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413Y1 - 입체카드 투시기 - Google Patents

입체카드 투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413Y1
KR200344413Y1 KR20-2003-0039213U KR20030039213U KR200344413Y1 KR 200344413 Y1 KR200344413 Y1 KR 200344413Y1 KR 20030039213 U KR20030039213 U KR 20030039213U KR 200344413 Y1 KR200344413 Y1 KR 200344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late
housing
reflecting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김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진 filed Critical 김미진
Priority to KR20-2003-0039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Landscapes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카드 투시기에 관한 것으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카드를 삽입하여 입체적인 카드를 관람하는 투시기에 있어서, 상기 투시기의 상부에 중앙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를 형성하고, 카드 삽입구의 양측으로 빛이 투과하는 투과창(12)을 개구하여 형성하며, 상판(10)의 주변부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공(13)을 형성한 상판(10)과, 상기 상판(10)과 대응되는 위치로 중앙에 카드 안착홈(28)을 형성하고 전면에 코안착부(29)를 형성한 하판(27)을 형성하며, 하판(27)을 중심으로 측면의 양측으로 입체카드와 직각으로 형성된 시점에서 100∼110°(α)의 각도로 내측에 제 1반사수단(22)을 형성한 제 1반사판(21)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형성한 제 1삽입돌기(23)가 삽입공(13)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하판(27)을 중심으로 후면의 양측으로 제 1반사판(21)와 39.5∼49.5°(β)의 각도로 내측에 제 2반사수단(25)을 형성한 제 2반사판(24)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 성형된 제 2삽입돌기(26)가 삽입공(13)에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형성하되, 제 2반사판(24)는 입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와 115.5∼125.5°(γ)의 각도가 되도록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절첩되어 상판(10)과 결합하도록 형성한 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카드 투시기 {Stereobinocular device}
본 고안은 입체카드 투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인쇄로 양면의 교차되도록 문양을 형성한 입체카드를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도록 형성된 판을 조립 배치하여 입체카드의 양면에 형성된 이미지가 관람자의 눈에 입체형상으로 투시되어 보이게 함으로, 용이하게 조립하여 입체카드를 교체하면서 볼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조립체로 형성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입체 투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 사진는 원근감에 의해 입체적으로 떠올라 보이는 사진을 말하는 것으로, 실체사진(實體寫眞) 또는 스테레오 사진(stereoscopic photography)이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은 입체사진는 좌우 약 60∼70mm 간격으로 동시에 찍은 두매의 사진을 스테레오 뷰어(투시기)로 비춰보면 입체적으로 보인다.
이런, 입체사진을 볼 때는 투시기 이외에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2대의 영사기로 영사하여 볼 수도 있으며, 보통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하지만 1안(眼) 리플렉스 카메라에 스테레오 어댑터를 붙여서 찍기도 하며, 풍경이나 정물에서는 움직임이 없으므로 1대의 카메라로 70mm 정도 좌우로 이동하여 2번 촬영하여 입체상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입체카드를 볼 수 있는 투시기는 2장의 입체카드를 사용하여 입체감 있는 시각상(視覺像)을 형성하는 장치로써, 실체경, 스테레오 스코프 또는 스테레오 뷰어라고 하며 입체감이 생기는 것은 양안시차(兩眼視差), 즉 사람의 좌우 두눈의 망막에 비치는 영상이 일반적으로 대상의 거리에 따라 좌우로 조금씩 밀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입체카드를 볼 수 있는 종래기술의 투시기는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시부(20) 및 몸체(10) 그리고 케이스(30)로 구성하되, 몸체(10)와 투시부(20) 사이에는 앞 뒤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절곡부(11)를 구성하고 투시부(20)에는 렌즈(10)를 구성하되 슬라이드홈(22)에 의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며, 케이스(30)의 바닥면으로 안착륜(32)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륜(32) 내부로는 원홈(33)을 뚫어 형성하며, 케이스(30) 일측으로 반원홈(3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런, 종래 기술의 입체카드 투시기는 투시부(20)가 절곡되어 렌즈(10)에 눈을 접안한 상태에서 안착륜(32)에 형성된 입체카드를 펼쳐서 감상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렌즈를 이용한 투시기는 렌즈를 통하여 입체사진을 관람하는 것으로, 고가의 렌즈를 사용함으로 생산원가가 증대하고 렌즈의 손상에 의하여 투과율과 굴절율이 달라지면 입체사진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투시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렌즈를 통하여 관람하는 관람자의 눈에 좌우 시점의 차가 발생하여 시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우 렌즈를 통하여 관람 시에 좌우측으로 눈의 좌우 시점에 따라 위치가 다른 그림이 형성되어 좌우시선에 따라 카드의 그림위치가 변경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입체카드를 