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065Y1 -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 Google Patents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065Y1
KR200344065Y1 KR20-2003-0040020U KR20030040020U KR200344065Y1 KR 200344065 Y1 KR200344065 Y1 KR 200344065Y1 KR 20030040020 U KR20030040020 U KR 20030040020U KR 200344065 Y1 KR200344065 Y1 KR 200344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board
board
sewn
finishing material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구
Original Assignee
심만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만구 filed Critical 심만구
Priority to KR20-2003-0040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등의 재료를 절삭하거나 파쇄한 분쇄물에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복층으로 성형 열압시키고, 성형된 판재의 각 층 사이와 표면 및 이면에 직물류 또는 지물류로 각각 접착하고 이를 와이어로 박음질하여 판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킨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의 절삭편 또는 파쇄편에 접착제를 첨가시켜 일정 두께로 성형 열압시킨 판재상의 보드층과, 상기 보드층의 표면과 이면에 접착되는 마감재로 구성된 파티클 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의 표면과 이면에 접착된 마감재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와이어로 박음질되어 압착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BACKSTITCHED PARTICLE BOARD}
본 고안은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등의 재료를 절삭하거나 파쇄한 분쇄물에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복층으로 성형 열압시키고, 성형된 판재의 각 층 사이와 표면 및 이면에 직물류 또는 지물류로 각각 접착하고 이를 와이어로 박음질하여 판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킨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이용되는 판재로는 원목이나 합판등이 있다.
상기 원목은 일정한 두께로 켜서 사용되는 것으로, 가격이 비교적 높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뒤틀림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합판은 일반합판, 거푸집합판, 태고합판, 우레탄코팅 합판, 미송합판, 라민보드, 코아합판, OSB(Oriented Strand Board), LVL(Laminated Veneer Lumber)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 파티클보드등이 있다.
상기 일반합판은 원목을 길이방향에서 회전식 절삭기(LOTARY LATHE)를 이용하여 단판(VENEER)으로 깎아내고, 이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여 목리가 서로 직교하게 접착하여 만든 판상재로 일반적으로 홀수매로 구성되며, 상기 거푸집합판은 흔히 방수합판(내수합판)이라 부르는 콘크리트 형틀용합판을 말하고, 대체로 방수접착제인 석탄산 수지(페놀 phenol resin) 또는 요소-멜라민 수지(urea-melamine resine)로 단판을 접착하여 사용한 것이며, 상기 태고합판은 페놀수지필름의 상표로서 거푸집용 합판의 양면 또는 한면에 페놀수지를 함침하여 방수처리한 거푸집용 합판을 말하며, 상기 우레탄코팅합판은 거푸집용합판의 단면 또는 양면에 내알칼리성 우레탄 도료를 몇차례 반복적으로 사포, 도포하여 방수처리한 거푸집용 합판을 말하며, 상기 라민보드는 럼버코아합판의 종류로 코아의 나비가 0.7cm 이하인 것을 말하는데 요즘시중에서는 목재 코아가 아닌 합판의 조각을 코어로 사용한 것을 라민보드라 부르며 블록보드와 구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코어합판은 합판의 구성 가운데 심판(芯板)을 일컫는 용어로서 심판(core)에 단판(veneer) 대신 소재 원료(element)를 접착하여 만든 1매의 판을 사용하고 표, 리판 쪽에 단판을 구성시킨 종류의 합판을 말하며, 상기 OSB는 북미지역에서 주택용이나 낮은 층의 상업용 건축물에 많이 쓰이고 있는 건축용 구조용재로 직경이 작고 성장이 빠른 나무들만을 사용하여 스트랜드(STRAND, 실을 엮어 만든 로프모양) 또는 웨이퍼(WAFER, 얇은 비스켓 모양)으로 가공한후 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표면층은 스트랜드나 웨이퍼가 길이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판넬 내부층은 교차정열이 나무작위로 배열되어 제작된 판넬이고, 상기 MDF(중밀도 섬유판)로 불리는 것인데 원목을 일정한 크기의 조각(CHIP)으로 깎아 이를 해섬(화확약품 처리후 끓임)하여 섬유질만을 뽑아낸 뒤 접착제와 섞어 완력을 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가구재로 많이 쓰이며 합판에 비해 가공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물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파티클보드는 목재 및 기타 식물 섬유질의 소편(Particle) 즉, 절삭편 또는 파쇄편 등을 주재료로 하여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성형, 열압시킨 밀도 0.5g/㎤ 이상 0.9g/㎤ 이하의 판재상 제품을 말한다. 특히 파티클보드는 접착제가 소편 상호간의 결합력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 물성의 이방성이 없으며, 목재의 옹이, 썩음, 뒤틀림, 휨 등의 결점을 제거시킨 넓은 면적의 균질제품을 만들 수 있다. 