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850Y1 -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 Google Patents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50Y1
KR200341850Y1 KR20-2003-0035388U KR20030035388U KR200341850Y1 KR 200341850 Y1 KR200341850 Y1 KR 200341850Y1 KR 20030035388 U KR20030035388 U KR 20030035388U KR 200341850 Y1 KR200341850 Y1 KR 200341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argo
fastening
presen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재
Original Assignee
이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재 filed Critical 이흥재
Priority to KR20-2003-0035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 화물열차, 화물운송선박등 화물 자동차등의 화물 적재함이나 사이드게이트와 리어 게이트에 부착되어 화물 고정용 밧줄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자동차등의 화물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고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밧줄을 걸어 조일 때 밧줄을 계속 당기지 않으면 밧줄이 풀리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밧줄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내측으로 형성하는 체결고리 몸체에 있어서, 삽입구를 구성하는 몸체의 내부면이 한쌍으로 마주 보면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rope link for the use of fix freight}
본 고안은 트럭, 화물열차, 화물운송 선박등 화물 자동차등의 화물 적재함이나 사이드 게이트와 리어게이트에 부착되어 화물 고정용 밧줄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등의 화물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고 화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밧줄을 걸어 조일 때 밧줄을 계속 당기지 않으면 밧줄이 풀리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등의 화물 적재함에 밧줄을 걸도록 부착되어 있는 걸고리는 막대형상으로 직선으로 곧은 형상이거나 혹은 굽은 형상의 고리로서 화물 고정용 밧줄이 단순히 끼워지고 걸려질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므로 자동차등에 화물을 적재하고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밧줄로 묶을 때 화물을 가로질러 넘어온 밧줄을 당겨 고리에 걸고 나서도 계속 당기고 있지 않으면 밧줄이 되풀어지려는 힘에 의해 풀어지게 되므로 한손 또는 두손으로 밧줄을 계속 당기면서 화물 반대편으로 밧줄을 넘겨야 되기 때문에 몹시 힘들고 불편하며 화물이 상당한 크기일 때는 혼자서 화물을 고정시키지 못하고 두 사람 이상이 되어야 견고하게 화물을 고정시킬수 있으며, 또한 밧줄로 화물을 여러번 가로질러 고리에 걸고 화물을 조여 고정한 후 맨 나중에서야 마지막 고리에서 밧줄을 묶게되므로 마지막 고리에서 밧줄이 풀리는 경우 전체 밧줄이 모두 풀려 화물이 쏟아지는 등 여러 가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고정시 화물을 가로질러 당겨진 밧줄이 고리에 걸린 상태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에 의해 되풀어지지 않도록 견고히 체결하므로써 화물을 훨씬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하고, 화물을 고정한 밧줄이 풀릴 위험성을 현저히 제거하여 안전하게 화물을 운송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밧줄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내측으로 형성하는 체결고리 몸체에 있어서, 삽입구를 구성하는 몸체의 내부면이 한쌍으로 마주 보면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밧줄이 삽입구에 끼워지면 삽입구 안쪽으로 끌려들어가서 삽입구 내부면에 강하게 협착되어 밧줄과 내부면의 강한 마찰력에 의해 밧줄이 강력하게 고정되어 밧줄의 되풀림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중간부분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중간부분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의 중간부분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설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1 : 몸체 2 : 삽입구
3 : 밧줄 4, 4' : 돌기 5, 5' : 내부면 6 : 종래의 걸고리
7 : 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중간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중간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의 중간부분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7도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설치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밧줄이 삽입되는 삽입구(2)를 내측으로 형성하는 몸체(1)에 있어서, 삽입구(2)를 구성하는 내부면(5)(5')이 한쌍으로 마주 보면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체결고리(100)는 도 8과 같이 화물 적재함(8)이나 사이드게이트(9)와 리어게이트(10)의 여러곳에 착설되어, 화물 적재함에 화물(11)을 적재한 후 밧줄(3)을 잡아당겨 화물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물(11)을 가로질러 넘어온 밧줄(3)을 충분히 당겨서 직접 본 고안의 체결고리(100) 몸체(1)의 일측 방향 삽입구(2)를 통과시키고 다시 화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밧줄(3)을 위로 당기거나 또는 종래의 밧줄 걸고리(6)를 거치고 나서 본 고안의 체결고리(100) 몸체(1)의 일측 방향 삽입구(2)를 통과시키고 다시 화물(1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밧줄(3)을 위로 당기거나 하게되면 밧줄(3)은 윗쪽으로 끌리는 힘에 의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고리(100) 몸체(1)의 삽입구(2) 내부면(5)(5')이 상호간에 간격이 좁아지는 삽입구(2)의 안쪽으로 끌리게 되므로 밧줄(3)은 체결고리(100)의 삽입구(2) 내부면(5)(5')에 긴밀히 협삽됨에 따라 당겨진 상태에서 풀어지려는 밧줄(3)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밧줄(3)은 체결고리(100)의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없도록 견고히 고정되므로 화물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여 밧줄로 고정할 때 종래와 같이 밧줄이 도로 풀릴까봐 계속 당기면서 화물 고정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한번 고정된 밧줄(3)이 쉽게 풀리지 않게 되므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화물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밧줄(3)이 삽입구(2) 내부면(5)(5')에 긴밀히 협삽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화물의 운반이나 보관이 끝난 후 밧줄(3)을 풀때는 밧줄(3)을체결고리(100)의 삽입구(2)의 바깥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체결고리(100)의 몸체(1) 외부로 이탈시키면 밧줄(3)이 용이하게 움직이므로 밧줄(3)이 각각의 체결고리(100)에 체결 된 역순으로 밧줄(3)을 풀고 화물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되어 화물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3과 도4,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구(2)의 내부면(5)(5')에 돌기(4)(4')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물(11)을 가로질러 넘어온 밧줄(3)을 충분히 당겨서 직접 본 고안의 체결고리(100) 몸체(1)의 일측 방향 삽입구(2)를 통과시키고 다시 화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밧줄(3)을 위로 당기거나 또는 종래의 밧줄 걸고리(6)를 거치고 나서 본 고안의 체결고리(100) 몸체(1)의 일측 방향 삽입구(2)를 통과시키고 다시 화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밧줄(3)을 위로 당기거나 하게되면 밧줄(3)은 윗쪽으로 끌리는 힘에 의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고리(100) 몸체(1)의 삽입구(2) 내부면(5)(5')이 상호간에 간격이 좁아지는 삽입구(2)의 안쪽으로 끌리게 되므로 밧줄(3)은 체결고리(100)의 삽입구(2) 내부면(5)(5')에 긴밀히 협삽될 뿐 아니라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밧줄(3)에 돌기(4)(4')가 압박되어 더욱 견고하게 밧줄(3)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밧줄(3)의 한쪽 부분만 압박된 것으로 도시된 이유는 내부면(5)(5')에 돌설된 돌기(4)(4')가 상호 일치되게 마주하여 배치되지 않고 도 3,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내부면(5)(5')에 돌설된 돌기(4)(4')가 밧줄(3)에 압박되어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밧줄(3)이 돌기(4)(4')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체결고리(100)에 있어서,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보듯이 몸체(1) 내부면(5)(5')에 돌설된 돌기(4)(4')를 형성 할 수도 있고 형성치 않을 수도 있는 것이나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더욱 효과적인 작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구(2)의 내부면(5)(5')에 홈(7)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내부면(5)(5')에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돌기(4)(4')에 의하여 밧줄(3)이 강하게 압박되나, 이 경우에는 내부면(5)(5')이 돌기와 같은 역할을 하여 밧줄(3)을 강하게 압박하여 밧줄(3)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몸체(1)의 형상이 더욱 단순화되고 둥근 형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몸체(1)는 그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여 밧줄을 삽입구(2)에 삽입시키고 삽입구(2) 내부면(5)(5')의 간격이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밧줄이 삽입구(2) 안쪽으로 갈수록 강하게 협삽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밧줄(3)로 화물(11)을 고정하는 도중에 되풀리려는 힘에 의해 밧줄(3)이 풀리려는 것과, 화물(11)을 고정하고 나서 밧줄(3)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작업자의 수고를 감소시키며 적재된 화물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Claims (3)

