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650Y1 - 화물차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650Y1
KR200343650Y1 KR20-2003-0036252U KR20030036252U KR200343650Y1 KR 200343650 Y1 KR200343650 Y1 KR 200343650Y1 KR 20030036252 U KR20030036252 U KR 20030036252U KR 200343650 Y1 KR200343650 Y1 KR 200343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x
loading
door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수
Original Assignee
황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수 filed Critical 황재수
Priority to KR20-2003-0036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화물차용 적재함(1)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다단의 선반(30)과 칸막이를 설치구성하고, 지붕위에는 가장자리에 높이가 낮은 난간(8)을 설치하며, 적재함(1) 양측면은 각각이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한 다수의 도어(2)와 측면커버(3)로 구성하고, 후면(5)은 망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사다리(9)를 설치구성하며, 상기 도어골조(2a)와 측면커버골조(3a)에 가는 금속선재 또는 철망을 설치구성하여 도어를 열지않고도 외부에서 볼때 적재함(1) 내부가 보이면서 경량화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적재함의 중량을 경량화시키기 위해 적재함의 외부골조를 비롯하여 도어의 골조등을 내부가 빈 사각파이프 또는 원형파이프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상하부에 구성된 다수의 선반에는 수지 또는 목재나 금속으로 된 경량판재로 된 깔판을 재단하여 깔며, 칸막이 부분과 도어, 그리고 적재함의 하부에 위치한 측면커버는 사각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 즉, 골조외에 힘을 덜 받는 부분은 내부의 상품이 원활하게 보이면서도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가늘게 형성된 금속선재 또는 망체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차량운행중 적재함이 흔들리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차량적재함의 바닥프레임과 적재함을 와이어 등의 견인줄을 이용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적재함의 코너부마다 와이어를 연결고정시킴으로서 마치 화물차에 화물을 싣고 묶은 것과같은 효과가 발휘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적재함을 박스형태로 형성하되, 골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가는 철선이나 망체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서 적재함의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적재함 내부에 다단으로 선반과 칸막이를 설치구성하되 도어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성하였음으로 각종 상품이나 화물 등등의 적재물품이 적재와 동시에 전시가 이루어질수 있으며, 더불어 적재물품의 상하차시 상품의 종류, 크기, 성질 등등에 따라 미리 구분하여 상하차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상품을 적재 운송할 수 있으면서 적재물품의 상하차 또한 매우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화물차용 적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적재함{The carrying box for a freight car}
본 고안은 화물차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적재함을 구성함에 있어서 적재함 동체를 탑차형식으로 구성하되, 내부에는 상하로 다수의 선반과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칸막이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바라볼때 도어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적재물품의 확인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적재물품이 적재와 동시에 자연적으로 전시되게 하며, 또, 각종 물품의 상하차가 매우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은 각종 상품, 물품, 화물 등등의 적재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은 양 측면 및 후면의 커버가개폐되게끔 구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양측면 및 후면의 커버는 적재물품의 원활한 상하차를 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화물차를 이용하는 목적과 화물의 성질에 따라 박스형태(탑차)로 적재함을 개조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는 화물운반의 안전성과 화물보호, 그리고 주행중 화물의 낙하를 예방할 수 있어 화물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에 근자에는 국가적 또는 사회적으로 탑차이용을 권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 및 후면커버의 높이가 낮고 상부가 개방된 화물차의 적재함이나 박스형태로 형성된 탑차의 경우 그 나름대로 이점은 있으나, 여러 종류의 화물을 이송운반하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화물을 하차시키거나 상차하고자 할 때 특정의 상품 또는 물품 등의 적재물품을 꺼내기 위해 간혹 전체물품을 하차시킨후 꺼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따르기도 하며, 더불어 적재함에 실려있는 상품의 수량과 상품의 종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다녀야만 함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시간과 인력이 과다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
또한, 적재된 상태에서는 상품 또는 물품 등의 적재물품을 확인하기 곤란하여 운전자 또는 취급자가 아니면 적재물품을 알 수 없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적재된 물품을 일률적으로 보면서 선택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한 폐단이 따랐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적재함 또는 탑차는 여러종류의 적재물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적재할 수 없었으며, 또, 대부분이 밑에서부터 위로 차곡차곡 쌓아나갈 수 밖에 없었으므로 많은 량의 적재가 어려움은 물론,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바닥에 깔린 적재물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부에 쌓인 적재물품을 모두 들어낸 뒤 꺼내야 함으로서 매우 힘이 많이 들고 시간과 인력이 과다소요되며 번거로운 폐단이 따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적재물품을 적재하게 되면, 충격 및 하중에 약한 물품 등은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폐단이 따르게 되며, 이와 같은 문제점은 상부가 개방된 일반적재함의 경우 더욱 더 심하다.
