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740Y1 - 비닐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740Y1
KR200343740Y1 KR20-2003-0038304U KR20030038304U KR200343740Y1 KR 200343740 Y1 KR200343740 Y1 KR 200343740Y1 KR 20030038304 U KR20030038304 U KR 20030038304U KR 200343740 Y1 KR200343740 Y1 KR 200343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wrap
tube
bearing block
mounting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2003-0038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씌워지는 비닐랩을 권취상태로 거치하도록 구성하되, 비닐랩지관과의 탈장착이 용이한 동시에 사용중 비닐랩지관으로부터의 이탈을 완변하게 방지할 수 있고, 비닐랩의 폭에 관계없이 거치가 가능하면서 중량의 웨이트를 이용하여 권취상태의 비닐랩을 풀 때 상하요동을 방지하도록 거치하게 되는 비닐랩 거치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닐랩지관(5)에 권취된 비닐랩(10)을 테이블(1)의 저면측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닐랩 거치장치에 있어서, 그 외측단에 각각 스토퍼캡(29)이 고정 결합되는 거치축(30)과; 상기 거치축(30)의 중단부에 제1베어링블록(2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비닐랩지관(5)의 양단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안내판(24)과; 상기 비닐랩지관(5)의 내주면 양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안내판(24)의 내측면에 구비하되, 그 외경의 신축을 위해 다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다수의 쇄기돌턱(23-1)이 구비되면서 그 내주면에 신축안내홈(23-2)이 구비되는 끼움관(23)과; 상기 제1베어링블록(25)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치축(30)에 결합되는 제2베어링블록(26)에 의해 지지되고, 거치축(30)의 이동에 따라 그 외주면이 상기 신축안내홈(23-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끼움관(23)의 외경을 신축하도록 구비되는 신축조절판(27)과; 상기 제1베어링블록(25)의 외주면에 장착하되, 상기 끼움관(23)에 내장되도록구비하여 비닐랩지관(5)의 중량을 유지하는 웨이트(21)와; 상기 제1베어링블록(25)의 외측단면에 각각 고정 구비되면서 상기 스토퍼캡(29)과 나사결합되어 스토퍼캡(29)의 회전방향에 따라 거치축(3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스토퍼너트(28)와; 그 하단이 상기 회전안내판(24)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거치축(30)에 거치되면서 그 상단이 상기 테이블(1)의 저면측에 고정되는 지지와이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랩 거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닐랩 거치장치{DEVICE FOR HANGING UP VINYL WRAP}
본 고안은 비닐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씌워지는 비닐랩을 권취상태로 거치하도록 구성하되, 비닐랩의 폭에 관계없이 거치가 가능하고 권취상태의 비닐랩을 풀 때 상하요동을 방지하도록 거치하게 되는 비닐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랩은 지관에 권취된 상태로 테이블의 저면측에 위치하도록거치시키게 되는데, 테이블위에 놓인 용기를 덮어 씌우기 위해 위에서 당기면 자중에 의해 풀리게 되고, 용기의 상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절단함으로써 용기의 포장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비닐랩 거치방법에는 비닐랩이 감기는 지관에 거치봉을 끼우고, 이 거치봉의 양단측에 끈을 연결한 후, 다시 이 끈을 각각 테이블의 저면 상단측에 고정시키는 임시적인 거치방법이 있다.
이러한 거치방법은 비닐랩이 풀릴 때마다 상하로 요동하여 자칫 포장중에 용기의 음식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이러한 현상은 자체의 중량이 확보되는 비닐랩의 사용초기보다는 랩의 사용으로 자체 중량이 감소되면서 점점 심해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비닐랩 거치장치중 국내출원번호 20-2002-21540과 20-200212458에 기재된 기술은 비닐랩이 풀릴 때마다 상하로 요동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거치할 수 있는 비닐랩의 폭이 한정되어 있어 사용하는 비닐랩의 폭에 따라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거치대를 확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씌워지는 비닐랩을 권취상태로 거치하도록 구성하되, 비닐랩지관과의 탈장착이 용이한 동시에 사용중 비닐랩지관으로부터의 이탈을 완변하게 방지할 수 있고, 비닐랩의 폭에 관계없이 거치가 가능하면서 중량의 웨이트를 이용하여 권취상태의 비닐랩을 풀 때 상하요동을 방지하도록 거치하게 되는 비닐랩 거치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사용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이블 5: 비닐랩지관 10: 비닐랩 21: 웨이트 22: 스토퍼링 23: 끼움관 24: 회전안내판 25: 제1베어링블록 26: 제2베어링블록 27: 신축조절판 28: 스토퍼너트 29: 스토퍼캡 30: 거치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닐랩지관에 권취된 비닐랩을 테이블의 저면측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닐랩 거치장치에 있어서, 그 외측단에 각각 스토퍼캡이 고정 결합되는 거치축과; 상기 거치축의 중단부에 제1베어링블록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비닐랩지관의 양단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안내판과; 상기 비닐랩지관의 내주면 양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안내판의 내측면에 구비하되, 그 외경의 신축을 위해 다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다수의 쇄기돌턱이 구비되면서 그 내주면에 신축안내홈이 구비되는 끼움관과; 상기 제1베어링블록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치축에 결합되는 제2베어링블록에 의해 지지되고, 거치축의 이동에 따라 그 외주면이 상기 신축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끼움관의 외경을 신축하도록 구비되는 신축조절판과; 상기 제1베어링블록의 외주면에 장착하되, 상기 끼움관에 내장되도록 구비하여 