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444Y1 - Hoop coil separator - Google Patents

Hoop coil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444Y1
KR200345444Y1 KR20-1999-0009638U KR19990009638U KR200345444Y1 KR 200345444 Y1 KR200345444 Y1 KR 200345444Y1 KR 19990009638 U KR19990009638 U KR 19990009638U KR 200345444 Y1 KR200345444 Y1 KR 200345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il
hoop
load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6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00073U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9-0009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444Y1/en
Publication of KR20010000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7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44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이 각기 다른 다수개의 후프 코일을 한 장소로 이송시키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하며, 후프 코일을 후크에 끼울 때 후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후프 코일을 이동시켜 끼우므로서, 후프 코일의 낱개 이송이 용이하고 후프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aves the time of transferring a plurality of hoop coils of different widths to one place, and is convenient for work, and by moving the hoop coils while the hooks are stopped when the hoop coils are fitted to the hook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p coil separation device that can easily transfer a hoop coil individually and prevent damage to the hoop coil.

이러한 후프 코일 분리장치는 후크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코일 걸이대를 갖는 적치부와; 상기 적치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며 하부는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적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일부와 접촉하고 그 하부는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적치부의 하중 지탱하는 베어링부로 이루어진 코일 적치대로 이루어진다.Such a hoop coil separating device includes a hook and a loading portion having at least two coil hangers; A support portion coupled vertically with the loading portion and having a lower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a pedestal to rotatably support the loading portion; A driv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to rotate the support part; And a coil stockpile made of a bear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whose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case to support the load portion of the stockpile portion.

Description

후프 코일 분리장치{HOOP COIL SEPARATOR}Hoop coil separator {HOOP COIL SEPARATOR}

본 고안은 후프 코일을 보관 및 출하하는 후프코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프 코일의 포장 공정 전에 폭 크기에 따라 선별적으로 보관 및 출하하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p coil separation device for storing and shipping the hoop c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p coil separation device for selectively storing and shipping according to the width size before the packaging process of the hoop coil.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에서 생산된 후프 코일 제품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 분기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후프 코일 적치대에 폭 별로 보관되고, 보관된 후프 코일은 수요자가 요구하는 폭 별로 선별되어 포장 공정을 거친 후 출하된다.In general, the hoop coil products produced in the rolling process are transported by a conveyor. After branching, the crane is stored in the hoop coil loading rack by width, and the stored hoop coils are sorted by the width required by the consumer and shipped after packing.

종래의 후프 코일 분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베이스(106) 상에 V형 적치스탠드(104)가 형성되어 있어서 V형 적치스탠드(104) 위에 후프코일(102)이 안착되고, 이 스텐드 베이스(106)의 한쪽 끝에 스토퍼(108)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후프 코일(102)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서 V형 적치 스탠드(104) 및 스토퍼(108)에는 후프 코일과 접하는 측면에 고무 등의 연질재료를 덧붙여서 적치된 후프 코일(102)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conventional hoop coil separat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1, the V-shaped stacking stand 104 is formed on the stand base 106 so that the hoop coil 102 is seated on the V-shaped stacking stand 104. A stopper 108 is vertic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stand base 106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oop coil 102. Here, the V-shaped stacking stand 104 and the stopper 108 are added with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to the side contacting the hoop coil so that the stacked hoop coil 102 is not damaged.

V형 적치 스탠드(104)에 보관된 후프 코일(102)은 크레인으로 조정되고 와이어 로프(110) 끝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112)를 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켜 후프 코일(102)을 원하는 갯수 만큼 끼운 후 후크(112)를 수직으로 들어 올려 하역 장소로 이동시킨다.The hoop coils 102 stored in the V-shaped pile stand 104 are moved by a crane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rope 110 vertically or horizontally by hooks 112 connected to the desired number of hoop coils 102. After lifting the hook 112 vertically to move to the unloading site.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후프 코일 분리장치는 한 적치대에 동일한 폭을 갖는 후프 코일만이 적치되기 때문에 제품 출하시 그 폭이 각기 다른 다수개의 후프 코일을 한 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후크(112)를 폭별로 분리 적치된 적치대로 여러번 이동시켜서 후프 코일을 이송시켜야 하므로 작업 시간을 길어지고,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op coil separating device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only the hoop coils having the same width are loaded on one loading rack, when the product is shipped, a plurality of hoop coils having different widths are moved to one place. Since the hoop coils need to be transported several times to separate the stacked piles 112 by width, the working time becomes longer and the work is inconvenient.

