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493Y1 - 차집밸브 - Google Patents

차집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493Y1
KR200345493Y1 KR20-2003-0038671U KR20030038671U KR200345493Y1 KR 200345493 Y1 KR200345493 Y1 KR 200345493Y1 KR 20030038671 U KR20030038671 U KR 20030038671U KR 200345493 Y1 KR200345493 Y1 KR 200345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atchet wheel
lock mechanism
shaft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20-2003-0038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공기의 계류장이나 저유소 등에 설치하여 강우시 기름에 오염된 초기 강우 일정량만을 저류조(차집관로)로 모아서 유수분리를 위한 처리를 행하고 별도로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후기 강우에 대하여는 기계식으로 자동 작동되어 우수관로를 통하여 방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강우가 끝난 다음에는 다음의 강우시를 대비하여 초기 상태로 자동복귀가 이루어지는 차집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집밸브는 유입관로 및 유출관로의 중간으로서 밸브하우징의 내측에는 내부에 유통로가 형성된 로타리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로타리밸브의 밸브축에는 이와 연동되는 메인플로트가 설치되어지되 메인플로트의 아암은 밸브축에 고정 설치되는 라체트휘일에 고정되며, 밸브하우징의 외측으로서 상기 라체트휘일과 연동되는 위치에는 로크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라체트휘일의 휘일축 외측엔 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재가 끼워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에는 릴리스플로트(Release Float)와 함께 그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로크기구의 사이엔 로크해제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휘일과 상기 로크기구의 로크 및 로크해제를 조절할수 있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집밸브{Water Collection Valve}
본 고안은 항공기의 계류장이나 저유소 등에 설치하여 강우시 기름에 오염된 초기 강우 일정량만을 저류조(차집관로)로 모아서 유수분리를 위한 처리를 행하고 별도로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후기 강우에 대하여는 기계식으로 자동 작동되어 우수관로를 통하여 방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강우가 끝난 다음에는 다음의 강우시를 대비하여 초기 상태로 자동복귀가 이루어지는 차집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집밸브로서 본출원인의 선등록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88422호인 "차집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는 차집관의 내부 수위가 최고조에 이를 때까지 상승하면 플로우트가 상승하여 차집관을 막아 초기강우의 차집이 이루어지나 반대로 수위가 조금이라도 하강하면 플로우트 역시 자동적으로 하강하여 밸브가 개방되면서 불필요한 우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강우중에는 저류조(차집관로)내에 기름과 물이 혼합된 상태의 물을 펌프로 퍼올려서 유수분리처리를 위한 처리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저류조(차집관로) 및 차집관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플로우트의 하강에 의한 차집밸브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어 기름이 함유되어 있지 아니한 우수가 계속적으로 차집관을 경유 저류조(차집관로)내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결국 저류조(차집관로)내 초기강우의 유수분리가 채 이루어지지 아니한 상태에서 재차 우수가 유입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저류조(차집관로)의 수위가 최고 수위에 이른 다음에 그 수위의 변동이 발생하여 미리 정한 최저 수위에 이르기 전까지는 밸브가 개방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닫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일단 닫쳐지면 저류조(차집관로)의 중간 수위의 변동에 따라서는 밸브도 함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필요한 경우 강우중에도 저류조(차집관로) 내부의 기름이 함유된 상태의 물을 유수분리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 외부 전원의 공급을 할수 없는 경우에 미리 정하여진 수위에서 기계적으로 밸브의 개방작동이 가능하여 초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강우 초기에 기름이 함유된 우수의 저류조(차집관로) 유입과 이후의 기름이 함유되지 아니한 우수의 배출, 저류조(차집관로)에 유입된 기름이 함유된 우수의 유수분리처리, 강우 이후로서 저류조(차집관로)에 유입된 기름이 함유된 우수의 유수분리 처리후에 수위가 저류조(차집관로)의 최저수위에 이르면 비로소 밸브의 개방에 의한 초기 개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차집밸브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전체적인 계통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일부 생략 요부 확대도,
