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128A -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128A
KR20190053128A KR1020180137490A KR20180137490A KR20190053128A KR 20190053128 A KR20190053128 A KR 20190053128A KR 1020180137490 A KR1020180137490 A KR 1020180137490A KR 20180137490 A KR20180137490 A KR 20180137490A KR 20190053128 A KR20190053128 A KR 20190053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lid
colle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심
Original Assignee
장은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심 filed Critical 장은심
Publication of KR2019005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128A/ko
Priority to KR102019014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4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외부 공간과 차단하는 외부 뚜껑 및 상기 내용물을 내부 공간과 차단하는 내부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뚜껑은 수직 위치가 변경되는 것인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CONTAINER FOR COLLECTING OR ACCUMULATING THINGS}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거 또는 누적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를 수거, 배출하는 것은 불편하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처럼 수분이 많고 부패하기 쉬워 악취와 침출수 문제를 발생시키는 쓰레기는 더욱 불편하다. 더구나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배출하는 목적 중 하나는 퇴비화, 에너지원 추출 등을 통해 환경 오염원을 가치있는 제품으로 재활용하려는 것인데,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퇴비를 만들기에는 너무 염분이 많다는 등의 이유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여전히 심각한 환경 오염원으로 남아 있어, 수용 시설들이 용량을 초과할 위기에 처해 있으므로, 결국 되도록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회적 비용은 결국 종량제 봉투 가격 인상 등의 형태로 사용자각자에게 돌아가게 되어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쓰레기 배출 비용을 줄이고 싶다는 사용자 요구는 쓰레기 배출의 불편함을 피하고 싶다는 사용자 요구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등의 제품들의 출시를 야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높은 설치 비용, 높은 전기 사용량 및 잦은 소모품 교체를 포함하는 높은 유지 관리 비용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여 배수구를 통해 흘려보내는 제품은 필연적으로 부영양화 등의 수질 오염을 일으켜 사회적으로 더 큰 환경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종종 배수구를 막히게 하여 사용자에게 더 큰 비용을 치르게 한다.
따라서 쓰레기를 좀더 편리하게 수거, 배출할 수 있는 방법 및 또다른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배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쓰레기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 또는 물체(예: 건조를 위해 널어놓은 콩, 고추, 곡식 등이나 흙, 모레, 구슬, 밀가루 등)를 좀더 편리하게 수거, 배출할 수 있는 방법도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10-200453527("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10-200454257("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부유물차단구")에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장치의 내벽을 타고 부유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거 내용물을 좀더 편리하게 수거, 배출할 수 있는 수거 또는 누적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을 외부 공간과 차단하는 외부 뚜껑 및 상기 내용물을 내부 공간과 차단하는 내부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뚜껑은 수직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거 내용물을 좀더 편리하게 수거, 배출할 수 있는 수거 또는 누적용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 및 누적용 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 용기 손잡이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 용기 손잡이 및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뚜껑 및 대응되는 벽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수거용 용기 및 누적용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수거용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쓰레기 수거 및 배출의 불편함을 줄이는 것이다. 다양한 쓰레기 중에서도 가장 불편한 것 중 하나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인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발생 당시부터 물, 기름 등 액체(w, 이하 편의상 "물"로 지칭 가능)에 젖은 갖가지 찌꺼기가 한데 섞인 오물의 형태를 띠는 경향이 있으며, 더구나 수거해야 하는 장소도 종종 개수대의 배수구 안이어서 꺼내기 불편하고 불쾌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액체(w)에 젖어있기 때문에 수거하여 이동할 때도 액체(w)가 흘러 곤란하다. 특히 수거용 종량제 봉투에 넣는 형태로 배출하는 경우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으면 외부 배출 장소로 이동하는 중에도 오염수(w)가 흘러 이웃에 민폐를 끼치게 되기도 한다. 또한 물이나 기름 등(w)에 젖어 있으면 더욱 빨리 부패하여 악취를 풍기기도 쉽다.
이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탈수가 가능한 중간 단계의 용기를 거친 후에야 수거용 종량제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를 옮겨담는 불편함도 겪는다. 여러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 개수대에 구비한 구멍 뚤린 비닐, 체 등으로 어느 정도 탈수 후에 베란다나 냉동실 등 부패를 지연시키거나 막을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해 그곳에 구비되어 있는 비닐이나 통에 넣어 종량제 봉투가 찰 만큼 모으면서 다시 탈수시킨다. 어느 정도 차면 종량제 봉투로 다시 옮겨 담는데,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파편이 튀거나 부패균, 곰팡이 및 악취가 공중으로 퍼지기 일쑤이다. 더구나 비닐에 보관했다면 그것을 빼는 과정에서 더 많은 부패균과 곰팡이가 공중으로 퍼질 수 있다. 또한 냉동실에 보관한 음식물 쓰레기는 종량제 비닐에 잘 안 들어가 비닐이 찢어지게 만들기도 하며 압축이 잘 안돼 봉투의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 또한 해동되는 순간부터 물(w)이 더 많이 생기고 급속 부패한다는 단점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시 종량제 봉투 대신 통을 들고 가서 배출하는 방식의 사용자 또한 불편하다. 완전히 배출이 되지 않은 통을 다시 들고와 씻어야 하며, 그것만으로도 개수대 배수구에는 다시 찌꺼기들이 쌓이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음식물 쓰레기통은 배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종종 음식물 쓰레기 파편이나 오염수가 튀거나 손에 묻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 및 배출은 여러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개수대 배수구를 항상 깔끔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일 것이다. 배수구에는 오물의 형태로 찌꺼기가 자주 쌓이고 청소하기도 불편하므로, 배수구에서 오물을 수거할 때의 혐오감을 자주 느끼고 싶지 않아서, 개수대 배수구를 치우지 않고 오래 방치하는 사용자가 많다. 배수구 뚜껑을 닫아 악취만 차단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수구를 통해 벌레를 유인하며 음식 조리 및 재료 준비를 위한 공간에 각종 세균 및 곰팡이를 양성한다. 특히 바퀴벌레는 매우 먼 거리의 하수구에서도 음식 찌꺼기 냄새를 맡을 수 있으며 먹지 않는 음식 찌꺼기가 거의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및 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손잡이(1400)는 음식물 쓰레기 등 쓰레기의 수거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용기 손잡이(1400)는 수거용 용기(10) 또는 이의 대용(예: 종래의 씽크대 배수통, 음식물 쓰레기 탈수용 비닐이나 통 등)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본 실시예처럼 수거용 용기(10) 또는 이의 대용이 더러워지기 쉬운 환경에 처해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손잡이(1400)는 추가벽(1300)의 이동을 통해 수거 내용물(c0)을 압축하고 배출액체(w)를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추가벽(1300)의 이동까지 더 제공되는 실시예를 사용하면 수거 내용물(c0)의 부피를 줄이고 수거용 용기(10) 또는 이의 대용을 더욱 깔끔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용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의 구조 및 이들이 어떻게 쓰레기의 수거 및 배출을 편리하게 하는지를 개념도를 통해 설명하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용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및 사용될 수 있음을 다른 실시예를 통해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3의 수거용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도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도 보여준다.
도 1의 첫번째 도면은 용기(10)에 수거 내용물(c0)이 들어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이해의 편의상 한 덩어리의 구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수거 내용물(c0)은 여러 조각 및 찌꺼기들의 모음일 수 있다. 수거 내용물(c0)은 예컨대 개수대 배수구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 또는 용기 손잡이(1400)는 종래의 개수대 배수통 대신 또는 개수대 배수통과 함께 사용되어, 개수대 배수구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c0)를 쉽게 수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은 음식물 쓰레기(c0)가 개수대 배수통, 수거용 용기(10) 또는 둘다에 가득찬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요리할 때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생 시점에 따로 개수대에 비치한 통이나 그릇에 담아두는 사용자도 있고, 일단 넓은 개수대 바닥에 버린 후 배수구에서 수거하는 사용자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가 쓸데없이 물(w)에 젖지 않으며 가득찬 배수구를 치우지 않아도 되므로 이후의 처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료를 준비할 때마다 신경써서 별도 용기에 넣어야 하고 용기가 가득차면 비워주거나 다른 용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 용기 때문에 개수대 공간이 줄어들어 요리할 때 불편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 또는 용기 손잡이(1400)는 넓은 개수대 바닥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배수구에 모은 후 쉽게 수거할 수 있게 하며, 이때 탈수 뿐 아니라 압착도 된다. 이는 전술한 두가지 방법의 단점은 버리고 장점만을 모아 모두 제공하는 것일 뿐 아니라 추가적인 장점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의 두번째 도면에 수거 내용물(c0)을 압착하여 부피를 줄인 덩어리로 만들면서 탈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손잡이(1400) 및 이에 연결된 추가벽(1300)을 수거용 용기(10)에 부착한 후 압력을 제공하는(예: 누름, 추가벽(1300)을 하향 이동시킴 등) 단순한 방법으로 수거 내용물(c0)의 압착 및 탈수가 가능하다. 이때 좀더 효율적인 압착 또는 편리한 압착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손잡이(1400) 또는 수거용 용기(10)는 압착 도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 손잡이(1400)를 이용하여 수거용 용기(10)를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한 추가적인 탈수도 가능하다. 이때 좀더 효율적인 회전 또는 편리한 회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손잡이(1400) 또는 수거용 용기(10)는 회전 도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거용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7 이후 후술한다.
도 1의 세번째 도면은 압착 및 탈수된 수거 내용물(c0)을 원하는 곳에 배출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주목할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또는 용기 손잡이(1400)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수거 내용물(c0)을 개수대 배수구로부터 수거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배출하는 전 과정에서 수거 내용물(c0)은 물론 개수대 배수통, 수거용 용기(10) 또는 둘다 및 배수구에도 전혀 손을 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 또는 용기 손잡이(1400)는 수거 내용물(c0)의 압착 및 탈수 뿐 아니라 이동도 용이하게 한다. 수거 내용물(c0) 배출 후 배수통, 수거용 용기(10) 또는 둘다를 다시 개수대 배수구로 회수하는 과정에서도 사용자는 전혀 손을 더럽히지 않아도 되며, 용기 손잡이(1400)만을 잡고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개수대 배수통, 수거용 용기(10) 또는 둘다 및 배수구를 청소할 때도 사용자는 용기 손잡이(1400)만 접촉하면 된다.
