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861Y1 - 티백이 구비된 용기 - Google Patents

티백이 구비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861Y1
KR200340861Y1 KR20-2003-0036427U KR20030036427U KR200340861Y1 KR 200340861 Y1 KR200340861 Y1 KR 200340861Y1 KR 20030036427 U KR20030036427 U KR 20030036427U KR 200340861 Y1 KR200340861 Y1 KR 200340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ontainer
tea bag
ba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주)옥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야 filed Critical (주)옥야
Priority to KR20-2003-0036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4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ags, labels, cards, coupons, decora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차, 홍차, 커피 등의 각종 차류를 생산 및 유통·판매하는 과정에서, 차원료를 물에 타서 용기에 넣어 유통·판매하지 않고, 사용자가 구매 후, 직접 티백을 이용하여 티를 완성시켜 마실 수 있도록 하여 티 본연의 맛과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제공할 수 있도록 한 티백이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부의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고, 뚜껑이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PET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위에는 내측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분말상태의 티 원료가 내장된 티백이 삽입되며, 상기 티백은 몸체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라벨에 의해 구속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티백이 별도로 구비되고, 용기에는 생수만 담긴 상태로 유통·판매되도록 하며, 구비된 티백을 용기에 넣어 생수에 담궈 지도록 하여 티를 마실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티를 원하는 상태로 완성시켜 마실 수 있으므로, 티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티백이 구비된 용기{The Bottle Which Have Tea-bag}
본 고안은 티백이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홍차, 커피 등의 각종 차류를 생산 및 유통·판매하는 과정에서, 차원료를 물에 타서용기에 넣어 유통·판매하지 않고, 사용자가 구매 후, 직접 티백을 이용하여 티를 완성시켜 마실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의 본연의 맛과 신선도를 최대한 유지·제공할 수 있도록 한 티백이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tea)라 함은 전세계적으로 애용되는 기호음료로서, 차원료에 따라, 무수히 많은 종류를 이루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취할 수 있는 것으로 녹차, 홍차, 커피 등이 있으며, 이들은 분말상태로 포장(티백)되어 유통·판매되거나, 또는 생산과정에서, 생수와 혼합되어 액상으로 판매되고 있다.
후자의 경우, 티를 액상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요구되는 바, 현재,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페트병(PET BOTTLE)과 금속재질의 캔 형태의 용기가 사용된다.
지금까지는 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수와 혼합하여 액상의 티를 가공한 후, 이를 용기에 넣어, 판매하고 있으므로, 생산과정이나 유통·판매되는 과정에서, 용기에 담긴 티의 변질을 예방하고 유통기간을 최대한 길게 유지하기 위해 위생처리 및 진공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용기에 담긴 액상의 티는 생수와 혼합되는 혼합비율에 따라, 그 맛과 향 및 농도 등이 다르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티, 즉, 생산과정에서 액상으로 가공되어 용기에 담겨져 유통·판매되고 있는 티는 정량화된 제품으로서, 생수와 혼합비율에 따른 농도가 거의 일률적이므로, 거의 동일한 맛과 향을 갖게 된다.
따라서,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티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사용자 개개인의 입맛과 취향에 적합한 티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없으며, 액상으로 티가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유통·판매되어 사용자가 섭취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므로, 티의 변질 우려가 높고,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어 고유의 향과 맛을 느낄 수 없는 폐단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녹차, 홍차, 커피 등의 각종 기호음료를 용기를 이용하여 유통·판매함에 있어, 생산과정에서 생수와 혼합된 상태로 가공되어 용기에 담기지 않고, 별도의 티백에 포장된 상태로 생수가 담겨진 용기의 외주면에 삽입·부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므로서, 티 원료가 분말상태로 티백에 의해 별도로 구비되고, 용기에는 생수만 담긴 상태로 유통·판매되도록 하며, 구비된 티백을 용기에 넣어 생수에 담궈 지도록 하여 티를 마실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티를 원하는 상태로 완성시켜 마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티백을 이용하여 원하는 티를 완성시켜 마실 수 있도록 하므로서, 티 본연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티의 신선도와 고품질의 티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부의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고, 뚜껑이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PET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가운데 부위에는 내측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는 분말상태의 티 원료가 내장된 티백이 삽입되며, 상기 티백은 몸체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라벨에 의해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티백이 삽입되고, 저면을 감싸는 라벨에 의해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용기 2:입구
3:뚜껑 4:라벨
4':절취부 10:몸체부
12:수납부 20:티백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는 입구(2)에 뚜껑(3)이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몸체부(10)의 가운데 부위에 내측방을 향하도록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에 삽입된 후, 몸체부(10)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라벨(4)에 의해 구속되는 티백(20)이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라벨(4)에는 각종 광고를 문구 및 로고 등이 인쇄되며,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내용물(생수)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0)의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수납부(12)에는 티백(20)이 삽입되며, 상기 수납부(12)에 삽입된 티백(20)은 몸체부(10)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착되는 라벨(4)에 의해 구속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라벨(4)은 티백(20)을 감싸고 있는 부위에 절취부(4')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PET재질의 몸체부(10)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몸체부(10)의 가운데 일부위에 내측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절곡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일정 공간을 갖는 수납부(12)가 형성되도록 하고, 수납부(12)에는 티백(20)을 삽입한 후, 라벨(4)을 부착시켜 구속되도록 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몸체부(10)에 형성된 수납부(12)에 티백(20)이 삽입된 후, 라벨(4)에 의해 감싸져 구속된 상태에서, 절취부(4')를 절개시켜 라벨(4)에 의해 구속된 티백(20)을 수납부(12)로부터 꺼낸 후, 상기 티백(20)을 몸체부(10)의 입구(2)를 통하여 생수에 잠기도록 하여 티를 완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용기(1) 몸체부(10)의 저면에 수납부(12)가 형성되어 티백(20)이 삽입되고, 라벨(4)에 의해 저면이 감싸지게 됨에 따라, 수납부(12)에 삽입된 티백(20)이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 저면에 형성되는 수납부(12)는 사출·성형 과정을 통해 가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몸체부(10)에 일정 크기의 수납부(12)가 형성되어 분말 상태의 티 원료가 내장된 티백(20)이 삽입된 후, 몸체부(10)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라벨(4)에 의해 삽입된 티백(20)이구속되도록 이루어진 용기(1)를 구매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티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티백(20)을 구속하고 있는 라벨(4)의 절취부(4')를 절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라벨(4)을 절개하게 되면, 삽입된 티백(20)의 구속이 해제되어 수납부(12)로부터 이탈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상기 티백(20)을 수납부(12)로부터 꺼낸 후, 용기(1)의 뚜껑(3)을 개방시킨 다음, 티백(20)을 몸체부(10)에 넣게 되면, 생수에 티백(20)이 잠겨 우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티백(20)에 내장된 티 원료가 생수에 우러나게 됨에 따라, 마실수 있는 티가 완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농도가 연한 상태의 티를 원하는 경우에는 티백(20)을 짧은 시간동안 담궈두면 되고, 진한 상태의 티를 원하는 경우에는 티백(20)을 장시간 담궈두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티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티가 완성된 상태로 용기(1)에 담겨 유통·판매되지 않고 직접 완성하게 되므로서, 티가 갖는 고유의 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즉석에서 바로 티를 완성할 수 있어, 최상의 맛과 신선도와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를 갖게 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사용상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티백(20)이 삽입되는 수납부(12)가 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티백(20)이 삽입되는 수납부(12)를 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수납부(12)가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경우에, 티백(2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벨(4)을 절개시켜야 하므로, 이로 인해 라벨(4)에 인쇄된 각종 광고를 위한 문구와 로고 등이 훼손되어 광고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이 용기(1)는 티백(20)이 삽입되는 수납부(12)가 몸체부(10)의 가운데 부위 또는 저면에 형성됨은 물론,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납부(12)의 수량을 2개, 3개 등의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는 PET재질 뿐만 아니라, 금속재질의 캔음료에도 동일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의 재질 및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용기에서 티백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티백이 구비된 용기를 이용함에 따라, 티 원료가 티백에 의해 별도로 구비되고, 용기에는 생수만 담긴 상태로 유통·판매되도록 하며, 구비된 티백을 용기에 넣어 생수에 담궈 지도록 하여 티를 마실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티를 원하는 상태로 완성시켜 마실 수 있으므로, 티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티의 신선도와 품질을 향상시켜 사용자로하여금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몸체부(10)의 상단에 입구(2)가 형성되고, 뚜껑(3)이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PET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가운데 부위에는 내측방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2)에는 티 원료가 내장된 티백(20)이 삽입되며,
    상기 티백(20)은 몸체부(10)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라벨(4)에 의해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이 구비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2)는 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되어 티백(20)이 삽입되고, 저면을 감싸는 라벨(4)에 의해 구속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이 구비된 용기.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4)에는 절취부(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이 구비된 용기.
KR20-2003-0036427U 2003-11-21 2003-11-21 티백이 구비된 용기 KR200340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427U KR200340861Y1 (ko) 2003-11-21 2003-11-21 티백이 구비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427U KR200340861Y1 (ko) 2003-11-21 2003-11-21 티백이 구비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861Y1 true KR200340861Y1 (ko) 2004-02-05

