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286Y1 - 골프공 받침용 티 - Google Patents

골프공 받침용 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286Y1
KR200346286Y1 KR20-2003-0037850U KR20030037850U KR200346286Y1 KR 200346286 Y1 KR200346286 Y1 KR 200346286Y1 KR 20030037850 U KR20030037850 U KR 20030037850U KR 200346286 Y1 KR200346286 Y1 KR 200346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tee
support
stat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익
Original Assignee
노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동익 filed Critical 노동익
Priority to KR20-2003-0037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공 받침용 티에 관한 것으로, 골프공을 받쳐주는 기본 구조에 상기 골프공이 받쳐진 상태에서 골프공과 지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부가 구조를 더하여 초보 골퍼라 하더라도 항상 초기 티샷을 위한 풀스윙과정시 클럽 헤드가 골프공의 정확한 부분을 타격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하단이 날카로운 상태로서 수직을 이루는 몸체(11)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골프공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입홈(12a)을 갖는 받침편(12)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는 길이방향을 향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요철부(13)와, 상기 몸체(11)의 요철부(13)에 끼워져 상하이동시 상기 요철부의 각 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면서 돌기에 걸리도록 그 내경부로 복수개의 탄성편(14a)을 일체로 갖는 높이조절부재(14)가 더 포함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공 받침용 티{tee for supporting golf ball}
본 고안은 골프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골퍼(Golf Player)가 초기 티샷을 위해 골프공을 지면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로 지지시킬 때 이용하는 골프공 받침용 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골프공을 골프채로서 수회 타격하여 홀컵에 집어 넣는 경기로서 상기 골프공을 홀컵에 집어 넣을 때 까지의 타격 횟수에 따라 승자가 결정되는 스포츠이다.
상기한 골프경기시 최초에 골프채로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을 티샷(Tee Shot)이라 하고, 상기 티샷을 위해서는 그 이전에 골프공을 받쳐주기 위한 티(Tee)를 지면에 수직상태로 꼽아 상기 티를 받침대로 하여 골프공이 지면과 약간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 골프채로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티샷을 행하는데, 이때 골퍼는 골프공을 앞에 두고 백스윙 후 풀스윙하여 상기 골프채의 클럽 헤드가 골프공에 정확히 맞춰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골퍼가 티샷을 위해서는 골프공을 티를 이용하여 지면과 약간 떨어뜨린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는데, 상기 티의 종래 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지면에 쉽게 꽂혀질 수 있도록 하단이 날카로운 상태로서 수직을 이루는 몸체(1)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골프공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입홈(2a)을 갖는 받침편(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골프공 받침용 티를 이용해 골프공을 지면과 약간 떨어진 상태로 받쳐주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퍼가 초기 티샷을 위해서는 골프공이 지면과 약간 떨어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골프공을 티에 받쳐 놓으면 하는데, 이때에는 티의 몸체(1) 하단부를 지면에 꽂은 다음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편(2) 위로 골프공을 가볍게 올려 놓으면 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편의 상부면에 갖추어져 있는 요입홈(2a)으로 골프공의 일부 둘레부분이 수용됨에 따라 상기 받침편(2) 위로 올려져 있는 골프공이 쉽게 흘려내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골퍼가 골프채를 손으로 잡은 다음 백스윙 후 풀스윙을 하면 상기 골프채의 클럽 헤드가 풀스윙의 어느 순간 티에 받쳐져 있는 골프공을 타격하게 되어 상기 골프공이 목표 지점을 향해 멀리 날아가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골프공 받침용 티는 지면에 꽂혀지는 몸체의 외측 둘레부분이 매끄러운 상태로서 상기 지면에 꼽혀지는 깊이를 골퍼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매우 단순한 구조이므로 사용과정에서 골퍼가 티의 몸체(1)를 지면에 꽂을 때 상기 지면과 골프공이 올려지는 받침편(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매번 달라지고, 이에 따라 티샷을 위해 풀스윙시 클럽 헤드의 골프공 타격 지점 또한 매번 달라지면서 골프공의 비행 거리 및 위치가 골퍼의 생각과는 완전히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문제점은 초보 골퍼일수록 더 심각해져 티샷시 본인의 신체구조를 감안한 골프공의 타격점을 정확히 찾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어 골프의 재미를 느껴보지 못하고 도중에 그만두는 초보자가 많아지고, 이는 골퍼 인구의 증가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골프공을 받쳐주는 기본 구조에 상기 골프공이 받쳐진 상태에서 골프공과 지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주는 부가 구조를 더하여 초보 골퍼라 하더라도 항상 초기 티샷을 위한 풀스윙과정에서 클럽 헤드가 골프공의 정확한 부분을 타격하도록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골프공 받침용 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골프공 받침용 티의 사용상태를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의 사용상태를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몸체 12. 받침편
12a. 요입홈 13. 요철부