또, 일반적재함의 경우는 적재물품을 실은 뒤 운행의 안정성과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고무로 된 로프로 적재물품을 묶어주어야만 함으로서, 적재물품을 상하차할 때마다 로프를 풀거나 묶는 작업을 반복해야 함으로서 더욱 더 힘이 많이 들고 시간 및 인력이 과다소요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적재함 및 탑차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적재함을 탑차형식으로 구성하되, 적재함의 중량이 최소화되게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하고, 외부에서 볼 때 내부가 들여다보이도록 구성하여 적재와 동시에 물품의 전시가 이루어지게 하며, 상품 또는 물건을 종류별로 선별 적재할 수 있게 하여 필요로 하는 적재물품만을 손쉽게 상하차시킬 수 있게 하고, 보다 많은 물량을 안정적으로 적재이송할 수 있으면서 상하차시 인력과 시간절감효과가 두드러지는 화물차용 적재함을 제공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측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면예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예시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로서 도어부분을 나타낸 것임.
화물차용 적재함(1)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다단의 선반(30)과 칸막이를 설치구성하고, 지붕위에는 가장자리에 높이가 낮은 난간(8)을 설치하며, 적재함(1) 양측면을 각각이 개폐가능한 다수의 도어(2)와 측면커버(3)로 구성하고, 후면(5)은 내부가 보이도록 망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지붕위에 물품의 상하차가 가능하도록 사다리(9)를 설치구성하며, 상기 도어골조(2a)와 측면커버골조(3a)에 가는 금속선재 또는 철망을 설치구성하여 어느곳에서 바라보더라도 적재함(1) 내부가 보이면서 경량화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적재함(1)은, 적재함의 외곽틀을 구성하는 외부골조(1a)를 비롯하여 선반(30)을 좌우로 구분시켜 주는 중앙부골조(1a'), 그리고 선반(30)을 구성하는 다단의 선반골조(1b), 선반(30)의 칸을 형성하는 칸막이골조(1c), 적재함(1) 양측면에 설치되며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골조(2a), 적재함(1) 양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반 화물차의 적재함 측면커버와 같은 구성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한 측면커버골조(3a) 등을 사각(또는 원형)파이프를 이용하여 용접시켜 형성한다.
다단의 선반골조(1b) 위에는 수지 또는 목재나 얇은 금속판재 등등의 경량판재로 된 깔판(4)을 재단하여 깔아 고정시킴으로서 작은 물품이나 부품등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도어골조(2a)에 가는 금속선재로 된 문살(21)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하여 도어(2)를 형성하며, 측면커버골조(3a)와 후면(5)은 철망등을 설치함으로서 각각 측면커버(3)와 후면(5)의 보호망이 구성되게 함으로서, 적재함의 중량이 가급적 최소화되게 함과 동시에 도어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볼때 내부에적재된 물품이 보이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도어(2)는 다수쌍으로 구성하여 적재함(1)의 양측면 전체가 도어로 구성되게 하되,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도어지지골조(1a")에 경첩(6)으로 연결설치하며, 두짝이 한쌍을 이루게끔 3쌍을 형성하여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하였다.
측면커버(3)는 통상의 적재함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시켰을 때 체인(7)에 의해 수평으로 지탱되어 각종 물품을 올려놓거나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지붕 위에는 가장자리에 난간(8)을 설치하되, 상기 난간(8)은 사각(또는 원형)파이프로 된 골조(8a)와 철망(8')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후면에는 상기 지붕위로 적재물을 상하차하기 쉽도록 사다리(9)를 설치하였다.
