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090Y1 -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090Y1
KR200344090Y1 KR20-2003-0035252U KR20030035252U KR200344090Y1 KR 200344090 Y1 KR200344090 Y1 KR 200344090Y1 KR 20030035252 U KR20030035252 U KR 20030035252U KR 200344090 Y1 KR200344090 Y1 KR 200344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e
electric motor
model
board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riority to KR20-2003-0035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들은 베이스 내부의 전동모터와 탑승모형과의 동력전달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그 소요부품이 많아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었던 바, 베이스판(21) 일측의 전동모터(30)에 설치한 작동원판(60)의 편심연결축(61)과 베이스판(21) 중앙의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 사이에 작동레버(70)를 설치하여 작동레버(70)에 고정되는 탑승모형(10)을 전진, 후진, 상승,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적은 수의 부품으로 안정적으로 탑승모형(1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고장의 우려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의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와는 전혀 다른 운동궤적으로 탑승모형(10)이 작동되므로 탑승객이 더욱 재미있게 탑승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 a horse type riding toy }
본 고안은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지지베이스의상부에 설치되는 탑승모형을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탑승모형에 탑승한 유아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전동모터 등이 내장되는 지지베이스의 상부에 말, 코끼리, 강아지, 호랑이 등의 동물이나 오토바이 등의 승용물 형태를 갖는 탑승모형이 설치되는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에 관계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유아용 승용놀이기구는 지지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와 편심캠 등을 통해 탑승모형을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요동시켜 탑승모형에 탑승한 유아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종래의 대부분의 유아용 승용놀이기구는 베이스 내부의 전동모터와 탑승모형과의 동력전달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그 소요부품이 많아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보다 적은 수의 부품과 간단한 구조로 전동모터의 동력을 탑승모형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고장의 우려 없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탑승모형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a ~ 도 3g는 동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10 : 탑승모형
11 : 고정대 20 : 지지베이스
21 : 베이스판 30 : 전동모터
40 : 회전원판 41 : 편심연결축
50 : 체인 60 : 작동원판
61 : 편심연결축 70 : 작동레버
71 : 결합장공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판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에 작동원판을 설치하고, 베이스판의 상단 중앙에 설치한 한 쌍의 회전원판의 편심연결축과 작동원판 편심연결축 사이에 작동레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서 도 3d까지에는 동 실시예의 작동상태의 요부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지지베이스(20)의 상부에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탑승모형(10)이 설치되는 유아용 승용놀이기구(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베이스(20) 하단의 베이스판(21)의 상단 일측에 전동모터(30)를 설치하고, 베이스판(21)의 상단 중앙에 편심연결축(41)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원판(40)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과 일 회전원판(40)을 체인(50)으로 접속하며,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 일측에 설치한 작동원판(60) 일측의 편심연결축(61)에 작동레버(70)의 일단부를 편심 연결하고, 결합장공(71)이 마련된 작동레버(70)의 타단부를 한 쌍의 회전원판(40) 사이에 위치하는 편심연결축(41)에 접속하며, 탑승모형(10) 하부의 고정대(11)를 작동레버(70)의 타단부에 고정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베이스판(21)의 중앙에 한 쌍의 수직돌출막대(22)를 설치하고, 그 상단에 베어링(42)을 설치하여 각 회전원판(40)을 지지한 형태를 갖으며, 작동레버 결합장공(71)의 내상부 중앙에 걸림요홈(71a)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32는 체인스프로켓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전동모터(30)를 작동시키면 전동모터의 회전축(31) 및 작동원판(60), 그리고 전동모터 회전축(31)과 체인(50)으로 접속된 회전원판(4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원판(40)의 회전에 따라 편심연결축(41)이 상승, 하강, 전진, 후진하게 되므로 편심연결축(41)에 접속된 작동레버(70)의 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11) 및 탑승모형(10)이 상승, 하강, 전진, 후진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그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a와 같이 고정대(11)가 수직상태가 되어 탑승모형(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양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이 회전원판 회전중심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동시에 작동원판(60)의 편심연결축(61)이 작동원판 회전중심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동모터(30)가 작동하여 전동모터 회전축(31)과 작동원판(60), 