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798Y1 -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798Y1
KR200342798Y1 KR20-2003-0036790U KR20030036790U KR200342798Y1 KR 200342798 Y1 KR200342798 Y1 KR 200342798Y1 KR 20030036790 U KR20030036790 U KR 20030036790U KR 200342798 Y1 KR200342798 Y1 KR 200342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le
ornament
hous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구인
Original Assignee
권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구인 filed Critical 권구인
Priority to KR20-2003-0036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7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구와 핸드폰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핸드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식구 부착방법은 본드의 접착력에 의존하여 부착됨에 따라 그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고, 장식구가 폴더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부착됨에 따라 노출된 장식구가 외력과 충돌되면서 쉽게 이탈되어 40만~50만원을 웃도는 고가의 휴대폰을 자칫 흉하게 만들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핸드폰(1)의 데코플레이트(2)에 장식구(3)를 설치시킴에 있어서, 장식구(3)가 삽입 결합되는 통공(41)을 구비하는 하우징(4)과, 상기 통공(41)의 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부(42)와, 테코플레이트(2)에 상기 하우징(4)이 삽입되는 설치공(20)을 형성시키고, 하우징(4)의 결합부(42)를 설치공(20)의 하단 주연에 부착 설치시켜 구성됨으로써, 장식구를 핸드폰의 데코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장식구가 데코플레이크 표면으로 필요 이상 노출되는 억제시켜 외력에 의해 장식구가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드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Ornament attaching apparatus on hand phone}
본 고안은 핸드폰에 장식구를 설치시키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에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구와 핸드폰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핸드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디자인과 성능을 가진 휴대폰 제품이 즐비하지만 나만의 개성을 연출하려는 신세대들에겐 성에 차지 않기 십상이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해 휴대폰 교체시기가 길어지면서 기존의 휴대폰을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바꾸는 튜닝이 젊은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튜닝업체들도 인기 캐릭터나 연예인 사진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을 갖추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해 불경기 시대의 틈새시장 공략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핸드폰 튜닝은 청소년들의 창의성이 돋보이는 키워드로써, 10, 20대에게 휴대전화는 재산목록 1호이자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물품이다. 자연히 자신의 휴대전화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장식품을 달거나 형태와 기능을 변형시키는 기예를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 외관을 본 딴 핸드폰 튜닝과 담배갑 모양으로 장식한 사진 등이 인터넷 상에서 호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핸드폰 튜닝으로 액정화면에 컬러프린터로 인쇄한 비닐필름을 입혀 무지개 색깔을 내게 하거나 큐빅과 같은 보석류의 장식구를 핸드폰의 데코플레이트에 부착해 독특한 모양과 함께 보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갖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에 있어서 큐빅과 같은 보석류의 장식구를 외부 폴더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엑폭시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장식구를 데코플레이트 표면에 단순하게 부착 설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부착방법은 본드의 접착력에 의존하여 부착됨에 따라 그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고, 장식구가 폴더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부착됨에 따라 노출된 장식구가 외력과 충돌되면서 쉽게 이탈되어 40만~50만원을 웃도는 고가의 휴대폰을 자칫 흉하게 만들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장식구와 핸드폰의 데코플레이트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장식구가 데코플레이크 표면으로 필요 이상 노출되는 억제시켜 외력에 의해 장식구가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핸드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핸드폰의 데코플레이트에 장식구를 설치시킴에 있어서, 장식구가 삽입 결합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통공의 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테코플레이트에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설치공을 형성시키고, 하우징의 결합부를 설치공의 하단 주연에 부착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인 하우징과 데코플레이트를 분리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하우징이 데코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드폰 2. 데코플레이트
3. 장식구 4. 하우징
5. 양면테이프 10. 폴더
20. 설치공 41. 통공