그 외에도 비중, 두께, 크기 등 광범위한 용도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아울러 못질, 절단, 구멍뚫기, 도장, 인쇄, 접착 등의 가공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합판등의 파티클보드는 방화, 방충, 방습, 보온등이 약하고, 사용 후 폐자재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합판등은 화학접착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화재시에는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재산과 인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한편, 상기 합판등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워지고 중량이 무거워 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방화, 방충, 방습, 보온의 효과가 탁월한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등의 재료를 절삭하거나 파쇄한 분쇄물에 천연접착제를 혼합하여 순차적이거나 엇갈리게 복수의 보드층을 형성하고, 성형된 보드층의 각 층 사이와 표면 및 이면에 직물류 또는 지물류를 접착시키고, 상기 표면과 이면에 관통되도록 박음질하여 두께가 얇고 중량이 가벼우면서 목재판류들의 4대 공학적 강도(굽힘, 늘림, 압축, 가공성)를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의 절삭편 또는 파쇄편에 접착제를 첨가시켜 일정 두께로 성형 열압시킨 판재상의 보드층과, 상기 보드층의 표면과 이면에 접착되는 마감재로 구성된 파티클 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의 표면과 이면에 접착된 마감재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와이어로 박음질되어 압착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 상기 보드층의 내부에 목재 또는 금속재의 보강부재가 더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 상기 보강부재가 각각 이격된 막대형태 또는 그물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상기 보드층의 절삭편 또는 파쇄편은 볏짚, 보릿짚, 밀짚, 은행나무(잎), 오동나무(잎)의 초목분쇄물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황토, 규조토, 맥반석, 점토, 석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더 포함되고, 상기 접착제는 해조류에서 추출된 성분과, 쌀풀, 보릿가루풀, 밀가루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 상기 보드층은 구성성분이 순차적이거나 엇갈리도록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층 형성된 보드층 사이에 상기 마감재가 각각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강판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상기 와이어가 섬유재, 합성수지재, 금속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 상기 마감재가 직물류 또는 지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12: 보드층 20,21,22,23: 마감재
30: 와이어 40: 보강부재
50: 그물형 보강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는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로 성형·열압시킨 복수의 보드층(10,11,12)과, 상기 각 보드층 사이(21, 22)와 최상의 표면(20) 및 최하의 이면(23)에 각각 삽입되고 접착되는 마감재(20,21,22,23)와, 상기 표면(20)과 이면(23)에 일정한 간격으로 박음질되는 와이어(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드층(10,11,12)의 내부에는 보드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재 또는 금속재의 보강부재(40)가 더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층(10,11,12)은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등의 절삭편 또는 파쇄편에 접착제를 첨가시켜 일정 두께로 성형 열압시킨 판재상으로, 상기 목재와 식물섬유질은 은행나무(잎), 오동나무(잎), 볏짚, 보릿짚, 밀짚의 초목분쇄물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점토는 황토, 규조토, 맥반석, 점토, 석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접착제는 해조류에서 추출된 성분과, 쌀풀, 보릿가루풀, 밀가루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다.
상기 보강부재(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태로 구성되어 박음질되는 와이어(30)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형 보강부재(50)로 삽입되면, 더욱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40)는 목재나 연질의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20,21,22,23)는 면이나 삼베등의 직물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지등의 지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0)는 섬유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 금속재로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보드층(10,11,12)은 사용되는 환경의 온도나 습도등의 설치되는 조건에 따라 각각 다른 성분으로 구성하여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음되어 구성된 표면 또는 이면상에 칼라강판을 접착하여 판재를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보드층(10,11,12)이 초목분쇄물과 점토 및 접착제로 구성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초목분쇄물, 점토, 접착제, 부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호퍼에 투입한다.
이 때 상기 초목분쇄물은 건조된 볏짚, 보릿짚, 밀짚, 은행나무(잎), 오동나무(잎) 등을 분쇄시켜 50∼200 메시 상태의 미립자로 조성하거나 다양한 모양의 박피와 칩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점토는 100∼200 메시의 황토, 규조토, 맥반석 등과 물을 중량비로 60 : 40 으로 혼합 반죽하여 5∼20 일을 숙성하여 점토를 조성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접착제는 해조류와 기타 온기를 발생시키는 온기형 접착제나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조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역, 다시마, 파래 등과 물을 40 : 60 의 중량비율로 하여 솥에 넣어 4∼8 시간을 끓인 후 찌꺼기는 제거하고 60∼80℃를 유지시켜 제조하며, 상기 온기형 접착제는 온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쌀풀과 50∼200 메시 상태의 은행나무(잎) 분쇄물과 오동나무(잎) 분쇄물을 60∼80 : 20∼10 : 20∼10의 중량비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상기 냉기형 접착제는 냉기를 발산하는 기능이 있는 보릿가루풀이나밀가루풀과 50∼200 메시 상태의 은행나무(잎)분쇄물과 오동나무(잎) 분쇄물을 60∼80 : 20∼10 : 20∼10 의 중량비로 제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재료는 목화솜을 5∼50 ㎜ 상태로 세절하거나 대마, 마닐라삼의 껍질을 5∼50 ㎜ 상태로 세절하여 부재료를 조성한다.