또한 개수대 배수구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거용 용기(10) 또는 용기 손잡이(1400)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통 또는 누적용 용기(20)의 일부(예: 속통) 또는 전체 대신 또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통 또는 누적용 용기(20)의 일부(예: 속통) 또는 전체와 함께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배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의 도면은 예컨대 수거용 용기(10)가 음식물 쓰레기통의 속통으로 사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모은 후(첫번째 도면), 배출 장소에서 용기 손잡이(140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지 않고 꺼내어(두번째 도면), 단순히 밑벽(1200)을 개폐함으로써 배출 장소에 남김없이 배출하는 모습(세번째 도면)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사용자가 통을 기울여 배출해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 배출이 어렵고 사용자 또는 주변에 오물이 튀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는 중력에 의해 수거 내용물(c0)이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하므로 배출이 훨씬 편리하고 쾌적해진다. 이때 두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한번더) 압축하면 (더) 작고 단단한 덩어리가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파편이 튀는 것을 좀더 잘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남김없이 배출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예로 든 쓰레기 수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를 사용하면 쓰레기 배출의 경우에도 배출 후의 회수 및 청소 또한 편리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사실 본 명세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쓰레기 수거와 쓰레기 배출이라는 용어 및 수거용과 누적용이라는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차이가 없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 내용물에 대한 구분, 즉, 수거 내용물(c0), 누적 내용물(c1), 누적전 내용물(c2), 압축전 내용물(c12)이라는 용어도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용기 손잡이(1400) 또는 둘다는 쓰레기 처리 과정상의 어느 단계에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거용 내용물(c0)은 개수대 배수구가 아닌 개수대에 구비되어 있는 비닐 봉지에 들어있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수거용 내용물(c0)은 사용자가 발생하자마자 구멍 뚫린 비닐 봉지에 넣은 것일 수도 있고, 개수대 배수구에서 수거한 후 넣은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손잡이(1400)를 하나 이상 상기 비닐 봉지에 부착함으로써, 전술한 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손이 용기 손잡이(1400) 이외에는 접촉하지 않고도 수거용 내용물(c0)을 배출 장소로 이동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압착 및 탈수 기능을 위해 추가벽(1300) 등을 더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되도록 단순하게 도시되었으며, 다양한 구현 방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몇가지 실시예 및 이들의 조합만을 도시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은 생략되었으며 자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다만, 여기에서 주목할 첫번째 사항은 용기 손잡이(1400)는 용기(10, 20)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술한 예에서도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 20), 용기 손잡이(1400) 또는 둘다는 다른 용기(예: 종래의 개수대 배수통, 음식물 쓰레기통, 비닐 봉지 등)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개수대 배수통, 음식물 쓰레기통, 비닐 봉지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손잡이(1400)만을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없이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10, 20)를 추가로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주목할 두번째 사항은 사용되는 용기 손잡이(1400)의 개수 및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나 이상 사용될 경우 각 용기 손잡이(1400)의 결합 방식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용기 손잡이(1400)가 제공하는 기능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의 예로는 동작의 관점에서는 추가벽(1300)의 이동, 내용물의 압축, 용기의 회전, 용기의 개폐 등이, 동작 제공 방식의 관점에서는 이들 동작의 직접적인 메커니즘, 동력, 개시 스위치 등이 있다.
추가벽(1300)의 개수, 위치 및 결합 방식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가벽(1300)은 사용되지 않거나, 용기 손잡이(1400), 용기 또는 둘다에 결합, 체결, 또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추가벽(1300)이 제공하는 기능이 상이할 수도 있다. 추가벽(1300)이라는 용어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을 설명하기에 편리하여 사용된 용어일 뿐으로 뚜껑 이외의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벽(1300)을 하나 이상 사용하여 대상 내용물(c0 등)을 여러 구획으로 나누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용기 손잡이(1400) 또는 둘다의 재질에도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일부 또는 전부가 단단한 재질(예: 플라스틱, 나무, 금속 등)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부 또는 전부가 부드럽거나 유연한 재질(예: 비닐, 실리콘, 섬유, 종이 등)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예들은 음식물 쓰레기를 예로 들었으나, 다른 종류의 쓰레기의 수거 및 배출에도 마찬가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재활용 쓰레기를 배출함에 있어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은 수거 용기(10, 20) 및 용기 손잡이(1400)를 사용하면, 여러 종류의 재활용품(예: 종이, 플라스틱 병, 비닐, 금속 캔)을 각각 분류하여 수거, 누적한 후 용기 손잡이(1400)들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쉽게 들고가 각각의 배출함 위에서 자유 낙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압축 기능까지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더 적은 공간 및 더 적은 노력을 들이고도 재활용 쓰레기를 좀더 세세하게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자체나 재활용품 활용 업체에서 재활용 목적에 맞게 다시 분류하는 노력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분류가 안돼 재활용되지 못하고 환경 오염원으로 남게 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용기 손잡이(1400) 또는 둘다는 쓰레기에만 한정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대상 내용물(c0 등)은 쓰레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및 용기 손잡이(1400)의 구조 및 다양한 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기타 대상 내용물(c0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적용 용기의 구조를 실시예들을 통해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그중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용 용기 및 누적용 용기와의 조합을 함께 설명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다양한 구현 및 사용 방법을 이해의 편의를 위해 되도록 간략한 도면을 통해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각 도면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을 다른 방식으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함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만이 본 발명에 따른 수거용 용기(10) 및 용기 손잡이(1400)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도면의 실시예에서도 수거용 용기(10), 용기 손잡이(1400) 또는 둘다가 사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부 뚜껑(2200)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들이 몇가지 예시되어 있으나, 각 실시예는 해당 도면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구조가 아님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떤 도면에는 비닐 봉지(3000, 예: 종량제 봉투)가 없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가 비닐 봉지(30)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비닐 봉지(30)를 더 사용하여도 되고, 반대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닐 봉지(3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 또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용물로부터 물(w)이 배출되는 것을 돕기 위한 구성이나 배출된 물(w)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 또한 해당 도면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구조가 아니며, 도면들에서 예로 든 구현 선택 사항들은 교차 조합되거나 다른 도면의 실시예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모두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개수대 배수통, 쓰레기통, 종량제 봉투 등 본 명세서의 도면들이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는 대상들이 모두 당업자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친숙하므로 간략한 도면을 사용하여도 이해의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고, 세부 사항이 없는 간략한 도면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 및 용기 손잡이(1400)의 구조 및 여러 구성 요소의 조합을 이해하는 데 복잡한 도면보다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수분이 많은 쓰레기의 경우 오염수가 흘러나올 수 있기 때문에 종량제 봉투에 바로 넣지 못하는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적용 용기(20)는 수분이 많은 쓰레기를 종량제 봉투에 바로 넣어도 쓰레기가 함유하고 있던 물(w)이 종량제 봉투 외부에 마련된 집수 공간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들을 겪지 않아도 되게 하여 쓰레기 수거 및 배출을 편리하게 해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누적용 용기(20)는 대상 내용물(c0, c1 등)로부터 수분을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탈수시키고 탈수된 물(w)을 불편하지 않은 공간에 모아 주어 처리하기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러한 기능을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또한 제품의 구조가 복잡하여 비용이 커지지 않도록 단순화된 구조와 방법을 사용하여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쓰레기통은 새로운 쓰레기(c0)를 더 넣을 때 기존에 통에 있는 쓰레기(c1)가 노출돼 그것을 보면서 넣어야 하므로, 사용자는 쓰레기를 넣을 때마다 혐오감 및 기존의 쓰레기(c1)로부터 공중으로 퍼지는 각종 균과 곰팡이 및 악취를 감내해야 한다. 벌레가 꼬이기도 한다. 이는 특히 발생 또는 수거시부터 오물 찌꺼기인 경향이 있고 수분이 많아 부패하기 쉬운 음식물 쓰레기인 경우 더 심하다. 욕실 쓰레기통의 경우에도 내용물(c0, c1)의 특성 및 습기가 많은 사용 환경상의 특성상 기존 쓰레기(c1)가 되도록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쓰레기(c0, c1 등)를 추가할 때 기존의 쓰레기(c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노출을 줄임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쓰레기 수거 및 배출을 편리하게 해준다.
