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496Y1 -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 Google Patents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496Y1
KR200342496Y1 KR20-2003-0029914U KR20030029914U KR200342496Y1 KR 200342496 Y1 KR200342496 Y1 KR 200342496Y1 KR 20030029914 U KR20030029914 U KR 20030029914U KR 200342496 Y1 KR200342496 Y1 KR 200342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ushion
plate
detachable plate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점철
Original Assignee
신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점철 filed Critical 신점철
Priority to KR20-2003-0029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496Y1/ko
Priority to PCT/KR2004/002421 priority patent/WO200502767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판재를 멤버결합수단에 의해서 복수개의 쿠션멤버로 분리 결합시킴과 동시에, 각종 취부수단에 의해서 가방 몸체에서 취부 가능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분리형 판재(30, 30')가 취부수단(20, 20')에 의해서 가방의 몸체(10, 10')에 부설되어 있되, 상기 분리형 판재(30, 30')는 상기 취부수단(20)을 구비한 멤버결합수단(32)이 일측 측변(31c)에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멤버(31, 31')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결합수단(32)을 열고 닫아서 상기 쿠션멤버(31, 31')가 분리 및 결합된다.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야외에서 사용하는 취사장비의 바람막이, 낚시나 스포츠 관람시의 일반 방석역할 및 등받이 겸용 방석, 응원도구, 등받이쿠션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안락감과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BAG HAVING SEPARABLE FLAT PLATE}
본 고안은 복수개로 분리 결합 가능하고 분리형 판재를 가방의 표면에 부설시킨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물건을 담아서 편리하게 사람의 몸에 메고 다니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보관하는 내용물과 사용처 및 용도에 따라 각양 각색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겸비하고 있다.
예컨대, 책가방은 책이나 공책 등을 담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복수개의 주머니와 내부 격벽을 형성하고 있고, 배낭가방은 코펠, 버너, 옷, 침낭 등과 같은 취사도구나 각종 등산용품을 상대적으로 가볍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낚시가방은 복잡하고 다양한 품목의 낚시용품을 일목요연하게 구분하여보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듯, 가방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기본적 기능과 함께 사용처나 용도에 따라 특유의 기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등받이쿠션을 겸한 방석을 구비한 책가방은 2003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76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방(1)의 등판(2)과 쿠션(3)의 좌우측변과 밑변에 각각 암수로 결합되는 결합구(4, 4')를 구비하여, 결합구(4, 4')에 의해서 쿠션(3)을 가방(1)의 등판(2)에 임의대로 부설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런 종래의 쿠션(3)은 가방(1)에 부설되어 있을 때 등받이쿠션으로 사용되고, 가방(1)에서 분리되어 있을 때 방석으로 겸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등받이쿠션을 겸한 방석을 구비한 책가방은 2001년 등록실용신안 제20-0248196호의 방석이 부착된 학생용 가방, 1999년 등록실용신안 제20-0180056호의 등받이 겸용 방석을 부설한 가방과 같이, 등받이쿠션과 방석이라는 기능성만을 갖고 있어서, 일반적인 가방에 부설한 쿠션의 무게만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가방들에 부설된 쿠션은 결합구를 이용하여 가방에서 분리된 후 깔고 앉기에 편리한 방석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가방의 등받이쪽 표면적에 대응하는 표면적을 갖는 하나의 본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어 세우거나 흔들어서 응원을 하는 용도로 사용하기가 매우 거추장스럽고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양손을 이용하는 응원물품 중 소음을 발생시키는 막대형 풍선이나 풍선막대는 유희구나 응원도구(물품)로 이용되었지만, 소음 공해와 1회용 쓰레기 근절을 위해 대한민국에서는 더 이상 응원도구로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는 2003년 7월 개정된 대한민국의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시행규칙'에 의한 것으로서, 그 시행 규칙의 내용을 살펴보면, 경기장의 응원용 막대풍선과 약국의 비닐봉투 등이 무상으로 제공될 