또, 상기 적재함(1)은 화물차의 바닥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도록 일체로 구성하되, 운행중 흔들리거나 쏠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재함(1)의 상단 코너부와 화물차의 바닥프레임(10) 및 정면프레임(10')을 와이어(11)로서 연결설치하여 적재함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고정되게 하였다.
미설명부호 12는 도어개폐용 잠금장치이고, 12'는 잠금지주봉이며 12"는 잠금고리, 20은 적재물품, 31은 측면커버 괘정및 해정용 잠금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적재함의 중량을 가볍게 형성함으로서, 보다 많은 량의 적재물품을 적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운행에도 전혀 무리가 따르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적재함을 구성함에 있어서 힘을 받는 부분은 사각(또는 원형)파이프로 구성하고, 그 외의 부분은 철망 또는 가는 철선 등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적재함의 중량이 부피에 비하여 상당히 경량화되었다는 것이며, 따라서 많은 양의 적재물품을 안정적으로 적재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적재함 내부에 상하 다단으로 사각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선반골조(1b)를 설치구성하고, 상기 선반골조(1b)위에 경량판재로 된 깔판(4)을 깔아 선반을 구성하며, 또, 상기 선반은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상하 높이를 다양하게 구성하되, 가급적 부피가 크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물품이 하부에 적재될 수 있도록 선반 공간을 하부는 크고 상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선반은 적재함(1)의 중앙부골조(1a')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분되게끔 구성하였으므로 물품적재시 보다 더 원활하게 선별적재할 수 있고, 적재함(1)의 양측면에 설치 구성된 다수의 도어(2)는 가는 선재로 된 문살(21)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였으므로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적재함 내부가 보이게 되며, 이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된 다양한 물품을 외부에서도 손쉽게 확인하여 주문할 수 있고, 또, 선택된 물품을 꺼내고자 할 때도 도어(2)를 열고 선반으로부터 원하는 물품을 그대로 꺼내면 됨으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적재함(1)의 바닥부분에 적재된 물품을 꺼내려 할 때나 또는 적재함 상측의 높은 곳에 위치한 물품을 꺼내려 할 때는 측면커버(3)를 개방시켜 체인(7)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게 한 상태에서 적재함(1) 하부에 적재된 물품은 그대로 꺼내면 되고, 적재함 상부의 높은 위치의 선반에 적재된 물품은 측면커버(3)를 발판삼아밟고 올라가 꺼내면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선택된 물품을 꺼낼수 있게 되는 것이며, 반대로 물품을 적재하고자 할 때도 매우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양측면 전체에 설치된 도어(2)와 측면커버(3), 그리고 후면(5)의 보호망 등이 가는철선이나 철망으로 형성된 것이기에 선반에 적재된 각종 적재물품을 도어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적재와 동시에 진열 및 전시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르게 되며, 더불어 다단 구성된 선반의 구획된 공간내에 물품이 적재되어 있게 됨으로서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물품이 손상될 염려가 극히 적고, 요동이나 진동에 의한 물품의 손상 또한 극히 적어 안정적으로 각종 물품의 이송 운반 및 전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선택된 물품을 상하차시킬 때 적은 인력으로 매우 신속간편하게 상하차시킬 수 있는 이점이 따르게 되고, 다단 구성된 선반에 의해 보다 많은 물량의 적재물품을 실을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함의 상단 코너부에 와이어(11)를 연결고정시켜 와이어(11)의 끝단을 화물차량의 바닥프레임(10)과 정면프레임(10')에 견고하게 연결고정시켰으므로 차량운행시 적재함의 요동이나 쏠림, 변형등이 예방되며, 더불어 안전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와이어(11)는 적재함을 고정시키는 로프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는 곧 적재함이 화물차량의 바닥프레임과 견고하게 일체화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적재함의 보호와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다단 구성된 선반을 비롯하여 도어의 크기나 갯수 등은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선반의 상하간격의 변화나 도어의 크기및 갯수의 변화 등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으며, 더불어 도어를 괘정 및 해정시키는 수단이나 측면커버의 괘정및 해정수단은 다양하게 변화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나 변형 역시 본고안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또, 도어(2)를 구성하는 문살(21)대신에 철망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에서 철망으로 구성된 부분을 가는철선등을 이용하여 살대형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어 이러한 변형역시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재함은 크기와 모양이 같거나 다른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적재와 동시에 진열 및 전시할 수 있고, 각종 물품의 상하차가 매우 편리하며, 상하차시 힘이 적게 듦과 동시에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인력절감과 