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70Y1 -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 Google Patents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70Y1
KR200343670Y1 KR20-2003-0037027U KR20030037027U KR200343670Y1 KR 200343670 Y1 KR200343670 Y1 KR 200343670Y1 KR 20030037027 U KR20030037027 U KR 20030037027U KR 200343670 Y1 KR200343670 Y1 KR 200343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sub
mug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식
Original Assignee
김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식 filed Critical 김화식
Priority to KR20-2003-0037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에 의하면; 컵 본체(20)의 상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내벽면에는 나사(42)가 마련되고 바닥면(43)에는 음료 유출구(44L)(44R)가 천공된 메인-캡(40)과; 이 메인-캡(40)의 나사(42)에 상호 이물림 결합되게 외주에 나사(51)가 이루어져 메인-캡(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캡(40)의 바닥면(43)과 대향되도록 저부에 바닥면(52)이 마련된 서브-캡(50)과; 이 서브-캡(50)의 잠금 시 메인-캡(40)의 바닥면(43)에 밀착되도록 서브-캡(50)의 바닥면(52)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마련된 패킹(60)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캡(40)의 음료 유출구(44L)(44R)가 링 형태의 패킹(60)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밀폐됨으로써, 컵 본체(20)에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을 담아 가방에 담고 다니거나 눕혀 놓아도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서브-캡(50)만을 개방하여도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은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중 진동에도 음료를 흘리지 않고 마실 수 있다. 반면에, 죽이나 밥과 같은 내용물이 담겨진 경우는 메인-컵(40)을 개방하면 이를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머그컵을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메인-캡(40)과 서브-캡(50)이 완전하게 잠긴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아 제품 신뢰성 역시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MUG CUP WITH DOUBLE CAP}
본 고안은 머그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그컵 본체의 개방부를덮도록 결합되어 담겨진 내용물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유출되지 않도록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그컵은 내통과 외통의 이중구조로 제작되어, 머그컵에 담겨진 내용물(음료수)을 보냉 또는 보온 상태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머그컵 본체의 상부를 덮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머그컵용 뚜껑이 실용신안등록출원되어 등록(출원번호 20-1997-0010899호, 등록번호 20-0145563호)되어 있다.
등록번호 20-0145563호에 개시된 종래 머그컵용 뚜껑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그컵 본체(1)의 상부에 결합구(2)를 설치하고 이 결합구(2)에 개폐 가능한 뚜껑을 설치함에 있어서, 뚜껑체(3)의 전방에 요부(6)를 가진 가이드(5)와 유출공(7)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걸림부(9)를 형성한 양방향 탄력편(8)과 가이드홈(10)을 형성하며, 뚜껑체(3)의 상부에는 가이드(12)와 상기 탄력편(8)의 제어를 받는 한 쌍의 래크(13)가 저면에 형성되고 돌출턱(15)을 가진 개폐구(11)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뚜껑체(3)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구(11)를 레크(13)와 탄력편(8)의 다단탄력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키며, 차량의 운행 중에도 머그컵 본체(1)내에 담겨진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머그컵용 뚜껑 구조에서는 머그컵 본체(1)가 반듯하게 세워진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지만, 눕혀진 경우에는 유출공(7)과 개폐구(11) 사이 틈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올 염려가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머그컵을 가방 등에 편안하게 넣고 다닐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손쉽게 개방하여 머그컵에 담겨진 내용물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에 천공된 유출구를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는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머그컵용 뚜껑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종래 머그컵의 뚜껑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인-캡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서브-캡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측단면도로, 메인-캡 및 서브-캡의 잠긴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컵 본체 30..캡
40..메인-캡 43.바닥면
44L,44R..음료 유출구 46..구배면
50..서브-캡 52..바닥면
60..패킹 61..걸림홈
62..밀착돌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컵 본체와; 이 컵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에 있어서;
이중캡은; 컵 본체의 상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내벽면에는 나사가 마련되고 바닥면에는 음료 유출구가 천공된 메인-캡과; 이 메인-캡의 나사에 상호 이물림 결합되게 외주에 나사가 이루어져 메인-캡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캡의 바닥면과 대향되도록 저부에 바닥면이 마련된 서브-캡과; 이 서브-캡의 잠금 시 메인-캡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서브-캡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마련된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브-캡의 바닥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패킹에는 걸림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내주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킹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메인-캡의 바닥면과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이중 단열용기로 제작된 컵 본체(20)와, 이 컵 본체(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이중캡(30)을 갖추고 있다.