42. 결합부 420. 널링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해드폰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인 하우징과 데코플레이트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하우징이 데코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폰(1)의 데코플레이트(2)에 장식구(3)를 설치시킴에 있어서, 장식구(3)가 삽입 결합되는 통공(41)을 구비하는 하우징(4)과, 상기 통공(41)의 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부(42)와, 테코플레이트(2)에 상기 하우징(4)이 삽입되는 설치공(20)을 형성시키고, 하우징(4)의 결합부(42)를 설치공(20)의 하단 주연에 부착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장식구(3)로는 큐빅과 같은 보석 및 모든 인조보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결합부(42)를 설치공(20)의 하단 주연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부착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양면테이프(5)로 결합부(42)를 설치공(20)의 하부 주연에 부착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데코플레이트(2)에 설치공(20)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설치공(20)의 내주연이 경사면(21)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시켜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설치공(20)의 내주연 경사면(21)을 다이아컷팅으로 형성시켜 설치공(20)의 경사면(21)이 광택을 발하도록 하여 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42)는 그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한 널링부(420)를 형성시켜양면테이프(5)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널링부(420)는 양면테이프(5)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장식부로의 기능을 발휘하여 제품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의 통공(41) 내주연에 노치(411)를 형성시켜 하우징의 도금시 걸이구에 의해 발생되는 흠집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우징(4)에 형성된 통공(41)의 내부에 장식구(3)를 삽입시키고, 통공(41)의 주연을 압착하여 장식구(3)를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장식구(3)를 통공(41)의 내부에 설치시킴에 있어서는 통공(41)의 주연을 가열시켜 통공의 내경을 신장시킨 후 장식구(3)를 삽입 설치시키고 통공(41) 주연부를 압착시켜 고정 설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4)의 결합부(42)에 양면테이프(5)를 부착시키고 하우징(4)을 데코플레이트(2)에 형성된 설치공(20)의 저부로부터 삽입시켜 양면테이프(5)의 상면이 설치공(20)의 하부주연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42)의 내측 부분은 설치공(2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결합부(42)에 형성된 널링부(420)가 노출되어 장식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데코플레이트(2)에 하우징(4)의 결합이 완료되면 데코플레이트(2)를 핸드폰(1)의 폴더(10) 표면에 부착시켜 조립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식구를 핸드폰의 데코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장식구가 데코플레이크 표면으로 필요 이상 노출되는 억제시켜 외력에 의해 장식구가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드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핸드폰(1)의 데코플레이트(2)에 장식구(3)를 설치시킴에 있어서, 장식구(3)가 삽입 결합되는 통공(41)을 구비하는 하우징(4)과, 상기 통공(41)의 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부(42)와, 테코플레이트(2)에 상기 하우징(4)이 삽입되는 설치공(20)을 형성시키고, 하우징(4)의 결합부(42)를 설치공(20)의 하단 주연에 부착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결합부(42)와 설치공(20)의 하단 주연 사이에 양면테이프(5)를 부착시켜 결합부(42)를 설치공(20)의 하부 주연에 부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20)의 내주연이 경사면(21)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2)는 그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한 널링부(420)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의 통공(41) 내주연에 노치(411)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KR20-2003-0036790U 2003-11-25 2003-11-25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KR200342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790U KR200342798Y1 (ko) 2003-11-25 2003-11-25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790U KR200342798Y1 (ko) 2003-11-25 2003-11-25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50A Division KR100695884B1 (ko) 2003-11-24 2003-11-24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798Y1 true KR200342798Y1 (ko) 2004-02-18

Family

ID=4934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790U KR200342798Y1 (ko) 2003-11-25 2003-11-25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7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8608A1 (en) Gasket for smartwatch cover
KR100834560B1 (ko) 휴대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038107A1 (en) Shel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58499B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102361485A (zh) 一种在彩色图案中镶嵌水晶、钻石的手机外壳及制作方法
KR200342798Y1 (ko)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KR100695884B1 (ko) 핸드폰의 장식구 설치구조
JP2006295859A (ja) 接着式アクセサリー
KR20080095971A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3502624B2 (ja) 美観に優れる背面を備えた液晶ディスプレイモニ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274786A (zh) 外观件、手机后盖及电池组件
KR101449666B1 (ko) 가죽 케이스의 도트형 큐빅장식의 형성방법 및 그 가죽 케이스
JP2010502260A (ja) 携帯用アクセサリー
CN217406606U (zh) 一种带镜头装饰片的手机壳
KR200393217Y1 (ko) 휴대물품용 장식프레임
CN2733761Y (zh) 一种玉石装饰手机外壳结构
KR200305255Y1 (ko) 장식물이 고정되어 있는 휴대폰 케이스
CN219420825U (zh) 一种视窗镜头手机壳
KR200295375Y1 (ko) 휴대폰용 케이스 장식패널
CN213637833U (zh) 一种手机电池盖装饰片
KR200317765Y1 (ko) 액세서리 스티커
CN217470048U (zh) 防滑手机后壳
KR200263906Y1 (ko) 귀금속이 도금된 장식용 스티커
CN210274189U (zh) 一种超薄透光陶瓷炫彩手机壳
CN218781263U (zh) 一种多功能音响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