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427Y1 -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427Y1
KR200343427Y1 KR20-2003-0039265U KR20030039265U KR200343427Y1 KR 200343427 Y1 KR200343427 Y1 KR 200343427Y1 KR 20030039265 U KR20030039265 U KR 20030039265U KR 200343427 Y1 KR200343427 Y1 KR 200343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ner cylinder
inlet
diame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Priority to KR20-2003-0039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용이하게 옮겨 담을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1)은, 뚜껑(12)을 구비하는 외통(10); 상기 외통(10) 속에 투입되어 음식물쓰레기(2)가 담겨지고, 투입된 음식물쓰레기(2)의 물기가 배수되는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을 변형시켜 눌러 짬으로써 담겨진 음식물쓰레기(2)에서 물기를 짜낼 수 있도록 유연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내통(20); 및 상기 내통(20)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2)를 쓰레기봉투(3)에 옮겨 담는 것에 사용되는 깔때기(3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깔때기(30)는 상기 내통(20)의 입구(2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대직경입구(31)와 쓰레기봉투(3)의 입구(3A)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소직경출구(32)를 가진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Garbage Can}
(기술분야)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용이하게 옮겨 담을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젖은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할 경우, 침출수로 인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이 우려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각종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이런 이유로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처리가 점차 금지되고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다른 쓰레기들과의 분리하여 수거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일반가정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는 방식은, 개인용 음식물쓰레기봉투를 사용하는 방식과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전자의 음식물쓰레기봉투 사용방식은, 단독주택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유료로 판매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봉투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거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각 세대별로 배부된 작은 개인용 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에 넣어정해진 요일에 문전에 배출하는 방식이다.
후자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사용방식은, 대단위 공동주택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쓰레기봉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단지별로 배치된 대형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에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음식물을 투입하여 배출하는 방식이다.
음식물쓰레기를 분리 수거함에 있어서는 몇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그 불편함의 하나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번잡스럽다는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를 분리수거하고 처리함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에 가능한 물기가 없는 것이 그 운반과 처리에 바람직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물기를 제거할 것이 권장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쓰레기봉투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에 버리기 전에 음식물쓰레기를 손으로 짜거나 망사나 체를 사용하여 물기를 없애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를 직접 손으로 만지는 것이 거북스럽기도 하고 물기 제거가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또 다른 불편함은, 음식물쓰레기봉투를 사용하는 것에 따른 불편이다. 상기 후자의 공용음식물쓰레기수거용기 사용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대형의 수거용기에 투입하는 것이므로 문제가 없지만, 전자의 음식물쓰레기봉투 사용방법은 봉투의 규격이 작기 때문에 봉투 안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예를 들어 2ℓ 규격의 봉투의 경우, 쓰레기를 투입하기 좋게 원형으로 입구를 벌렸을 때에도 입구의 직경이 약 12cm(높이 약 20cm)로 매우 작기 때문에, 작은 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흘리지 않고 집어넣은 일이 매우 불편하다(3ℓ 규격봉투 - 직경 약 14cm, 높이 약 23cm; 5ℓ 규격봉투 - 직경 약 16.5cm, 높이 약 28cm).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봉투의 규격을 크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규격이 커진 봉투의 용량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고려하기 힘들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 가정에서의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에 관련하여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싱크대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는 곳에 인접하여 비치하여 사용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으로서, 싱크대에 모여진 음식물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담긴 음식물쓰레기에서 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봉투에 쉽게 옮겨 담을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5와 도6은 깔때기를 사용하여 쓰레기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쓰레기통 2: 음식물쓰레기
3: 음식물쓰레기봉투 10: 외통
11: 입구 12; 뚜껑
13: 손잡이 14: 턱
20: 내통 21: 배수공
22: 입구 23: 턱
30: 깔때기 31: 대직경입구
32: 소직경출구 40: 두들김대
50: 물받이통
본 고안에 따라, 외통, 내통 및 깔때기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상기 외통은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이다.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 속에 투입되어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고,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물기가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을 변형시켜 눌러 짬으로써 담겨진 음식물쓰레기에서 물기를 짜낼 수 있도록 유연한 탄성소재로이루어져 있다.