또한 후프 코일을 낱개로 이송할 경우에 후크를 수평 이동시켜 고정된 후프 코일에 끼우기 때문에 후크에 올려 놓은 받침목이 이탈되면 후프 코일의 내측면이 찌그러지는 등 손상을 입게 되어 제품을 출하하는데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op coils are transported individually, the hooks are moved horizontally and inserted into the fixed hoop coils. Therefore, if the supporting neck is detached from the hooks, the inner surface of the hoop coils may be crushed, which may cause damage. .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폭이 다른 다수개의 후프 코일을 하나의 적치대에 적치시킬 수 있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op coil separation device capable of placing a plurality of hoop coils of different widths on one loading stand.

또 다른 목적은 후프 코일을 후크에 끼울 때 후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후프 코일을 이동시켜 끼우므로서, 후프 코일을 낱개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후프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hoop coil separating device that can transfer the hoop coils individually and stop the hoop coils by moving the hoop coils while the hooks are stopped when the hoop coils are fitted to the hooks. To provid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p coi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p coil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적치분리장치의 베어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aring portion of the hoop coil dispos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hoop coil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분리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paration portion of the hoop coi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크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코일 걸이대를 갖는 적치부와; 상기 적치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며 하부는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적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일부와 접촉하고 그 하부는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적치부의 하중 지탱하는 베어링부로 이루어진 코일 적치대, 를 포함하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and a loading portion having at least two coil hangers; A support portion coupled vertically with the loading portion and having a lower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a pedestal to rotatably support the loading portion; A driv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to rotate the support part; And it provides a hoop coil sepa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coil holder, which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upport and the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case and made of a bear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housing.

이와 같이 이루어진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적치대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적치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폭이 다른 다수의 후프 코일을 폭 별로 걸어서 적치되고, 지지부와 구동부에의하여 적치부를 회전 가능하게하여, 폭이 다른 후프코일을 선별적으로 하역할 수 있게 된다.Two or more ridges are formed on the ridge of the hoop coil separating device, which is formed by hanging a plurality of hoop coils having different widths by width, and allowing the locator to be rotated by the support and the driv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nload other hoop coil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적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ing stand of the hoop coil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는 크게 적치대와 후크로 이루어진다.The hoop coil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oading stand and a hook.

적치대는 폭 별로 후프 코일(2)이 적치되는 적치부(4)와, 이 적치부(4)를 지지하는 지지부(6)와, 이 지지부(6)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 그리고 후프 코일의 하중을 견디면서 지지부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부(9)로 이루어진다.The placing table is formed by placing the hoop coil 2 on which the hoop coil 2 is placed, the supporting portion 6 supporting the placing portion 4, the driving portion 8 rotating the supporting portion 6, and the hoop coil. It consists of a bearing portion 9 which allows the support to rotate smoothly while bearing the load.

적치대의 적치부(4)에는 후프 코일(2)을 걸어두는 코일 걸이대(10)가 지지부(6)의 상측에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적치부에는 후프 코일(2)을 밀어주는 밀판(12)이 코일 걸이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밀판(12)을 직선 이동시키는 파워 실린더(14)가 밀판(12)의 후면에 설치되며, 코일 걸이대(10) 및 파워 실린더가 고정되는 연결체(32)가 지지부(6)의 상측에 연결된다.Two or more coil hangers 10 for hanging the hoop coils 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6. And the loading part 12 which pushes the hoop coil 2 is mounted so that a slidable part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il hanger 10, and the power cylinder 14 which linearly moves the contact plate 12 is the contact plate 12 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oil hanger 10 and the connector 32 to which the power cylinder is fixe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6).

적치부(4)의 코일 걸이대(10)는 양방향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십자 형태로 4개의 코일 걸이대(10)가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코일걸이대(10)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그 중 하나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coil hanger 10 of the placing portion 4 may be installed in two or more directions in both directions, but this embodiment illustrates that four coil hangers 10 are installed in a cross shape. Since the coil hanger 10 is made of the same structure, only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코일 걸이대(1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부(6)의 상측에 체결되고, 후프 코일(2)이 걸려지는 끝 부분에는 후크(24)가 삽입되도록 위쪽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일 걸이대(10)는 후프 코일(2)이 삽입되는 끝부분에 후프 코일(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있고, 삽입홈(16)의 모서리 역시 라인딩 처리되어 있다.The coil hanger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6, and the insertion groove 16 in the lengthwise direction is upwardly inserted so that the hook 24 is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at which the hoop coil 2 is caught. Is formed. The coil hanger 10 is rounded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hoop coil 2 at the end portion at which the hoop coil 2 is inserted, and the edge of the insertion groove 16 is also lined.

