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492Y1 -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 Google Patents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492Y1
KR200342492Y1 KR20-2003-0026449U KR20030026449U KR200342492Y1 KR 200342492 Y1 KR200342492 Y1 KR 200342492Y1 KR 20030026449 U KR20030026449 U KR 20030026449U KR 200342492 Y1 KR200342492 Y1 KR 200342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joint
kickboard
driving whee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윤
Original Assignee
구자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윤 filed Critical 구자윤
Priority to KR20-2003-0026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00Un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6Bearings specially adapted for steer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바퀴(1)와 지지바퀴(2) 및 조인트(9)를 갖춘 간편하고 단순하며 가볍고 길이가 작으면서 빠른 속도감과 편안함 및 안전성을 제공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주행바퀴(1)와 두개의 지지바퀴(2)는 지면에 대해 3접점을 형성하며 조인트 (9)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상.하 수직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지지바퀴(2)는 주행중에 주행바퀴(1)에 종속운동된다.
그러므로 프레임(7), 주행바퀴(1), 지지바퀴(2), 조인트(9), 포크(8)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주행시나 정지시 사용자의 체중과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면서 주행중에 사용자가 핸들(3)을 사용하여 방향을 조정하면 조인트(9)에 의해 자유롭게 주행방향으로 무리없이 방향전환 되어진다.
발판(6)의 지상고를 낮게하여 안전성을 보다 높이고 주행바퀴(1)는 자전거용 바퀴를 장착하여 보도블록의 요철이나 도로상의 작은 돌멩이 등의 장애물도 쉽게 통과하며 공기충전식 고무타이어가 충격흡수를 하므로 빠른 속도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게는 통상의 킥보드와 유사하며 길이는 통상의 킥보드의 대략 80 % 정도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자전거의 경쾌한 속도감과 킥보드의 간편성과 외발자전거의 민첩성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안전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Kick board with joint}
본 고안은 간단한 승용레포츠용품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면서 간편하며 스피디한 즐거움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용성을 높히게 할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핸들(3) 중심부에서 주행바퀴(1)의 허브와 연결되어 있는 스템이 주행방향으로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되어 있어 주행을 부드럽게 해 주며, 발판(6)의 지상고는 낮게 하여 안전성을 높히면서 부착된 위치는 주행바퀴(1)의 중심선상에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에서 방향전환이 무리없이 이루어진다. 두개의 지지바퀴(2)는 주행바퀴(1)와 더불어 지면에 대해 3접점을 형성하여 주행시나 정지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 주며 조인트(9)는 트러스트베아링(11)과하우징(12)에 의해 좌.우 수평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상.하 수직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서 사용자의 체중을 3접점에 분산하여 지지해 주며 동시에 핸들(3)에 의한 주행바퀴(1)의 방향전환시에는 프레임(7)과 조인트(9), 포크(8)의 유기적 결합으로 인해 종속운동(싱크로 동작)되어 자유롭게 주행방향으로 무리없이 방향전환 되어진다.
주행바퀴(1)는 공기충전식 고무타이어인 산악용자전거바퀴로서 보도블록의 요철이나 돌출 턱, 또는 노면의 돌멩이 등의 작은 장애물을 부드럽게 통과하며 공기압에 의해 충격을 자체 흡수한다. 그러므로 부드럽고 경쾌한 속도감을 제공하게 된다.
무게는 통상의 킥보드와 유사하며 길이는 통상의 킥보드의 대략 80 % 정도로서 킥보드의 단순성과 간편성을 가지면서 빠르고 부드러운 속도감을 제공하며 외발자전거의 민첩성을 발휘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안전하다.
한편 높이조절부(10)에 의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핸들(3) 높이를 조정 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4)(5)를 두개(듀얼시스템)로 하여 제동력이 보다 강화되어 있다.
통상의 킥보드는, 간편성은 좋으나 소형바퀴의 한계로 인해 노면의 요철이나 작은 돌멩이 등의 장애물에도 쉽게 장애를 받아 급작스런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그것이 기피심리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속도감도 높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큰 사이즈의 바퀴와 공기충전식 타이어를 장착한 방식의 고안이 상당수 안출되어 있으나 두개의 큰 바퀴의 지름과 두바퀴 사이의 발판의 길이를 모두 합친 총길이가 길어지며 무거워지고 투박해지므로 킥보드의 간편성, 단순성, 경량성의 특징을 잃게 되어 결국 실용성이 낮아 진다.
한편 내리막길에서 속도를 높히면 속도가 빠를수록 사고발생가능성도 더욱 높아지고 제동력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위험이 수반된다.
통상의 자전거는, 자전거 고유의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관점에서 문제점은 그다지 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용자인 아동과 도심의 아파트 등 밀집된 생활조건에서 볼 때 크기와 무게에 따른 불편함이 대두 될 경우는 있다.
외발자전거는, 민첩성과 기민함에 있어서는 무동력 승용레포츠 부문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지만 고도의 테크닉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므로 실제 사용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실용적이고 안전하면서도 간편한 승용레포츠용품의 고유기능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바퀴(1)를 통상의 산악용 자전거바퀴를 사용하여 속도감과 충격흡수력을 높히며, 지지바퀴(2)는 두개로 하여 주행바퀴(1)와 더불어 지면에 3접점을 유지하면서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구성된 동력발생 및 전달장치를 생략하여 가볍고 단순하고 간편하게 하여 킥보드의 장점을 살렸으며, 발판(6)의 위치를 주행바퀴(1)의 중심선상에 두어 외발자전거의 민첩성과 기민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발판을 주행바퀴(1) 내에 장착하여 총길이가 통상의 킥보드보다 짧아진다.