상기 깔때기는 상기 내통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를 쓰레기봉투에 옮겨 담는 것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깔때기는 상기 내통의 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대직경입구와 쓰레기봉투의 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소직경출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쓰레기통에는 상기 내통의 입구에 장착되어 투입할 음식물쓰레기를 털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두들김대가 더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쓰레기통에는 상기 내통의 배수공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통이 더 포함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단면도, 도5는 깔때기를 사용하여 쓰레기봉투에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1)은, 외통(10), 내통(20) 및 깔때기(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두들김대(40)와 물받이통(5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통(10)은 본 고안 쓰레기통(1)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서, 그 개방된 입구(11)는 투입된 쓰레기(2)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음식물쓰레기(2)의 냄새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12)으로 덮인다. 바람직하게 외통(10)에는 운반용 손잡이(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내통(20)은 상기 외통(10) 속에 투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서, 실질적으로 음식물쓰레기(2)가 담겨지는 용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의 하측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2)에 함유된 물기를 내통(20)의 밖으로 배수시켜 물기를 음식물쓰레기(2)와 분리시키기 위한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내통(20)은 연질고무나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유연한 탄성소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통(20)을 손으로 눌러서 그 형상을 변형시켜 안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쓰레기(2)를 짜서 음식물쓰레기(2)로부터 물기를 짜낼 수 있으며, 손으로 누르지 않으면 변형된 내통의 형상은 그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귀된다. 내통(20)은 이를 뒤집을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게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내통(20)의 내부를 씻기 편하고 음식물쓰레기(2)를 뒤집어 털어 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20)은 그 입구(22)의 직경이 외통(10)의 입구(11)의 직경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면서 배수공(21)이 형성된 하단에서 둥글게 마무리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내부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2)로부터의 물기가 내통(20)의 중앙 하단 쪽으로 수렴되고 물기를 짠 음식물쓰레기(2)를 털어 내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깔때기(30)는 내통(20)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2)를 쓰레기봉투(3)에옮겨 담을 때 사용하는 부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깔때기(30)는 내통(20)의 입구(2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대직경입구(31)와 쓰레기봉투(3)의 입구(3A)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소직경출구(32)를 가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음식물쓰레기봉투(3)는 일반가정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2ℓ 봉투의 경우에 그 입구(3A)의 직경이 약 12cm에 불과하므로 내통(20)의 음식물쓰레기를 쓰레기봉투(3)로 옮겨 담을 때 봉투 밖으로 쓰레기가 흘러 넘치기 쉽다.
그러나, 본 고안의 쓰레기통(1)에 의하면, 깔때기(30)의 소직경출구(32)를 쓰레기봉투(3)의 입구(3A)에 끼워 넣고 대직경입구(31)를 통해 쓰레기(2)를 투입하면, 쓰레기봉투(3)의 입구(3A)보다 깔때기(30)의 대직경입구(31)가 더 커진 만큼 쓰레기를 옮겨 담기 용이해진다. 더욱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30)의 대직경입구(31)를 내통(20)의 입구(22)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내통(20)을 손으로 눌러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쓰레기(2)를 옮겨 담으면 쓰레기봉투(3)의 입구(3A)가 좁음에도 불구하고 음식물쓰레기(2)를 전혀 흘리지 않고 옮겨 담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쓰레기통(1)에는 두들김대(40)가 더 포함된다. 두들김대(40)는 내통(20)의 입구(22)에 장착되며, 싱크대의 오물거름통 등에 모여진 음식물쓰레기(2)를 내통(20) 속에 투입할 때 음식물쓰레기(2)가 내통(20)으로 보다 잘 투입되도록 오물거름통을 두들겨 털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두들김대(40)의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오물거름통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젖은 음식물쓰레기를용이하게 털어 낼 수 있다.
도3은 두들김대(40)가 외통(10)의 입구(11)에 형성된 턱(14)에 걸쳐지고 두들김대(40)의 둘레의 요철(41)에 내통(20)의 입구(22)가 끼워져서 내통(20)이 외통(10)과 두들김대(40)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외통(10)의 턱(14)에 내통(20)의 턱(23)이 걸려 내통(20)이 외통(10)에 고정되고 두들김대(40)는 내통(20)의 턱(23)에 걸쳐지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나, 외통(10), 내통(20) 및 두들김대(40)의 결합구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쓰레기통(1)에는 내통(20)의 배수공(21)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통(50)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물받이통(50)은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되 내통(20)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배수공(21)을 통해 떨어지는 물이 수용된다. 물받이통(50)이 없으면 물이 외통(10)으로 떨어지므로 외통을 더럽히게 되지만, 물받이통(50)을 사용하면 물받이통(50)만을 청소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쓰레기통(1)은 예를 들어 주방의 싱크대 근처에 비치하여 두고 사용하고, 싱크대의 오물거름통에 음식물쓰레기가 쌓이면 오물거름통을 두들김대(40)에 두들겨서 오물거름통에 들어 있은 음식물쓰레기를 내통(20) 안에 털어 넣는다.
