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519Y1 - 셀프클로징밸브 - Google Patents

셀프클로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519Y1
KR200342519Y1 KR20-2003-0035221U KR20030035221U KR200342519Y1 KR 200342519 Y1 KR200342519 Y1 KR 200342519Y1 KR 20030035221 U KR20030035221 U KR 20030035221U KR 200342519 Y1 KR200342519 Y1 KR 200342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pring
opening
r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이수규
이민걸
Original Assignee
범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아정밀(주) filed Critical 범아정밀(주)
Priority to KR20-2003-0035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o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탱크속의 액체레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셀프클로징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하에서도 오링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횡축을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멈춤부재와 스냅링 그리고 콘 스프링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셀프클로징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몸통을 가지고, 상기 몸통은 오링이 끼워지는 오링홈과, 몸통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종공 및 제 2 종공과, 상기 제1종공 및 제2종공과 연통되는 횡공을 가지며, 상기 오링홈과 제1종공과 제2종공은 상기 몸통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수용하는 개폐부재수용공과, 상기 개폐부재수용공에서 축경되며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된 걸림공과,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공과, 상기 걸림공에 연해서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는 제1본체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공과 상기 스프링수용공에서 단턱을 통해 축경되어 플런저를 안내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에 연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의 연결공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해서는 형성되는 캡헤드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와 캡헤드의 중심선을 따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헤드의 관통공, 스프링수용공,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 안내공, 연결공을 관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상에 결합되는 일단부를 가지는 횡축과, 횡축의 타단부에 결합된 레버를 가지는 플런저와; 셀프클로징모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플런저와 일체여서 그 오링이 걸림공의 돌출부에 압접하여 자동적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반면, 개방모드에서는 제1종공은 개폐부재수용공에 그리고 제2종공은 제1본체의 연결공에 위치하여 액체가 제1종공을 통해 횡공 및 제2종공을 거쳐 유출공으로 유출되데 저압분위기에서는 오링이 오링홈에 위치되며 고압분위기에서는 오링이 오링홈을 이탈하여 몸통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공의 돌출부에서 멈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셀프클로징밸브{Self-Closing Valve}
본 고안은 탱크속의 액체레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셀프클로징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하에서도 오링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횡축을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멈춤부재와 스냅링 그리고 콘 스프링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 셀프클로징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체가 함유된 탱크(T)의 일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셀프클로징밸브(3)가게이지(2)를 개제하여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셀프클로징밸브의 레버를 누르면, 탱크속의 액체가 밸브를 거쳐 게이지로 유입되고, 사용자는 게이지의 눈금을 이용해 액체의 레밸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도 2a는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의 종단면도이며 도 2b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3)는 본체(31), 너트(32), 플런저(33), 콘(34), 축스프링(35), 콘스프링(36), 멈춤부재(37)와 스냅링(38)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31)에는 플런저이동공(315), 연장공(313)과 콘이동공(317)이 구비되어 있어서, 콘(34)은 콘이동공(317)에서, 플런저(33)는 플런저이동공(315)에서 각각 이동된다. 또한, 플런저의 단부(333a)는 연장공(313)에서 이동되며 상기 콘과 연동된다. 그리고, 콘의 오링홈(343)에는 오링(344)이 그리고 플런저의 오링홈(332)에는 오링(331)이 각각 끼움되어 밀봉을 행한다. 또한, 상기 콘(34)은 일단이 콘의 단턱(354)에 의해 그리고 타단이 멈춤부재(37)의 걸림부(3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콘스프링에 의해 그 경사면(341)이 콘이동공(317)의 대응면(317a)에 압접한다. 