관람자 좌우측 눈의 시선이 입체카드의 방향성에 맞도록 교차하면서 두개의 사진을 하나로 인식하기 위한 착시 현상에 의하여 평면 사진을 입체적으로 인식함에 따라 교차되는 시선에 따른 눈의 피로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렌즈가 부착된 투시구가 절곡된 형상으로 펼친 상태에 입체사진을 투시하는 것으로, 렌즈와 입체사진 사이에 거리가 항상 일정하지 않으므로 설치할때마다 시점에 따른 거리가 달라져서 입체적으로 사진을 보기 위해서 항상 거리를 설정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양안의 시차에 맞도록 좌우로 그림, 사진, 풍경, 만화, 캐릭터 등의 여러 가지 이미지를 형성한 입체 카드를 반사수단으로 반사하여 정면에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반사수단이 형성된 전개형상으로 형성하여 각 부분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를 결합하는 구조의 투시기를 형성하여, 간단한 조립으로 입체사진을 전면에 입체적으로 고가의 렌즈가 없이도 편안한 상태로 감상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전개형상의 부재와 상부 고정부재로 절첩한 상태로 상부를 고정하여 설치함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 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안의 좌우 시차에 맞도록 형성한 입체카드를 최적의 반사각으로 전개상의 반사수단을 절첩하여 상부에서 고정한 상태로 이용하여 정면에서 보이도록 형성함으로써, 입체카드가 반사되어 양안이 정면으로 일직선으로 입체형상이 형성한 상태에서 관람하게 되어 눈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개상의 각 부분을 절첩하여 상부를 고정하여 양안의 좌우 시차에 맞도록 반사수단으로 입체사진을 반사하는 것으로 전면에 양안의 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선택적으로 전면에 양안의 위치를 제시하는 착안 부재를 전개상에 형성하여 설치함에 따라 부품의 수량이 줄어들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품의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안의 좌우 시차에 맞도록 형성한 입체 카드를 상부 중앙에 형성된 카드 안착홈에 탈착하는 것으로 입체카드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입체카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입체 투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전개상의 각 부품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투사 각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상의 각 부품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전개상의 각 부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체카드 2 : 투시기
10 : 상판 11 : 카드 삽입구
12 : 투과창 13 : 삽입공
14 : 삽입홈 20 : 하우징
21 : 제 1반사판 22 : 제 1반사수단
23 : 제 1삽입돌기 24 : 제 2반사판
25 : 제 2반사수단 26 : 제 2삽입돌기
27 : 하판 28 : 카드 안착홈
29 : 코 안착부 30 : 투시부
31 : 접안공 32 : 코 안착부
33 : 투시삽입돌기 34 : 밀폐판
35 : 밀폐삽입돌기
α : 제 1반사수단과 제 2반사수단과의 각도
β : 제 2반사수단과 입체카드의 각도
γ : 제 1반사수단과 투시부의 각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입체카드 투시기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카드를 삽입하여 입체적인 카드를 관람하는 투시기에 있어서, 상기 투시기의 상부에 중앙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형성하고, 카드 삽입구의 양측으로 빛이 투과하는 투과창을 개구하여 형성하며, 상판의 주변부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한 상판과,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위치로 중앙에 카드 안착홈을 형성하고 전면에 코안착부를 형성한 하판을 형성하며, 하판을 중심으로 측면의 양측으로 입체카드와 직각으로 형성된 시점에서 100∼110°의 각도로 내측에 제 1반사수단을 형성한 제 1반사판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형성한 제 1삽입돌기가 삽입공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하판을 중심으로 후면의 양측으로 제 1반사판와 39.5∼49.5°의 각도로 내측에 제 2반사수단을 형성한 제 2반사판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 성형된 제 2삽입돌기가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형성하되, 제 2반사판는 입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와 115.5∼125.5°의 각도가 되도록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절첩되어 상판과 결합하도록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중앙 양측으로 접안되는 넓이로 접안공를 형성하고, 하부에 코가 안치되는 코 안착부를 형성한 투시부의 접철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투시삽입돌기를 상판의 삽입공에 삽입 결합하도록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하며, 하우징의 후면으로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와 제 2반사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밀폐판을 접철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밀폐삽입돌기를 형성하여 상판에 형성된 삽입공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판에 라운드의 직경이 결합후부에서 작아지는 쐐기 형태로 결합되는 측에서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하여 하우징의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 제 2반사판과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부 및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된 밀폐판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라운드의 쐐기 형태로 돌출 성형하여 전개상의 하우징에서 