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973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973Y1
KR200342973Y1 KR20-2003-0034485U KR20030034485U KR200342973Y1 KR 200342973 Y1 KR200342973 Y1 KR 200342973Y1 KR 20030034485 U KR20030034485 U KR 20030034485U KR 200342973 Y1 KR200342973 Y1 KR 200342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s
pillow
pair
adjust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평양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평양어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평양어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침자가 취침 내지 휴식시 머리에 베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목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 짝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높이를 달리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조절부재결합부 ;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 짝으로 상기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며, 그 하면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면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조절부재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마다 필요에 따라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베개 { PILLOW }
본 고안은 취침자가 취침 내지 휴식시 머리에 베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인간 생활을 위해 요, 이불 등과 함께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구로서, 취침자가 누울 때 머리 및/또는 목을 편하게 받치는 데 사용된다.
근래까지 사용되어 오던 베개를 살펴보면, 베개 속피 내에 헝겊 조각, 왕겨,대패밥, 조 등을 베갯속으로 사용하던 것부터, 목침과 같이 일체화된 형태를 이루는 것, 대나무편 베개와 같은 기능성 베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한편, 일반적으로 잠을 자기 위하여는 일정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여야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머리를 받치고 있는 경추가 척추와 동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일정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추와 척추가 어긋나 있는 형태와 일치하는 높이의 베개를 베었을 때 베개로 인하여 경추가 처짐없이 안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베개의 높이가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경추가 직선으로 펴지거나, 과다하게 휘어진 상태로 일순간 굳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일어섰을 때 원래의 경추모양으로 돌아가는 과정에 경추 주위의 신경이나 근육을 자극하여 뻐근함을 느끼게 되며, 심할 경우 척추가 뒤틀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경추와 척추가 이루는 일정한 곡선은 사람마다 상이하며, 따라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마다 필요에 따라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분해조립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측면프레임
12a, 12b, 22a, 22b : 관통구
40a, 40b : 높이조절봉
50a, 50b, 51a, 51b : 조절부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목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 짝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높이를 달리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조절부재결합부 ;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 짝으로 상기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며, 그 하면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면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조절부재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부재결합부와 조절부재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재결합부로서 측면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합부가 상기 홈에 결합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상기 조절부재결합부로서 측면프레임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조절부재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형상은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재결합부가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두쌍이 마련되어 각각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마련되는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재결합부를 측면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 양자 모두에 마련하여, 베개를 경사지게 높이조절하는 것 뿐만 아니라 평평하게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조절부재결합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이며 ; 양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짝으로 마련되는 관통구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봉이 부가되며 ;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높이조절봉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봉을 부가하여 조절부재결합부를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외측 종단면이 원형외주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재가 원형외주를 이룸으로써, 조절부재가 조절부재결합부에 어떠한 위치에서 결합되느냐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되어 사용편의를 높일 수 있다.
이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분해조립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한쌍의 측면프레임(10, 20)과 이들 사이에 마련되는 받침부가 제공된다.
받침부는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목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파이프 형태의 다수의 베갯살(3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베갯살(30)은 게르마늄이 함유된 파이프를 사용하였으며,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목이 베갯살(20)과 접촉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의 효과를 향유할 수 있다.
베갯살(30)은 측면프레임(10,20)에 그 단부가 고정되거나 혹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받침부의 구성은 대나무편을 이용하거나 혹은 일체로 구성된 덮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는 대체적으로 상부로 만곡돌출된 목받침부 및 대체로 평평한 형태를 이루는 머리받침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이 받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측면프레임(10,20)의 형태 또한 일부가 대체로 상부로 만곡돌출되며 타부가 대체로 평평한 형태를 이루도록 하였다.
한편, 파이프 형태의 베갯살(30)을 측면프레임(10,20)과 결합하기 위하여, 베갯살(30)의 양단부가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베갯살결합구(11a, 21a)가 형성된 보조프레임(11,21)이 측면프레임(10,20)에 각각 고정된다.
즉, 측면프레임(10,20)은 목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외관이 자연친화적인 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하며, 보조프레임(11,21)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의 편이성을 살렸다.
보조프레임(11,21)은 나사 등에 의하여 측면프레임(10,20)에 고정된다.
각 측면프레임(10,20)에는 서로 대응하는 동일한 위치에 측면프레임(10,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구(12, 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프레임(10)에는 그 전단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5개의 관통구(12a)가 마련되며 또한 그 후단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5개의 관통구(12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20)에는 그 전단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5개의 관통구(22a)가 마련되며 또한 그 후단부에 높이를 달리하여 5개의 관통구(22a)가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12a)와 관통구(22a)는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 짝으로 형성되며, 또한 관통구(12b)와 관통구(22b)는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 짝으로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높이조절봉(40a, 40b)이 측면프레임(10,20)의 관통구(12a, 12b, 22a, 22b)에 결합할 수 있도록, 각 보조프레임(11, 21)에는 관통구(12a, 12b, 22a, 22b)와 동일한 형태로 보조관통구(11b, 21b)가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봉(40a, 40b)의 양단은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조절봉(40a)은 측면프레임(10)의 관통구(12a), 보조프레임(11)의 보조관통구(11b), 보조프레임(21)의 보조관통구(21b), 측면프레임(20)의 관통구(22a)를 통해 삽입되어 그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측면프레임(10,20)의 각 외측으로 돌출된다.
높이조절봉(40b) 또한 높이조절봉(40a)과 마찬가지로 마련된다.
높이조절봉(40a)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산에는 조절부재(50a, 51a)가 나사결합된다. 조절부재(50a, 51a)는 베개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즉 측면프레임(10, 20)측에는 높이조절봉(40a)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조절부재(50a, 51a)가 베개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부재(50a, 51a)의 하면이 측면프레임(10, 20)의 하면보다 아래로 돌출될 필요가 있다.
한편, 조절부재(50a, 51a)의 내측 종단면은 원형외주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을 이룬다. 반면 조절부재(50a, 51a)의 외측 종단면은 내부가 꽉찬 원형외주를 이룬다.
높이조절봉(40b) 및 조절부재(50b, 51b)는 베개의 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개의 전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2는 높이조절봉(40a, 40b)을 높이가 가장 낮은 관통구에 각각 결합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 베개의 높이는 가장 높은 상태가 된다.
도 3은 높이조절봉(40a, 40b)을 높이가 두번째로 낮은 관통구에 각각 결합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 베개의 높이는 두번째로 높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봉을 높이를 달리하는 관통구 어디에 결합하는냐에 따라 베개의 높이가 달라진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내지 조정될 수 있으며, 그러한 변경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사용자마다 필요에 따라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가 제공된다.