도4는 도3의 일부 생략 요부 횡단면도,
도5는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도4의 요부 우측단면도,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도6은 밸브의 초기 개방상태,
도7은 수위 상승에 의하여 밸브가 닫쳐진 상태,
도8은 수위 하강에 의하여 릴리스플로트가 하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우수관로, 2: 유입관,
3: 차집밸브, 4: 저류조(차집관로),
5: 밸브하우징, 6: 로타리밸브,
7: 메인 플로트 8: 로크기구,
9: 릴리스 플로트, 10: 로크해제기구,
12: 공전로울, 14: 테이퍼캠,
30: 상부스토퍼, 32: 하부스토퍼,
34,36: 브라켓, 38: 충격흡수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수관로의 중간 적정위치에 유입관과 이 유입관에 설치되는 차집밸브를 경유하여 기름함유수의 저류조(차집관로)에 이르는 계통을 구성하고, 유입관의 내측에는 로타리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로타리밸브의 밸브축에는 이와 연동되는 메인플로트(Main Float)가 설치되어지되 메인프로트의 아암(Arm)은 밸브축에 고정 설치되는 라체트휘일(Ratchet Wheel)에 고정 설치되며, 밸브하우징(Valve Housing)의 외측으로서 상기 라체트휘일과 연동되는 위치에는 로크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라체트휘일의 휘일축 외측엔 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재가 끼워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에는 릴리스플로트(Release Float)와 함께 그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로크기구의 사이엔 로크해제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휘일과 상기 로크기구의 로크 및 로크해제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차집밸브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우수관로(1)의 중간 적정위치에 유입관(2)과 이 유입관(2)에 설치되는 차집밸브(3)를 경유하여 기름함유수의 저류조(차집관로)(4)에 이르는 계통을 구성하고, 유입관(2)엔 밸브하우징(5)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로타리밸브(6)를 설치하고, 상기 로타리밸브(6)의 밸브축(6a)에는 이와 연동되는 메인플로트(7)가 설치되어지되 메인플로트(7)의 아암(7a)은 밸브축(6a)에 고정 설치되는 라체트휘일(70)에 고정 설치되며, 밸브하우징(5)의 외측으로서 상기 라체트휘일(70)과 연동되는 위치에는로크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라체트휘일(70)의 휘일축(72) 외측엔 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재(90)가 끼워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90)에는 릴리스플로트(9)와 함께 그 아암(9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90)와 상기 로크기구(8)의 사이엔 로크해제기구(10)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휘일(70)과 상기 로크기구(8)의 로크 및 로크해제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로크기구(8)는 고정부재(80)에 의하여 밸브하우징(5)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80)엔 고정축(82)이 설치되어 이 고정축(82)엔 스프링(84,84)의 사이에 로크기구본체(86)가 끼워 설치되며, 외측 스프링(84)의 외측엔 마감부재(88)가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져 스프링(84,84)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축(82)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크해제기구(10)는 로크기구(8)의 선단 일측에 공전로울(12)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90)의 일측에는 상기 공전로울(12)과 연동되는 위치에 테이퍼캠(14)이 고정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테이퍼캠(14)이 상기 공전로울(12)과 가압 상태로 접촉하면서 로크기구본체(86)가 가압 전진하면서 로크기구본체(86)에 의하여 걸려 있던 라체트휘일(70)이 로크상태로부터 로크해제된 상태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5)의 일측으로서 상기 아암(7a)(9a)의 하향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스토퍼(32)를 설치하고, 상기 유입관(2)의 인접된 일측으로서 상기 플로트(7)(9)의 상향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상부스토퍼(3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5)의 일측과 아암(7a)의 중간엔 브라켓(34,36)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상기 브라켓(34,36) 사이엔 충격흡수기(38)를 설치하여 메인플로트(7)의 하강작동시에 순간적으로 낙하하지 아니하고 서서히 낙하하여 그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밸브에 대하여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평상시엔 도1,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관로(1)에는 물이 없이 비어 있는 상태에 있고, 메인플로트(7)와 릴리스플로트(9)가 하부스토퍼(32)에 맞닿아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 로타리밸브(6)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게 된다.