수 없고, 1회용 합성수지용기와 응원용품 등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의 방석 겸용 가방을 휴대하더라도 별다른 응원도구가 없는 상태에서 경기장을 방문할 경우, 응원을 통한 유희나 희열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형 판재를 멤버결합수단에 의해서 복수개의 쿠션멤버로 분리 결합시킴과 동시에, 각종 취부수단에 의해서 가방 몸체에서 취부 가능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등받이쿠션을 겸한 방석을 구비한 책가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의 분리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판재가 응원도구로서 이용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판재가 바람막이로서 이용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응용예에 따른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의 분리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제3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10" : 몸체 20, 20' : 취부수단
22 : 압단추 22a : 고정단
23 : 벨크로버튼 23b ∼ 23k : 벨크로
24, 24' : 묶음 다발 30, 30' : 분리형 판재
31, 31' : 쿠션멤버 32 : 멤버결합수단
33 : 손잡이 34 : 손잡이링
35 : 아일렛 36 : 탄성부재
37 : 탄성 지지판 38a, 38b : 직조물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형 판재가 취부수단에 의해서 가방의 몸체에 부설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판재는 상기 취부수단을 구비한 멤버결합수단이 일측 측변에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결합수단을 열고 닫아서 상기 쿠션멤버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쿠션멤버 각각은 내부에서 탄성부재와 탄성 지지판을 적층시키고 외부에서 직조물로 감싸 밀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쿠션멤버 각각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서, 장폭의 하단변과; 상기 하단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단폭의 상단변과; 상기 하단변 및 상기 상단변의 사이로 상기 멤버결합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상기 일측 측변과; 상기 일측 측변의 반대쪽에서 직선 및 유선형의 'S'자형 외곽선을 형성한 유선형의 타측 측변과; 상기 일측 측변과 상기 유선형의 타측 측변 및 상기 단폭의 상단변에 의해 응원도구로서 용이하기 잡고 사용하는 그립부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취부수단은 상기 가방의 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멤버결합수단의 손잡이와 상기 분리형 판재의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압단추, 벨크로버튼, 벨크로, 노끈, 묶음 다발, 후크형 클립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의 분리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판재가 응원도구로서 이용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리형 판재가 바람막이로서 이용되는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제1응용예에 따른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제3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물건을 담아 보관 및 휴대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가방 형상의 몸체(10)와, 등받이쿠션, 방석, 응원도구, 바람막이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분리형 판재(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어깨끈(11)을 잡아당길 경우 입구 부위(12)가 축소되고, 입구 부위(12)를 벌릴 경우 어깨끈(11)이 입구 부위(12)의 안쪽으로 들어가고, 또한 몸체(10)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 고리(13)를 구비하여 어깨끈(11)이 지지되는 신주머니 형상의 가방 또는 하기에 언급될 거의 모든 가방이 사용될 수 있다.
분리형 판재(30)는 적어도 하나의 쿠션멤버(31, 31')와 멤버결합수단(32)을 포함하며, 취부수단(20, 20')에 의해서 몸체(10)의 표면에 취부 가능하게 부설된다.
본 고안에서의 취부수단(20, 20')은 압단추(22), 벨크로버튼(23), 벨크로(23b, 23c), 휘날리도록 유연한 재질의 응원수술 겸용 묶음 다발(24), 후크형 클립(도시 안됨), 노끈(도시 안됨) 등 중 어느 하나가 사용 가능하고, 분리형 판재(30)를 가방의 몸체(10)에 부설시키는 용도와 응원수술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멤버결합수단(32)은 쿠션멤버(31, 31')의 일측 측변에 고정 설치된 슬라이드 파스너, 밴드형 파스너 중 어느 하나로서, 쿠션멤버(31, 31')를 상호 이격되게 분리시키거나 합체 결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멤버결합수단(32)으로서 사용 가능한 지퍼는 쿠션멤버(31, 31')의 길이방향(도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지퍼의 손잡이(33)가 왕복 이동함에 따라서 지퍼의 이빨들이 맞물리게 하거나 분리되며, 결과적으로 쿠션멤버(31, 31')가 양쪽으로 분리되거나 합체되도록 한다.