그리고 플런저(33)는 일단이 플런저이동공(315)의 단턱(311)에 그리고 타단이 플런저의 플랜지(334)에 탄성지지되는 플런저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된 채 플런저이동공(315)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정상상태에서는 콘과 플런저는 각각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므로, 콘이 유로를 밀폐하여 탱크속의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반면, 사용자가 레버(335)를 누르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3)는 플런저스프링(35)의 바이어스를 극복하고 이동하여 그 단부(333a)가 플런저이동공(315)과 연장공(313)을 거쳐 콘의 결합공(342)에 결합되고, 이어서 콘의 경사면(341)이 콘스프링의 바이어스를 극복하고 콘이동공(317)의 대응면(317a)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탱크속의 액체가 화살표 F방향으로 흘러 게이지(2)로 유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레버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플런저가 플런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이어서 콘도 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341)과 오링(344)이 콘이동공의 대응면을 압접하면서 자동적으로 액체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이와 같은 밸브를 셀프클로징밸브라고 명명하는 이유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탱크속의 액체레밸을 측정하는데, 앞서 본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는 저압 대략 5kg/㎠ 미만의 압력에서는 별 무리없이 작동하지만, 고압 대략 5kg/㎠이상의 압력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고압분위기에서 탱크의 액체레벨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레버(335)를 눌러 콘의 경사면(341)을 콘이동공의 대응면(317a)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고압의 액체가 유입되면서 콘의 오링홈(343)에 끼움된 오링(344)을 타격해 오링(344)이 오링홈(343)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오링의 이탈현상은 콘의 밀봉능력을 상실시켜 탱크속의 유체가 항상 밸브(3)를 통해 게이지로 유입되게 한다. 한편, 게이지는 유리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고압이 작용하거나 격한 진동과 같은 외부충격에 노출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때 게이지속에 액체가 상존하게 되면 탱크속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된다. 탱크속의 액체는 석유나 기타 화학물질과 같은 유해물질이어서 외부유출시 심각한 인명손상이나 환경오염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탱크속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링의 이탈현상으로 인해 셀프클로징밸브가 제기능을 상실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심각한 문제점이라 할 것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스프링(36)이나 플런저스프링(35)은 콘이동공(317)과 플런저이동공(315)에 위치하여 액체에 항시 노출되며, 이와 같은 노출분위기는 스프링의 부식을 가져오고 이어서 탄성력의 상실을 유발하여 셀프클로징밸브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나아가, 종래의 클로징밸브는 콘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멈춤부재(37)와 스냅링(38)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멈춤부재(37)는 콘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중심에 형성된 중심공(371)을 통해 개구(373)와 연결되고 중심공(371) 둘레를 따라 다수의 관통공(372)을 구비하며 중심공과 관통공 사이를 따라 형성된 걸림부(374)를 가지고, 콘이동공(317)의 내경에 끼워맞춤되며 스냅링(38)에 의해 지지되어 움직임이 차단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와 몸통을 가진 개폐부재의 오링홈에 오링을 끼움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되는 제1본체의 걸림공상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오링이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도록하여 오링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클로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폐부재와 플런저를 일체로 하고 플런저스프링을 제2본체의 플런저스프링수용공에 수용하여 플런저를 바이어스시킴으로서 콘스프링, 콘스프링의 멈춤부재와 스냅링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단순한 구조를 가진 셀프클로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런저스프링을 플런저스프링수용공에 수납하고 오링이나 캡으로 밀봉함으로서 액체 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클로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셀프클로징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종단면도.
도 2b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종단면도.
도 3은 밸브에 고압이 작용할 때 오링이 이탈되는 현상을 도시하는 도 2b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분해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조립 종단면도.
도 6은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의 B부분의 상세 종단면도.
도 7은 저압분위기하에서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B부분의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종단면도.