파워 실린더(14)의 실린더 로드(18)는 밀판(12)의 후측면에 고정되고, 실린더(20)는 연결체(32)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나의 밀판(12)에 각각 4개의 파워 실린더가 장착되는데, 양측에 위치한 두개의 파워실리더(28,28)는 밀판(12)을 직선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가운데 위치한 두개의 실린더(30,30)는 밀판(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ylinder rod 18 of the power cylinder 14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plate 12, the cylinder 20 is fixed to the connecting body 32, each of the four power cylinders on one plate 12 The two power cylinders 28 and 28 located at both sides serve to linearly move the mill 12, and the two cylinders 30 and 30 located at the center serve to support the mill 12. do.

코일 걸이대(10)의 중심분인 연결체(32)는 그 하면에 지지부(6)의 상부 체결될 수 있도록 다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각형 홈의 중심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각형 홈은 지지부(6)의 회전력을 적치부(4)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사각홈(38)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32, which is the center of the coil hanger 10, has a polygonal groove formed at its lower surfac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6, and a screw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olygonal groove. Here, the polygonal groove is preferably formed as a square groove 38 because it serves to effectively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pport 6 to the loading portion (4).

지지부(6)에는 적치부(4)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체(32)의 다각형 홈에 대응하는 돌기 즉, 사각홈(38)에 끼워지는 사각돌기(36)가 상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적치부(4)를 지지부(6)에 고정 시키기 위하여 적치부를 지지부에 얹히면 사각돌기(36)가 사각홈(38)에 끼워지게 되고 연결체(32) 상부의 나사홈으로 고정볼트(4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support part 6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groove of the connecting body 32, that is, the square projection 36 fitted to the square groove 38 so as to rotate while supporting the placing portion 4. . Therefore, in order to fix the loading part 4 to the support part 6, when the loading part is placed on the support part, the square projection 36 is fitted into the square groove 38 and the fixing bolt 40 is screw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body 32. ) Can be fixed by insertion.

그리고 지지부(6)의 하부에는 스프로켓(44)이 장착되어 구동부(8)와 체인벨트(52)로 연결되며 지지부(34)의 최하단은 받침대(4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6 is mounted to the sprocket 44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8 and the chain belt 52,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34 is rotatably inserted fixed to the base 46.

한편, 적치부(4)는 하중이 큰 후프 코일(2)이 다수개 적치된 상태로 회전하여야 하므로 적치부(4)를 회전시키는 지지부(6)의 중간부분에 적치부(4)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베어링부(9)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ading part 4 must rotate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hoop coils 2 having a large load are loaded, the load of the loading part 4 is appli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ing part 6 which rotates the loading part 4. A bearing portion 9 for supporting is installed.

베이링부(9)의 상부는 원뿔형태로 형성된 지지부(6)의 중간 부분과 대응하는원뿔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 원뿔 홈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부(6)의 하부가 관통공을 관통하고 그 원뿔형태가 베어링부(9)의 원뿔 홈에 얹혀진다.The upper part of the bearing part 9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ic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part 6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ical groov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6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t penetrates and is mounted in the conical groove of the bearing part 9.

베어링부의 원뿔 홈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원추대 형태의 베어링(4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45)은 케이스(48)의 상면에 고정된다.In the conical groove of the bearing portion,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cone-shaped bearings 42 are rotatably mounted. The bearing housing 45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48.

구동부(8)는 구동모터(56)와 구동모터와 결합된 감속기(54) 그리고 감속기에 축으로 연결된 스프로켓(53)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48)의 내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구동부(8)의 스프로켓(53)은 지지대(6)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켓(44)과 체인벨트(52)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6)의 회전력을 지지대(6)에 전달한다.The drive unit 8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56, a reducer 54 coupled with the drive motor, and a sprocket 53 connected to the reducer shaft, and mounted inside the case 48. Here, the sprocket 53 of the driving unit 8 is connected to the sprocket 44 and the chain belt 52 fixed to the support 6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56 to the support 6.