비닐랩지관의 중량을 유지하는 웨이트와; 상기 제1베어링블록의 외측단면에 각각 고정 구비되면서 상기 스토퍼캡과 나사결합되어 스토퍼캡의 회전방향에 따라 거치축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스토퍼너트와; 그 하단이 상기 회전안내판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거치축에 거치되면서 그 상단이 상기 테이블의 저면측에 고정되는 지지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랩 거치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거치축(30)에는 각각 그 중단부에 제1베어링블록(25)이 끼워지게 되고, 제1베어링블록(25)에는 그 외주면중 외측편에 회전안내판(24)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한쌍의 회전안내판(24)에는 그 내측면에 각각 끼움관(23)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 끼움관(23)은 비닐랩지관(5)의 양측에 삽입시키게 되는데, 그 삽입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비닐랩지관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회전안내판(24)은 비닐랩지관(5)에 권취되는 비닐랩(10)의 최대 외경보다 크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는 비닐랩의 회전시 테이블(1)의 저면측에 비닐랩이 접촉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끼움관(23)은 그 축방향으로 다수(통상 4개정도) 절개시켜 다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그 외경크기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닐랩지관(5)과의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끼움관(23)에는 그 외주면의 중단부에 다수의 쇄기돌턱(23-1)이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그 내주면의 중단부에 신축안내홈(23-2)이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쇄기돌턱(23-1)은 그 단면이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면서 끼움관(23)의 외경이 증대되면 비닐랩지관(5)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비닐랩지관으로부터 끼움관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베어링블록(26)은 제1베어링블록(25)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거치축(30)에 끼워지되, 한쌍의 스토퍼링(22)에 의해 거치축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조절판(27)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베어링블록(26)의 외주면에 회전지지되도록 조립되는데, 그 외주면이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면서 끼움관(23)의 신축안내홈(23-2)에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거치축(30)이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면 신축조절판(27)은 신축안내홈(23-2)을 따라 전후이동하게 되는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끼움관(23)의 외경을 늘리게 된다.
이때, 신축조절판(27)의 작용으로 끼움관(23)의 외경이 증대되면서 쇄기돌턱(23-1)이 비닐랩지관(5)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로써 끼움관이 비닐랩지관의 내주면에 더욱 견고하게 끼워지게 된다.
또한, 웨이트(21)는 제1베어링블록(25)의 외주면에 끼워지되 끼움관(23)에 내장되도록 구비되는데, 비닐랩지관(5)에 권취되는 비닐랩(10)의 사용으로 자체중량이 감소되어도 비닐랩의 중량을 보상할 수 있도록 충분한 중량을 갖게 되며, 이로써 사용소비로 인한 비닐랩 자체의 중량감소를 보상하여 비닐랩의 풀림시 중량감소로 인한 상하요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토퍼너트(28)는 제1베어링블록(25)의 각 외측단면에 고정 부착되면서 스토퍼캡(29)의 외주면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스토퍼캡(29)은 거치축(30)의 각 외측단에 고정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스토퍼캡(29)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결합상태로 삽입되는 스토퍼너트(28)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방향에 따라 거치축(3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지지와이어(20)는 그 하단이 스토퍼캡(29)의 외주면에 각각 연결되면서 그 상단을 테이블(1)의 저면측에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거치축(30)이 지지와이어(20)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안내판(24)이 각각 비닐랩지관(5)의 양단면에 밀착되도록 비닐랩지관(5)의 양측 내주면에 끼움관(23)을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토퍼나사(28)와 나사결합되는 스토퍼캡(29)을 잡고서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거치축(30)이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신축조절판(27)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신축조절판(27)의 외주면중 경사면이 신축안내홈(23-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끼움관(23)의 외경을 늘리게 되고, 이에 따라 쇄기돌턱(23-1)이 비닐랩지관(5)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끼움관을 비닐랩지관의 내주면에 더욱 밀착시키어 사용중 이탈되는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스토퍼캡(29)을 역회전시켜 신축조절판(27)을 원위치시키게 되면 끼움관(23)의 외경이 줄어들면서 비닐랩지관(5)의 내주면에 대한 쇄기돌턱(23-1)의 밀착상태를 완화시킴으로써 비닐랩지관으로부터 끼움관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비닐랩지관(5)에 권취되어 있는 비닐랩(10)을 위로 잡아당기어 풀게 되면 베어링블록(25)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안내판(24)이 비닐랩지관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비닐랩(10)의 사용으로 비닐랩의 자체 중량이 감소되어도 웨이트(21)의 중량에 의해 비닐랩의 풀림시 비닐랩지관(5)의 상하요동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닐랩(10)의 폭에 