도 8은 고압분위기하에서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의 B부분의 상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간단한 설명>
1:탱크 2:게이지
3:셀프클로징밸브31:본체
313:안내공314:유출공
32:너트33:관통축
333a:단부335:누름레버
34:콘341:경사면
342:단부결합홈
343:오링홈344:오링
345:단턱부35:축스프링
36:콘스프링37:멈춤부재
371:중심공372:관통공
373:개구374:걸리부
38:스냅링
41:제1본체
411:유입공412:연결공
413:걸림공414:돌출부
415:유출공416:나사산
417:단부
42;제1본체421:공구결합부
423:연결부423a:나사산
426:연결공427:오링홈
428:단턱부
43:개폐부재
431:헤드432:몸통
44:스프링
45:캡452:캡헤드
451:결합부453:축스프링수용공
O1:오링
46:플런저461:횡축
462:스토퍼461a:단부
463:레버
본 고안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몸통을 가지고, 상기 몸통은 오링이 끼워지는 오링홈과, 몸통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종공 및 제 2 종공과, 상기 제1종공 및 제2종공과 연통되는 횡공을 가지며, 상기 오링홈과 제1종공과 제2종공은 상기 몸통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수용하는 개폐부재수용공과, 상기 개폐부재수용공에서 축경되며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된 걸림공과,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공과, 상기 걸림공에서 연해서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는 제1본체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공과 상기 스프링수용공에서 단턱을 통해 축경되어 플런저를 안내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에 연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의 연결공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해서는 형성되는 캡헤드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와 캡헤드의 중심선을 따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헤드의 관통공, 스프링수용공,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 안내공, 연결공을 관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상에 결합되는 일단부를 가지는 횡축과, 횡축의 타단부에 결합된 레버를 가지는 플런저와;
셀프클로징모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플런저와 일체여서 그 오링이 걸림공의 돌출부에 압접하여 자동적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반면, 개방모드에서는 제1종공은 개폐부재수용공에 그리고 제2종공은 제1본체의 연결공에 위치하여 액체가 제1종공을 통해 횡공 및 제2종공을 거쳐 유출공으로 유출되데 저압분위기에서는 오링이 오링홈에 위치되며 고압분위기에서는 오링이 오링홈을 이탈하여 몸통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공의 돌출부에서 멈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횡축은 소정 위치에 스토퍼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수용공내에서 일단부가 스프링수용공의 단턱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어 플런저를 바이어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안내공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링홈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서 상기 오링홈에 끼움된 오링은 액체가 제1본체의 연결공에서 스프링수용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프링이 액체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횡축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의 단부 내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횡축 단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의 단부내면에 삽입되어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분해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프클로징밸브의 상세 조립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프클로징밸브(30)는 개폐부재(43), 제1본체(41), 제2본체(42), 스프링(44), 캡(45)과 플런저(46)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43)는 헤드(431)와 몸통(4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는 중실(中實)원통이며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아래설명하는 제1본체의 개폐부재수용공(411)의 직경보다 작으며, 몸통은 헤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헤드의 단부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中空)원통이다. 몸통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된 오링홈(433)과 하나 이상의 제1종공(432a)과 제2종공(432b)과,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제1종공(432a)와 제2종공(432b)과 연통되는 횡공(432c)를 가진다. 또한 횡공(432c)의 단부 내면에는 나사산(423d)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홈(433), 제1종공과 제2종공은 순차적으로 몸통을 따라 형성된다. 제1종공과 제2종공간의 간격은 유로의 개폐에 필요한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하는 개방모드에서 제1본체의 걸림공을 사이에 두고 제1중공은 개폐부재수용공에 그리고 제2중공은 연결공에 위치될 정도의 간격만 가지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본체(41)는 중심선(AC)을 따라 개폐부재수용공(411), 걸림공(413), 연결공(412)과, 상기 중심선(AC)에 수직하게 연결공(412)에 연통되는 유출공(415)를 가진다.
상기 개폐부재수용공(411)은 상기 개폐부재(43)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개폐부재의 헤드(431)가 슬라이딩식으로 이동할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걸림공(413)은 개폐부재수용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둘레를 따라 돌출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공(413)은 개폐부재의 헤드의 외경보다 작지만 몸통의 외경보다는 커서 몸통이 슬라이딩식으로 진출입가능하다.
상기 연결공(412)은 걸림공(413)에서 확경되는 공간으로서 게이지로 연결되는 유출공(415)과 개폐부재수용공을 연결하며, 그 속에서 아래 설명하겠지만 일체된 개폐부재의 몸통과 플런저의 횡축이 상호 결합되어 움직인다. 그리고, 연결공의 단부내면에는 나사산(4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아래 제2본체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3a)과 나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42)는 연결부(423), 공구결합부(421)와 스프링수용부(422)를 포함하며, 중심선(AC)을 따라 연결공(426), 안내공(424)과 스프링수용공(422)을 순차적으로 가진다.
연결부(423)는 상기 제1본체(41)의 연결공의 나사산(416)에 나합하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423a)을 가지며 연결공(41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공구결합부(421)는 제2본체에 토크를 전달하는 렌치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다각형외면을 가지며 제2본체의 제1본체로의 결합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연결부(42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스프링수용부(422)는 상기 공구결합부(421)에서 연장되어 스프링(44)를 수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스프링수용공(425)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프링수용공(425)의 일단부 내면에는 나사산(42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아래 설명하는 캡(45)과 결합될 수 있다.