Family

ID=4942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427U KR200340861Y1 (ko) 2003-11-21 2003-11-21 티백이 구비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8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90B1 (ko) 2006-08-28 2008-11-21 장용호 압축티슈의 보관이 가능한 생수 용기
KR200476132Y1 (ko) * 2013-08-26 2015-02-03 김영권 티백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2129091B1 (ko) * 2019-07-04 2020-07-01 정성문 스틱 일체형 라벨 음료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90B1 (ko) 2006-08-28 2008-11-21 장용호 압축티슈의 보관이 가능한 생수 용기
KR200476132Y1 (ko) * 2013-08-26 2015-02-03 김영권 티백 보관체가 구비된 병
KR102129091B1 (ko) * 2019-07-04 2020-07-01 정성문 스틱 일체형 라벨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US6726946B1 (en) Method of infusing a drink
US20140251152A1 (en) Beverage container suitable for making cold or hot beverage
KR200340861Y1 (ko) 티백이 구비된 용기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CN107054837A (zh) 可存放茶包的水瓶
CN105615467B (zh) 冲泡容器、盖体、冲泡料的储存方法及冲泡方法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432667Y1 (ko) 희석식 음료용기
KR200285759Y1 (ko) 액체분사용기
KR20140063972A (ko) 첨가물의 종류 및 혼합비율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음료용기
KR20080028249A (ko) 희석식 음료용기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KR200390548Y1 (ko) 드립식 여과컵을 구비한 천연차류의 패키지
KR20190070000A (ko)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KR20160016063A (ko) 일회용 다기 세트
KR200222382Y1 (ko) 용기
CN113665942B (zh) 便携式调酒装置
KR101205608B1 (ko) 첨가물의 종류 및 혼합비율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음료용기
KR20130130232A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KR20140063976A (ko) 첨가물의 종류 및 혼합비율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이중뚜껑 구조의 음료용기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20120064878A (ko) 음료 용기
WO2015186876A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