관계없이 거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닐랩의 중량감소에 의해 비닐랩의 풀림 발생될 수 있는 상하요동을 중량의 웨이트(21)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비닐랩지관과의 탈장착이 용이한 동시에 사용중 비닐랩지관으로부터의 이탈을 완변하게 방지할 수 있고, 비닐랩의 폭에 관계없이 거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권취상태의 비닐랩을 풀 때 상하요동을 방지하도록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비닐랩지관(5)에 권취된 비닐랩(10)을 테이블(1)의 저면측에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닐랩 거치장치에 있어서, 그 외측단에 각각 스토퍼캡(29)이 고정 결합되는 거치축(30)과; 상기 거치축(30)의 중단부에 제1베어링블록(2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비닐랩지관(5)의 양단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안내판(24)과; 상기 비닐랩지관(5)의 내주면 양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안내판(24)의 내측면에 구비하되, 그 외경의 신축을 위해 다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 다수의 쇄기돌턱(23-1)이 구비되면서 그 내주면에 신축안내홈(23-2)이 구비되는 끼움관(23)과; 상기 제1베어링블록(25)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치축(30)에 결합되는 제2베어링블록(26)에 의해 지지되고, 거치축(30)의 이동에 따라 그 외주면이 상기 신축안내홈(23-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끼움관(23)의 외경을 신축하도록 구비되는 신축조절판(27)과; 상기 제1베어링블록(25)의 외주면에 장착하되, 상기 끼움관(23)에 내장되도록 구비하여 비닐랩지관(5)의 중량을 유지하는 웨이트(21)와; 상기 제1베어링블록(25)의 외측단면에 각각 고정 구비되면서 상기 스토퍼캡(29)과 나사결합되어 스토퍼캡(29)의 회전방향에 따라 거치축(3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스토퍼너트(28)와; 그 하단이 상기 회전안내판(24)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거치축(30)에 거치되면서 그 상단이 상기 테이블(1)의 저면측에 고정되는 지지와이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랩 거치장치.
KR20-2003-0038304U 2003-12-09 2003-12-09 비닐랩 거치장치 KR200343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04U KR200343740Y1 (ko) 2003-12-09 2003-12-09 비닐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04U KR200343740Y1 (ko) 2003-12-09 2003-12-09 비닐랩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740Y1 true KR200343740Y1 (ko) 2004-03-09

Family

ID=4934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304U KR200343740Y1 (ko) 2003-12-09 2003-12-09 비닐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7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04B1 (ko) * 2012-09-12 2014-05-14 원영식 스프링클러용 수해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04B1 (ko) * 2012-09-12 2014-05-14 원영식 스프링클러용 수해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1294630E (pt) Veio de enrolador e enrolador para enrolamento de uma banda de papel
CA2598101A1 (en) Hand dispenser for stretch wrap
RU2010112770A (ru) Намо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линиях по изготовлению полимерной пленки, в частности растяжимой полимерной пленки, и способ намотки рулонов из полимерной пленки
KR200343740Y1 (ko) 비닐랩 거치장치
WO2018087183A1 (fr) Enrouleur-derouleur de tuyau
FI76980B (fi) Anordning foer att slao in en artikel med en toejbar plastfilm.
KR200345242Y1 (ko) 비닐랩 거치장치
WO2007034491A3 (en) Device for winding tapes
US20050230057A1 (en) Hand tool for holding a tape spool
FR2520600A2 (f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positifs protecteurs permettent d&#39;effectuer une permanente uniquement au voisinage de la racine d&#39;un cheveu
EP1765706B1 (fr) Dispositif de maintien d&#39;un fil au sein d&#39;un bobinoir
CA2197402C (fr) Broche inserable dans le mandrin d&#39;une bobine de materiau en bande et machine a enrouler et/ou derouler comportant de telles broches
KR102168752B1 (ko) 합성수지재 랩 권취용 롤러 홀더
CA1300184C (en) Stretching means for braking a web of plastic sheet which is pulled offa reel
KR200337770Y1 (ko) 비닐랩 거치장치
WO2001061230A3 (en) Fabrication of hoses or other elongated articles
CA1023720A (en) Textile yarn support
FR2533902A1 (fr) Bobine de ruban correcteur pour machine a ecrire
GB2297577A (en) Holding Device
DK1514800T3 (da) Vikleapparat til bevikling af en palleteret last med tyndt dækbånd
FR1389654A (fr)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retenue pour freins à tambour de cycles ou motocycles et analogues
BR0005947A (pt) Método e aparelho para armazenar material de tira
KR200343710Y1 (ko) 비닐랩 거치장치
KR200433695Y1 (ko) 랩 포장기
JP6773262B2 (ja) 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