비가 내리게 되면 지면 상부로 낙하되는 빗줄기에 의하여 지면에 빗물이 고이기 시작하고 이는 경사면을 타고 물이 흐르면서 지면에 떨어져 있던 기름이나 오물들이 함께 섞여진 상태로 우수관로(1)로 흘러 들어오기 시작하며, 이들 기름과 혼합된 상태의 우수는 맨홀을 거쳐 개방상태에 있던 본 고안인 차집밸브(3)를 경유 저류조(차집관로)(4)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저류조(차집관로)(4)에 유입되는 기름과 혼합된 상태, 즉 오염된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메인플로트(7)와 릴리스플로트(9)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저류조(차집관로)(4)의 내부에 가득 채워져 수위가 최고조에 이르게 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플로트(7)는 상부스토퍼(32)에 맞닿아 더 이상 상승이 불가능한 상태에 까지 이르게 되고, 이와 같은 최상위치에 이르게 되면 메인플로트(7)와 연동되는 로타리밸브(6)는 닫혀져 로타리밸브(6)를 통한 초기의 오염된 우수의 유입이 종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타리밸브(6)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강우가 계속되는 경우 대부분의 우수가 오염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그대로 우수관로(1)를 경유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비가 계속하여 내리는 경우나 아니면 강우가 종료하여 더 이상 비가 내리지 않게 되는 경우에 관계 없이 필요한 경우 저류조(차집관로)(4) 내부에 차 있던 오염된 우수를 펌프로 배출시켜 유수분리처리를 행하고 오염분이 제거 처리된 상태의 우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처리가 이루어지면서 저류조(차집관로)(4)의 수위가 천천히 내려가게 되면, 릴리스플로트(9)는 도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위의 변화에 따라 연동되어 하강하지만 메인플로트(7)는 라체트휘일(70)이 로크기구(8)에 걸려진 로크 상태를 유지하므로 로타리밸브(6)는 닫혀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물론, 비가 그치고 우수관로(1)를 통한 우수의 흐름이 없게 되는 상태에 이르는 상황에서 저류조(차집관로)(4)의 내부에 있던 오염된 우수의 유수분리처리가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유수분리처리가 완료되어 저류조(차집관로)(4) 내부의 수위가 낮아져서 릴리스플로트(9)가 거의 하부스토퍼(32)에 맞닿을 상태에 이르게 되면, 릴리스플로트(9)와 연동되는 테이퍼캠(14)이 움직이고 공전로울(12)과 회전 가압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로크기구본체(86)가 변위하여 라체트휘일(70)과의 로크상태로부터 로크해제상태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이때,메인플로트(7)는 하강하면서 로타리밸브(6)를 개방시키기 시작하고, 충격흡수기(38)에 의하여 서서히 낙하하게 되며, 결국 메인플로트(7)는 하부스토퍼(32)에 맞닿을 때까지 움직여 로타리밸브(6)를 완전하게 개방시켜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저류조(차집관로)(4)의 수위가 최고 수위에 이른 다음에 그 수위의 변동이 발생하여 미리 정한 최저 수위에 이르기 전까지는 차집밸브(3)가 개방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닫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일단 닫쳐지면 저류조(차집관로)(4)의 중간 수위의 변동에 따라서는 차집밸브(3)도 함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필요한 경우 강우중에도 저류조(차집관로)(4) 내부의 기름이 함유된 상태의 물에 대하여 유수분리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 미리 정하여진 수위에서 기계적으로 차집밸브(3)의 개방작동이 가능하여 초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강우 초기에 기름이 함유된 우수의 저류조(차집관로)(4) 유입과 이후의 기름이 함유되지 아니한 우수의 배출, 저류조(차집관로)(4)에 유입된 기름이 함유된 우수의 유수분리처리, 강우후로서 저류조(차집관로)(4)에 유입된 기름이 함유된 우수의 유수분리 처리후에 수위가 저류조(차집관로)(4)의 최저수위에 이르면 비로소 차집밸브(3)의 개방에 의한 초기 개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우수관로(1)의 중간 적정위치에 유입관(2)과 이 유입관(2)에 설치되는 차집밸브(3)를 경유하여 기름함유수의 저류조(차집관로)(4)에 이르는 계통을 구성하고,
    유입관(2)엔 밸브하우징(5)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는 로타리밸브(6)를 설치하고,
    상기 로타리밸브(6)의 밸브축(6a)에는 이와 연동되는 메인플로트(7)가 설치되어지되 메인플로트(7)의 아암(7a)은 밸브축(6a)에 고정 설치되는 라체트휘일(70)에 고정 설치되며,
    밸브하우징(5)의 외측으로서 상기 라체트휘일(70)과 연동되는 위치에는 로크기구(8)가 설치되며,
