형태의 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관과 관 단부를 용융 접착시키는 전기 융착 방법과, 관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 부분에 체결부재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 체결 방법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방법을 통하여 관과 관을 연결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종래 합성수지관 연결방법은 일일이 스텐레스 밴드를 연결하거나 또는 관과 관 단부를 용융접착하거나 또는 관과 관에 형성된 플랜지를 나사 결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연결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기밀성이 불확실 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시 고무패킹이 경사면에 형성된 압축돌기에 의해 압착되게 함과 동시에 쐐기를 통하여 고무패킹이 상하로 벌어지면서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를 조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 ; 합성수지관 200 ; 고정플랜지
210,410 ; 체결홈 220 ; 경사면
230 ; 압축돌기 300 ; 고무패킹
310 ; 벌어짐홈 320 ; 라운딩
400 ; 고정판 420 ; 중간홈
430 ; 쐐기 500 ; 체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한쪽단부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고정플랜지의 가장 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압축돌기와,
상기 체결홈과 동일한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플랜지에서 체결 분리되는 고정판을 마련한 후 상기 고정판의 중간에 형성된 중간홈의 외주면을 압착하면 한쪽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쐐기와,
상기 쐐기가 강제 삽입되면 상하 벌어지는 벌어짐홈이 형성되고, 이 벌어짐홈은 라운딩 처리되며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을 기밀하게 연결하는 고무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100)(100a)도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에 사용되며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더욱 효과적으로 합성수지관(100)과 다른 합성수지관(100a)이 간편하게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합성수지관(100)(100a), 고정플랜지(200), 고정판(400), 고무패킹(300) 및 체결부재(50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고정플랜지(200)는 합성수지관(100)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외부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플랜지(200) 가장자리에는 체결부재(50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홈(21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경사면(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220)에는 고무패킹(300)을 압착하여 합성수지관(100)과 합성수지관(100a)의 연결부위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압축돌기(230)가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압축돌기(230)의 갯수는 도면에서와 같이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무패킹(300)을 압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면 경사면(220)에 압축돌기(230)를 더 많이 형성하거나 또는 적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되는 크기도 적게 하거나 크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고정판(40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플랜지(200)의 체결홈(210)과 동일한 위치에 체결홈(410)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합성수지관(100a)이 삽입되는 중간홈(420)이 형성되며 이 중간홈(420) 주변에는 환형의 쐐기(4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쐐기(430)는 고무패킹(300)의 벌어짐홈(310)에 강제 삽입되면서 고무패킹이 상하 벌어질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는게 바람직하며 고정판(400) 성형시 별도의 성형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압착 형성된다.
고무패킹(300)은 합성수지관(100)과 다른 합성수지관(100a)을 서로 밀실하게 연결하는 역활을 수행하는데, 고정판(400)과 고정플랜지(200)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쐐기(430)가 강제 삽입되면 상하 벌어지는 벌어짐홈(310)이 한쪽 측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벌어짐홈(310) 측에는 쐐기(430)가 용이하게 삽입 안내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합성수지관(100)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합성수지관(100a)을 고정판(400)의 중간홈(420)에 삽입한 후, 벌어짐홈(310)이 쐐기(430)와 마주하도록 고무패킹(300)을 상기한 합성수지관(100a)에 삽입한다.
이후, 합성수지관(100a)의 일단을 고정플랜지(200) 내부에 삽입하고 체결홈(210)(410)을 일치시키면 고무패킹(300)은 고정플랜지(200), 고정판(400), 합성수지관(100a) 사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부재(500)를 이용하여 체결홈(210)(410)을 나사 결합하면 쐐기(430)는 라운딩(320)에 의해 벌어짐홈(310)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강제 진입하고, 강제 진입하는 과정에서 고무패킹(300)은 상하 벌어지게 된다.