이때, 멤버결합수단(32)인 지퍼의 손잡이(33)에는 앞서 언급한 가방 상부쪽 취부수단(20)인 압단추(22)가 손잡이(3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33)와 압단추(22)의 헤드부위의 사이에는 압단추(22)의 직경 또는 손잡이(33)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외경과 원형링 형상을 갖고,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손잡이링(34)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압단추(22)는 안쪽 홈에 삽입되어 있는 원형 스프링(22b)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몸체(10)의 표면에 고정된 고정단(22a)에 삽착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손잡이링(34)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압단추(22)를 고정단(22a)으로부터 탈착 및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링(34)은 사용자가 손가락의 힘을 효율적으로 압단추(22)의 헤드부위에 가하도록 부드러운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무리한 힘이 압단추(22)가 결합된 손잡이(33)에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손잡이(33)의 변형 및 파손을 미연에 막는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가방 상부쪽 취부수단(20)으로서 벨크로버튼(23)이 제시되어 있다.
벨크로버튼(23)은 앞서 설명한 압단추(22)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동일한 방식, 동일한 사용 목적, 동일한 결합방식으로 손잡이(33)에 결합된다.
다만, 벨크로버튼(23)의 하단에는 하나의 벨크로(23b)가 접착제(23a)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벨크로(23b)와 탈착 및 부착 대우관계의 다른 하나의 벨크로(23c)는 몸체(10)의 표면에 고정되어서, 상호간의 벨크로 결합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단 양측 모서리의 고리(13)에는 복수개로서 가방 하부쪽 취부수단(20')과 응원수단 겸용인 묶음 다발(24)이나 노끈(도시 안됨)이 묶어져 있고, 고정단(22a)에는 가방 상부쪽 취부수단(20)인 압단추(22)가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결과적으로 각각의 쿠션멤버(31, 31')로 이루어진 분리형 판재(30)가 상기 취부수단(20, 20')에 의해서, 가방의 몸체(10)에 취부 가능하게 부설된다.
이때, 묶음 다발(24)이나 노끈의 일측 끝단은 아일렛(35 : eyelet)의 관통구멍에서 묶여 있거나 고정(열융착 등)되어 있다.
묶음 다발(24)은 본 고안의 쿠션멤버(31, 31')가 응원도구로서 사용될 때, 응원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수단으로 화려하게 휘날릴 수 있는 것으로서, 가방 하부쪽 취부수단(20')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또한, 후크형 클립(도시 안됨)이 가방 하부쪽 취부수단(20')으로 적용되는 경우, 후크형 클립은 아일렛(35)과 몸체(10)의 고리(13) 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쿠션멤버(31, 31') 각각 또는 분리형 판재(30)를 몸체(10)에 부설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쿠션멤버(31, 31')는 지퍼 등과 같은 멤버결합수단(32)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3에서처럼 분리되었을 때, 응원도구로서 사용되고, 서로 결합되었을 때 방석, 등받이쿠션, 바람막이, 카드섹션 응원도구 등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각각의 쿠션멤버(31, 31')의 내부에는 스펀지 등과 같이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36)와, 탄성부재(36)의 일측 표면에서 면접한 상태로 탄성 지지판(37)이 적층되어 있다.
특히, 탄성 지지판(37)은 소정 두께와 쿠션멤버(31, 31')에 대응한 평면 형상을 갖는 판부재이다. 이런 탄성 지지판(37)은 응원도구로서 일정 지지력과 탄성력 내지 반발력(서로 부딪혔을 때 소리를 발생시키고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힘 등)을 발생시키도록, 가볍고 탄성 및 반발력이 좋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지지판(37)은 적층되어 있는 탄성부재(36)를 평활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방석, 바람막이 등으로 사용될 때, 수평한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수단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탄성 지지판(37)과 탄성부재(36)는 적층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직조물(38a, 38b)로 감싸진 후 밀봉되게 복재 또는 열융착 되어 있다.
예컨대, 쿠션멤버(31, 31')의 일측 표면을 형성하는 직조물(38a)은 형광색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 표면의 다른 직조물(38b)은 빨간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경우, 쿠션멤버(31, 31')는 앞면과 뒷면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게 된다.