캡(45)은 캡헤드(452)와 캡결합부(451)를 가지는데, 캡결합부(451)는 그 외경이 상기 스프링수용공(425)의 내경과 동일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451a)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용공의 단부에 나합되며, 캡헤드(452)는 캡결합부(451)의 스프링수용공으로의 결합깊이를 제한하도록 캡결합부(451)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렌치가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형외면을 가진다. 또한 캡은 중심선(AC)를 따라서 스프링수용공(453)과 관통공(454)을 가져서 스프링수용공(453)에는 스프링의 일부가 수용되고 그리고 관통공(454)을 통해 플런저(46)의 횡축(461)이 진출입하게 된다.
또한, 연결공(426)은 앞서 본 개폐부재(43)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개폐부재의 몸통(432)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물론, 개폐부재의 몸통의 단부가 연결공(426)에 수용되지 않는다면 아래 안내공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안내공(424)은 상기 연결공(426)에서 단턱을 거쳐 축경되며 플런저의 횡축이 슬라이딩식으로 이동하면서 안내공(424)의 내면이 횡축과 마찰하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안내공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427)이 형성되어 있어서 해당 오링홈에 끼움된 오링(O2)이 액체가 연결공을 거쳐 스프링수용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한다.
스프링수용공(425)은 안내공(424)에서 단턱을 거쳐 확경되는 공간으로서 스프링(44)이 수용되는 부분이며 그 단부내면에는 나사산(422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46)는 횡축(461)과 레버(463)를 가지는데, 상기 횡축(461)은 중심선(AC)를 따라서 레버에서 연장되는 축으로서 그 일단부는 레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앞서 본 개폐부재(43)의 횡공(432c)에 결합된다. 이때,개폐부재의 횡공(432c)의 단부내면에 그리고 횡축의 타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416, 464)가 형성되어 있어서 횡축이 개폐부재에 나합된다.물론, 나합방식이외에도 억지끼워맞춤방식이나, 키를 이용한 결합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이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프클로징밸브는, 횡축(461)상에 스토퍼(462)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토퍼(462)는 횡축(461)의 소정위치(바람직하게는 스프링수용공(425, 453)상에 위치되는 횡축부위)상에 형성되어 스프링(44)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횡축(46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횡축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셀프클로징밸브의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도 6은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의 B부분의 상세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가 가압되지 전의 상태(이하, '셀프클로징모드'라 함)에서는, 횡축(461)과 일체인 개폐부재(43)는 스프링(44)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오링(O1)이 걸림공의 돌출부(414)와 압접하고 제1종공과 제2종공이 모두 연결공(412)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로가 차단되어 탱크속의 액체가 게이지로 흐르지 못한다.
반면, 저압분위기하에서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의 B부분의 상세 종단면도인 도 7과 고압분위기하에서 탱크에서 게이지로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의 B부분의 상세 종단면도인 도 8을 참조하면, 레버를 가압한 상태(이하, '개방모드'라 함)에서는, 횡축과 일체인 개폐부재가 횡축과 함께 후진하며, 이어서 탱크속의 액체는 개폐부재의 헤드(431)와 개폐부재수용공(411)간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어 제1종공(432a)과 횡공(432c)을 통해 제2종공(432b)으로 유출되어 연결공(412)을 통해 유출공(415)을 거쳐 게이지로 유입된다(화살표 D참조). 이때, 횡축의 이동거리는 제1종공은 개폐부재수용공에 그리고 제2종공은 연결공(412)에 위치할 정도의 거리로 제한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이동거리는 제1종공과 제2종공간의 거리, 횡축의 길이 그리고 셀프클로징모드에서의 캡과 레버 사이의 횡축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저압분위기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O1)은 개폐부재의 오링홈(433)에 여전히 끼워져 있는 반면, 고압분위기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O1)은 오링홈(433)을 이탈하여 몸통(432)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공의 돌출부(414)에 받쳐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오링이 고압분위기하에서 이탈되더라도 몸통에 여전히 끼움된 채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므로 오링의 이탈현상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이탈된 오링이 돌출부와 압접하여 걸림공(413)의 내경과 몸통(432)의 외경간의 공간사이로의 액체 유동을 폐쇄한다하더라도 액체는 여전히 제1종공, 횡공, 제2종공을 거쳐 유출공으로 흐를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떤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더 이상 나아가 살펴볼 필요가 없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헤드와 몸통을 가진 개폐부재의 오링홈에 오링을 끼움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되는 제1본체의 걸림공상에 돌출부를 구비하여상기 오링이 돌출부에 의해 차단되도록하여 오링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개폐부재와 플런저를 일체로 하고 하나의 스프링만을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에 수용하여 플런저를 바이어스시킴으로서 콘스프링이나 콘스프링의 멈춤부재나 스냅링을 구비한 종래의 