절첩하여 상부에 형성된 각 삽입돌기를 상판의 삽입홈에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전개상의 각 부품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투사 각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개상의 각 부품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카드 투시기의 다른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전개상의 각 부품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를 형성하고 각도에 맞추어 상부를 삽입하도록 주변부에 삽입공(13)을 형성한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삽입공(13)에 상부를 결합하고 입체카드를 반사하여 입체적으로 전면에 보이도록 형성하도록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한 하우징(20)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판(10)은 상부에 중앙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를 형성하고, 카드 삽입구의 양측으로 빛이 투과하는 투과창(12)을 개구하여 형성하며, 상판(10)의 주변부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공(1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판(10)과 대응되는 위치로 중앙에 카드 안착홈(28)을 형성하고 전면에 코안착부(29)를 형성한 하판(27)을 형성하며, 하판(27)을 중심으로 측면의 양측으로 입체카드와 직각으로 형성된 시점에서 100∼110°(α)의 각도로 내측에 제 1반사수단(22)을 형성한 제 1반사판(21)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형성한 제 1삽입돌기(23)가 삽입공(13)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하판(27)을 중심으로 후면의 양측으로 제 1반사판(21)와 39.5∼49.5°(β)의 각도로 내측에 제 2반사수단(25)을 형성한 제 2반사판(24)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 성형된 제 2삽입돌기(26)가 삽입공(13)에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형성하되, 제 2반사판(24)는 입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와 115.5∼125.5°(γ)의 각도가 되도록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절첩되어 상판(10)과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제 1반사판(21)과 제 2반사판(24)에 형성된 제 1반사수단(22)과 제 2반사수단(25)은 거울, 알루미늄 박 등 반사되어 보일 수 있는 것으로 형성한다.
또한, 입체카드와 직각으로 형성된 시점과 제 1반사판(21)의 각도를 105°(α)로 형성하고, 제 1반사판(21)과 제 2반사판(24)의 각도를 44.5°(β)로 형성하며, 제 2반사판(24)과 입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와의 각도가 120.5°(γ)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반사조건으로 입체사진을 입체로 전면에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조건인 것이다.
이러한, 투시기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중앙 양측으로 접안되는 넓이로 접안공(31)를 형성하고, 하부에 코가 안치되는 코 안착부(32)를 형성한 투시부(30)의 접철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투시삽입돌기(33)를 상판(10)의 삽입공(13)에 삽입 결합하도록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하며, 하우징(20)의 후면으로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와 제 2반사판(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밀폐판(34)을 접철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밀폐삽입돌기(35)를 형성하여 상판(10)에 형성된 삽입공(13)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기의 다른 결합 구도로써, 상기 상판(10)에 라운드의 직경이 결합후부에서 작아지는 쐐기 형태로 결합되는 측에서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홈(14)을 형성하여 하우징(20)의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 제 2반사판(24)와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부(30) 및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된 밀폐판(34)에 형성된 삽입돌기(23, 26, 33, 35)를 라운드의 쐐기 형태로 돌출 성형하여 전개상의 하우징(20)에서 절첩하여 상부에 형성된 각 삽입돌기(23, 26, 33, 35)를 상판(10)의 삽입홈(14)에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입체카드 투시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0)의 중앙에 카드 크기의 카드 삽입구(11)를 천공하고 형태에 맞도록 좌우측으로 개구되어 빛이 투과되는 투과창(12)을 형성한 상태로 상판에 결합되는 반사부의 제 1반사판(21)과 제 2반사판(24)의 정확한 각도가 형성되는 위치에 양측으로 삽입공(13)을 형성한다.
이렇게, 상판(10)에 형성된 삽입공(13)에 일체로 형성된 전개상의 하우징(20)의 각부분이 절첩한 상태로 결합하도록, 상판(10)과 대응되는 하부에 형성된 하판(27)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입체카드를 보는 시점에서 100∼110°(α)의 각도로 형성되어 입체카드를 일차로 반사하도록 형성된 제 1반사판(21)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제 1삽입돌기(23)로 삽입공(13)에 결합시키고, 하판(27)을 중심으로 후면의 좌우측으로 제 1반사판(21)에서 39.5∼49.5°(β)의 각도로 형성되어 일차로 반사된 입체형상을 2차로 반사하여 투시하도록 형성한 제 2반사판(24)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제 2삽입돌기(26)로 삽입공(13)에 결합하되, 제 2반사판(24)은 입체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와 115.5∼125.5°(γ)의 각도가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설치를 마친다.