이때 고무패킹(300)은 압축돌기(230)에 의해 압착됨과 동시에 상하 벌어지면서 연결부위 즉, 고정플랜지(200)와 합성수지관(100a)에 밀착되기 때문에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긴밀하게 합성수지관(100)과 다른 합성수지관(100a)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시 고무패킹이 경사면에 형성된 압축돌기에 의해 압착됨과 동시에 쐐기를 통하여 고무패킹이 상하로 벌어지면서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의 연결부위를 조임하기 때문에 연결부위의 수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간편하고 긴밀하게 합성수지관과 다른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토목용관, 오,폐수관, 상,하수관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100)의 한쪽 단부에 외부로 연장 형성된 고정플랜지(200)의 가장 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홈(210)이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220)에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압축돌기(230)와, 상기 체결홈(210)과 동일한 위치에 체결홈(410)이 형성되고 체결부재(500)에 의해 고정플랜지(200)에서 체결 분리되는 고정판(400)을 마련한 후 상기 고정판(400)의 중간에 형성된 중간홈(420)의 외주면을 압착하면 한쪽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쐐기(430)와; 상기 쐐기(430)가 강제 삽입되면 상하 벌어지는 벌어짐홈(310)이 형성되고, 이 벌어짐홈(310)은 라운딩(320) 처리되며 합성수지관(100)과 다른 합성수지관(100a)을 기밀하게 연결하는 고무패킹(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2004-0000489U 2004-01-08 2004-01-08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46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89U KR200346746Y1 (ko) 2004-01-08 2004-01-08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89U KR200346746Y1 (ko) 2004-01-08 2004-01-08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746Y1 true KR200346746Y1 (ko) 2004-04-01

Family

ID=4934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89U KR200346746Y1 (ko) 2004-01-08 2004-01-08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74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16B1 (ko) 2006-03-27 2006-11-23 건설화성 주식회사 헤드 일체형 편수관용 합성수지관 연결 조립체
KR100905299B1 (ko) 2008-09-26 2009-07-02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용 클램프
KR200447945Y1 (ko) 2008-03-26 2010-03-05 이재종 배관연결장치
KR100968110B1 (ko) * 2008-03-25 2010-07-06 코스모피엔에프(주) 파이프용 수밀을 위한 연결구
KR101308401B1 (ko) * 2012-11-20 2013-09-16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101866793B1 (ko) * 2017-10-12 2018-06-12 신우종합철강(주)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901816B1 (ko) * 2018-04-10 2018-09-27 양철우 흄관이음용 수팽창 고무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393222B1 (ko) * 2020-11-18 2022-04-29 장윤근 거푸집 서포트 가로 연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916B1 (ko) 2006-03-27 2006-11-23 건설화성 주식회사 헤드 일체형 편수관용 합성수지관 연결 조립체
KR100968110B1 (ko) * 2008-03-25 2010-07-06 코스모피엔에프(주) 파이프용 수밀을 위한 연결구
KR200447945Y1 (ko) 2008-03-26 2010-03-05 이재종 배관연결장치
KR100905299B1 (ko) 2008-09-26 2009-07-02 주식회사 고리 수도관 연결용 클램프
KR101308401B1 (ko) * 2012-11-20 2013-09-16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101866793B1 (ko) * 2017-10-12 2018-06-12 신우종합철강(주)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901816B1 (ko) * 2018-04-10 2018-09-27 양철우 흄관이음용 수팽창 고무링 및 그 제조방법
KR102393222B1 (ko) * 2020-11-18 2022-04-29 장윤근 거푸집 서포트 가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6746Y1 (ko) 쐐기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1891081B1 (ko) 관 연결 조립체
KR101615146B1 (ko) 이중 지수 구조가 구비된 상수도용 피복강관
JPH10132080A (ja) 密閉リング
KR100560438B1 (ko) 합성수지 편수칼라관의 수밀구조 및 이탈방지 연결구조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101888168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1083766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과 그 체결방법
KR20090008533A (ko) 파이프 연결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83327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1020744B1 (ko) 배관연결구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1830851B1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100770167B1 (ko) 관과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내장형 아답터 플랜지관 연결조립체
KR200233913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KR100953158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348203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302163Y1 (ko) 이중수밀유지용 관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0336225Y1 (ko) 수도관 이탈방지 이음구조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836447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