그 후 상기 마감재를 일정한 넓이로 절단하여 평편한 판에 안착시킨다. 안착된 직물류(23)의 상부면에 상기 호퍼 내에 수납된 혼합조성물을 토출시키면서, 한쌍의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적정크기로 1차 보드층(12)을 성형한다. 이 때 상기 로울러는 100∼300℃로 가열된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성형된 1차 보드층(12)의 상부면에 직물류(22)를 안착시키고, 상기와 동일하게 2차 보드층(11)을 형성하고, 다시 직물류(21)와 3차 보드층(10)을 성형하고, 마지막으로 직물류(20)를 도포하여 복층의 판재를 형성한다.
그 후 복층으로 형성된 판재를 일정 직경과 강도를 갖는 실로 박음질을 한다. 상기 박음질을 하는 경우의 판재는 상기 복층으로 형성된 혼합물이 아직 견고하게 굳지 않는 상태이고 박음질되는 박음질선은 충분한 간격으로 두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음질이 완성된 판재는 일정 압력과 온도로 가압하여 판재의 표면을 균일하게 성형한다. 성형된 판재는 필요한 칫수로 절단하여 충분한 습도가 포함되도록 건조시켜 판재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도1 및 도2에서는 보드층을 3층으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보드층의 두께를 얇게 도포하는 경우에는 더욱 많은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직물류가 삽입되는 층수에 따라 판재의 강도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40)를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작된 판재의 최상의 표면 또는 양면에 다양한 색상의 칼라강판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인체에 유익하고 환경친화적인 초목분쇄물과 점토로 혼합되어 복층으로 성형된 판재 사이에, 복층으로 직물류를 삽입하고, 삽입된 판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박음질하여 제작된 판재는 내측에 골조를 포함시키지 않고서도 두께가 얇고 강도를 휠씬 상승된 판재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판재는 중량을 가볍고 가공하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목재, 점토, 식물섬유질의 절삭편 또는 파쇄편에 접착제를 첨가시켜 일정 두께로 성형 열압시킨 판재상의 보드층과, 상기 보드층의 표면과 이면에 접착되는 마감재로 구성된 파티클 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의 표면과 이면에 접착된 마감재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와이어로 박음질되어 압착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의 내부에 목재 또는 금속재의 보강부재가 더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각각 이격된 막대형태 또는 그물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강판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의 절삭편 또는 파쇄편은 볏짚, 보릿짚, 밀짚, 은행나무(잎), 오동나무(잎)의 초목분쇄물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황토, 규조토, 맥반석, 점토, 석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더 포함되고,
    상기 접착제는 해조류에서 추출된 성분과, 쌀풀, 보릿가루풀, 밀가루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강판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은 구성성분이 순차적이거나 엇갈리도록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층 형성된 보드층 사이에 상기 마감재가 각각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층은 구성성분이 순차적이거나 엇갈리도록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층 형성된 보드층 사이에 상기 마감재가 각각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강판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섬유재, 합성수지재, 금속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섬유재, 합성수지재, 금속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섬유재, 합성수지재, 금속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직물류 또는 지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의 외부에 강판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직물류 또는 지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직물류 또는 지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직물류 또는 지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직물류 또는 지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KR20-2003-0040020U 2003-12-24 2003-12-24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KR200344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20U KR200344065Y1 (ko) 2003-12-24 2003-12-24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020U KR200344065Y1 (ko) 2003-12-24 2003-12-24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021A Division KR20040027490A (ko) 2003-12-24 2003-12-24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065Y1 true KR200344065Y1 (ko) 2004-03-10

Family

ID=4942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020U KR200344065Y1 (ko) 2003-12-24 2003-12-24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0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4952B (zh) 一种竹杉复合板材的制造方法
TW583079B (en) Composite building material
US7647957B2 (en) Method for making plywood and dimensional lumber from Arundo donax L. or bamboo
DE102007026638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uerbeständigen Platten
Moslemi Emerging technologies in mineral-bonded wood and fiber composites
CN108247803B (zh) 一种无醛不霉不燃竹刨花板的制备方法
KR100231351B1 (ko) 건축용 단열 흡음 난연성 패널과 그 제조방법
CN104790635A (zh) 一种耐磨防水阻燃木质地板及其制备方法
CN100556633C (zh) 环保防火植物纤维密度板的生产方法
CN101947869B (zh) 木材型加强轻型复合板
CN1836862A (zh) 无醛健康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US6740271B2 (en) Board and board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crushed vegetational material and clay
DE19757418A1 (de) Dämm-, Füll- oder Packstoff und da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US20030157312A1 (en) Processed board-type products made of non-wooden fibers
KR200344065Y1 (ko)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KR20040027490A (ko) 박음질된 파티클 보드
KR101080819B1 (ko) 황토를 함유한 친환경 무기질 황토보드 및 제조 방법
Srichan et al. Characteristics of particleboard manufactured from bamboo shoot sheaths
DE2336400A1 (de) Platte
Saunders et al. Cement Boards 101
KR100779633B1 (ko) 볏짚을 이용한 기능성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200353A (zh) 微晶纤维素超轻墙体材料
JPS6130902B2 (ko)
KR100427953B1 (ko) 초목분쇄물과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판재와 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08556A (ko) 자연 소재를 이용하여 난연 벽지를 만드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