또한 종래의 일반 쓰레기통은 압축 기능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배출 쓰레기 부피가 늘어 사용자와 사회 모두 비용을 지불해야 하거나, 쓰레기 부피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주위 도구들이나 자신의 발 또는 손을 사용하여 압축해야 하는 불편함과 불쾌함을 겪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의 실시예들은 압축 기능 및 압축을 사용한 탈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쓰레기 배출량을 줄여준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의 사용자는 더럽거나 불쾌한 것을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압축 기능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는 평소(예: 외부 뚜껑(2200)이 닫혀 있을 때 등)에 내부 뚜껑(2300)이 압축된 누적 내용물(c1) 바로 위에 위치하여, 공기 접촉을 최소화한다. 즉, 내부 뚜껑(2300)은 누적 내용물(c1)이 외부 뚜껑(220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누적 용기(10, 20) 내부의 공간 및 그곳에 존재하는 공기에 노출되는 것조차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에 따른 누적 용기(10, 20)는 상온에서 사용하더라도 누적 내용물(c1)의 부패 및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을 방지하거나 종래 쓰레기통에 비해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의 사용자는 압축시 뿐 아니라 내용물(c0) 추가시에도 오물에 오염되기 쉬운 부분을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종래의 쓰레기통에서 오물에 오염되기 가장 쉬운 부분은 뚜껑일 것이며 개폐용 스위치가 별도의 위치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자가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직접 접촉해야 하는 부분도 뚜껑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는 누적 내용물(c1)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기 위해 내부 뚜껑(2300)을 더 사용하므로, 종래 쓰레기통의 뚜껑에 해당하는 외부 뚜껑(2200)은 오염될 가능성이 낮다(그럼에도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뚜껑(2200) 또한 직접 접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적 용기(10, 20)는 사용자가 내부 뚜껑(2300)을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내용물(c0)을 추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특히 수거용 용기(10)와 함께 사용할 때 한층 더 유용하다. 오염 부위에 접촉하지 않고도 오물(c0)을 수거한 후 이를 배출 장소인 누적 용기(10, 20)에 배출할 때도 오염의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작업을 끝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6은 이러한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각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조 및 동작을 먼저 설명한 후, 자세한 구조 또는 공통적이거나 교차 조합 가능한 구조 및 동작은 도 7 이후 후술한다. 이후 설명들은 내부 뚜껑(2300)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외부 뚜껑(2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뚜껑(2300) 없이 외부 뚜껑(2200)의 수직 위치를 변경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2의 실시예는 수거용 용기(10)와 누적용 용기(20)의 상호 협조를 통해, 사용자의 오염 물질(c0) 및 잠재적인 오염 위험이 높은 부분에의 직접 접촉 없이도, 수거용 용기(10)에서 내용물(c0)을 배출하기 위해 밑벽(1200)을 개방하는 동작 및 누적용 용기(20)에서 새로운 내용물(c0)을 받아들이기 위해 내부 뚜껑(2300)의 일부를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첫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열기 전의 누적 용기(10, 2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기존의 누적된 내용물(c1)은 압축된 상태이며, 내부 뚜껑(2300)에 의해 누적 용기(10, 20) 내부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의 노출조차 차단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에 비해 쓰레기(c1)의 부패 및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된다.
도 2의 두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연 후, 새로운 내용물(c0)이 들어있는 수거용 용기(10)를 누적 용기(10, 20)의 내부 뚜껑(2300)에 체결하여, 내부 뚜껑(2300)을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내부 뚜껑(2300)이 수거용 용기(10)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도 내부 뚜껑(2300)을 조작하여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내부 뚜껑(2300)을 위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할 공간을 확보하고, 새로운 내용물(c0)의 자유 낙하를 통한 수거용 용기(10)로부터의 완전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2의 세번째 도면은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내부 뚜껑(2300)을 조작하여 뚜껑 개폐부(2305)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뚜껑 개폐부(2305)가 수직 위치로도 이격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뚜껑 개폐부(2305)를 수평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예를 들어, 뚜껑 개폐부(2305)는 개방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미끄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뚜껑 개폐부(2305)는 개방 위치로 스윙 이동(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즉 곡선 이동)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누적 용기(10, 20)의 뚜껑 개폐부(2305) 및 수거용 용기(10)의 밑벽(1200)은 현 위치에 잠금된다.
도 3의 네번째 도면은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수거용 용기(10)만을 원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뚜껑 개폐부(2305)는 전 단계에서 개방 위치에 잠금된 상태이기 때문에 폐쇄 위치로 이동하지 않으며, 수거용 용기(10)는 밑벽(1200)의 위치가 잠금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 부분만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밑벽(1200)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거용 용기(10)에서 내용물(c0)이 자유 낙하하여 누적용 용기(20)의 기존 내용물(c1) 위에 누적된다.
이후의 과정은 도면을 역으로 따라갈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음 단계는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수거용 용기(10)를 다시 수평 이동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수거용 용기(10)의 밑벽(1200) 및 누적용 용기(20)의 내부 뚜껑(2300)의 위치 잠금이 해제된다.
다음 단계는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수거용 용기(10) 및 뚜껑 개폐부(2305)를 함께 이동하여 개방되었던 내부 뚜껑(2300)을 폐쇄한다.
다음 단계는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내부 뚜껑(2300)의 수직 위치를 변경하여 새로운 내용물(c0)을 기존 내용물(c1)과 함께 압축하여 합체시킨다. 이때 압축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용물(c0, c1)에 있던 물(w)이 탈수되어 아래의 배수 공간으로 모이므로, 사용자는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내부 뚜껑(2300)의 수직 위치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내용물(c0, c1)을 탈수시키고 탈수된 물(w)을 배수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내부 뚜껑(2300)이 압축 합체된 누적 내용물(c1)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부 뚜껑(2300)과 수거용 용기(10)의 체결을 해제한 후, 누적 용기(10, 20)의 외부 뚜껑(2200)을 닫는다. 이는 도 2의 첫번째 도면과 같은 단계이다. 이때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용물(c0, c1)에 있던 물(w)이 탈수되어 아래의 배수 공간으로 모인다.
도 3의 실시예는 수거용 용기(10)와 누적용 용기(20)의 상호 협조를 통해, 사용자의 오염 물질(c0) 및 잠재적인 오염 위험이 높은 부분에의 직접 접촉 없이도, 수거용 용기(10)를 내용물(c0)을 배출할 수 있는 위치 및 각도에 배치하고 유지하는 동작 및 누적용 용기(20)에서 새로운 내용물(c0)을 받아들이기 위해 내부 뚜껑(2300)을 개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첫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열기 전의 누적 용기(10, 2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기존의 누적된 내용물(c1)은 압축된 상태이며, 내부 뚜껑(2300)에 의해 누적 용기(10, 20) 내부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의 노출조차 차단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에 비해 쓰레기(c1)의 부패 및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된다.
도 3의 두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연 후, 새로운 내용물(c0)이 들어있는 수거용 용기(10)를 누적 용기(10, 20)의 내부 뚜껑(2300)에 체결하고, 내부 뚜껑(2300)을 다시 뒤집은 외부 뚜껑(2200)에 체결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내부 뚜껑(2300)을 아예 치워버림으로써,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할 공간을 확보하고, 새로운 내용물(c0)의 자유 낙하를 통한 수거용 용기(10)로부터의 완전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의 세번째 도면은 누적 용기(10, 20)의 외부 뚜껑(2200)을 뒤집고,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용기 손잡이(1400)와 추가벽(1300)을 수거용 용기(10)로부터 해체시킨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이 두가지 단계의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음).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수거용 용기(10)의 밑벽(1200)이 아닌 추가벽(1300)을 치움으로써, 새로운 내용물(c0)이 수거용 용기(10)로부터 자유 낙하하여 누적용 용기(20)의 기존 내용물(c1) 위에 누적될 수 있게 한다.
이후의 과정은 도면을 역으로 따라갈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음 단계는 누적 용기(10, 20)의 외부 뚜껑(2200)을 다시 뒤집고,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용기 손잡이(1400)와 추가벽(1300)을 수거용 용기(10)에 다시 체결한다. 도 3의 두번째와 유사한 모습이 된다(내용물(c0)이 없다는 것이 다름).
다음 단계는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누적용 용기(20)의 내부 뚜껑(2300)을 외부 뚜껑(2200)으로부터 해제한 후, 누적용 용기(20)의 내벽(2500)에 다시 체결하고, 내부 뚜껑(2300)의 수직 위치를 변경하여 새로운 내용물(c0)을 기존 내용물(c1)과 함께 압축하여 합체시킨다. 이때 압축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용물(c0, c1)에 있던 물(w)이 탈수되어 봉지(30) 내의 가장 자리 쪽으로 모이며, 이는 다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아래의 배수 공간으로 이동한다. 특히 내용물(c0, c1)에 대한 압력이 봉지(30) 내 가장 자리 쪽에 모인 물(w)에도 작용하고 이는 모세관을 타고 물(w)이 올라가는 것을 도우므로, 사용자는 용기 손잡이(1400)만을 접촉한 채로 내부 뚜껑(2300)의 수직 위치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내용물(c1 등)을 탈수시키고 탈수된 물(w)을 배수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내부 뚜껑(2300)이 압축 합체된 누적 내용물(c1)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부 뚜껑(2300)과 수거용 용기(10)의 체결을 해제한 후, 누적 용기(10, 20)의 외부 뚜껑(2200)을 닫는다. 이는 도 3의 첫번째 도면과 같은 단계이다. 이때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용물(c0, c1)에 있던 물(w)이 탈수되어 봉지(30) 내의 가장 자리 쪽으로 모이며, 이는 다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아래의 배수 공간으로 이동한다.
도 4의 첫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열기 전의 누적 용기(10, 2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기존의 누적된 내용물(c1)은 압축된 상태이며, 내부 뚜껑(2300)에 의해 누적 용기(10, 20) 내부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의 노출조차 차단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에 비해 쓰레기(c1)의 부패 및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된다.
도 4의 두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열기 전, 이미 내부 뚜껑(2300)이 위로 상승하여 외부 뚜껑(2200)과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내부 뚜껑(2300)의 동작을 개시하게 하는 트리거 및 동작의 메커니즘 또는 동력은 매우 다양한 구현 방법이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는 페달을 밟아 내부 뚜껑(2300)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심지어 사용자가 외부 뚜껑(2200)을 여는 순간 내부 뚜껑(2300)이 동작을 개시하게 할 수도 있다(쓰레기 처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가 움직여 쓰레기(c1)의 악취나 곰팡이 등이 사용자 및 외부로 퍼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나, 내용물(c1 등) 및 응용에 따라서는 유용한 선택 사항이 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세번째 도면은 이제 외부 뚜껑(2200)을 열면 내부 뚜껑(2300)도 열리므로, 사용자가 종래의 쓰레기통과 같이 새로운 쓰레기(c0, c1 등)를 투입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의 과정은 도면을 역으로 따라갈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음 단계는 외부 뚜껑(2200)을 닫으면 내부 뚜껑(2300)이 다시 아래로 하강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c0, c1)을 압축(및 탈수)하고, 압축된 내용물(c1)의 바로 위에서 동작을 멈춰 내용물(c1)에 닿는 공기를 최대한 차단하는 단계이며, 이는 첫번째 도면과 같은 모습이다.
도 5의 첫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열기 전의 누적 용기(10, 2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기존의 누적된 내용물(c1)은 압축된 상태이며, 내부 뚜껑(2300)에 의해 누적 용기(10, 20) 내부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의 노출조차 차단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에 비해 쓰레기(c1)의 부패 및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된다.