또한, 직조물(38a. 38b)은 같은 색상이나 가방의 몸체(10)의 색상과 어울리는 색상, 및 색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직조물(38a, 38b)은 야외에서 사용되는 특성상 통상의 배낭 천 재질, 땀 흡수 및 땀 발산이 뛰어난 신소재 재질, 방수 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조물(38a, 38b)과 탄성 지지판(37)과 탄성부재(36)를 포함하는 쿠션멤버(31, 31')는 장폭의 하단변(31a)과, 상기 하단변(31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단폭의 상단변(31b)과, 상기 하단변(31a)과 상기 상단변(31b)의 사이로 지퍼 등과 같은 멤버결합수단(32)이 고정 설치되는 일측 측변(31c)과, 이런 일측 측변(31c)의 반대쪽에서 직선 및 유선형의 'S'자형 외곽선을 형성하여 응원도구로서 용이하기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선형의 타측 측변(31d)을 갖고 있다.
이런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30)가 부설된 가방의 몸체(10)는 평상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다가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취부수단(20, 20')을 이용하여 분리형 판재(30)를 가방인 몸체(10)에서 분리한 후 스포츠 관람, 낚시, 야유회 등지에서 방석으로 사용한다.
또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장에서 응원도구로 사용하기위해서, 사용자는 지퍼 등과 같은 멤버결합수단(32)을 사용하여 분리형 판재(30)를 쿠션멤버(31, 31')로 분리시킨 후, 한쪽은 방석으로 사용하고 다른 한쪽은 묶음 다발(24)을 휘날리게 할 수 있는 응원도구로 사용한다.
이때, 각각의 쿠션멤버(31, 3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그립부위(31e)를 제공한다.
물론, 사용자는 도 5에서처럼, 그립부위(31e)를 잡고서 두 개의 쿠션멤버(31, 31')를 서로 박수를 치듯이 부딪혀 소리가 나게 함으로써, 다양한 응원을 펼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앞면과 뒷면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직조물의 쿠션멤버(31, 31')를 분리형 판재(30)로 합체시킴으로써, 카드섹션 응원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쿠션멤버(31, 31')를 지퍼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멤버결합수단(32)으로 합체시킨 분리형 판재(30)는 멤버결합수단(32)을 중심으로 거의 직각을 유지할 수 있게 접어 세울 수 있다.
특히, 쿠션멤버(31, 31')의 내부에 탄성 지지판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분리형 판재(30)로 하여금 등산, 낚시 등의 야외 생활시 사용하는 버너의 불꽃을 외풍으로부터 보호하는 바람막이의 역할을 충분히 소화해 내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의 제1응용예와 같이 등받이쿠션과 방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복수개의 분리형 판재(30, 30')를 가방의 몸체(10)의 양쪽 표면에 대향적으로 부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취부수단(20, 20')은 몸체(10)와 분리형 판재(30, 30')의 마주보는 쪽 측면에 부설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벨크로(23c ∼ 23k) 내지, 묶음 다발(24, 24'), 테두리 부위 결합용 소정의 지퍼(도시 안됨), 복수개의 다른 압단추(도시 안됨)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몸체(10)의 뒤쪽에 있는 분리형 판재(30')와 몸체(10)의 앞쪽에 있는 분리형 판재(30)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등받이쿠션이 되고, 나머지 하나가 방석이 되며, 각각의 응원수술 겸용인 묶음 다발(24, 24')을 통해서 서로 묶어질 때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어 관리가 편하다.
