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171Y1 - 음료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171Y1
KR200344171Y1 KR20-2003-0039882U KR20030039882U KR200344171Y1 KR 200344171 Y1 KR200344171 Y1 KR 200344171Y1 KR 20030039882 U KR20030039882 U KR 20030039882U KR 200344171 Y1 KR200344171 Y1 KR 200344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cision
powder
mixing container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기
Original Assignee
조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기 filed Critical 조진기
Priority to KR20-2003-0039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상의 미숫가루 등을 즉석에서 물과 혼합하기 위한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의 용기로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절취선(110)이 구비된 얇은 보호커버(120)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100); 제 1하우징(100)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워진 벨로우즈 형태로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유출구(210)를 갖는 제 2하우징(200); 내부가 비워진 원통형으로 제 2하우징(200)내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턱(311)이 형성된 제 1고정부(310)와 제 1고정부(310) 하부에 형성되어 제 1하우징(100) 상부면에 형성된 보호커버(120)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하부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절개날(321)이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 제 2절개부(320)를 구비한 용해수단(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은 분말가루와 물을 각각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여 식음 하고자 할 때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혼합용기의 내부에 분말가루를 물에 원활하게 분해, 용해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즉석에서 신선한 혼합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 혼합용기{BOTTLE NAVING MEANS FOR MIXING ADDITIVE INFO LIGUID}
본 고안은 분말가루와 물을 즉석에서 혼합하여 식음할 수 있는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즉석에서 신선한 혼합음료를 식음할 수 있도록 분말가루(미숫가루, 각종 분말류 등)와 물을 용기에 각각 별도로 저장하고 혼합 시 용해수단을 통해 충돌을 유도함으로써 음료의 분해, 용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음료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분말가루 음료는 분말성분(미숫가루, 약재 각종 분말류 등)이 음료에 혼합된 상태로 밀폐용기에 장시간 보관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분말가루가 부풀어 맛을 낼 수 없었다.
또한, 신선한 맛을 원할 경우 분말가루와 음료를 별도로 구입해 사용자가 직접 분말가루와 물을 용해시켜 식음하기 위해서는 스푼 등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서 저어주거나 뚜껑을 구비한 용기에 투입하고 용기를 흔들어줌으로서 투입되어진 음료가 혼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완전한 혼합을 이루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분말가루 자체 특성상 물에 엉켜서 잘 용해되지 못하고 용기의 하부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말가루(미숫가루, 각종 분말류 등)와 물이 벨로우즈 형태의 제 2하우징과 원통 형상의 제 1하우징에 각각 별도로 저장되고,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 절개 및 용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절개날이 형성된 용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식음 시 간단한 동작만으로 보호커버를 쉽게 절개함과 동시에 분말가루가 물에 신속하게 섞여 용해수단에 의해 분해, 용해가 이루어져 보다 간편하게 즉석에서 식음할 수 있는 음료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 음료 혼합용기는 별도로 저장된 분말가루와 물의 제반결합을 효율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혼합용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용기로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절취선이 구비된 얇은 보호커버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워진 벨로우즈 형태로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유출구를 갖는 제 2하우징;
내부가 비워진 원통형으로 상기 제 2하우징내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하우징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보호커버의 절개 및 음료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절개날이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 제 2절개부를 구비한 용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제 2절개부의 모습을 나타낸 제 1실시예,
도 3b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제 2절개부의 모습을 나타낸 제 2실시예,
도 3c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제 2절개부의 모습을 나타낸 제 3실시예,
도 3d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제 2절개부의 모습을 나타낸 제 4실시예,
도 4a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를 사용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의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하우징 110 : 절취선
120 : 보호커버 200 : 제 2하우징
210 : 유출구 211 : 마개
300 : 용해수단 310 : 제 1고정부
311 : 걸림턱 320 : 제 2절개부
321 : 다수개의 절개날 322 : 사방성 날개
1000 : 혼합용기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 혼합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혼합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혼합용기는 제 1하우징(100), 제 2하우징(200) 및 용해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하우징(100)은 원통형의 용기로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절취선(110)이 구비된 얇은 보호커버(120)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200)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벨로우즈 형태로 상기 제1하우징(100) 상부에 고정되고,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는 사용자가 마실 수 있도록 유출구(210)를 형성하고 탈착이 자유로운 마개(211)를 형성하여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으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분말가루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용해수단(300)은 제 1고정부(310)와 제 2절개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고정부(310)는 내부가 비워진 원통 형상으로 상측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턱(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200)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대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절개부(320)는 상기 제 1고정부(310)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쪽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태의 다수개의 절개날(32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하우징(100)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보호커버(120)의 절개 및 음료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3a, 3b, 3c 및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절개부(320)인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의 일부는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이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이 상기 제 1고정부(310)의 하부 원주를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은 임의의 각을 갖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깔대기 형상을 갖는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 종단에는 원형 중심을 따라 수직과 수평의 사방성 날개(322)가 경사지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방향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은 분말가루와물을 흔들어 혼합할 경우 분말가루가 상기 다수개의 절개날(321)에 부딪치면서 덩어리지지 않고 신속 완벽하게 분해,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 혼합용기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벨로우즈 형태의 상기 제 2하우징(200)을 오므라들도록 하부쪽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 2하우징(200) 상측 내부에 형성된 제 2절개부(320)가 자연스럽게 하부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하부쪽으로 내려 온 상기 제 2절개부(320)는 상기 제 1하우징 (100)의 상부에 형성된 얇은 상기 보호커버(120)를 절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절개부(320)에 의해 절개된 상기 보호커버(120)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 2하우징(200) 내부에 저장된 분말가루가 상기 제 1하우징(100)의 저장 공간으로 투입되어 상기 제 1하우징(100)에 저장된 물과 혼합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동작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제 2하우징(200)을 하부쪽으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혼합용기(1000)를 잡고 분말가루와 물이 완전하게 혼합되도록 상/하 및 좌/우로 흔든다.