또한, 입체카드와 직각으로 형성된 시점과 제 1반사판(21)의 각도를 105°(α)로 형성하고, 제 1반사판(21)과 제 2반사판(24)의 각도를 44.5°(β)로 형성하되, 제 2반사판(24)과 입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과의 각도가 120.5°(γ)가 되도록 하면 입체사진을 입체로 전면에 투시할 수 있도록 최적의 조건이므로, 각도를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우징(20)의 전면으로 중앙에 접안공(31)을 형성하고 절첩한 상태에서 하부로 홈 형상의 코안착부(32)를 형성한 상태에서 접철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는 위치에 투시삽입돌기(33)가 형성된 투시부(30)를 형성하며, 후면으로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와 제 2반사판(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밀폐판(34)을 접철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는 위치에 밀폐삽입돌기(35)를 형성하여 상판에 형성된 삽입공(13)에 삽입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하우징(20)의 전면과 후면에 투시부(30)와 밀폐판(34)을 형성하여 결합 설치 할 수도 있다.
또한, 상판(10)에 라운드의 직경이 결합후부에서 작아지는 쐐기 형태로 결합되는 측에서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홈(14)을 형성하여 하우징(20)의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 제 2반사판(24)과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부(30) 및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된 밀폐판(34)에 형성된 삽입돌기(23, 26, 33, 35)를 라운드의 쐐기 형태로 돌출 성형하여 상판(10)의 삽입홈(14)에 끼움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 형성된 입체카드 투시기(1)는 상판의 카드 삽입구(11)에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카드를 삽입하면, 좌우측에 각기 형성된 100∼110°(α)의 각도로 형성된 제 1반사판(21)의 제 1반사수단(22)에서 일차 반사되어 39.5∼49.5°(β)의 각도로 형성된 제 2반사판(24)의 제 2반사수단(25)에서 2차로 반사된 후에 전면에 관람자의 시점의 좌우측에 각 모양이 혼합된 입체 형상 자체로 도달함으로써, 반사되어 입체형상으로 형성된 입체카드를 시점의 교차 없이 바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판(10)의 중앙에 입체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를 형성하고 빛을 투과하는 투과창(12)을 형성하며 반사되는 각도를 정확하게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공(13)을 형성하여,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2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 및 제 2반사판(24)을 절첩한 상태로 삽입공(13)에 삽입 결합하여 상판(10)의 카드 삽입구(11)에 카드를 삽입하여 좌우로 형성된 제 1반사수단(22)이 형성된 제 1반사판(21)과 제 2반사수단(25)이 형성된 제 2반사판(24)을 통하여 입체형상으로 형성된 입체카드를 관람하는 것으로써,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사되어 형성된 입체 형상을 시점의 교차 없이 바로 보는 것으로 눈의 피로도를 저감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입체카드 투시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양안의 시차에 맞도록 좌우로 그림, 사진, 풍경, 만화, 캐릭터 등의 여러 가지 이미지를 형성한 입체 카드를 반사수단으로 반사하여 정면에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반사수단이 형성된 전개형상으로 형성하여 각 부분을 접철한 상태에서 상부를 결합하는 구조의 투시기를 형성하여, 간단한 조립으로 입체사진을 전면에 입체적으로 고가의 렌즈가 없이도 편안한 상태로 감상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전개형상의 부재와 상부 고정부재로 절첩한 상태로 상부를 고정하여 설치함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안의 좌우 시차에 맞도록 형성한 입체카드를 최적의 반사각으로 전개상의 반사수단을 절첩하여 상부에서 고정한 상태로 이용하여 정면에서 보이도록형성함으로써, 입체카드가 반사되어 양안이 정면으로 일직선으로 입체형상이 형성한 상태에서 관람하게 되어 눈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개상의 각 부분을 절첩하여 상부를 고정하여 양안의 좌우 시차에 맞도록 반사수단으로 입체사진을 반사하는 것으로 전면에 양안의 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선택적으로 전면에 양안의 위치를 제시하는 착안 부재를 전개상에 형성하여 설치함에 따라 부품의 수량이 줄어들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품의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양안의 좌우 시차에 맞도록 형성한 입체 카드를 상부 중앙에 형성된 카드 안착홈에 탈착하는 것으로 입체카드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입체카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형성하는 입체카드를 삽입하여 입체적인 카드를 관람하는 투시기에 있어서,
    상기 투시기의 상부에 중앙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를 형성하고, 카드 삽입구의 양측으로 빛이 투과하는 투과창(12)을 개구하여 형성하며, 상판(10)의 주변부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삽입공(13)을 형성한 상판(10)과,
