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47Y1 -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47Y1
KR200344547Y1 KR20-2003-0037444U KR20030037444U KR200344547Y1 KR 200344547 Y1 KR200344547 Y1 KR 200344547Y1 KR 20030037444 U KR20030037444 U KR 20030037444U KR 200344547 Y1 KR200344547 Y1 KR 200344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iper
vehicle
wiper blad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7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복잡한 구조물 즉 프라이머리 요크와 세컨더리 요크를 구비하지 않는 소위 플랫 블레이드(flat blade)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1)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창에 대해 압착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스트립의 상부에 제공되며 그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는 한 쌍의 스포일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고무와, (2)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대향하는 홈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스프링과, (3) 상기 한 쌍의 스포일러 사이의 공간에 체결되고 와이퍼 암이 체결되는 커넥터 조립체와, (4) 상기 블레이드 고무의 양측단에 상기 레일 스프링을 보지(保持)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Wiper Blade Assembly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복잡한 구조물 즉 프라이머리 요크와 세컨더리 요크를 구비하지 않는 소위 플랫 블레이드(flat blade)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프라이머리 요크와 세컨더리 요크 등이 스페이서 등을 개재하여 리벳 등에 의해 조립되는데 와이퍼 블레이드와 유리면의 밀착을 위하여 와이퍼 암의 누름압을 사용한다. 이 누름압의 분산을 위하여 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라 블레이드 고무를 지지하는 요크의 수를 조정하는 설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여러 개의 구조물 내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이 무척 번거롭고 조립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누름압을 균일하게 블레이드 고무로 전달하기 위해 요크의 지지부와 레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완전히 균일하게 전달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요크의 결합부가 "∩" 형상이어 차량의 주행시 바람의 저항 때문에 와이퍼가 뜨는 현상 즉 부상(浮上)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블레이드 고무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게 됨으로써 닦임 성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서 구조물의 유격과 회전 작동력이 반비례 관계에 있는데, 유격이 크면 회전 작동력이 저하되고 와이퍼 작동시 블레이드 고무가 차량의 앞유리의 곡률 변화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된다. 또한, 조립된 구조물 사이에서 이물질이 끼거나 겨울철에 눈, 비가 동결되면 회전 작동력이 떨어져서 역시 차량 앞유리의 곡률 변화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닦임 성능이 저하되면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플랫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선I-I을 따라 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레일 스프링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커넥터 본체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블레이드 고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 커넥터 조립체
20: 블레이드 고무 30: 레일 스프링
40: 수용 공간 50: 커넥터 본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1)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창에 대해 압착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스트립의 상부에 제공되며 그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는 한 쌍의 스포일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고무와, (2)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대향하는 홈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스프링과, (3) 상기 한 쌍의 스포일러 사이의 공간에 체결되고 와이퍼 암이 체결되는 커넥터 조립체와, (4) 상기 블레이드 고무의 양측단에 상기 레일 스프링을 보지(保持)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캡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레일 스프링을 보지 가능하도록 하는 계지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결합되는 이중 커넥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 스프링 각각의 중앙부에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계지 가능한 오목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는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와,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의 홈(후술함)에 끼워지는 한 쌍의 레일 스프링(30)과,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포일러(5a, 5b)와, 스포일러(5a, 5b) 사이에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10)와,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의 양측에 삽입되는 한 쌍의 캡(100a, 100b)을 포함한다.
캡(100a, 100b)은 레일 스프링(30)이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 조립체(10)에는 와이퍼 암(도시되지 않음)이 체결된다.
도 7에는 와이퍼 블레이 고무(2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커넥터 조립체(10)는 제1 스포일러부(5a)와 제2 스포일러부(5b) 사이의 공간(6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포일러부(5a)와 제2 스포일러부(5b)는 블레이드 고무(20)의 양측단까지 연장하지 않고 양측단에 리세스부(70a, 70b)를 형성한다.
도 2에는 도 1의 선 I-I을 따라 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한 쌍의 레일 스프링(30a, 30b)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캡(100a)의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의 홈에 끼워지는 클로(7a, 7b; claw)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스프링(30a, 30b)의 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은 날부(130a, 130b, 130c, 130d)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부(130a, 130b, 130c, 130d)는 블레이드 고무(20)의 양측단의 리세스부(70a, 70b)에 수용된다.
그리고 레일 스프링(30a, 30b)의 중앙부에는 커넥터 조립체(10)가 결합할 수 있는 대략 반원 형상의 오목부(3a, 3b)가 형성되어 있다. 레일 스프링(30a,30b)는 블레이드 고무(20)의 홈에 끼워져서 와이퍼 암으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을 블레이드 고무(20)에 균등하게 분포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에는 커넥터 조립체(10)의 하우징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은 제1 하우징(10a)과 제2 하우징(10b)을 포함하는데 제1 하우징(10a)과 제2 하우징(10b)은 그 하부에서 서로 끼워 맞춤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각각의 하부에는 레일 스프링(30)을 계지하는 계지홈(11a, 1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a)과 제2 하우징(10b)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 본체 수용 공간(40)이 형성된다.
상기 계지홈(11a, 11b)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스프링(30)이 끼워진다.
도 5에는 커넥터 본체(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50)는 제1 커넥터 몸체부(150)와 제2 커넥터 몸체부(155)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몸체부(155)의 상부에는 측벽(57a, 57b)이 돌출하고 와이퍼 암이 안착되는 안착면(5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몸체부(150)의 단부에는 대략 원형인 연결 부재(53a, 53b)가 제공되는데 이 연결 부재(53a, 53b)에 의해 제1 몸체부(150)와 제2 몸체부(155)가 서로 연결된다. 도 6에는 하우징이 없는 상태로 커넥터 본체와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20)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일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는 하우징의 수용 공간(40)에 수용된다.
커넥터 본체와 하우징은 리벳팅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며 그 결합 방식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고안에 대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경, 수정 내지 개량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와이퍼 암에 체결 가능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제공되므로 모든 차종에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균일한 누름압을 블레이드 고무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닦음 성능이 고양된다.
그리고 커넥터 본체를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와이퍼가 작동될 때에 전후 유격량을 감소시켜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블레이드 조립체 전체의 높이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 고무의 상부에 스포일러부를 제공하여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Claims (3)