14. 높이조절부재 14a. 탄성편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하단이 날카로운 상태로서 수직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골프공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입홈을 갖는 받침편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는 길이방향을 향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요철부와, 상기 몸체의 요철부에 끼워져 상하이동시 상기 요철부의 각 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면서 돌기에 걸리도록 그 내경부로 복수개의 탄성편을 일체로 갖는 높이조절부재가 더 포함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받침용 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의 사용상태를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고안은 지면에 쉽게 꼽혀질 수 있도록 하단이 날카로운 상태로서 수직을 이루는 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골프공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입홈(12a)을 갖는 받침편(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의 외측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독립적이면서 전체적으로 볼 때는 길이방향을 향해 연속 반복되는 형태로 요철부(13)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의 요철부(13)에는 상하이동시 상기 요철부의 각 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면서 돌기에 걸리도록 그 내경부로 복수개의 탄성편(14a)을 일체로 갖는 높이조절부재(14)가 끼워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몸체(11)중 요철부(13)의 직하방에는 하부에서 상부록 갈수록 바깥쪽으로 점점더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갖는 한쌍의 걸림편(15)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1)의 요철부(13)에 높이조절부재(14)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각 걸림편(15)에 걸림에 따라 몸체(11)에서 중력방향으로 이탈됨이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를 이용해 골프공을 지면과 약간 떨어진 상태로 받쳐주는 기본적인 과정은 종래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가능할 것이라 생각되어 구체화하지 않고, 다만 이하에서는 본 고안 티를 이용해 골프공을 지면과 떨어진 상태로 받쳐줄 때 상기 지면과 골프공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제조 과정에서 구성요소인 높이조절부재(14)를 몸체(11)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끼워 넣어 상기 높이조절부재(14)가 몸체(11)의 외측둘레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13)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4)를 몸체(11)의 하방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몸체를 향해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이 과정에서 높이조절부재(14)는 어느 순간 몸체(11)중 요철부(13)의 직하방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걸림편(15)을 통과하므로 결국 상기 높이조절부재(14)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11)에 형성된 요철부(13)에 위치되면서 상기 각 걸림편(15)에 걸려 직하방으로 이탈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몸체(11)의 요철부(13) 직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걸림편(15)은 하부에서 상부록 갈수록 바깥쪽으로 점점더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되어 있으므로 몸체(11)에 끼워지는 높이조절부재(14)가 각 걸림편(15)에 접촉되는 순간부터 상기 각 걸림편은 강제적인 힘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다가 상기 높이조절부재(14)가 각 걸림편(15)을 완전히 벗어나는 순간 상기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던 각 걸림편은 다시 원상태인 바깥쪽으로 벌어지므로 결국 몸체(11)의 요철부(13)에 위치된 상태로 높이조절부재(14)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각 걸림편(15)에 걸리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 구성요소의 하나인 높이조절부재(14)가 몸체(11)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13)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11)에 끼운 상태에서 골퍼가 골프공을 올려 놓기 위해 상기 몸체를 지면에 꽂기 전 단계에서 손을 이용하여 높이조절부재(14)를 상부로 가압시키거나 아니면 하부로 가압시키면 상기 몸체(11)의 외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요철부(13)는 원주방향을 따라 독립적이면서 전체적으로 볼 때는 길이방향을 향해 연속 반복되는 형태임은 물론 상기 높이조절부재(14)의 내경부에는 복수개의 탄성편(14a)이 일체화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높이조절부재(14)는 일체화된 각 탄성편(14a)의 탄성력을 받아 상기 요철부(13)의 돌기를 지나 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면서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11)의 상단에 형성된 받침편(12)과 높이조절부재(14) 사이는 골퍼가 원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몸체(11)에 끼워진 높이조절부재(14)가 지면에 근접될 때까지 상기 몸체(11)를 지면에 꽂은 다음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편(12) 위로 골프공을 가볍게 올려 놓으면 결국 지면과 골프공은 골퍼가 원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후 골퍼가 초기 티샷을 위해 골프채를 손으로 잡고 풀스윙을 할 때 클럽 헤드가 골프공을 정확하게 타격하게 되어 상기 골프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멀리 날아갈 수 있게 된다.
한편 골퍼가 높이조절부재(14)의 상,하이동거리를 조절하면서 티샷을 수회 행하다 보면 어느 순간 지면과 티에 받쳐진 골프공과의 높이가 자신의 신체구조에 맞는 높이로 정확히 설정됨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서 몸체(11)의 요철부(13)에 위치된 상태로 끼워진 높이조절부재(14)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킨 다음 상기 몸체(11)를 지면에 꽂을 때는 상기 지면에 자라나 있는 잔디의 생육상태를 충분히 감안하여야 할 것인데, 만약 잔디가 너무 무성하게 자라나 있다면 정상적인 잔디의 생육상태보다 높이조절부재(14)의 위치를 상부로 약간 더 올려야 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 골프공 받침용 티는 지면에 꽂혀지는 몸체의 외측 둘레부분에 요철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에는 상,하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재(14)가 끼워져 있으므로 사용과정에서 골퍼가 티의 몸체(1)를 지면에 꽂을 때는 높이조절부재(14)를 적정한 높이로 상,하 위치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재(14)가 지면에 근접되도록 만 꽂으면 이후 몸체(1)의 상단에 형성된 받침편(12)에 골프공을 올려 놓았을 경우 상기 지면과 이격된 골프공의 높이가 항상 일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티샷을 위해 풀스윙시 클럽 헤드의 골프공 타격 지점 또한 항상 일정해져 골프공의 비행 거리 및 위치가 골퍼의 생각과 크게 차이가 없어 실력향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한 효과는 초보 골퍼일수록 더 두드러져 티샷시 본인의 신체구조를 감안한 골프공의 타격점을 정확히 찾는데 그리 오랜 기간이 소요되지 않아 골프의 재미를 빨리 느끼게 되어 골프 인구의 저변 확대가 가능해 진다.