또한 이전에 추가하여 압축되었지만 아직 누적 내용물(c1)과 섞이지는 않은 내용물(c2)이 별도로 존재하며, 상기 누적전 내용물(c2)에서 탈수되는 물(w)을 모으기 위한 배수 공간이 전술한 예들과 달리 누적 내용물(c1)의 상부측, 즉, 내부 뚜껑(2300) 위측에 존재한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누적 용기(10, 20) 안에 또다른 누적 용기(10, 20) 또는 수거용 용기(10)가 존재하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누적 용기와 수거용 용기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도 5의 두번째 도면은 어느 시점에(예: 사용자가 뚜껑을 열기 전, 사용자가 누적전 내용물(c2)을 추가한 지 일정한 시간이 지난 시점 등) 내부 뚜껑(2300)이 수직 상승하고(누적전 내용물(c2)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누적전 내용물(c2)이 자유 낙하하여 누적 내용물(c1)과 섞이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임은 앞서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배수 공간이 수평 이동함(예: 슬라이딩 이동, 스윙 이동 등)으로써 내부 뚜껑(2300)이 개방되어(도 2에서 유사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누적전 내용물(c2)이 자유 낙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세번째 도면은 누적전 내용물(c2)의 압축된 위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던 임시 보관 공간 뚜껑(2800)이 수직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이 또한 새로운 내용물(c0)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함을 전술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또한 배수 공간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옴으로써 내부 뚜껑(2300)을 다시 폐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네번째 도면은 임시 보관 공간 뚜껑(2800)이 수평 이동함(예: 슬라이딩 이동, 스윙 이동 등)으로써 임시 보관 공간이 개방되어(역시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설명 생략), 외부 뚜껑(2200)을 연 후 새로운 쓰레기(c0, c1 등)를 추가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의 과정은 도면을 역으로 따라갈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음 단계는 누적 용기(10, 20)의 외부 뚜껑(2200)을 다시 닫고, 임시 보관 공간 뚜껑(2800)이 수평 이동 후 수직 이동하여 누적전 내용물(c2)이 다시 압축되고 차단되며, 내부 뚜껑(2300)이 다시 수직 이동하여 압축전 내용물(c12)을 압축하고 차단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의 첫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하기 위해 외부 뚜껑(2200)을 열기 전의 누적 용기(10, 2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기존의 누적된 내용물(c1)은 압축된 상태이며, 내부 뚜껑(2300)에 의해 누적 용기(10, 20) 내부의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의 노출조차 차단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에 비해 쓰레기(c1)의 부패 및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된다.
도 6의 두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외부 뚜껑(2200)을 연 후 새로운 내용물(c0)을 추가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쓰레기 투입 전 내부 뚜껑(2300)이 먼저 수직 상승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전술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쓰레기를 처리하는 응용에는 덜 바람직할 수 있으나, 대상 내용물(c0, c1)과 응용에 따라 바람직할 수도 있음).
도 6의 세번째 도면의 단계에서는 외부 뚜껑(2200)이 닫힌 후 내부 뚜껑(2300)이 특정 위치까지 수직 상승한다(이유는 반복 전술함.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뚜껑(2300)의 회전 운동 범위 확보라는 이유가 추가됨).
도 6의 네번째 도면은 내부 뚜껑(2300)이 수직 방향으로 스윙, 즉,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새로 추가된 쓰레기(c0, c1 등)를 누적 쓰레기(c0, c1 등) 위로 낙하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의 과정은 도면을 역으로 따라갈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다음 단계는 내부 뚜껑(2300)이 다시 수직 하강하여 쓰레기(c0, c1 등)를 압축(및 탈수)하고 공기를 차단한다.
이제 도 7을 통해 내부 뚜껑(2300) 등 상하 이동이 필요한 구성 요소(예: 배수 공간 천장(2400), 임시 보관 공간 뚜껑(2800), 및 추가벽(1300) 등) 및 대응되는 벽이 채용할 수 있는 구성을 살펴보자(도 7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요소들이 반드시 채용해야 하는 구성이 아니며,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구현 선택 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주의).
먼저 도 7의 오른쪽 도면을 보면 도시의 편의를 위해 내부 뚜껑(2300)을 원판 형태로, 내부 뚜껑(2300)의 측면에 형성 또는 결합된 돌기(2310, 2320)를 구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왼쪽 도면은 도시의 편의를 위해 내부 뚜껑(2300)의 측면에 형성 또는 결합된 돌기(2310, 2320)를 사각형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며, 대응되는 벽(예: 도 2의 외벽(2100)의 내부, 도 3 및 도 6의 제 1 내벽(2510), 도 4 및 도 5의 내벽(2500) 등)에서 내부 뚜껑(2300)의 돌기(2310, 2310)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2610, 2620)도 직선을 사용하여 도시하고 있다.
왼쪽 상단에 위치한 세개의 도면을 보면, 내부 뚜껑(2300)이 1개의 층(2330)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해당 층의 측면에 결합 또는 형성된 돌기(2310) 하나의 움직임만을 추적해보자. 실제로는 균형을 위해 둘 이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상의 다수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첫번째 도면처럼 돌기(2310)가 대응하는 벽(2100, 2500, 2510)에 형성된 세로 홈(2610)에 위치할 때는 방해물이 없으므로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두번째 도면처럼 세로 홈(2610)과 가로 홈(2620)의 교차점에 위치할 때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세번째 도면처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로 홈(2620)에 위치할 때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자동 메커니즘은 첫번째 도면처럼 용기 손잡이(1400) 등을 사용하여 내부 뚜껑(2300)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여 돌기가 세로 홈(2610)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내부 뚜껑(2300)을 수직 이동시킨 후, 두번째 도면처럼 원하는 수직 위치의 교차점에 위치하면 용기 손잡이(1400) 등을 사용하여 내부 뚜껑(2300)의 수평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돌기가 가로 홈(2620)을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내부 뚜껑(2300)이 더이상 수직 이동되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다시 수직 위치를 변경하고 싶으면 전술한 설명의 반대 과정을 거치면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뚜껑(2300), 배수 공간 천장(2400), 임시 보관 공간 뚜껑(2800), 및 추가벽(1300) 등의 구성 요소를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수직 이동시킬 수 있고 원하는 수직 위치에 있도록 잠글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면 내부 뚜껑(2300)을 사용하여 내용물(c1 등)을 압축하고 압축된 내용물(c1 등)을 내부 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유지하며 외부 뚜껑(2200)이 개방되었을 때에도 내용물(c1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뚜껑(2300)은 하나의 층을 더 둠으로써, 상술한 기능들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세개의 도면을 보면 세번째 도면에서 내부 뚜껑(2300)의 수직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때(즉, 잠겨 있을 때) 대응되는 벽의 세로 홈(2610)들이 개방되므로, 개방된 세로 홈(2610)으로 소량이지만 내부 공기가 내용물(c1 등)에 접촉하거나 내용물(c1 등)이 외부 공기에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좌측 하단의 도면들을 우측의 두 도면과 함께 보면, 제 1 층(2330)의 돌기(2310)는 전술한 설명과 동일하게 동작하는데, 제 2 층(2340)의 돌기(2320)가 항상 세로 홈(2610)을 막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층(2330)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제 2 층(2340)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해당 층에 있는 돌기들(2320)은 항상 세로 홈(2610)에 위치하므로, 내부 뚜껑(2300)의 동작은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전술한 문제는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 20)는 추가벽(1300) 등 개방된 세로 홈(2610)을 통한 소량의 공기의 흐름은 중요하지 않은 응용에서는 측면에 돌기(2310)가 형성되어 세로 홈(2610)을 따라 이동하고 가로 홈(2620)에 의해 수직 방향 위치가 잠기는 제 1 층(2330)의 구성을 채용하고, 내부 뚜껑(2300)처럼 소량의 공기마저 차단하면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을 더 잘 제공할 수 있는 응용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 1 층(2330)에 더해 돌기(2320)의 가로 위치가 늘 세로 홈(2610)에 위치하는 제 2 층(234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2 층(2340)을 제 1 층(233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제 도면들을 다시 보며 내용물(c0, c1)의 탈수 및 이의 집수를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보면, 수거용 용기(10)의 밑벽(1200), 옆벽(1100) 또는 둘다는 응용에 따라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바람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용 용기(10)를 개수대 배수구에서 음식물 쓰레기(c0)를 수거하는 데 사용한다면 밑벽(1200) (및 옆벽(1100))은 압축에 의한 탈수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는 내용물(c0, c1 등)로부터 배출된 물(w)이 모이는 배수 공간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실시예도 배수 공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도면들도 배수 공간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누적전 내용물(c2)이 수분이 배출 우려가 없는 쓰레기라면 도면의 뚜껑 개폐부(2305)는 배수 공간 없이 구성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에만 배수 공간에 명시적으로 배수통이 도시되어 있음은 해당 실시예에만 배수통이 필요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에 배수 공간이 포함되는 경우 배수통(2700)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도 2 및 도 5의 배수 공간은 내용물(c0, c1 등) 하단에 위치한 배수 공간 천장(2400)으로부터 배출액체(w, 예: 물, 기름 등)가 직접 모여든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배수 공간 천장(2400)은 구멍이 뚫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6의 배수 공간은 내용물(c0, c1 등) 하단에 위치하여 있으나, 배출액체(w)가 배수 공간 천장(2400)을 통해 직접 유입되지 않고 비닐 봉지(3000, 예: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우회하여 유입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는 비닐 봉지(30) 안에 든 내용물(c1 등)로부터 배출된 후에도 비닐 봉지(30) 내부의 하단에 머물게 되는 배출액체(w)에게 비닐 봉지(30) 안에서 비닐 봉지(30) 밖의 배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2520)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과 달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종량제 쓰레기 봉투(30)에 바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배출액체(w)가 상기 이동 경로(2520)의 입구(2522) 근처로 더 많이 모이게 하기 위해 배수 공간 천장(2400)은 경사면(예: 돔형의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 공간 천장(2400) 위에 비닐 봉지(30)가 놓이므로 비닐 봉지(30) 또한 배수 공간 천장(2400)의 형태를 따라 배출액체(w) 이동 경로(2520)의 입구(2522)가 위치한 부위가 상대적으로 아래로 갈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할 것이다. 특히 종량제 쓰레기 봉투(30)는 구조상의 특징 때문에 사용자의 세심한 조작이 없이는 양쪽 가장자리 하단에 내용물(c1 등)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통과 함께 사용할 때는 공간을 낭비하기 쉽기 때문에 단점이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와 함께 사용할 때는 장점이 될 수 있다. 별다른 추가 구조 없이도 배출액체(w)의 이동 경로(2520)의 입구(2522) 근처에 내용물(c1) 없이 배출액체(w)만 모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경로(2520)의 입구(2522)를 종량제 쓰레기 봉투(30) 내부 공간의 하단 전체가 아닌 하단의 양쪽 가장자리에만 형성시켜 비용을 더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공간은 종량제 쓰레기 봉투(30)가 가득 차서 배출할 때 내용물(c1)을 이동시켜 채워넣으면 되므로 공간 낭비도 없다.