그리고 케이스(48) 상부에는 위치 감지센서(61,62,63,64)들이 각 모서리에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적치부의 각 코일 걸이대(10) 하단에는 하나의 감지바(15)가 위치 감지센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And the upper part of the case 48, the position sensors 61, 62, 63, 64 are equally installed at each corner, and one sensing bar 15 is detected at the bottom of each coil hanger 10 of the loading part. It is provid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여기서 구동모터(56)와 각각의 위치 감지센서(61,62,63,64)들 그리고 파워실린더(28)와 후술하는 후크의 모터(74)는 컨트롤 판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컨트롤 판넬을 조작하여 본 후프 코일 분리장치를 작동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motor 56, the respective position sensors 61, 62, 63, and 64, the power cylinder 28, and the motor 74 of the hook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to a control panel (not shown). The hoop coil disconnect can be operated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이하에서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후크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ook of the hoop coil separator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적용된 후크는 도 4에서 와 같이 C 후크(24)이다. C 후크의 분리부(11)가 적치부의 코일 걸이대(10)에 삽입되어 후프 코일(2)을 분리, 이송하게 된다.The hoo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 hook 24 as shown in FIG. The separating part 11 of the C hook is inserted into the coil hanger 10 of the loading part to separate and transfer the hoop coil 2.

후크(24)의 분리부(11)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parating part 11 of the hook 2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s follows.

분리부(11)는 후크(24)에서 후프 코일(2)을 걸어주는 로드(70) 내에는 수평방향으로 수평 사각홈(86)이 형성되고, 이 수평 사각홈(86)의 끝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수직 사각홈(84)이 관통 형성된다.Separation portion 11 has a horizontal rectangular groove 86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d 70, which hangs the hoop coil 2 from the hook 24, the vertical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square groove 86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ctangular groove 84 is formed.

그리고, 수평 사각홈(86)에는 후프 코일쪽으로 경사진 작동부재(8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직 사각홈(84)에는 받침부재(82)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작동부재(80)의 후프 코일 반대쪽에는 작동로드(88)가 결합되어 있고, 이 작동로드(88) 끝에는 베벨기어(78)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베벨기어(78)는 감속기어(76)에 의하여 모터(74)와 연결되다.Then, the operation member 80 inclined toward the hoop coil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quare groove 86, and the support member 82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quare groove 84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ctuating rod 88 is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oop coil of the actuating member 80, and a bevel gear 78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actuating rod 88, and the bevel gear 78 is a reduction gear 76. Is connected to the motor 74 by

작동부재(80)에는 받침부재(82)와 접촉하는 상측면이 일정 각도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90)이 형성되고, 받침부재(82) 역시 작동로드(80)와 접촉하는 하측면이 작동부재(80)에 형성된 경사면(90)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92)이 형성된다.The operating member 8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90 having an inclined angle at an upper sid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82, and the support member 82 also has a lower side in contact with the actuating rod 80. An inclined surface 92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90 formed at 80 is formed.

따라서 작동부재(80)가 모터(74)에 의하여 수평 이동하면 작동부재의 경사면(90)을 따라 받침부재의 경사면(92)이 이동하면서 받침부재(82)가 수직으로 이동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ng member 80 moves horizontally by the motor 74, the supporting member 82 moves vertically while the inclined surface 92 of the supporting member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90 of the operating member.

그리고, 작동부재(80)와 작동로드(88)가 연결되는 부분은 작동로드(88)의 회전운동으로 작동부재(80)가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부재(80)에 나사홈이, 작동로드(88)의 외주연에 나사선이 각각 형성된다. 구동모터(74) 및 감속기(76)는 후크(24)의 수직면(72) 외측에 부착되고, 작동로드(88)와 베벨기어(78)로 연결된다.In addition, a portion where the operating member 80 and the operating rod 88 are connected is a screw groove in the operating member 80 so that the operating member 80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ng rod 88, the operating rod.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88, respectively. The drive motor 74 and the reduction gear 76 ar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surface 72 of the hook 24, 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88 and the bevel gear 78.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다음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hoop coi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이송하고자 하는 후프 코일을 폭 별로 선택하고 컨트롤 박스에 입력한 후 컨트롤 박스의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구동모터(56)가 회전하고 감속기(54)에 감속된 회전력이 스프로켓(44)으로 전달되어 지지부(6)를 회전시킨다.Select the hoop coil to be transferred by width, input it into the control box, and operate the switch of the control box. Then, the driving motor 56 rotates and the reduced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procket 44 to the reduction gear 54 to rotate the support 6.