Claims (2)

  1. 지면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하단이 날카로운 상태로서 수직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골프공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면에 요입홈을 갖는 받침편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는 길이방향을 향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요철부와,
    상기 몸체의 요철부에 끼워져 상하이동시 상기 요철부의 각 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면서 돌기에 걸리도록 그 내경부로 복수개의 탄성편을 일체로 갖는 높이조절부재가 더 포함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받침용 티.
  2.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중 요철부의 직하방에는 하부에서 상부록 갈수록 바깥쪽으로 점점더 벌어지면서 탄성력을 갖는 한쌍의 걸림편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요철부에 높이조절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각 걸림편에 걸림에 따라 몸체에서 중력방향으로 이탈됨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받침용 티.
KR20-2003-0037850U 2003-12-04 2003-12-04 골프공 받침용 티 KR200346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850U KR200346286Y1 (ko) 2003-12-04 2003-12-04 골프공 받침용 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850U KR200346286Y1 (ko) 2003-12-04 2003-12-04 골프공 받침용 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286Y1 true KR200346286Y1 (ko) 2004-03-31

Family

ID=4942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850U KR200346286Y1 (ko) 2003-12-04 2003-12-04 골프공 받침용 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286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614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13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31A (ko) * 2019-11-01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200006154A (ko) * 2020-01-08 2020-01-17 최용식 골프티 제조 방법
KR102435210B1 (ko) 2022-03-22 2022-08-25 강정웅 골프티 높이조절 겸용 골프용 볼마커
KR102439886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9887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9885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504968B1 (ko) 2022-07-27 2023-03-02 강정웅 골프용 볼마커 겸용 그린 보수기
KR20230162165A (ko) 2022-05-20 2023-11-28 (주)다즐 골프티꽂이
KR102632323B1 (ko) * 2023-09-21 2024-02-01 주식회사 코제 골프 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614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13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102154774B1 (ko) 2019-07-03 2020-09-10 최용식 골프티
KR102118379B1 (ko) 2019-07-03 2020-06-0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31A (ko) * 2019-11-01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102118348B1 (ko) 2019-11-01 2020-06-03 최용식 골프티
KR102118351B1 (ko) 2020-01-08 2020-06-26 최용식 골프티 제조 방법
KR20200006154A (ko) * 2020-01-08 2020-01-17 최용식 골프티 제조 방법
KR102439886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9887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9885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5210B1 (ko) 2022-03-22 2022-08-25 강정웅 골프티 높이조절 겸용 골프용 볼마커
KR20230162165A (ko) 2022-05-20 2023-11-28 (주)다즐 골프티꽂이
KR102504968B1 (ko) 2022-07-27 2023-03-02 강정웅 골프용 볼마커 겸용 그린 보수기
KR102632323B1 (ko) * 2023-09-21 2024-02-01 주식회사 코제 골프 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6286Y1 (ko) 골프공 받침용 티
US8376871B1 (en) Golf putting game apparatus
US7052416B2 (en) Golf range tee
US6062989A (en) Adjustable golf teeing device
JPH0919523A (ja) 調整可能なゴルフティー
US20060211519A1 (en) Correcting golf tee
KR101722769B1 (ko) 충격 흡수 및 높, 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골프 티
KR20130105405A (ko) 마커와 볼-조정 특징을 가지는 골프 퍼터
US5078394A (en) Golf putting improvement device
US4909515A (en) Golf practice club
US20140057740A1 (en) Golf tee
AU2018201170B2 (en) Golf tee for guiding a ball
KR20060085421A (ko) 골프공 받침용 티
KR101144353B1 (ko) 삼발이형 골프 티
KR200174700Y1 (ko) 무게중심조정이 가능한 골프 퍼터
US20050233837A1 (en) Golf tee holder
US20070093321A1 (en) Golf tee leveling device
KR200366638Y1 (ko) 골프 티
JP2019515731A (ja) ゴルフパッティング器具
KR200359322Y1 (ko) 골프공용 홀더
KR102435210B1 (ko) 골프티 높이조절 겸용 골프용 볼마커
KR200250271Y1 (ko) 골프용 티
KR200496983Y1 (ko)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KR200230662Y1 (ko) 골프 티
WO1994023806A1 (en) Golf tee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