  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창에 대해 압착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신장형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스트립의 상부에 제공되며 그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는 한 쌍의 스포일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고무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대향하는 홈에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스포일러 사이의 공간에 체결되고 와이퍼 암이 체결되는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블레이드 고무의 양측단에 상기 레일 스프링을 보지(保持)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캡을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레일 스프링을 보지 가능하도록 하는 계지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결합되는 이중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스프링 각각의 중앙부에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계지 가능한 오목부가 제공되는,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2003-0037444U 2003-12-01 2003-12-0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0344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444U KR200344547Y1 (ko) 2003-12-01 2003-12-0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444U KR200344547Y1 (ko) 2003-12-01 2003-12-0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47Y1 true KR200344547Y1 (ko) 2004-03-11

Family

ID=4942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444U KR200344547Y1 (ko) 2003-12-01 2003-12-01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44B1 (ko) 2006-04-08 2008-03-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WO2014078229A1 (en) * 2012-11-15 2014-05-22 Trico Products Corporation Airfoil for wipe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44B1 (ko) 2006-04-08 2008-03-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WO2014078229A1 (en) * 2012-11-15 2014-05-22 Trico Products Corporation Airfoil for wip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093A (en) Wiper blade assembly
US8935825B2 (en) Wiper blade assembly
US9714006B2 (en) Wiper blade
US763483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69918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EP2271526B1 (en) Automobile wiper-blade
KR200449008Y1 (ko) 조립성 향상 및 중량이 감소한 차량용 와이퍼
KR101990348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EP1816041B1 (en) Wiper blade
US84025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KR100688047B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장치
US20100050361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20180244A1 (e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JP2011515263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20150375716A1 (en) Wiper blade
KR200344547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070566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0445232Y1 (ko)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US1142059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210653012U (zh) 雨刮装置
KR200177907Y1 (ko) 와이퍼 블레이드 어셈블리
KR200322396Y1 (ko) 개선된 버터브라를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 와이퍼
KR20090093022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EP3863896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08162590A (ja) ブレードラ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