컵 본체(20)는 외통(21)과 내통(22)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유지되도록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며, 이 틈새가 진공 처리되어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컵 본체(20)의 직경은 차량용 컵홀더 등에 여유 있게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 본체(20)의 개방부 내측에는 이중캡(30)과의 결합을 위해 암나사(23)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서, 이중캡(30)은 컵 본체(20)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중캡(30)은 컵 본체(20)의 상부, 즉 개방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바닥면(43)에 음료 유출구(44L)(44R)가 천공된 메인-캡(40)과, 이 메인-캡(40)의 상부에 또다시 착탈 가능하게 덮는 서브-캡(50)과, 이 서브-캡(50)의 저부에 마련되어 음료 유출구(44L)(44R)를 밀폐하는 링 형태의 패킹(60)을 포함하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캡(4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본체(20)의 개방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메인-캡(40)의 외주 벽면에는 수나사(41)가 마련된다. 또한, 메인-캡(40)의 바닥면(43)에는 한 쌍의 음료 유출구(44L)(44R)가 가장자리 부위에 대향되게 천공되며, 메인-캡(40)의 내부 벽면에도 나사(42)가 형성된다. 메인-캡(40)의 내부 나사(42)는 서브-캡(50)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음료 유출구(44L)(44R)들은 메인-캡(40)을 통해서도 내용물(음료수)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음료 유출구(44L)(44R)들을 메인-캡(40)의 바닥면(43)에 중앙을 기점으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천공하였다. 또한, 메인-캡(40)의 내벽 상단부는 음료를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구배면(46)으로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 "45 "는 메인-캡(40)의 하단부에 배치된 오링이다.
그리고 서브-캡(50)은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캡(40)의 상부에 이물림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외주에 나사(51)가 마련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도 메인-캡(40)의 바닥면(43)과 대향되게 바닥면(52)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브-캡(50)의 외주 나사(51)와 메인-캡(40)의 내부 나사(42)와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메인-캡(40)의 상부에 서브-캡(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서브-캡(50)을 180도정도 회전시키면, 상부-캡(40)에 완전하게 잠김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링 형태의 패킹(60)은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서브-캡(50)의 바닥면(52)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어서, 서브-캡(50)의 잠금 시 메인-캡(40)의 바닥면(43)과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링 형태의 패킹(60)은 실리콘을 통해 사출 성형되는데, 이의 고정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브-캡(50)의 바닥면(52)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53)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링 형태의 패킹(60)에는 걸림부(5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내주를 따라 걸림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 형태의 패킹(60)이 서브-캡(50)의 바닥면(52)에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이탈되지 않고 견실하게 조립된다.
또한, 이러한 패킹(60)의 저면에는 메인-캡(40)의 바닥면(43)에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는 밀착돌기(62)가 외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밀착돌기(62)는 패킹(6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서브-캡(50)을 잠그면 메인-캡(40)의 바닥면(43) 가장자리에 밀착되며 이것에 의해 내용물이 새는 것을 보다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머그컵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컵 본체(20)내에 내용물(음료수 등)을 넣고 메인-캡(40)을 돌려서 잠근다. 이때, 메인-캡(40)은 암나사(23)와 수나사(41)의 이물림 방식으로 견실하게잠긴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캡(40)의 상부에 또다시 서브-캡(50)을 잠그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본체(20)의 개방부는 완전하게 밀폐된다. 서브-캡(50) 역시 내벽 나사(42)와 외주 나사(51)의 상호 이물림 방식으로 용이하면서도 견실하게 잠긴다.
이 때, 서브-캡(50)은 180도 정도 회전시키면 완전하게 잠기는데, 서브-캡(40)이 완전하게 잠김과 동시에 패킹(60)은 메인-캡(40)의 바닥면(43)과 밀착되면서 서브-캡(50)의 바닥면(52)이 음료 유출구(44L)(44R)들을 완전하게 덮는다.