이 때, 혼합된 분말가루와 물이 상기 용해수단(300)인 상기 제 2절개부(320)에 의해 충돌이 극대화되어 덩어리지지 않고 신속 완벽하게 분해, 용해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마개(211)를 상기 제 2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210)에서 이탈시킨 후 신선한 혼합음료를 식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음료 혼합용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 혼합용기에 의하면, 분말가루와 물을 각각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여 식음 하고자 할 때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혼합용기의 내부에 분말가루를 물에 원활하게 분해, 용해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즉석에서 신선한 혼합음료를 식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통형의 용기로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절취선이 구비된 얇은 보호커버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비워진 벨로우즈 형태로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들거나 펼쳐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중앙에 유출구를 갖는 제 2하우징;
    내부가 비워진 원통형으로 상기 제 2하우징내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 원주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하우징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보호커버의 절개 및 음료의 용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쪽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절개날이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 제 2절개부를 구비한 용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개부는, 일부는 다수개의 절개날이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다수개의 절개날이 원주를 따라 일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개부의 절개날은, 임의의 각을 갖는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개부는, 깔대기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절개날 종단에는 원형 중심을 따라 수직과 수평의 사방성 날개가 경사기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개부의 절개날은, 서로 다른 방향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혼합용기.
KR20-2003-0039882U 2003-12-23 2003-12-23 음료 혼합용기 KR200344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882U KR200344171Y1 (ko) 2003-12-23 2003-12-23 음료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882U KR200344171Y1 (ko) 2003-12-23 2003-12-23 음료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171Y1 true KR200344171Y1 (ko) 2004-03-09

Family

ID=4934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882U KR200344171Y1 (ko) 2003-12-23 2003-12-23 음료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1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813B1 (ko) * 2017-01-11 2017-10-31 전원 디스펜서 기능을 구비하는 음료 혼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813B1 (ko) * 2017-01-11 2017-10-31 전원 디스펜서 기능을 구비하는 음료 혼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6844B2 (ja) 飲料を作製および分配供給するための、カプセルを利用するシステム
US9427112B2 (en) Drink mixer bottle and agitator
US20120147693A1 (en) Ice-shaving cocktail shaker
KR20050022255A (ko) 개별적으로 취급 가능한 믹서기
CN111867431A (zh) 适用于运动水壶的混合器
JP2004083022A (ja) ペットボトル等ドリンク用ボトルのキャップ
US20120213891A1 (en) Perforated Stirrer
KR200344171Y1 (ko) 음료 혼합용기
US20110200713A1 (en) Perforated stirrer
KR200474168Y1 (ko) 다각 믹서기
JPWO2017142024A1 (ja) 混合容器
CN115427320A (zh) 携带用食品收纳容器
JP2006508866A (ja) プッシュ式オープナーを備えるキャップ
JP2006075373A (ja) 携帯型泡立て装置
JP3544363B2 (ja) 容器入り食品
JP2007190327A (ja) 調理容器
KR20100000428A (ko) 혼합과 머그컵
KR200405542Y1 (ko) 커피믹스
KR20190057955A (ko) 종이 믹스컵
KR101921719B1 (ko) [탈착식 보조용기를 가진 쉐이커 겸 텀블러]
JP6910510B2 (ja) 撹拌子及びこれを備えた撹拌容器
CN110745371B (zh) 一种食品容器
KR20190059520A (ko) 기능을 겸비한 다용도 믹스용 종이컵
JP2004160049A (ja) 調味料容器
WO2015057193A1 (en) Container with integral stirring fl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