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599Y1 -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599Y1
KR200345599Y1 KR20-2003-0033845U KR20030033845U KR200345599Y1 KR 200345599 Y1 KR200345599 Y1 KR 200345599Y1 KR 20030033845 U KR20030033845 U KR 20030033845U KR 200345599 Y1 KR200345599 Y1 KR 200345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tooth
contact portion
sports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청풍
Original Assignee
황청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청풍 filed Critical 황청풍
Priority to KR20-2003-0033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 A63B2071/086Mouth inserted protectors with breathing 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앞면을 감싸되 치아의 앞면을 잡아주고 있는 잇몸까지 감싸도록 된 앞면접촉부와; 치아의 밑면을 감싸는 밑면접촉부와; 치아의 배면을 감싸되 치아를 잡아주고 있는 잇몸은 감싸지 않도록 된 배면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배면접촉부가 치아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잇몸을 감싸지 않음으로써 발음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비교적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THE EASY PRONOUNCING MOUTHPIECE FOR SPORTS}
본 고안은 과격한 스포츠를 할 때 치아를 보호할 목적으로 치아에 착용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충격에 매우 약하고, 유년기를 지나면 영구적인 것으로서 손상 발생시 자연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다.
또, 치아를 감싸고 있는 잇몸은 장시간 이를 악물고 있는 등의 이유로 치아에 장시간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쉽게 손상된다.
그런데, 럭비나 권투 등 다소 과격한 운동을 할 때는 이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어 치아 및 잇몸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치아 및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치아에 착용하는 마우스피스가 안출되었다.
마우스피스의 종류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01-7012283호(마우스피스, 2001. 09. 26.출원)와 같이 치아 및 잇몸 등의 교정을 위한 것과 한국 특허출원 제10-2000-0057781호(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2000. 10. 02.출원)와 같이 치아 및 잇몸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배면접촉부가 치아의 배면을 지탱하고 있는 잇몸에까지 접촉되어 혀를 자유롭게 놀릴 수 없어 발음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모든 치아를 감싸고 있어 발음을 위하여 입을 벌리려 할 때도 자연스럽게 벌어지지 못하여 발음이 더욱 어려울 뿐 아니라 착용도 불편하고, 숨을 쉬는 것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접촉부가 치아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잇몸을 감싸지 않음으로써 발음이 용이한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치아 중 큰 어금니는 마우스피스에 의해 감싸지지 않도록 하여 발음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모든 치아를 감싸도록 된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가 인체에 장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큰 어금니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큰 어금니를 제외한 치아만을 감싸도록 된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가 양각의 원형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잇몸 3. 치아
3a, 3b. 큰 어금니 10. 앞면접촉부
20. 밑면접촉부 30. 배면접촉부
40. 공기유입홀
본 고안은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치아의 배면을 감싸는 배면접촉부가 치아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잇몸을 감싸지 않도록 하여 혀의 놀림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발음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앞면을 감싸되 치아의 앞면을 잡아주고 있는 잇몸까지 감싸도록 된 앞면접촉부와;
치아의 밑면을 감싸는 밑면접촉부와;
치아의 배면을 감싸되 치아를 잡아주고 있는 잇몸은 감싸지 않도록 된 배면접촉부;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도 통상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와 같이 치아(3)의 앞면을 감싸는 앞면접촉부(10)와; 치아(3)의 밑면을 감싸는 밑면접촉부(20)와; 치아(3)의 배면을 감싸는 배면접촉부(30);를 갖는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발음이 용이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종래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발음이 정확하지 못하여 착용자의 말이 어떤 의미인가를 쉽게 이해할 수 없었다.
본원출원의 고안자는 발음에 대한 연구와 마우스피스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종래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음이 어려운 이유는 치아의 배면을 감싸도록 된 배면접촉부가 치아의 배면방향에 위치한 잇몸까지 감싸고 있어 발음을 위한 혀의 놀림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결론도 얻을 수 있었다.
또,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입을 벌리는 것이 자연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결론도 얻을 수 있었다.
즉, 발음을 위해서는 발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혀를 자유롭게 놀릴 수 있어야 하고, 복화술(ventriloquism)을 배우지 않은 자는 발음을 위하여 입을 자연스럽게 벌려야 하는데 종래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그와 같은 움직임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치아(3)의 배면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 배면접촉부(30)가 치아(3)를 잡아주도록 치아(3)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잇몸(2)은 감싸지 않도록 한다.
즉, 배면접촉부(30)가 혀의 놀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면접촉부(30)가 잇몸(2)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되면 안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치아(3)가 보호되도록 하는 기능이 반감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치아(3)의 앞면을 감싸도록 된 앞면접촉부(10)가 치아(3)의 앞면을 잡아주고 있는 잇몸(1)까지도 감싸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면접촉부(30)가 치아(3)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잇몸을 감싸지 않도록 하는 것만으로는 복화술을 배우지 않은 자가 정확한 발음을 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복화술을 배운 자는 입을 움직이지 않고도 비교적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지만 복화술을 배우지 않은 자는 반드시 입을 벌려야 하는데 배면접촉부(30)를상기와 같이 개선하였다고 하여 입을 자연스럽게 벌리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발음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본 고안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다수 개의 치아(3) 중 큰 어금니(3a, 3b)를 감싸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벌린 후 입을 다물때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어금니에 끼워진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대응된 치아(마우스피스가 상부에만 착용된 경우) 또는 마우스피스(하부의 치아에도 마우스피스가 착용된 경우)와 먼저 접촉되어 편안한 맞물림을 방해하고 이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입을 벌리고 다물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마우스피스 중 뒤쪽에 위치하는 어금니를 감싸는 부분을 얇게 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마우스피스의 내구성이 떨어져 어금니를 감싸는 부분이 쉽게 파손된다.
특히, 입을 다물 때 어금니를 감싸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먼저 접촉되기 때문에 힘을 가장 많이 받아 쉽게 찢어진다.
그런데 마우스피스의 소정 위치가 찢어질 경우 찢어진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 연장되어지면서 결국에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앞면접촉부(10)와 밑면접촉부와 배면접촉부(30) 모두 다수 개의 치아(3) 중 큰 어금니(3a, 3b)를 감싸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감싸지지 않는 치아(3)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마우스피스의 본래 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므로 큰 어금니(3a, 3b) 중에서도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큰 어금니(3b)만 감싸지 않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입을 벌릴 때 마우스피스가 입의 움직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입을 벌리는 움직임이 비교적 자연스러워 지고, 이로 인하여 보다 정확한 발음이 가능해진다.
또, 입을 통해 숨을 쉬는 것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도 통상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치아(3)에 착용한다.
본 고안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치아(3)에 장착되었을 때 배면접촉부(30)가 치아(3)의 배면을 지탱하고 있는 잇몸(2)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혀를 놀리는 것이 원활하다.
따라서, 복화술이 가능한 자는 마우스피스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비교적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가 치아(3)의 배면을 지탱하는 잇몸(2)을 감싸지 않는 형태가 되더라도 앞면접촉부(10)가 치아(3)의 앞쪽을 지탱하는 잇몸(1)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안면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본래의 기능인 치아(3)보호 기능이 상실되지는 않는다.
복화술을 터득하지 못한 자는 입을 벌려 발음을 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마우스피스가 큰 어금니(3a, 3b 또는 3b)를 감싸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입을 벌리는 것이자연스럽고, 이로 인하여 비교적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의 경우 평균적인 형태의 치아(3)를 기준으로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 각자의 치아(3) 특성에 맞도록 주문 제작된다.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도 통상의 마우스피스와 같이 각자의 신체 특성에 맞도록 주문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문 제작되는 경우에는 입을 벌리더라도 마우스피스가 쉽게 이탈되지 않아 마우스피스를 악물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발음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마우스피스가 모든 치아(3)를 감싸도록 된 경우 종래의 마우스피스와 같이 숨을 쉬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밑면접촉부 중 치아(3)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공기유입홀(40)을 천공하여 이 공기유입홀(40)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는, 마우스피스를 이루는 배면접촉부가 치아의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잇몸을 감싸지 않음으로써 발음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비교적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다.
또, 다수 개의 치아 중 큰 어금니는 마우스피스에 의해 감싸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경우 발음이 보다 용이하고, 숨을 쉬는 것도 용이하다.