셀프클로징밸브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셀프클로징밸브는, 스프링을 스프링수용공에 수납하고 오링이나 캡으로 밀봉함으로서 액체 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는 몸통을 가지고, 상기 몸통은 오링이 끼워지는 오링홈과, 몸통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 종공 및 제 2 종공과, 상기 제1종공 및 제2종공과 연통되는 횡공을 가지며, 상기 오링홈과 제1종공과 제2종공은 상기 몸통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수용하는 개폐부재수용공과, 상기 개폐부재수용공에서 축경되며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된 걸림공과,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공과, 상기 걸림공에서 연해서 형성되며 상기 유출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는 제1본체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공과 상기 스프링수용공에서 단턱을 통해 축경되어 플런저를 안내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에 연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1본체의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의 연결공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해서는 형성되는 캡헤드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와 캡헤드의 중심선을 따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헤드의 관통공, 스프링수용공, 제2본체의 스프링수용공, 안내공, 연결공을 관통해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상에 결합되는 일단부를 가지는 횡축과, 횡축의 타단부에 결합된 레버를 가지는 플런저와;
    셀프클로징모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플런저와 일체여서 그 오링이 걸림공의 돌출부에 압접하여 자동적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반면, 개방모드에서는 제1종공은 개폐부재수용공에 그리고 제2종공은 제1본체의 연결공에 위치하여 액체가 제1종공을 통해 횡공 및 제2종공을 거쳐 유출공으로 유출되데 저압분위기에서는 오링이 오링홈에 위치되며 고압분위기에서는 오링이 오링홈을 이탈하여 몸통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공의 돌출부에서 멈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클로징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횡축은 소정 위치에 스토퍼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수용공내에서 일단부가 스프링수용공의 단턱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어 플런저를 바이어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클로징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안내공은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링홈을 추가로 가지고 있어서, 상기 오링홈에 끼움된 오링은 액체가 제1본체의 연결공에서 스프링수용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프링이 액체분위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클로징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횡축 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의 단부 내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횡축 단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횡공의 단부내면에 삽입되어 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클로징밸브.
KR20-2003-0035221U 2003-11-11 2003-11-11 셀프클로징밸브 KR200342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21U KR200342519Y1 (ko) 2003-11-11 2003-11-11 셀프클로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21U KR200342519Y1 (ko) 2003-11-11 2003-11-11 셀프클로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519Y1 true KR200342519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221U KR200342519Y1 (ko) 2003-11-11 2003-11-11 셀프클로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5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957B2 (en)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mber
CN101617162A (zh) 具有公差适应的快速连接的连接器
AU601377B2 (en) Pressure container valve
US20080017253A1 (en) Gas Regulator
CN109162975B (zh) 一种用在农机上的带有跳位和保压功能的换向阀片
US4128110A (en) Control valves
US4687181A (en) Metering valve
EP1114957A1 (en) Pilot valve
US7520291B2 (en) Pressure-compensated, subsea chemical injection valve
US6581628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assembly
US7802771B2 (en) Fluid control device
KR200342519Y1 (ko) 셀프클로징밸브
US5365974A (en) Flow-control valve
US5558121A (en) Fluid actuated ball check valve assembly
US4465097A (en) Coupling
US5242581A (en) Shut-off valve
EP1452244A2 (en) An intercept valve for highpressure water guns in water-cleaning machines
KR102521696B1 (ko) 안전 밸브
US6997434B2 (en) Twist cam valve
US20060208209A1 (en) Oil-hydraulic type automatic shutoff valve water-saving structure
KR100326362B1 (ko) 절수형 수도꼭지
CN219317709U (zh) 防爆组件及角阀
CN111434963B (zh) 复合阀
JP2020083328A (ja) 吐出器
CN114809985B (zh) 一种双向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