배수 공간 천장(2400)의 경사면은 각진 다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보다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는 곡면이 바람직할 것임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량제 쓰레기 봉투(30)가 찢기거나 구멍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용물(c1 등)이 중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있는 배출액체(w) 이동 경로(2520)의 입구(252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배수 공간 천장(2400)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운데가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고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있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가장자리 중에서도 종량제 봉투의 양 끝이 위치하게 되는 가장자리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배수 공간 천장(2400)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집수된 물(w)을 배출하고 배수 공간을 청소하기에 더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c1 등)의 양과 내용물(c1 등)로부터 배출되는 물(w)의 양에 따라 사용자가 배수 공간 천장(2400)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 공간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면들은 배수 공간 천장(2400)을 탈부착 하는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도 3의 도면은 배수 공간 천장(2400)이 하부의 수직적 지지 부재(241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하부에 배수 공간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 부재(2410) 또한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개수, 위치, 크기, 형태, 결합 방법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의 도면은 배수 공간 천장(2400)이 수평적 걸림턱 형태의 지지 부재(24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하부에 배수 공간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의 도면은 배수 공간 천장(2400)이 내부 뚜껑(2300)과 동일한 구조 및 방법을 사용하여 지지됨으로써 그 하부에 배수 공간이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내부 뚜껑(2300)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되므로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들은 교차 조합 가능하므로, 이는 배수 공간 천장(2400)이 형태에 관계없이 즉, 도 3 및 도 6과 같은 곡면일 때도 채용할 수 있는 구성임을 주의).
배출액체(w)의 이동 경로(2520)는 제 2 내벽(252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내벽(2500)은 내부 뚜껑(2300) 등 상하 이동이 필요한 구성 요소의 수직 위치 변경 및 고정을 위한 대응 구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의 실시예는 이러한 기능 등을 제공하는 제 1 내벽(2510)에 제 2 내벽(2520)을 덧붙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 2 내벽(2520)은 제 1 내벽(25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고, 영구 체결될 수도 있으며, 제 1 내벽(2510)이 제 2 내벽(2520)의 기능까지 하도록 하나의 내벽(250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2 내벽(2520)은 하나 이상의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2522)이 배출액체(w)의 이동 통로의 입구로서 하단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고, 타단(2524)이 배출 공간에 위치하게 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배출액체(w)가 종량제 봉투(30)의 내부에서 외부인 배출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내용물(c1 등)이 압착될 때 배출액체(w) 이동 통로의 입구인 제 2 내벽(2520)의 일단(2522) 주위의 물(w)에 가해지는 압력도 높아지므로, 이 압력에 의해 배출액체(w)의 배출 공간으로의 이동 정도도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내벽(2520)은 다수 개의 모세관을 포함하되 배출 공간 천장(2400)의 경사면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곳에 집중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해당 위치의 모세관을 좀더 길게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또는 해당 위치에만 제 2 내벽(2520)이 제 1 내벽(2510)에 더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하면 비용을 더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제 2 내벽(2520)은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량제 봉투(30)를 끼워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는 후술하는 제 1 내벽(2510)의 기능과 함께 종량제 봉투(30)가 내용물(c1 등)을 잘 수용할 수 있는 움직이지 않고 위치 및 형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기능이다. 종량제 봉투(30)의 양쪽 가장자리만 끼워도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일부분에만 제 2 내벽(2520)을 더 부착하는 형태로 제공하여도 기능을 잘 수행한다.
또한 제 2 내벽(2520)은 종량제 봉투와 같은 비닐 봉지(30)의 하단에 모인 배출액체(w)와 잘 접촉하면서도 비닐 봉지(30)에 구멍을 내거나 찢지 않아야 하므로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내용물(c1 등) 및 배출액체(w)에 압력을 가할 때 비닐 봉지(30)에도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제 2 내벽(2520)에 딱딱한 재질을 사용하면 구멍이 나거나 찢어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내벽(2520)을 양쪽 가장자리만이 아니라 전체 하단까지 길게 늘어뜨리면 잘 휘어지는 재질이어서 내용물(c1 등)에 눌려 형태가 달라지면 배출액체(w) 통로가 막히거나 나중에 비닐 봉지(30) 밖으로 빼내기 힘들 가능성이 증가할 뿐 아니라, 자칫 의도치 않은 압력이 비닐 봉지(30)에 가해져 종량제 봉투(30)가 파손될 위험도 증가한다.
따라서 제 2 내벽(2520)은 전술한 여러 가지 이유로 양쪽 가장 자리에만 제공하거나 양쪽 가장 자리 이외의 부분은 길이를 짧게 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제 1 내벽(2510)은 전술한 기능 이외에도 내용물(c1 등) 및 종량제 봉투(30)의 가이드로서의 기능도 제공한다. 종량제 봉투(30)가 내용물(c1 등)을 잘 받아들이도록 종량제 봉투(30)의 형태를 유도해 내용물(c1 등)이 잘 누적되도록 공간을 확보해준다. 따라서 제 1 내벽(2510)은 부드럽고 휘어지는 재질보다는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재질이므로 지나치게 길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에 의해 종량제 봉투(30)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날 수 있으므로 제 2 내벽(2520)보다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2 내벽(2520)과 비닐 봉지(30)와의 관계에 의해 제 1 내벽(2510)은 짧더라도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제 1 내벽이 움직이지 않도록 용기(10, 20)의 외벽(210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량제 봉투(30) 등의 비닐 봉지(30)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에 끼우는 방법은 제 1 내벽(2510)을 비닐 봉지(30) 내부에 밀어 넣는다, 제 2 내벽(2520)을 사용하여 비닐 봉지(30)의 위치를 더 잘 고정하고, 내부에 제 1 내벽(2510) 있는 비닐 봉지(30)를 용기(20)에 넣으면서 제 2 내벽(2520)의 모세관들이 최적의 위치에 오도록 정렬한다, 필요하면 제 1 내벽(2510)을 용기(20)의 외벽(2100)에 고정하여 비닐 봉지(30) 및 제 2 내벽(2520)을 함께 고정한다, 및 내부 뚜껑(2300)을 제 1 내벽(2510)에 설치한다 등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들 중 일부 단계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현상 및 수압에 의하여 비닐 봉지(30) 내부의 배출액체(w)를 비닐 봉지(30) 밖으로 빼내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2 내벽(2520)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비닐 봉지(30)에 든 쓰레기(c0, c1 등)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제 1 내벽(2510)만을 위로 빼내면 제 2 내벽(2520)이 함께 제거되며, 이때 제 1 내벽(2510)을 빼낼 때에도 제 1 내벽(2510) 고정 부재(미도시)를 해제한 후 내부 뚜껑(2300)을 위로 들어 올리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내부 뚜껑(2300)을 위로 올리는 데에도 수거용 용기(10), 용기 손잡이(1400) 또는 둘다를 사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오염 부분에 손을 대지 않고도 용기 손잡이(1400) 등 간접 도구만을 접촉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장점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20)는 내용물(c1)을 외부 공간과 차단하는 외부 뚜껑(2200) 및 내용물(c1)을 내부 공간과 차단하는 내부 뚜껑(2300)을 포함한다. 내부 뚜껑(2300)은 용기 손잡이(1400) 등의 간접 도구를 통해 수직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수거용 용기 및 누적용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첫번째 행의 첫번째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를 도시하고 있고, 이후 네개의 도면은 수거용 용기(10)를 측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첫번째 행의 마지막 도면은 수거용 용기(10)의 일부와 빗자루(50)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을 함께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의 밑벽(1200)은 분리벽(1120)으로 구분되는 외측밑벽(1220)과 내측밑벽(1210)을 포함하고 있다. 외측밑벽(122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내측밑벽(1210)은 분리벽(1120)과 함께 수거 내용물(미도시)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이하 편의상 수거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수거 내용물은 먼지, 쓰레기 등 폐기를 위한 것일 수도 있고, 건조를 위해 널어놓은 곡식, 밀가루, 모레나 흙, 구슬 등 보관 또는 사용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수거 내용물은 빗자루(50), 청소기 등 다른 수단을 더 사용하여 수집될 수도 있으나, 수거용 용기(10)만을 이용하여 수집될 수도 있다. 또한 수거된 용기(10)에 수거된 내용물이 반드시 누적 용기(10)나 폐기를 위한 곳으로 배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는 빵을 만들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에 밀가루를 수거하여 반죽을 위한 그릇에 배출할 수도 있다. 