    상기 상판(10)과 대응되는 위치로 중앙에 카드 안착홈(28)을 형성하고 전면에 코안착부(29)를 형성한 하판(27)을 형성하며, 하판(27)을 중심으로 측면의 양측으로 입체카드와 직각으로 형성된 시점에서 100∼110°(α)의 각도로 내측에 제 1반사수단(22)을 형성한 제 1반사판(21)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형성한 제 1삽입돌기(23)가 삽입공(13)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하고, 하판(27)을 중심으로 후면의 양측으로 제 1반사판(21)와 39.5∼49.5°(β)의 각도로 내측에 제 2반사수단(25)을 형성한 제 2반사판(24)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돌출 성형된 제 2삽입돌기(26)가 삽입공(13)에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형성하되, 제 2반사판(24)는 입체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1)와 115.5∼125.5°(γ)의 각도가 되도록 전개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절첩되어 상판(10)과 결합하도록 형성한 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드 투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중앙 양측으로 접안되는 넓이로 접안공(31)를 형성하고, 하부에 코가 안치되는 코 안착부(32)를 형성한 투시부(30)의 접철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투시삽입돌기(33)를 상판(10)의 삽입공(13)에 삽입 결합하도록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하며, 하우징(20)의 후면으로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와 제 2반사판(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밀폐판(34)을 접철한 상태에서 상부로 향하도록 밀폐삽입돌기(35)를 형성하여 상판(10)에 형성된 삽입공(13)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드 투시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에 라운드의 직경이 결합후부에서 작아지는 쐐기 형태로 결합되는 측에서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홈(14)을 형성하여 하우징(20)의 좌우에 형성된 제 1반사판(21), 제 2반사판(24)와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투시부(30) 및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된 밀폐판(34)에 형성된 삽입돌기(23, 26, 33, 35)를 라운드의 쐐기 형태로 돌출 성형하여 전개상의 하우징(20)에서 절첩하여 상부에 형성된 각 삽입돌기(23, 26, 33, 35)를 상판(10)의 삽입홈(14)에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카드 투시기.
KR20-2003-0039213U 2003-12-16 2003-12-16 입체카드 투시기 KR200344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13U KR200344413Y1 (ko) 2003-12-16 2003-12-16 입체카드 투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13U KR200344413Y1 (ko) 2003-12-16 2003-12-16 입체카드 투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182A Division KR100680903B1 (ko) 2003-12-16 2003-12-16 입체카드 투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413Y1 true KR200344413Y1 (ko) 2004-03-12

Family

ID=4934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13U KR200344413Y1 (ko) 2003-12-16 2003-12-16 입체카드 투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4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805B2 (en) Optical waveguide using overlapping optical elements coupling light beam
JP4222627B1 (ja) 映像立体的認識装置
US9715117B2 (en) Auto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display
KR101396254B1 (ko) 휴대용 입체영상 뷰어
CN110088666A (zh) 用反射器和目镜元件实现紧凑型头戴式显示器的装置
US5146246A (en)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EP3200003A1 (en)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US4464015A (en) Binocular stereoscopic viewers
KR200344413Y1 (ko) 입체카드 투시기
EP0680621B1 (en) Stereoscopic viewing device
KR100680903B1 (ko) 입체카드 투시기
US4998799A (en) Stereoscope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JP2005173091A (ja) ステレオビュア及びステレオマウントフレーム
KR200344412Y1 (ko) 입체카드 투시기
US3888564A (en) Viewing system providing compatability between two dimensional pictures and three dimensional viewing thereof
KR100558274B1 (ko) 입체카드 투시기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JP2005222026A (ja) 立体視装置
KR200344411Y1 (ko) 입체카드
CA2194630A1 (en) Viewing system for electronic 3-d animation and 3-d viewing mirror
JP2011247930A (ja) 立体視眼鏡
JP2615363B2 (ja) 立体画像装置
JP2019174658A (ja) 立体視ビューア
JPH07140419A (ja) 立体視方法とそれに用いる立体視眼鏡及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