지지부와 함께 적치부가 회전하면서 각 코일 걸이대(10)에 장착된 감지바(15)가 4개의 감지센서(61,62,63,64) 중 설정된 코일 폭과 일치하는 위치의 감지센서에 감지되면 구동모터(56)를 정지하여 적치부의 코일 걸이대를 이송 위치로 정위치 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24)의 분리부를 코일 걸이대의 삽입홈(16)에 끼운 후 파워실린더(28)를 작동시키면 밀대(12)가 적치된 후프 코일(2)을 밀어 후프 코일을 후크(24)의 분리부에 삽입되도록 한다.When the loading part rotates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part, the sensing bar 15 mounted on each coil hanger 10 is detected by a sensing sensor at a position matching the set coil width among the four sensing sensors 61, 62, 63, and 64. The motor 56 is stopped to place the coil hanger of the loading portion in the transport position. In this state, insert the separation part of the hook 24 into the insertion groove 16 of the coil hanger and then operate the power cylinder 28 to push the hoop coil 2 on which the push rod 12 is placed to hook the hoop coil 24. To be inserted into the separator.

코일 걸이대(10)에 적치되어 있는 후프 코일(2)을 이송할 때는 후크(24)를 조금 들어 올린후 후프 코일(2)이 코일 걸이대(10)에서 떨어지게 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코일 걸이대(10)에서 후프 코일(2)을 완전히 분리한 후 하역장소로 이송시킨다.When transporting the hoop coil 2 stored in the coil hanger 10, lift the hook 24 a little and then move the hoop coil 2 away from the coil hanger 10 and move it horizontally to move the coil hanger ( Remove the hoop coil (2) completely in 10) and transfer it to the unloading place.

그리고, 후프 코일을 낱개로 이송할 경우에는 밀대(12)로 후프 코일(2)을 일정 거리 만큼만 밀어 받침부재(82)의 위치에 하나의 후크 코일이 놓이도록 한다.When the hoop coils are individually transported, one hook coil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82 by pushing the hoop coil 2 on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rod 12.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의 모터(74)를 회전시켜면 작동로드(88)가 회전하면서 작동부재(80)를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작동부재의 경사면(90)을 따라 받침부재(82)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후크(24)의 수평면보다 높은위치로 돌출되면서, 하나의 후프 코일이 받침부재(82)에 얹혀진 상태로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motor 74 of the hook is rotated, the actuating rod 88 rotates to move the actuating member 80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Then, the supporting member 82 is moved up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90 of the operating member to protrude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hook 24, so that one hoop coil is placed on the supporting member 82.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24)를 그대로 수평 이동시키면 하나의 후프 코일만이 후크(24)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된다.When the hook 24 is horizontally moved in this state, only one hoop coil is transported on the hook 24.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후프 코일 분리장치는 각기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후프 코일을 폭 별로 코일 걸이대에 적치한 상태에서 이송하고자 하는 특정 후프 코일을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하다.The hoop coil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quickly transfer a specific hoop coil to be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various kinds of hoop coils having different widths are placed on the coil hanger for each width, thereby saving transportation time. It can be done and the work is convenient.

또한, 후프 코일을 후크에 끼울 때, 분리부를 이용하여 낱개의 후프 코일을 파손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op coil is fitted to the hook,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individual hoop coils without damage by using the separating portion.

Claims (4)