즉, 도면의 수거용 용기(10)는 쓰레받기처럼 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소기의 먼지 수집통, 바가지, 깔대기, 계량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외측밑벽(1220), 분리벽(1120) 또는 둘다는 경사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경사도의 범위에는 한정이 없다(예: 분리벽(1120)과 내측밑벽(1210) 사이 각도가 90도, 즉, 경사도가 0 등). 또한 뒷벽(1110) 또한 경사질 수 있으며, 뒷벽(1110)이 내측밑벽(1210)과 이루는 각도는 분리벽(1120)이 내측밑벽(1210)과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벽(1300)은 용기 손잡이(1400)에 의해 내측밑벽(1210) 위를 이동한다. 용기 손잡이(1400)는 실시예에 따라 용기(10), 추가벽(1300) 또는 둘다의 이동, 회전, 또는 둘다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하나 이상 결합 또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수개의 용기 손잡이(1400)의 예로, 하나의 용기 손잡이(1400)가 다른 용기 손잡이(1400') 내부에서 움직이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 2의 용기 손잡이(1400') 없이 하나의 용기 손잡이(140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는 용기 손잡이(1400) 또는 추가벽(1300)의 위치를 잠글 수 있는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벽(1300)은 수거 내용물의 압축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용기 손잡이(1400)를 당기거나 밀어 제 1 벽(예: 뒷벽(1110) 또는 분리벽(1120) 등)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거 내용물을 수거 공간에 모은 후, 용기 손잡이(1400)를 밀거나 당겨 추가벽(1300)을 제 2 벽(예: 분리벽(1120) 또는 뒷벽(1110) 등)쪽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수거 내용물을 압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를 사용하여 수거 내용물을 압축하면, 수거 내용물의 배출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거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므로 배출 횟수를 줄일 수 편리하다. 예를 들어, 쓰레기를 수거하는 경우, 폐기 장소나 누적용 용기(20)를 반복하는 횟수는 줄이면서도 더 많은 쓰레기를 수거하여 더 적은 부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추가벽(1300)은 수거 내용물의 분리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캔 등의 재활용 쓰레기와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 폐기용 쓰레기가 섞여있는 곳을 청소할 때, 먼저 수거 공간에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한 후, 추가벽(1300)을 이동시켜 수거 공간을 재활용 쓰레기가 수거(및 압착)된 공간과 빈 공간으로 분리하여, 상기 빈 공간에 폐기용 쓰레기를 수거하고, 분리된 공간별로 분리함으로써, 더욱 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는 재활용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는 불편함이나 폐기용 쓰레기와 함께 수거되어 더러워진 재활용 쓰레기를 재분리해내는 불편함을 제거시킴으로써, 청소 편의성 뿐 아니라 재활용 쓰레기 분리율도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의 장점이다. 사용자의 불편함 및 필요 노동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귀찮아서 분리하지 않던 재활용 쓰레기를 오염이 덜 된 상태로 분리하고 쓰레기 배출량을 감소시켜 환경 문제 해결에도 일조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재활용 쓰레기가 섞여 있는 상황에서도 일일이 손으로 분리하지 않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와 길이가 있고 손잡이가 있는 수거 보조 도구(예: 빗자루(50), 집게 등의 청소 도구 등)를 함께 사용하여 몸을 굽히지 않고 손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 용기(10)이 포함 또는 결합할 수 있는 추가벽(13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는데, 다수개의 추가벽(1300)은 이러한 용도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추가벽(1300)은 수거 내용물의 보관, 유출 없이 이동, 반복 수거, 누적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수거된 수거 내용물을 바로 배출하지 않고 수거 공간에 방치 또는 보관할 때나 용기(10) 이동시, 수거 내용물 추가 수거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추가벽(1300)이 수거 내용물의 외부로의 유출을 막아준다. 또한 도 8의 다음 행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나 도 9의 실시예처럼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는 실시예에 따라 윗벽(12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수거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막고 수거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해주므로 수거 내용물(특히 사용을 위한 수거 내용물인 경우)의 본 용도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추가벽(1300)의 위치를 잠글 수 있는 실시예도 본 용도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추가벽(1300)은 수거 공간의 용량을 결정지을 수 있으므로, 수거 내용물의 정량 배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벽(1300)의 위치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추가벽(1300)이 잠기는 위치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을 통해 추가벽(1300)이 뒷벽(1110) 또는 분리벽(1120) 위치에 있을 때 수거 공간의 용량이 최대가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추가벽(1300)이 뒷벽(1110)과 분리벽(1120) 사이의 중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면, 최대 용량의 반만큼을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음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추가적인 계량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종래의 계량 도구와 달리, 정량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편하다. 특히, 본 명세서는 주로 쓰레기의 수거 및 누적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 20)의 수거 및 누적 대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전술한 바 있는데, 사용 또는 보관을 위한 수거 대상물에 사용할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정량 배출 기능은 더욱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예컨대, 빵을 만들 때 종래의 계량 도구들과 달리 필요에 따라 밀가루나 우유 등의 양을 쉽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한번에 필요한 양을 수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추가벽(13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를 수거 보조 도구(예: 빗자루(50) 등의 청소 도구 등)와 함께 사용할 경우, 수거 보조 도구에 붙은 수거 대상물까지도 분리시켜 수거하면서 수거 보조 도구도 깔끔하게 유지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빗자루(50)를 밑벽(1200) 위에 놓고 추가벽(1300)의 이동을 통해 솔(5100) 부분을 훑음으로써, 솔(5100)에 달라붙은 머리카락이나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는 종래 기술과 달리, 빗자루(50)에 묻은 쓰레기를 추가 도구를 쓰거나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지 않고 떼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추가벽(1300)의 이동이라는 압축 등 다른 기능들에도 동일하게 쓰이는 동일한 동작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수거용 용기(10)의 구조 및 사용법을 단순화시켜, 사용자가 수거용 용기(10)를 더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추가벽(1300) 이동 대신 빗자루(50)를 이동하여 솔(5100)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8의 첫번째 행의 첫번째 도면과 마지막 도면이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의 하나 이상의 벽(예: 추가벽(1300), 내측밑벽(1210), 외측밑벽(1220), 분리벽(1120) 등)은 수거 보조 도구에 붙은 수거 대상물 분리에 도움이 되는 구조 또는 수단(예: 요철, 빗, 브러시 형태 등의 구조나 정전기 발생 수단, 전기 공급 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하나 이상의 벽에 포함되었을 경우 각각의 벽에 포함된 구조 및 형태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용기(10)의 각 벽의 두께, 재질, 형태 등이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세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음에 대한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의 측면을 도시한 네개의 도면을 보면, 첫번째 도면은 내측밑벽(1210)쪽에 형성된 공간에 수거 내용물이 수집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두번째 도면은 추가벽(1300)이 이동하여 수집된 수거 내용물을 분리벽(1120)쪽으로 밀어 압축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수집 및 압축 단계에서의 추가벽(1300)의 이동 방향이 반대일 수도 있다. 예컨대 압축 단계에서 추가벽(1300)을 분리벽(1120)쪽으로부터 당길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벽(1300)은 빗자루(50) 등의 수거 보조 도구를 청소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추가벽(1300)을 분리벽(1120)쪽으로부터 당기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세번째 도면은 다시 추가벽(1300)을 원위치시키고 수거용 용기(10)를 기울여, 수집(및 압축)된 수거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네번째 도면처럼 추가벽(1300)을 이동시켜 배출을 돕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벽(1120)의 경사는 수거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거용 용기(10)를 사용할 때 두번째 및 네번째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이며, 두번째 단계는 첫번째 단계로 돌아가서 반복될 수도 있고, 네번째 단계는 세번째 단계로 돌아가서 반복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과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두번째 행의 도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수거용 용기(10)를 누적용 용기(20)의 동작에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 도면에서 누적용 용기(20)의 뚜껑(200)은 내통 뚜껑일 수도 있고 외통 뚜껑일 수도 있다. 또한 이후 도면에서 뚜껑(200)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뚜껑(200)이 스윙 방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도 주의해야 한다.