특히, 복수개의 분리형 판재(30, 30')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어서, 다양하고 풍부한 카드섹션 응원이 가능하며, 더욱 넓은 바람막이나 더욱 편안하게 두꺼운 방석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게 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2, 제3응용예에서는 분리형 판재(30)가 통상의 벤드형 가방, 배낭형 가방, 인라인스케이트 가방, 책가방, 여행용 가방 등과 같은 몸체(10, 10')에도 무리 없게 부설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몸체(10, 10')에 각각의 분리형 판재(30)가 부설되고, 이런 분리형 판재(30)의 분리방법이나 사용방법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야외에서 사용하는취사장비의 바람막이 역할과, 낚시나 스포츠 관람시의 일반 방석역할 및 등받이 겸용 방석역할과, 응원수술, 카드섹션 등과 같은 응원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가방의 착용시 분리형 판재가 등받이쿠션으로 사용되어서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하고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형 판재를 가방의 정면과 배면 등에 복수개로 부착하여서, 방석으로 사용할 때에도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부위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어서, 더욱더 편안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신주머니형 가방뿐만 아니라, 어깨끈형 가방, 배낭형 가방, 인라인스케이트 가방 등에 거의 모든 메고 다니거나 들고 다니는 가방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은 손잡이에 압단추와 손잡이링을 결합하되, 손잡이링이 압단추의 평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을 뿐만 아니라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압단추의 분해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분리형 판재의 부설 및 취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분리형 판재(30, 30')가 취부수단(20, 20')에 의해서 가방의 몸체(10, 10')에 부설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판재(30, 30')는 상기 취부수단(20)을 구비한 멤버결합수단(32)이 일측 측변(31c)에 각각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쿠션멤버(31, 31')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결합수단(32)을 열고 닫아서 상기 쿠션멤버(31, 31')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멤버(31, 31') 각각은 내부에서 탄성부재(36)와 탄성 지지판(37)을 적층시키고 외부에서 직조물(38a, 38b)로 감싸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멤버(31, 31') 각각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서,
    장폭의 하단변(31a)과;
    상기 하단변(31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단폭의 상단변(31b)과;
    상기 하단변(31a) 및 상기 상단변(31b)의 사이로 상기 멤버결합수단(32)이 고정 설치되는 상기 일측 측변(31c)과;
    상기 일측 측변(31c)의 반대쪽에서 직선 및 유선형의 'S'자형 외곽선을 형성한 유선형의 타측 측변(31d)과;
    상기 일측 측변(31c)과 상기 유선형의 타측 측변(31d) 및 상기 단폭의 상단변(31b)에 의해 응원도구로서 용이하기 잡고 사용하는 그립부위(3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수단(20, 20')은 상기 가방의 몸체(10, 10')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멤버결합수단(32)의 손잡이(33)와 상기 분리형 판재(30, 30')의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압단추(22), 벨크로버튼(23), 벨크로(23b ∼ 23k), 노끈, 묶음 다발(24, 24'), 후크형 클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KR20-2003-0029914U 2003-09-22 2003-09-22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KR200342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914U KR200342496Y1 (ko) 2003-09-22 2003-09-22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PCT/KR2004/002421 WO2005027679A1 (en) 2003-09-22 2004-09-21 Bag having separable flat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914U KR200342496Y1 (ko) 2003-09-22 2003-09-22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488A Division KR100464185B1 (ko) 2003-09-22 2003-09-22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496Y1 true KR200342496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914U KR200342496Y1 (ko) 2003-09-22 2003-09-22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4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38A1 (ko) * 2011-01-28 2012-08-02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배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38A1 (ko) * 2011-01-28 2012-08-02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1819C (en) Harness system for attaching camera to user
US7757911B2 (en) Convertible pack
US9775428B2 (en) Portable container holder
US6698636B2 (en) Waist pouch
TWI527541B (zh) 幼兒背負裝置
US5518315A (en) External bag support frame
KR20120010262A (ko)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핸드백 및 핸드백 맞춤 방법
US5975392A (en) Backpack with harness for toy figure
KR20160147078A (ko) 형태 가변 가방
US5941638A (en) Convertible bag to a beach mat and viceversa
KR100464185B1 (ko)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US20050236448A1 (en) Detachable tote for crutches
US20110042428A1 (en) Convertible blanket and backpack
KR200342496Y1 (ko)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US20030034369A1 (en) Backpack with display
JP2003310351A (ja) バックパッキング用のセット
KR101823664B1 (ko) 골프 백
JP5977422B1 (ja) ホイール付きリュックサック
JPH08238154A (ja) バッグへの転用が可能な保温具、および保温具への転用が可能なバッグ
KR101449985B1 (ko) 돗자리 겸용 가방
JP3115770U (ja) 手提げ部の握り具
US6484917B1 (en) Backpack assembly for carrying items externally
JPH0616499Y2 (ja) ペット犬の運搬バッグ
CN210076667U (zh) 一种多功能口袋
WO2005027679A1 (en) Bag having separable flat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