시간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적재함의 중량이 가벼워 보다 많은 량의 적재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어 이송 운반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화물차용 적재함(1)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다단의 선반(30)과 칸막이를 구성하고, 지붕위에는 가장자리에 높이가 낮은 난간(8)을 설치하며, 적재함(1) 양측면을 다수의 도어(2)와 측면커버(3)로 구성하고, 후면(5)은 망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사다리(9)를 설치구성하며, 상기 도어(2)의 골조(2a)와 측면커버(3)의 골조(3a)에 가는 금속선재 또는 철망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도어(2)와 측면커버(3)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적재함(1) 내부에 적재 및 진열된 물품이 보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함의 틀을 형성하는 외부골조(1a)를 비롯하여 선반을 좌우로 구분시켜 주는 중앙부골조(1a'), 각종 물품을 적재 및 진열할 수 있도록 된 다단의 선반골조(1b), 선반을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형성하는 칸막이골조(1c), 적재함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도어골조(2a)및 도어지지골조(1a"), 적재함의 양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측면커버골조(3a)를 사각(또는 원형)파이프 등을 용접시켜 형성하고,
    다단의 선반골조(1b) 위에는 수지 또는 목재나 얇은 금속판재 등등의 경량판재로 된 깔판(4)을 재단하여 설치하며,
    상기 도어골조(2a)에는 가는 금속선재로 된 문살(21)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하여 도어(2)를 형성하고,
    측면커버골조(3a)와 후면(5)은 철망 등을 설치함으로서 각각 측면커버(3)와 후면(5)의 보호망이 구성되게 함으로서, 적재함의 중량을 경량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3. 제1항에 있어서,
    적재함(1)의 상단 코너부와 화물차의 바닥프레임(10) 및 정면프레임(10')을와이어(11)로서 연결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용 적재함.
KR20-2003-0036252U 2003-11-20 2003-11-20 화물차용 적재함 KR200343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52U KR200343650Y1 (ko) 2003-11-20 2003-11-20 화물차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52U KR200343650Y1 (ko) 2003-11-20 2003-11-20 화물차용 적재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573A Division KR20040064593A (ko) 2003-11-20 2003-11-20 화물차용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650Y1 true KR200343650Y1 (ko) 2004-03-05

Family

ID=494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252U KR200343650Y1 (ko) 2003-11-20 2003-11-20 화물차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39B1 (ko) * 2008-01-14 2010-06-17 중앙알칸(주) 화물차 적재용 파렛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39B1 (ko) * 2008-01-14 2010-06-17 중앙알칸(주) 화물차 적재용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36B1 (en)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US3386600A (en) Demountable shipping gondolas
KR100744815B1 (ko)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EP1189815B1 (en) Collapsible container
US7275902B1 (en) Gas cylinder delivery system
US5593201A (en) Truck tool organizer system
KR102023250B1 (ko)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EP1670662B1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goods
US4592585A (en) Semitrailer and method of loading the same
US6604897B2 (en) Vinyl siding transport rack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343650Y1 (ko) 화물차용 적재함
US11661235B2 (en)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top wall assembly and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having a top wall assembly
WO2008140416A1 (en) A transport and/or storage container
EP2397423B1 (en) Container system for bulk material
WO1993003981A1 (en) Transporting goods
KR20040064593A (ko) 화물차용 적재함
KR102352000B1 (ko) 화물 차량용 적재박스
US20220055675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transferring, and/or storing goods
US4750859A (en) Method of loading a semitrailer
KR200427799Y1 (ko) 선적용 승용차 컨테이너
JPS61115744A (ja) 乗用自動車の輸送方法
KR200365312Y1 (ko) 차량 적재함 커버
AU2021107137A4 (en) Bulker container
JP3423583B2 (ja) 輸送荷物の荷積み台
EP3494071B1 (en) Collapsible container, method of folding a container, method of unfolding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