  1. 화물 자동차등의 화물 적재함(8)이나 게이트(9)(10)에 장착되어,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는 밧줄을 걸어서 지지하는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에 있어서, 체결고리 몸체(1) 내부에 밧줄(3)이 삽입되는 삽입구(2)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2)의 내부면(5)(5')이 상호 마주보면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고리 몸체(1)의 삽입구(2) 내부면(5)(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4)(4')를 갖는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고리 몸체(1)의 삽입구(2) 내부면(5)(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7)을 갖는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KR20-2003-0035388U 2003-11-12 2003-11-12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KR200341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388U KR200341850Y1 (ko) 2003-11-12 2003-11-12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388U KR200341850Y1 (ko) 2003-11-12 2003-11-12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50Y1 true KR200341850Y1 (ko) 2004-02-14

Family

ID=4934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388U KR200341850Y1 (ko) 2003-11-12 2003-11-12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781A (en) Dual spacing clamp tie
US10421386B2 (en) Tie down strap with strap loop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while securing cargo
US20140130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use of ratcheting tie-down strap or the like
US20140250644A1 (en) Cargo strap fastener
US8272821B2 (en) Portable tie-down anchor device, system, and kit
US2981993A (en) Buckle
US6416265B1 (en) Tie-down strap anchor and storage assembly
US10814772B2 (en) Rope tie down apparatus
KR200341850Y1 (ko)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US6273654B1 (en) Cargo holding device
US3215390A (en) Tie-down device
KR200344892Y1 (ko)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KR101222418B1 (ko) 분리형 버클
KR200348589Y1 (ko) 화물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US6808346B2 (en) Cargo snugger strap and hook mechanism
US10300834B1 (en) Tailgate latching system
US2882837A (en) Binding strap anchoring structure
KR100205182B1 (ko) 화물자동차의 화물 고정벨트
JPH0210328Y2 (ko)
KR100418747B1 (ko) 차량 적재함의 로프후크
GB2110608A (en) Cargo control arrangements
KR200154794Y1 (ko) 지붕 개폐형 화물트럭의 로프 걸림구조
KR0124886Y1 (ko) 트럭 텍크 플로워용 훅
KR800000986Y1 (ko) 화물차용 로우프 보관함
CA2471364C (en) Load securing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