첫 두 도면은 수거용 용기(10)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의 뚜껑(200) 또는 종래 기술이 제공하는 뚜껑(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와 누적용 용기(20)는 반드시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주의)의 한쪽을 누름으로써 뚜껑(200)을 열어서 수거 내용물을 누적용 용기(20)로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수거용 용기(10)의 방향은 뚜껑(200)이 열리는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배출을 돕기 위해 수거용 용기(10)의 뚜껑(200)에의 접촉을 유지 또는 재접촉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벽(1300)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두 두면은 수거용 용기(10)의 밑벽 끝(1230)을 누적용 용기(20)의 뚜껑(200)의 손잡이 결합수단(2302)에 결합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뚜껑(200)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누적 내용물의 압축, 누적용 용기(20)의 공간 분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이, 누적용 용기(20)는 뚜껑(200)의 수직 위치를 잠글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은 예를 위한 것일 뿐, 손잡이 결합수단(2302)에 수거용 용기(10)의 밑벽 끝(1230)이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세번째 행의 도면들은 수거용 용기(10) 뿐 아니라 누적용 용기(20)도 빗자루(50) 등 수거 보조 도구 등의 청소 및 수거 보조 도구에 묻어있는 수거 내용물의 수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8의 두번째 행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단순한 동작을 통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는 종래 기술과 달리, 빗자루(50)에 묻은 쓰레기를 추가 도구를 쓰거나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지 않고 떼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도 8의 두번째 행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단순한 동작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누적용 용기(20)의 구조 및 사용법을 단순화시켜, 사용자가 누적용 용기(20)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첫 두 두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거용 용기(10)로 뚜껑(200)의 한쪽을 누름으로써 뚜껑(200)을 열어 열린 곳으로 빗자루(50)를 넣고, 수거용 용기(10)의 뚜껑(200)에의 접촉을 유지하거나 재접촉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도 8의 첫번째 행을 통해 설명한 수거용 용기(10)에서와 마찬가지로, 용기(20)의 부분들(예: 옆벽(1100), 뚜껑(200) 또는 둘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솔(5100)에 붙은 수거 내용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뚜껑(200) 이동 대신 빗자루(50)를 이동하여 솔(5100)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음 두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거용 용기(10)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의 뚜껑(200), 옆벽(1100), 또는 둘다는 더 효과적으로 본 기능을 제공하도록 돕는 보조 구조들(예: 요철, 빗, 브러시 구조, 정전기 유도 수단 등의 수거 내용물 분리수단(230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용 용기(20)의 뚜껑(200)은 뚜껑 개폐부(230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수거 내용물 분리수단(2304)을 덮어 뚜껑에 형성될 수 있는 개구부를 차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뚜껑 개폐부(2305)의 이동, 회전, 스윙 등의 변형을 통한 뚜껑(200)의 개폐에도 도 8의 두번째 행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손잡이 결합수단(2302)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거용 용기(10)의 밑벽 끝(1230)을 손잡이 결합수단(2302)에 사용하여 뚜껑 개폐부(2305)를 수거 내용물 분리수단(2304)을 개방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단, 이는 예를 위한 것으로, 뚜껑 개폐부(2305)의 동작이나 이의 제어 수단,수거 내용물 분리수단(2304)의 개폐 수단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손잡이 결합수단(2302)에 수거용 용기(10)의 밑벽 끝(1230)이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의 다음 열의 세개의 도면들은 뚜껑 개폐부(2305)와 수거용 용기(10)의 상호 작용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고 있다. 첫번째 도면은 뚜껑 개폐부(2305, 2305')가 뚜껑 닫힘 위치에 있는 모습이다. 두번째 도면은 뚜껑 개폐부(2305)가 뚜껑 열림 위치로 이동 또는 회전하고, 수거용 용기(10)가 나머지 뚜껑 개폐부(2305')에 접촉(및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세번째 도면은 수거용 용기(10)에 접촉(및 결합)된 뚜껑 개폐부(2305')를 회전함으로써, 수거용 용기(10)에서 수거 내용물을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수거용 용기(10)를 누적용 용기(20)에 얹은 상태이므로 수거용 용기(10)를 기울이기가 용이하며, 심지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거용 용기(10)의 손잡이(1400)까지 누적용 용기(20)에 얹은 후 손을 뗄 수 있으므로, 수거용 용기(10)가 크고 무거울 경우에도 쉽고 편리하게 수거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자유로워진 손으로(추가 도구를 사용하여) 수거용 용기(10)를 두드리는 등의 추가 동작을 더 할 수 있으므로, 수거 내용물을 더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면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수거용 용기(10)와 누적용 용기(20)의 상호 작용, 뚜껑 개폐부(2305)의 구조 및 동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수거 보조 도구 청소 기능을 본 실시예에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거용 용기(10)의 손잡이(1400)가 회전하는 경우 배출 편의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수거용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 중에 회전축에 대해 쓰레받기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품들이 있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바닥에서 쓰레기를 수거할 때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수거한 쓰레기를 쓰레기통 입구로 들어올려 배출할 때는 불편하거나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손으로 쓰레받기를 회전시켜야 하여 손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쓰레받기(10)를 회전시킬 필요를 없애 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고, 도 9의 첫번째 열의 첫번째 행 및 두번째 행의 실시예, 두번째 열의 실시예처럼 쓰레받기(10)를 손잡이들(1400, 1430)만을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해결하기도 한다.
도 9의 첫번째 열 첫번째 행의 실시예를 먼저 보면, 첫번째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거용 용기(10)로 수거 내용물을 수거할 때를, 두번째 도면은 수거용 용기(10)를 회전시켜 수거 내용물을 배출할 때를 도시하고 있다. 두 도면을 비교하여 보면, 용기 손잡이(1400)가 손잡이 지지부(1402)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용기(10)가 회전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동작은 보조 손잡이(1430)를 당김으로써 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염된 용기(10) 본체를 만질 필요없이 용기 손잡이(1400)와 보조 손잡이(1430)만을 이용하여 수거용 용기(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보조 손잡이(1430)는 빗자루 등 다른 도구를 든 손으로도 쉽게 당길 수 있으므로 편하고 위생적으로 용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의 첫번째 열 두번째 행의 실시예를 보면, 용기 손잡이(1400)와 보조 손잡이(1430)의 위치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예: 용기 손잡이(1400)와 보조 손잡이(1430)의 위치를 도면과 반대로 할 수도 있음 등),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일부 벽(예: 뒷벽(1110))을 경사지게 구현하면, 수거 내용물을 보관하기가 더 편리해질 수 있음(세번째 도면)을 알 수 있다.
도 9의 두번째 열의 실시예를 보면, 보조 손잡이(1430)의 개수 및 이의 결합 형태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손잡이(1400)의 개수도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보조 손잡이(1430)가 줄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보조 손잡이(143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보조 손잡이(1430)는 막대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마지막 실시예처럼 전혀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두번째 열의 실시예는 추가벽(1300)이 도 8에서와 다른 방식으로 용기 손잡이(1400)와 결합될 수 있음도 설명하고 있다. 도 8의 추가벽(1300)은 용기 손잡이(1400)와 수직 방향(경사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90도는 아님)으로 결합되어 뒷벽(1110)을 향한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벽(1300)이 용기 손잡이(1400)와 평행하게 결합되어 용기(10)의 개구부와 직각 방향으로 움직인다(움직이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
도 9의 마지막 행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처럼 추가벽(1300)을 분리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추가벽(1300) 외에 윗벽(1240)이 더 존재한다. 또한 추가벽(1300)과 용기 손잡이(1400)는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도면은 다수개의 손잡이가 결합되어 하나의 용기 손잡이(1400)를 이룰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이는 예를 위한 것일 뿐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 윗벽(1240) 및 뒷벽(1110)의 일부에는 개구부(1242)가 형성되어 있어, 세번째 도면처럼 추가벽(1300)을 이를 통해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추가벽(1300)을 분리시키면 다른 곳에 더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분리된 추가벽(1300)은 누적용 용기(20) 또는 종래의 쓰레기통 등 다양한 곳에서 내용물을 압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세번째 도면은 잠금벽(1422)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추가벽(1300)을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첫번째 도면과 두번째 도면은 잠금벽(1422)이 닫힘 위치에 있으면 추가벽(1300)이 용기(10)에서 빠져나가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 두번째 도면은 추가벽(1300)을 수거용 용기(10) 자신의 내용물을 압축하는 등 도 8에서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및 추가벽(1300)의 이동 방향은 도 8 및 도 9의 전술한 실시예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캔 등의 재활용 쓰레기를 추가벽(1300)에 수거하고 추가벽(1300)을 올린 후 추가벽(1300) 밑에 머리카락이나 먼지 등 폐기용 쓰레기를 수거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재활용 쓰레기와 폐기용 쓰레기를 분리할 수도 있다. 빗자루(50)를 밑벽(1200)과 추가벽(1300) 사이에 넣고, 추가벽(1300)을 누르면서 빗자루(50)를 뺌으로써 빗자루(50)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빗자루(50) 청소를 돕기 위한 요철 등도 본 실시예에도 포함될 수 있다.
첫번째 도면은 용기(10)의 뒷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가벽(1300)을 윗벽(1240)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손잡이(1400)를 들면 추가벽(1300)이 저절로 윗벽(1240)의 위치까지 이동하며, 수거용 용기(10)를 내려놓으면 추가벽(1300)이 저절로 아래로 이동하므로, 수거용 용기(10)를 이동하거나 수거 내용물을 수거할 때는 용기 손잡이(1400)를 들고, 수거 내용물을 용기(10) 내에 방치 또는 보관할 때는 추가 동작 없이 수거용 용기(10)를 내려놓아 방치하여도 추가벽(1300)이 수거된 내용물을 눌러 유출되지 않게 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추가벽(1300)의 위치를 잠글 수 있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벽(1422)이 추가벽(1300)이 빠져나갈 수 있는 개구부(1242)를 개폐하는 방식이나 잠금벽(1422)의 형태 및 크기는 도면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면은 잠금벽(1422)이 회전을 통해 개구부(1242)를 개폐하지만, 잠금벽(1422)의 이동을 통해 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잠금벽(1422)의 위치나 상태를 잠글 수 있는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벽(1422)의 회전, 이동 등을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잠금벽 손잡이(14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잠금벽 손잡이(1420)의 형태를 구멍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잠금벽(1422) 내지는 잠금벽 손잡이(1420)는 수거용 용기(10)의 회전에 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을 위한 보조 손잡이(1430)를 더 포함하거나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수거용 용기(10)는 빗자루 등 수거 보조 도구를 홀드할 수 있는 홀더(1450) 등 보조 구조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면은 이를 뒷벽(1110)에 도시하였으나, 홀더(1450)의 위치 및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은 쓰레기통과 쓰레받이의 크기가 맞지 않으며, 쓰레받이에 모은 먼지를 쓰레기통에 넣을 때 쓰레기통과 그 주위가 더러워지는 경우가 많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가족의 규모가 줄어들고 독거인이 늘어나면서, 소용량 쓰레기통 수요가 늘고 있으나, 쓰레받이 크기를 쓰레기통 입구 크기에 맞게 줄이는 것은 더욱 불편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 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용으로 특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누적용으로 특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그 한 예로 쓰레받이(10)와 쓰레기통(20)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0의 실시예들에서 외부 뚜껑(2200)은 종래의 쓰레받이의 역할까지 한다. 외부 뚜껑(2200)은 이러한 역할을 더 잘 수행하기 위한 옆벽(1100)이나 기타 부가적인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용기(10, 20)는 분리벽(11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설명을 위해 첫행의 실시예는 포함한 예를, 두번째 행의 실시예는 포함하지 않는 예를 도시하였다. 분리벽(1120)은 수거 및 누적된 내용물(미도시)이 사용자가 원치 않을 때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첫행의 실시예처럼 내부 뚜껑(2300)과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수거를 원할하게 하기 위해 경사를 가질 수도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수거 내용물 분리수단(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수거 내용물 분리수단은 분리벽(1120) 이외의 다른 부분에 포함, 탈부착,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분리벽(1120)의 위치나 형태는 도면의 예에 한정되지 않음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용기(10, 20)는 손잡이, 바퀴, 빗자루 지지부, 탈취제 보관부, 봉지 보관부 등 기타 부가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본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 주의). 또한 분리벽(112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용기(10, 20)의 일부 벽을 개폐할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음 등 세부 구조는 더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첫번째 행의 실시예는 내용물(미도시)를 수거하여 넣을 때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내용물(미도시)이 배출되지 않도록 분리벽(1120)과 내부 뚜껑(2300)이 막아주며(2번째 도면), 필요한 순간에는 사용자가 빗자루로 쉽게 내부 뚜껑(2300)을 열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된 예는 내부 뚜껑(2300)을 밀어 스윙시키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내부 뚜껑(2300)의 개폐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내부 뚜껑(2300)은 이동을 통해 개폐될 수도 있다. 또한 첫번째 행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 뚜껑(2300)의 동작을 돕는 뚜껑 개폐부(2305)가 더 포함될 수도 있고, 이때 뚜껑 개폐부(2305)는 용기(10, 20)의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게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뚜껑 개폐부(2305)와 내부 뚜껑(2300)은 내용물을 압축하는 용도로 더 사용될 수도 있다.