(정정) 후크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코일 걸이대를 갖는 적치부와; 상기 적치부와 수직으로 결합되며 하부는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적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일부와 접촉하고 그 하부는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적치부의 하중 지탱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고,(Correction) a hook and a loading part having at least two coil hangers; A support portion coupled vertically with the loading portion and having a lower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a pedestal to rotatably support the loading portion; A driving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to rotate the support part; And a bearing portion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fixed to a case to support the load of the loading portion, 상기 적치부는 연결체에 다각형의 홈이 형성되고 코일걸이대의 위쪽에 길이방향으로 후크삽입홀과 밀판이 형성되며 상기 밀판의 후면에는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고,The hou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olygonal groove in the connecting body and the hook insertion hole and the plat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coil hanger and the cylinder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plate,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다각형 돌기가 형성되어 연결체의 다각형 홈과 체결되고 중간부분은 원뿔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스프로켓이 장착되어 있고,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olygonal projection at the top is fastened to the polygonal groove of the connector,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he lower end is equipped with a sprocket,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스프로켓과 연결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있고,The drive unit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sprocket of the support, 상기 베어링부는 상부에 원뿔홈이 형성되고 원뿔 홈에는 다수의 원뿔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의 원뿔형태의 중간부분과 접촉된 구조의 후프 코일 분리장치.The bearing portion has a conical groove is formed on the top and the conical groove is a plurality of conical rollers are mounted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e shape of the support hoop coil separation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C 후크이며, 분리부의 로드 내에는 수평 홈이 로드 윗면에는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홈 내부에는 한쪽면이 경사진 작동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홈 내부에는 작동부재의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받침부재가 끼워지며, 상기 작동부재의 측면의 경사지지 않은 면은 작동로드로 연결되어 후크의 외측면 일단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체결되어 구동모터를 작동하면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고 연속해서 받침부재를 수직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ok is a C hook, a horizontal groove is formed in the rod of the separating portion, a vertical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od, the operation member is incline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the inside of the vertical groove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operating member is fitted, the non-inclined surface of the side of the oper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od is engaged with the drive motor fixed to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to operate the drive motor A hoop coil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operating member linearly and vertically moving the support member. (정정)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케이스의 상부에 다수의 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적치부 각 코일걸이대의 하부에는 감지바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바 그리고 구동모터와 파워실린더가 컨트롤 판넬에 연결되어 컨트롤 판넬을 작동하여 적치대의 후프 코일을 선별적으로 하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 코일 분리장치.(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r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a sensing bar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each coil hanger of the loading part, so that the sensing sensor, the sensing bar, the driving motor and the power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to operate the control panel to selectively unload the hoop coil of the loading rack.
KR20-1999-0009638U 1999-06-02 1999-06-02 Hoop coil separator KR2003454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38U KR200345444Y1 (en) 1999-06-02 1999-06-02 Hoop coil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38U KR200345444Y1 (en) 1999-06-02 1999-06-02 Hoop coil sepa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73U KR20010000073U (en) 2001-01-05
KR200345444Y1 true KR200345444Y1 (en) 2004-03-19

Family

ID=4942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638U KR200345444Y1 (en) 1999-06-02 1999-06-02 Hoop coil sepa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44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789A (en) * 2018-01-26 2019-08-02 广州赫伽力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Yarn hanging device of AGV diamond sh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73U (en)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0125T3 (en) Procedure and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merchandise orders, located in stackable retail merchandise containers on item pallets in a pallet warehouse, on a destination pallet
AU2012357643B2 (en) A palletiser
US5630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up packaged sheet
US77356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trays having a pallet layer loaded
EP2441709B1 (en) Gripper for picking palletized goods
JP2019530626A (en) Multi-layered article storage facility, method of operating such facility, and picker transfer cart for operation within the facility
JP2009292647A (en) Packaged product transfer apparatus
KR20220047361A (en) Delivery systems,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and container shipping methods
JPH06509783A (en) Accumulator cover
WO2015112018A1 (en) Gripper unit for gripping, picking up,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boxes
EP0385455A1 (en) Unstacking and stacking device
KR200404813Y1 (en) A clamp type can load machine
KR200345444Y1 (en) Hoop coil separator
JP2011079657A (en)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KR20210007157A (en) Loading and unloading auxiliary device, freight sorting system and freight sorting method
JPH0694992B2 (en) Conveyor device for ingot feeder, ingot feeder and ingot feeder
KR100229142B1 (en) Box heaping apparatus
KR102047918B1 (en) A automatic wrapping system and automatic wrapping method of articles
CN113443315A (en) Automatic pick goods platform
KR100425879B1 (en) appratus of pallet picking for STAKER CRANE
KR20150091562A (en) Removable part for forklift to unload standard box
JP3245738B2 (en) Unloading device
CN219488490U (en) Automatic adjusting mechanism for holding fixture of feed box robot
CN214826315U (en) Handling device and warehousing system
CN219822536U (en) Stacker for intelligent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