Claims (4)

  1. 사용자의 머리 및/또는 목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 짝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위에 높이를 달리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조절부재결합부 ;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에 짝으로 상기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며, 그 하면이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면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조절부재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부재결합부가 상기 한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절부재는 두쌍이 마련되어 각각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마련되는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 상기 조절부재결합부는 상기 측면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이며 ; 양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짝으로 마련되는 관통구에 삽입되는 높이조절봉이 부가되며 ;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으로돌출되는 상기 높이조절봉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조절부재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외측 종단면이 원형외주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3-0034485U 2003-09-02 2003-11-04 베개 KR2003429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8179 2003-09-02
KR2020030028179 200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973Y1 true KR200342973Y1 (ko) 2004-02-25

Family

ID=4934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485U KR200342973Y1 (ko) 2003-09-02 2003-11-04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30B1 (ko) 2008-03-28 2010-06-03 최문식 대나무 목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30B1 (ko) 2008-03-28 2010-06-03 최문식 대나무 목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764B2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50257556A1 (en) Shrimp Pillow
US7562409B2 (en) Adjusting structure for adjusting the rise and fall of a mattress by air spring
JP2009005725A (ja) 健康と安眠に適した調節可能な枕
KR200342973Y1 (ko) 베개
CN205457480U (zh) 一种保健睡眠床
CN2930491Y (zh) 多功能调颈曲枕
CN105559422A (zh) 全方位护脊保健睡眠床架
JP2010063674A (ja) 健康枕
KR20050021028A (ko) 베개
CN109770650A (zh) 可调节枕头
CN1134236C (zh) 缠绕型缕空枕头
KR20050116591A (ko) 건강 베개
KR200144760Y1 (ko) 높낮이 조절용 베개
CN220192678U (zh) 分区枕头
CN211748542U (zh) 一种枕头
CN209610681U (zh) 一种软硬分区乳胶枕
JP3237742U (ja) 頸椎枕
KR20090046633A (ko) 옆으로 누울 때 유용한 다 기능성 보조장치 (베개)
KR200372726Y1 (ko) 매트리스
CN208658545U (zh) 一种护颈枕
CN2254728Y (zh) 矫形床垫
CN2464191Y (zh) 调整型枕头
KR200331940Y1 (ko) 건강베개
US10492617B1 (en)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a person&#39;s head above a mattress or other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