조인트(9)를 주행바퀴(1)와 지지바퀴(2) 사이에 구성시키고 트러스트베아링 (11)과 하우징(12)을 사용하여 수평방향으로만 동작되게 하므로서 사용자의 체중과 자세, 본 고안의 킥보드의 자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동시에 주행바퀴(1)의 방향전환시에 지지바퀴(2)가 자유롭게 종속운동(싱크로 동작)되어 방향전환이 무리없이 이루어 진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4는 조인트(9)의 상세도 및 개념도
도5는 조인트(9)의 A-A'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양손으로 핸들(3)을 잡고 두개의 발판(6) 중 어느 한쪽의 발판에 발을 얹고 다른 쪽의 발로서 지면을 차면서 구동력을 얻는다. 체중의 약 2/3 정도를 주행바퀴(1)에 두고 나머지는 지지바퀴(2)에 가도록 한다.
도 3 에서와 같이, 발판(6)의 지상고는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는 주행바퀴(1)의 중심선상에 있어 핸들(3)에 의한 주행바퀴(1)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하여 준다.
도 4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조인트(9)는 트러스트베아링(11)과 하우징(12)에 의해 좌.우 수평방향으로만 동작된다.
한편 도 1 에서와 같이, 높이조절부(10)를 두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핸들(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4)(5)를 이중(듀얼시스템)으로 하여 제동력을 강화하였다.
프레임(7)은, 핸들(3)과 발판(6)과 조인트(9)를 방사상으로 결착하고 그 중심부는 주행바퀴(1)의 허브와 결착되어 있으며 3개의 뼈대로 구성되어 있고 각 뼈대는 중심부에서 자유롭게 회동된다.
포크(8)는, 지지바퀴(2)와 조인트(9)를 연결하는 지지대이다.
각도조절부(13)는, 호형의 플레이트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프레임(7)에 결착되어 있고 볼트와 너트로서 타공에 프레임(7)을 원하는 위치에 체결하여 방사상 형태의 프레임(7)의 상호간격을 조절하므로서, 지지바퀴(2)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해 주며 발판(6)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체형과 체중에 따라 무게중심을 안정되게 조정해 주며 핸들(3)의 중심부에서 주행바퀴(1)의 허브와 연결되어 있는 스템이 주행방향으로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사용자에게 꼭 맞는 편한 승용조건을 제공한다.
한편, 방사상 형태의 프레임(7)을 일자형으로 접을 수 있어 자동차 트렁크 등에 휴대시에 용이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행기술의 제반 단점을 보완하고 킥보드, 자전거, 외발자전거의 고유기능을 살리고 안전성과 실용성을 높힌 고안이다.

Claims (3)

  1. 방사상 형태의 프레임(7)의 각 끝단에 있어서, 핸들(3)은 높이조절부(10)를 갖춘 프레임의 끝단에 'T' 자 형태로 결착되어지고, 발판(6)은 지상과 수직방향인 프레임의 끝단에서 지상과 수평으로 결착되어지며, 조인트(9)는 지지바퀴(2)를 종속하는 프레임의 끝단에 삽입착설되어 포크(8)를 프레임과 연결시켜주는 킥보드에 있어서,
    주행바퀴(1)의 지름이 지지바퀴(2)의 지름의 1.5배 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조인트(9)는 주행바퀴(1)와 지지바퀴(2) 사이에 위치하며 트러스트베아링 (11)과 하우징(12)의 유기적 결합으로 좌.우 수평방향으로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삭제
KR20-2003-0026449U 2003-08-18 2003-08-18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KR200342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449U KR200342492Y1 (ko) 2003-08-18 2003-08-18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449U KR200342492Y1 (ko) 2003-08-18 2003-08-18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492Y1 true KR200342492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449U KR200342492Y1 (ko) 2003-08-18 2003-08-18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4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52A1 (ko) * 2014-05-19 2015-11-26 (주)다이나필 결합이동수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52A1 (ko) * 2014-05-19 2015-11-26 (주)다이나필 결합이동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52718U (zh) 一种轮外侧站立式的电动平衡车
US4909537A (en) Universal vehicle for pedaling or the like
US6398237B1 (en) Skateboard
US20090289437A1 (en) Vehicle with three wheels
CA2519333A1 (en) Winter recreational vehicle
US3663038A (en) Vehicle with combination steering, braking and propulsion means
US20080258426A1 (en) Bicycle
US10898787B2 (en) Walker-shaped hoverboard attachment
US6273439B1 (en) Scooter
US5868413A (en) Unicycle having rearwardly mounted handle structure for training riders
CN104648570A (zh) 一种轮外侧站立式的电动平衡车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US20150075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ing A Wheeled Vehicle
US20030214113A1 (en) Vehicle having independently articulating rear frame members
US20030052471A1 (en) Three-wheeled scooter apparatus
KR200342492Y1 (ko) 조인트를 구비한 킥보드
WO1995021006A1 (en) Scooter for descending rough terrain
US11685459B2 (en) Human-powered vehicle upon which users can ride
US6676146B2 (en) Wheeled device for pedal-powered riding
US20220017174A1 (en) Articulating footrests for vehicles
WO2004045942A1 (fr) Vehicule a deux roues monotraces, optimiser pour avoir un centre de gravite aussi bas que possible
FI128980B (en) Snowmobiles
CN211810024U (zh) 一种单侧滑行的独轮车
CN106669096B (zh) 健身独轮车
CN111232106A (zh) 一种单侧滑行的独轮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