즉, 밀착돌기(62)가 탄성 변형되면서 패킹(60)의 저면이 메인-캡(40)의 바닥면(43)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컵 본체(20)에 담겨진 음료수가 새어 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머그 컵을 가방에 넣고 다니거나 눕혀 놓아도 음료수가 새어 나오지 않고 장시간 보온 또는 보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료를 취식하기 위해 서브-캡(5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열면, 음료 유출구(44L)(44R)를 통해 컵 본체(20)에 담겨진 음료수를 취식할 수 있다. 즉, 서브-캡(50)만 열고 메인-캡(40)은 그대로 잠겨진 상태에서도 컵-본체(20)를 일측으로 기울이면 이에 담겨진 음료수는 일측 음료 유출구(44L 또는 44R)를 통해 나온다.
이 때, 반대편 음료 유출구(44L 또는 44R)는 공기 통로 기능을 수행하여 음료가 보다 원활하게 빠져 나온다. 또한, 음료 유출구(44L)(44R)가 대칭되게 한 쌍으로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양방향으로 음료를 취식할 수 있다.
한편, 컵 본체(20)에 음료수를 담아 취식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메인-캡(40)을 개방한 후 컵 본체(20)에 죽이나 밥 등을 직접 넣으면, 머그컵을 보온 도시락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본체(20)에 담겨진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메인-캡(40)을 회전시켜 열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머그컵의 이중캡에 의하면, 메인-캡의 음료 유출구가 링 형태의 패킹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밀폐됨으로써, 컵 본체에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을 담아 가방에 담고 다니거나 눕혀 놓아도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서브-캡만을 개방하여도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은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고, 차량 운행 중 진동에도 음료를 흘리지 않고 마실 수 있다. 반면에, 죽이나 밥과 같은 내용물이 담겨진 경우는 메인-컵을 개방하면 이를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머그컵을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메인-캡과 서브-캡이 완전하게 잠긴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새어 나오지 않아 제품 신뢰성 역시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컵 본체(20)와; 상기 컵 본체(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이중캡(30)을 갖춘 머그컵에 있어서;
    상기 이중캡(30)은;
    상기 컵 본체(20)의 상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내벽면에는 나사(42)가 마련되고 바닥면(43)에는 음료 유출구(44L)(44R)가 천공된 메인-캡(40)과;
    상기 메인-캡(40)의 나사(42)에 상호 이물림 결합되게 외주에 나사(51)가 이루어져 상기 메인-캡(4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캡(40)의 바닥면(43)과 대향되도록 저부에 바닥면()이 마련된 서브-캡(50)과;
    상기 서브-캡(50)의 잠금 시 상기 메인-캡(40)의 바닥면(43)에 밀착되도록 상기 서브-캡(50)의 바닥면(52)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마련된 패킹(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캡(50)의 바닥면(52)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53)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패킹(60)에는 상기 걸림부(53)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내주를 따라 걸림홈(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6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캡(40)의 바닥면(43)과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는 밀착돌기(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KR20-2003-0037027U 2003-11-27 2003-11-27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KR200343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27U KR200343670Y1 (ko) 2003-11-27 2003-11-27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027U KR200343670Y1 (ko) 2003-11-27 2003-11-27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670Y1 true KR200343670Y1 (ko) 2004-03-05

Family

ID=4942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027U KR200343670Y1 (ko) 2003-11-27 2003-11-27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9176C (en) Cap for a receptacle such as a bottle
US7975868B1 (en) Compartmentalized beverage container
US6736295B2 (en) High flow carafe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4238045A (en) Lip openable closure for containers
JP2017159957A (ja) 飲料容器及びその関連方法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10244214A1 (en) Lid Having a Water-Tight Storage Compartment
CN108528974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US3245565A (en) Container for foods or the like
AU2017226173A1 (en) Shaker
KR200343670Y1 (ko)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JP7445794B2 (ja) 蓋付き容器
US20230219720A1 (en) Lid assembly for beverage container
US20200367678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GB2267693A (en) Stopper usable as container
KR200341276Y1 (ko)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KR200329361Y1 (ko) 캡을 갖춘 머그컵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349805Y1 (ko) 머그컵의 이중캡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