Claims (4)

  1. 스포츠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치아의 앞면을 감싸되 치아의 앞면을 잡아주고 있는 잇몸까지 감싸도록 된 앞면접촉부와;
    치아의 밑면을 감싸는 밑면접촉부와;
    치아의 배면을 감싸되 치아를 잡아주고 있는 잇몸은 감싸지 않도록 된 배면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접촉부 중 치아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 공기유입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접촉부와 밑면접촉부와 배면접촉부는 다수 개의 치아 중 큰 어금니는 감싸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접촉부와 밑면접촉부와 배면접촉부는 큰 어금니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큰 어금니를 감싸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KR20-2003-0033845U 2003-10-29 2003-10-29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KR200345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45U KR200345599Y1 (ko) 2003-10-29 2003-10-29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845U KR200345599Y1 (ko) 2003-10-29 2003-10-29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599Y1 true KR200345599Y1 (ko) 2004-03-18

Family

ID=4942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845U KR200345599Y1 (ko) 2003-10-29 2003-10-29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59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299A1 (en) * 2010-06-17 2011-12-22 Sport Guard, Inc. Comfortable mouth guard
KR200465767Y1 (ko) 2011-05-11 2013-03-11 조석 마우스 가드
KR101680150B1 (ko) * 2015-06-05 2016-1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가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716B1 (ko) * 2016-06-28 2017-07-07 김세훈 치아통증 방지기능을 구비한 스프린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299A1 (en) * 2010-06-17 2011-12-22 Sport Guard, Inc. Comfortable mouth guard
KR200465767Y1 (ko) 2011-05-11 2013-03-11 조석 마우스 가드
KR101680150B1 (ko) * 2015-06-05 2016-1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가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716B1 (ko) * 2016-06-28 2017-07-07 김세훈 치아통증 방지기능을 구비한 스프린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1567A1 (en) Easy breathing mouthguard
US9630082B2 (en) Athletic protective mouthpiece and lip shield apparatus
US6092524A (en) Mouthguard
US5732715A (en) Mouthpiece
US5988170A (en) Snoring prevention apparatus
KR101145105B1 (ko) 윗니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CA2573572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head injury
WO2006012278A3 (en) Custom mouthguard
US20120000472A1 (en) Athletic mouth guard and breathing trainer
US20120318280A1 (en) Mouthguard
WO2007123866A3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habits of an oral cavity
US20220023676A1 (en) Whistle mask
JPH0578346B2 (ko)
JP4489503B2 (ja) マウスガード
KR200345599Y1 (ko) 발음이 용이한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US6178967B1 (en) Mouth protector
KR10059612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US6491521B1 (en) Formable mouthguard with teeth
KR101074536B1 (ko) 하악 전진장치
KR10048943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US20180055682A1 (en) Facial integrity oral appliance
KR102065298B1 (ko) 코골이 방지 장치
JPH11244438A (ja) 投球練習用具
KR20100023525A (ko) 릴랙싱 마우스피스
JP3167198U (ja) 健康用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