음식물쓰레기(2)에 남아 있던 물기는 아래로 흘러서 배수공(21)을 통해 낙하하여 물받이통(50)에 모인다.
내통(20)에 어느 정도 음식물쓰레기(2)가 모이면 내통(20)을 외통(10)으로부터 분리하여 손으로 내통(20)을 눌러 짜서 음식물쓰레기(2)에 남아 있는 물기를 짜낸다.
물기를 짜낸 후에 내통(20)의 입구(22)에 깔때기(30)의 대직경입구(31)를 끼워 넣고 깔때기(30)의 소직경출구(32)를 쓰레기봉투(3)의 입구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내통(20)을 털거나 변형시켜서 내통(20)에 있는 음식물쓰레기(2)를 쓰레기봉투(3)로 옮겨 담는다.
마지막으로, 물받이통(50)의 물을 버리고, 외통(10), 내통(20) 및 깔때기(30), 두들김대(40) 및 물받이통(50)을 세척 및 조립하여 다시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1)에 의하면, 직접 손으로 음식물쓰레기(2)를 짜지 아니하고 내통(20)을 손으로 눌려 짜는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2)에서 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내통(20)과 쓰레기봉투(3)를 깔때기(30)로 연결하여 내통(20)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를 쓰레기봉투(3)로 옮겨 담음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입구가 좁은 쓰레기봉투(3)에 담을 수 있으며, 두들김대(40)와 물받이통(50)을 부가하면 싱크대의 오물거름통을 두들김대(40)에 털어 주는 것만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내통(20)으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Claims (4)

  1. 뚜껑(12)을 구비하는 외통(10); 상기 외통(10) 속에 투입되어 음식물쓰레기(2)가 담겨지고, 투입된 음식물쓰레기(2)의 물기가 배수되는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을 변형시켜 눌러 짬으로써 담겨진 음식물쓰레기(2)에서 물기를 짜낼 수 있도록 유연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내통(20); 및 상기 내통(20)에 모아진 음식물쓰레기(2)를 쓰레기봉투(3)에 옮겨 담는 것에 사용되는 깔때기(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30)는, 상기 내통(20)의 입구(22)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대직경입구(31)와 쓰레기봉투(3)의 입구(3A)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소직경출구(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입구(22)에 장착되는 두들김대(4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21)에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통(50)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KR20-2003-0039265U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KR200343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65U KR200343427Y1 (ko)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65U KR200343427Y1 (ko)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427Y1 true KR200343427Y1 (ko) 2004-02-27

Family

ID=4942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65U KR200343427Y1 (ko) 2003-12-17 2003-12-17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483A (ko) * 2013-06-04 2014-12-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483A (ko) * 2013-06-04 2014-12-1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66286B1 (ko) * 2013-06-04 2020-01-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790B1 (en) Animal litter box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343427Y1 (ko) 음식물쓰레기용 쓰레기통
KR100637878B1 (ko) 바닥 개폐식 용기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50076097A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041076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69738Y1 (ko) 젖은 쓰레기 처리통
KR950004624Y1 (ko) 주방용 오물 수거통
KR200191889Y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제거용 용기
KR200380897Y1 (ko) 납작형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JP2001019101A (ja) 容 器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CN210000960U (zh) 一种具有预处理功能的垃圾桶
KR200334960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을 갖는 싱크대
KR940007985Y1 (ko) 종이컵 수거함
KR200219740Y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KR20210071700A (ko) 2단 편의점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67967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58781Y1 (ko) 족답식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KR200262320Y1 (ko) 일회용 씽크대 오물수거망
KR20190053128A (ko)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KR200262241Y1 (ko) 일회용 씽크대 오물수거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