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533Y1 - 배관용 단열커버 - Google Patents

배관용 단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533Y1
KR200344533Y1 KR20-2003-0036162U KR20030036162U KR200344533Y1 KR 200344533 Y1 KR200344533 Y1 KR 200344533Y1 KR 20030036162 U KR20030036162 U KR 20030036162U KR 200344533 Y1 KR200344533 Y1 KR 200344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esent
wound
piping
ban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희
Original Assignee
최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희 filed Critical 최두희
Priority to KR20-2003-0036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5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7Bands, cords, strips or the like for helically winding around a cylindrical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관형상으로 제작되므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되는 자투리의 발생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단열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관용 단열커버{An adiabatic cover}
본 고안은 배관용 단열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등의 배관에는 단열커버가 씌워진다. 이러한 단열커버는 수지발포시트로 이루어지는데, 일정한 폭으로 성형되는 수지발포시트를 소정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사각시트를 폭방향으로 감아서 원통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종래의 단열커버는 그 길이가 상기 수지발포시트의 폭에 해당되는 비교적 짧은 길이로 규격화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단열커버는 비교적 짧은 길이로 규격화되어 제공되므로 시공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의 길이에 해당되는 만큼 여러 개의 단열커버(5)를 이어서 시공한다. 한편, 시공시 배관(5)의 단부에 단열커버(5)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가 남는 경우에는 단열커버(5)를 배관(2)의 남은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절단하여 사용하고 남은 폐자투리가 발생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또한, 이와 같이 수지발포시트를 폭방향으로 감아서 제작되는 단열커버는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발포수지시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두께가 두꺼운 발포수지시트를 폭방향으로 감는 경우에는 단열커버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원주차에 의해 폭방향으로 감기가 쉽지 않으므로 두께가 두꺼운 단열커버를 제작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관형상으로 제작되므로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되는 자투리의 발생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단열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단열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관체 10. 단열커버
12. 띠부재 14. 커버
15. 공간부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가 이송되는 배관(2)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배관용 단열재커버 있어서, 발포수지로 된 띠부재(12)를 나선형태로 감아서 관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커버(10)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띠부재(12)는 선후행되는 단부가 겹쳐지도록 나선형태로 감겨져서 단열커버(10)의 내주면과 배관(2) 사이에는 띠부재(12)의 두께에 의한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커버(10)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수지로 된 띠부재(12)를 나선형태로 감아서 관형상으로 성형된 배관용 단열재(10)이다.
상기 띠부재(12)는 EPDM이나 PP 등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데, 그 외측면에는 수지필름으로 된 외피(14)가 적층된다. 이 외피(14)는 상기 발포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띠부재(12)를 나선형태로 감아서 내부에 배관(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형상으로 제작되는데, 띠부재(12)는 선후행되는 띠부재(12)의 단부가 겹쳐지도록 나선형태로 감겨진다. 이때 띠부재(12)의 감겨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띠부재(12)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접착제가 도포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띠부재(12)가 융착되어 성형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띠부재(12)를 나선형태로 감아서 제작되므로 종래와 달리 상당히 긴 길이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시에는 커버부재(10)를 배관(2)에 해당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폐자투리의 발생량이 감소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띠부재(12)가 단부가 겹쳐지도록 나선형태로 감겨지므로 단열커버(10)의 내주면에는 단열커버(10)의 두께에 의해 계단형상의 단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에 의해 배관(2)과 단열커버(10) 사이에는 공간부(15)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15)에 의해 단열커버(10)의 단열효과가 상승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띠부재(12)가 단부가 겹쳐지지 않고 단순히 선후행되는 띠부재(12)의 측면이 접하도록 감겨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띠부재(12)의 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선후행되는 띠부재(12)의 측면이 서로 부착되어 커버부재(10)가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띠부재(12)가 겹져지지 않고 감겨지는 경우에는 띠부재(12)의 접합부위가 벌어져서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띠부재(12) 위에 별도의 외부띠부재(13)를 덧 감는다. 이때에는 외부띠부재(13)의 피치가 내부를 형성하는 띠부재(12)의 피치와 정렬되지 않고 교차되도록 감는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띠부재(12,13)를 겹으로 감아서 단열재(10)가 제작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띠부재(12)는 외피가 적층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고, 외부띠부재(13)만 외피(14)가 적층된 것을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 띠부재(12)가 단부가 겹쳐지도록 나선형태로 감겨지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띠부재(12)를 겹으로 감아서 단열커버(10)를 성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띠부재(12)를 나선형태로 감아서 길이가 긴 관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띠부재(12)를 여러 겹으로 감는 경우에는 단열커버(10)의 두께를 원하는 수준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단열커버(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교적 길이가 긴 관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시공시에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시 발생되는 폐 자투리의 발생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새로운 구성의 배관용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유체가 이송되는 배관(2)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배관용 단열재에 있어서, 발포수지로 된 띠부재(12)를 나선형태로 감아서 관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부재(12)는 선후행되는 단부가 겹쳐지도록 나선형태로 감겨져서 단열커버(10)의 내주면과 배관(2) 사이에는 띠부재(12)의 두께에 의한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커버(10).
KR20-2003-0036162U 2003-11-19 2003-11-19 배관용 단열커버 KR200344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62U KR200344533Y1 (ko) 2003-11-19 2003-11-19 배관용 단열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162U KR200344533Y1 (ko) 2003-11-19 2003-11-19 배관용 단열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533Y1 true KR200344533Y1 (ko) 2004-03-11

Family

ID=4934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162U KR200344533Y1 (ko) 2003-11-19 2003-11-19 배관용 단열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5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34B1 (ko) 2006-11-29 2008-04-22 조대식 성형기용 단열커버
KR101213568B1 (ko) * 2012-04-25 2012-12-18 주식회사 남익물산 시공시 표면 오염 방지 특성이 우수한 고무발포 단열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70785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대영인텍 다층 원통형 단열재 제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34B1 (ko) 2006-11-29 2008-04-22 조대식 성형기용 단열커버
KR101213568B1 (ko) * 2012-04-25 2012-12-18 주식회사 남익물산 시공시 표면 오염 방지 특성이 우수한 고무발포 단열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70785A (ko)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대영인텍 다층 원통형 단열재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87770A (ja) 断熱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9332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
WO2011060695A1 (zh)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JP3961002B2 (ja) 液体輸送用複合管
KR200344533Y1 (ko) 배관용 단열커버
JP4911771B2 (ja) 両端部に継手部を有する合成樹脂製管
US7631668B2 (en) Pip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281167A5 (ko)
CZ125093A3 (en) Bundle of conduits for cable lines containing plastic conduit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2010126648A (ja) ワイヤハーネス結束用テープ
JP2009133474A (ja) 金属樹脂複合管
JP6887209B2 (ja) 複合管及び複合管の接合方法
JP4753778B2 (ja) 可撓性ホース
KR20140012605A (ko) 관로 갱생관
JP4501512B2 (ja) 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合成樹脂管
KR930001092Y1 (ko) 합성수지관
JP6415207B2 (ja) 合成樹脂製ホースの製造方法
JP2016003745A (ja) 断熱ホース
JP2015006744A (ja)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1464884A4 (en)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ION CONSTRUCTION OF PLASTIC TUBE
JP7290252B2 (ja) 管更生部材
JPH07174291A (ja) 断熱配管の製造方法
KR200280085Y1 (ko) 나선형 호스
JPS639835Y2 (ko)
KR870007392A (ko) 플랜지가 붙은 합성수지관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