    상기 라체트휘일(70)의 휘일축(72) 외측엔 이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부재(90)가 끼워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90)에는 릴리스플로트(9)와 함께 그 아암(9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90)와 상기 로크기구(8)의 사이엔 로크해제기구(10)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휘일(70)과 상기 로크기구(8)의 로크 및 로크해제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8)는 고정부재(80)에 의하여 밸브하우징(5)에 고정 설치되고,상기 고정부재(80)엔 고정축(82)이 설치되어 이 고정축(82)엔 스프링(84,84)의 사이에 로크기구본체(86)가 끼워 설치되며, 외측 스프링(84)의 외측엔 마감부재(88)가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져 스프링(84,84)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축(82)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해제기구(10)는 로크기구(8)의 선단 일측에 공전로울(12)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90)의 일측에는 상기 공전로울(12)과 연동되는 위치에 테이퍼캠(14)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테이퍼캠(14)이 상기 공전로울(12)과 회전 가압 상태로 접촉하면서 로크기구본체(86)가 가압 전진하면서 로크기구본체(86)에 의하여 걸려 있던 라체트휘일(70)이 로크상태로부터 로크해제된 상태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5)의 일측으로서 상기 아암(7a)(9a)의 하향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스토퍼(32)를 설치하고, 상기 유입관(2)의 인접된 일측으로서 상기 플로트(7)(9)의 상향위치와 대응된 위치에 상부스토퍼(30)를 설치하며,
    상기 밸브하우징(5)의 일측과 아암(7a)의 중간엔 브라켓(34,36)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상기 브라켓(34,36) 사이엔 충격흡수기(3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밸브.
KR20-2003-0038671U 2003-12-11 2003-12-11 차집밸브 KR200345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71U KR200345493Y1 (ko) 2003-12-11 2003-12-11 차집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71U KR200345493Y1 (ko) 2003-12-11 2003-12-11 차집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493Y1 true KR200345493Y1 (ko) 2004-03-18

Family

ID=4934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671U KR200345493Y1 (ko) 2003-12-11 2003-12-11 차집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4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63B1 (ko) 2016-06-13 2018-05-21 최원석 차집 밸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63B1 (ko) 2016-06-13 2018-05-21 최원석 차집 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268B1 (en)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AU608506B2 (en) Tank constructions for containing fuel, and water separators for fuel feed systems
US691903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for eliminating solid debris
NO144779B (no) Tilbakeslags- og luktlaas for vaesker.
US6899119B2 (en) Filling valve
WO1998020209A1 (en) Device for collecting, temporarily storing and draining off rainwater
KR200345493Y1 (ko) 차집밸브
CN108951826B (zh) 雨水调蓄再利用水广场景观
KR102653997B1 (ko)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KR101124771B1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64826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859963B1 (ko) 차집 밸브장치
CN208329138U (zh) 一种海绵城市用雨水整流井
CN207376657U (zh) 用于自动调节排水量的窨井盖
JP2005282206A (ja) 雨水取水装置及び雨水貯水装置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CN212001475U (zh) 集水装置
CN220451041U (zh) 一种具有自动调节排水量的市政道路防涝排水设备
JP2006002504A (ja) 地下貯留槽
KR100420101B1 (ko) 우수토실의 유량제어밸브
CN116427514B (zh) 一种含有冲洗功能的市政排水混凝土系统及其冲洗方法
JPH0649874U (ja) 防油堤用止油栓装置
CN115142329A (zh) 一种易于排水的防洪桥梁及其施工方法
CN216948688U (zh) 一种水利工程用井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