두번째 행의 실시예는 내부 뚜껑(2300)을 개폐하는 스윙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뚜껑 개폐부(2305)가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뚜껑 개폐부(2305)는 내부 뚜껑(2300)의 개폐 범위를 한정하거나 특정 각도도 열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내부 뚜껑(2300)과 각도를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면은 90도 각도로 결합되어, 내부 뚜껑(2300)이 용기(10, 20)와 90도 각도로 열렸을 때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각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의 첫번째 도면은 용기(10, 20)를 세웠을 때는 뚜껑 개폐부(2305)가 공간을 더 차지하거나 걸리적 거리지 않는 각도에 위치할 뿐 아니라, 이를 심미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세번째 도면은 용기(10, 20)를 눕혔을 때는 내부 뚜껑(2300)이 빗자루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각도로 젖혀짐을 설명하는 한편, 세웠을 때는 내부 뚜껑(2300)이 다른 물체(예: 쓰레받이 등)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각도로 젖혀짐도 보이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 20)가 종래 기술의 사용을 제한하지 않으며, 더 융통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는 본 실시예가 쓰레기통과 쓰레받이로만 사용이 한정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도면은 본 명세서의 다른 도면들과 마찬가지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쓰레기통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을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두번째 행의 도면들을 통해 용기(10, 20)를 세웠을 때는 종래의 쓰레기통처럼 사용하고 눕혔을 때는 종래의 쓰레받이처럼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뚜껑 개폐부(2305)는 용기(10, 20)를 세우고 눕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첫번째 행도 마찬가지이며,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응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위치, 각도 등에 따른 용도도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첫번째 행 세번째 도면은 내부 뚜껑(2300)의 개폐를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할 수도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종래의 깔대기와 비슷한 구조를 사용하되, 종래 기술과 다르게 깔대기 하단 개구부 크기를 줄임으로써 뚜껑(2300)을 닫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는 깔대기 구조의 변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종래 기술처럼 고정형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종래의 쓰레기통이나 기타 용기들과 달리, 개구부 크기가 줄어들므로 내용물(예: 쓰레기, 먼지, 음식 등)가 배출되거나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30) 거치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깔대기 구조(2300)는 용기의 턱(230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봉투(예: 비닐 봉지, 지퍼백 등)에 내용물(예: 음식, 쓰레기 등)을 넣거나 이를 보관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첫번째 행의 첫 두 도면은 깔대기 하단 개구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용도로 더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은 세번째 도면의 실시예에서 유용하도록 상단 개구부는 일정하게 유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깔대기 상단 개구부, 하단 개구부 또는 둘다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인 쓰레기통에 장착이 유용한 사각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단 개구부의 사각 형태는 프레임들(2300-2)끼리 서로 연결하여 고정되고(2300-3), 하단 개구부는 프레임(2300-1)들끼리의 연결이 없어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임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깔대기의 프레임 연결 부위(2305)를 볼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시예(2300)는 프레임만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비닐이나 기타 유연한 물체를 사용하여 깔대기 구조를 완성하게 할 수도 있고, 그러한 막까지 더 제공할 수도 있다. 후자인 경우에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2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닐 봉지나 지퍼백에 내용물을 넣을 때 사용할 때 상기 비닐 봉지나 지퍼백이 깔대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내용물을 투입할 때만이 아니라 배출할 때의 제어, 또는 내용물의 보관이나 기타 용도를 추가하는 데에도 등 매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2300)은 꽃병이나 화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꽃병이나 화분은 꽃의 양이 많거나 식물의 크기가 클 때 너무 작은 용기를 사용하거나, 반대로 꽃의 양이 적거나 식물의 크기가 작을 때 큰 용기를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양한 용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활용하면 이러한 불편이 사라지며 이에 따라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들므로 환경도 보호할 수 있다.
도 11의 두번째 행의 도면들은 본 발명(2300)을 종래 용기(40)에 사용하여, 종래 용기(40)에서의 내용물 배출을 제어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컵, 그릇, 냄비, 대야 등의 수많은 종래 용기(40)는 기울여서 내용물을 배출하는데, 너무 많은 양이 배출되거 배출되지 않아야 할 것까지 배출되거나, 용기(40)의 외벽에 내용물의 일부가 묻어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빨대를 활용하기도 하고, 용기(40) 상단을 뾰족한 형태로 성형하거나(예: 비커 등)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바다 거북의 코에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 빨대가 꽂혀있는 모습이 공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빨대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었고, 용기(40) 자체를 성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첫 두 도면은 본 발명(2300-1, 2300-2)을 종래의 빨대 대신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일회용 빨대 대신 다회용 빨대를 사용해본 사용자는 세척의 불편함을 토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2300-1, 2300-2)는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도면은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이동 및 스윙을 통해 공간을 절약하고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내용물의 배출을 막을 수도 있다. 예컨대, 예컨대 두번째 도면 이후 제 2 뚜껑(2300-2)를 회전하여 뚜껑(200)의 홈에 평행하게 끼우고, 제 1 뚜껑(2300-1)도 회전하여 그 위에 덧끼울 수 있게 구현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의 뚜껑(200)의 구조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테이크 아웃 컵의 뚜껑과 유사하게 도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뚜껑(200)은 세번째와 네번째 도면과 같은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2300-1, 2300-2)은 일부 또는 전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뚜껑(200)의 일부일 수도 있으나 전혀 독립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 1 뚜껑(2300-1)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뚜껑(200)의 개구부가 제 1 뚜껑(2300-1)쪽에 있으며, 제 2 뚜껑(2300-2)은 제 1 뚜껑(2300-1)보다 지름이 작아 제 1 뚜껑(2300-1)에 끼울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 2 뚜껑(2300-2)이 생략되어 있는 실시예가 세번째와 네번째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도 제 2 뚜껑(2300-2)이 더 사용되거나 결합, 탈부착, 포함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의 제 1 뚜껑(2300)의 형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의 비커 등에 형성되어 있는 뾰족한 형태를 단순화시켜 도시하였을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전술한 설명처럼 실시예에 따라 제 1 뚜껑(2300)을 회전시켜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세번째와 네번재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200)은 뚜껑(200)의 크기를 고정시키지 않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많은 용기(400)들은 내용물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그 수많은 용기(400)들에 전용 뚜껑이나 전용 구조를 채용하는 것은 낭비이며, 휴대도 불가능하다. 예컨대 식당이나 야외에 가서 그릇에 있는 내용물을 나누려 할 때 그에 맞는 뚜껑이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양한 크기의 용기(400)에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200)를 휴대하면 편리하다.
이를 위해 뚜껑(200)은 용기(400)와의 결합 수단(2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결합 수단(2302)을 포함하되, 사용 편의를 위해 한쪽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위치는 용기(400)의 크기에 따라 직선상을 이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용기(400)의 벽에 끼우는 2개의 클립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 수단(2302)의 구조, 크기, 수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결합 수단(2302)은 아예 포함되지 않고 뚜껑(200)의 재질 자체가 용기(400)와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결합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더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 수단(예: 자석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거용 용기
20: 누적용 용기

Claims (1)

  1. 내용물을 외부 공간과 차단하는 외부 뚜껑 및 상기 내용물을 내부 공간과 차단하는 내부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뚜껑은 수직 위치가 변경되는 것인 용기.
KR1020180137490A 2016-11-09 2018-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KR20190053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72A KR20200054116A (ko) 2016-11-09 2019-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9121 2016-11-09
KR1020170148393A KR20180052102A (ko) 2016-11-09 2017-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KR1020170148393 2017-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128A true KR20190053128A (ko) 2019-05-17

Family

ID=624861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393A KR20180052102A (ko) 2016-11-09 2017-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KR1020180137490A KR20190053128A (ko) 2016-11-09 2018-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KR1020190143072A KR20200054116A (ko) 2016-11-09 2019-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393A KR20180052102A (ko) 2016-11-09 2017-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072A KR20200054116A (ko) 2016-11-09 2019-11-09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8005210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116A (ko) 2020-05-19
KR20180052102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7346A (en) Odor free litter system
US11653797B2 (en) Composting toilet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CN108657694A (zh) 一种环保型餐厨垃圾桶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53128A (ko) 물질 수거 또는 누적을 위한 용기
KR101737226B1 (ko) 악취의 새어나옴과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한 가정용 음식물쓰레기통
CN217365704U (zh) 一种使用方便的表面清洁装置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80070814A (ko) 편의점용 음식물 쓰레기 분리통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IES20070885A2 (en) A container
KR20100026542A (ko) 음식물 분리수거 통
KR10104810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KR20090060729A (ko)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수집통 및 이를 이용한 옥내의음식물쓰레기 배출관
KR101955400B1 (ko) 쓰레기통
JP3020037U (ja) 生ゴミ収納容器
JPH0344721Y2 (ko)
GB2590053A (en) Easy clean bin
AU722423B2 (en) A tray
JP3032115U (ja) 生ゴミ水切り器
KR101781518B1 (ko) 음식물 처리 배수구
RU125055U1 (ru) Биотуалет барабанный
KR200367967Y1 (ko) 음식물 쓰레기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