회전원판(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3b와 같이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이 회전원판 회전중심 상부로 이동되면서 작동원판(60)의 편심연결축(61)이 작동원판 회전중심 하부로 이동되는 구간에서는 작동레버(70)의 좌측부위가 들어올려지게 되는 동시에 우측부가 내려가게 되므로 고정대(11) 및 탑승모형(1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3d와 같이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이 회전원판 중심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작동원판(60)의 편심연결축(61)이 작동원판 회전중심 좌측으로 이동되는 구간에서는 작동레버(70)의 좌측부위가 내려가는 동시에 우측부가 올라가게 되므로 고정대(11)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서 탑승모형(10)이 수평상태를 회복하게 되며, 도 3g와 같이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이 회전원판 하부로 이동되면서 작동원판(60)의 편심연결축(61)이 작동원판 회전중심 상부로 이동되는 구간에서는 고정대(11) 및 탑승모형(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본 고안 유아용 승용놀이기구(100)는 이와 같이 탑승모형 고정대(11)가 수직상태에서 상승하면서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다시 하강하면서 수직을 회복한 후 계속 하강하면서 후방으로 기울어진 다음 상승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탑승모형(10)이 전진과 후진,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되어 탑승모형(10)에 탑승한 유아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작동레버 결합장공(71)의 내상부 중앙에 걸림요홈(71a)이 형성한 경우에는 도 3c 및 도 3e와 같이 최대로 전방으로 기울어진 탑승모형(10)이 수평을 회복해가는 과정 및 탑승모형(10)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과정에서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에 순간적으로 걸림요홈(71a)에 진입하게 되어 예기치 못한 덜컹거림이 일어나게 되므로 탑승객에게 새롭고 신선한 재미를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판(21) 일측의 전동모터(30)에 설치한 작동원판(60)의 편심연결축(61)과 베이스판(21) 중앙의 회전원판(40)의 편심연결축(41) 사이에 작동레버(70)를 설치하여 작동레버(70)에 고정되는 탑승모형(10)을 전진, 후진, 상승, 하강시키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적은 수의 부품으로 안정적으로 탑승모형(1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고장의 우려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아용승용놀이기구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단순 승강되거나 전후진되는 종래의 유아용 승용놀이기구와는 전혀 다른 운동궤적으로 탑승모형(10)이 작동되므로 탑승객이 더욱 재미있게 탑승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지지베이스(20)의 상부에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탑승모형(1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지지베이스(20) 하단의 베이스판(21)의 상단 일측에 전동모터(30)를 설치하고, 베이스판(21)의 상단 중앙에 편심연결축(41)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원판(40)을 설치하는 동시에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과 일 회전원판(40)을 체인(50)으로 접속하며, 전동모터(30)의 회전축(31) 일측에 설치한 작동원판(60) 일측의 편심연결축(61)에 작동레버(70)의 일단부를 편심 연결하고, 결합장공(71)이 마련된 작동레버(70)의 타단부를 한 쌍의 회전원판(40) 사이에 위치하는 편심연결축(41)에 접속하며, 탑승모형(10) 하부의 고정대(11)를 작동레버(70)의 타단부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KR20-2003-0035252U 2003-11-11 2003-11-11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KR200344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52U KR200344090Y1 (ko) 2003-11-11 2003-11-11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52U KR200344090Y1 (ko) 2003-11-11 2003-11-11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090Y1 true KR200344090Y1 (ko) 2004-03-10

Family

ID=4942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252U KR200344090Y1 (ko) 2003-11-11 2003-11-11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0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71B1 (ko) 2005-05-30 2006-07-03 주식회사 유성 승마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971B1 (ko) 2005-05-30 2006-07-03 주식회사 유성 승마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4090Y1 (ko)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CN215154943U (zh) 一种结构稳定的防倾覆型电动童车
KR200412875Y1 (ko) 스텝머신기능을 구비한 싱싱카
CA3136408C (en) Amusement ride
CN106494543B (zh) 平面运动休闲自行车
CN201350918Y (zh) 一种转向轮锁定装置
KR200253005Y1 (ko) 유아용 승용놀이기구
CN209479744U (zh) 一种童车
CN218949378U (zh) 摇摆童车
JP2005296677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105923038A (zh) 一种摇摆车
CN217396738U (zh) 一种儿童车
CN215155302U (zh) 一种具有约束结构的儿童童车
KR910001512Y1 (ko) 승마완구의 구동장치
CN218980411U (zh) 一种旋转木马
CN212347712U (zh) 一种摇马
CN216709531U (zh) 一种踏板式驱动童车
JP45958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3134803U (ja) 乗馬健康マシン
CN215663787U (zh) 儿童玩具车
JP3807727B2 (ja) 四足歩行玩具
CN214913319U (zh) 一种骑行恐龙化石机械结构
CN103332246B (zh) 手驱动前轮脚控制后轮二轮自行车
KR200244785Y1 (ko) 누드식 본체 구조를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KR200234316Y1 (ko) 회전운동 병행기능을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