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647Y1 -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647Y1
KR200340647Y1 KR20-2003-0035066U KR20030035066U KR200340647Y1 KR 200340647 Y1 KR200340647 Y1 KR 200340647Y1 KR 20030035066 U KR20030035066 U KR 20030035066U KR 200340647 Y1 KR200340647 Y1 KR 200340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rimping
power
jig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5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의 핵심부품인 전원 단락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로 전원단락 스프링을 압착 조립하는 지그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문제 개선을 통해 조립에 따른 시간 단축은 물론 비용을 절감하고, 전원단락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Press jig for trip spring of a air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의 핵심부품인 전원 단락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착 지그를 통해 기중차단기로 전원단락 스프링를 압착 조립시켜 그 조립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전원단락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전원단락 스프링은 기중차단기의 핵심부품으로, 종래 기중차단기에는 전원단락 스프링이 드라이버 또는 쇠막대기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그 압착 조립이 이루어졌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전원단락 스프링의 압착 조립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을 뿐만아니라, 상기 전원단락 스프링을 압착시킬 때 그 반발력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로 전원단락 스프링을 압착 조립하는 지그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문제 개선을 통해 조립에 따른 시간 단축은 물론 비용을 절감하고, 전원단락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에 적용되는 상부압착판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에 적용되는 하부압착판의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압착지그에 의한 전원단락 스프링의 압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조물 11; 전원단락 스프링
20; 지그 21; 상부압착판
21a; 안착홈 22; 하부압착판
22a; 고정부 23; 안내봉
24; 피스톤로드 25; 실린더
26; 구조물 이탈방지돌기 27; 스프링 이탈방지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에 적용되는 상부압착판의 구조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에 적용되는 하부압착판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압착지그에 의한 전원단락 스프링의 압착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중차단기의 핵심부품으로 그 기중차단기에 압착 조립되도록 구조물(10)에 체결된 통상적인 전원단락 스프링(11)에 있어서,
상기 기중차단기로 전원단락 스프링(11)을 용이하게 압착 조립하는 지그(20)를 구성하되, 상기 지그(20)는,
구조물(10)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11)을 압착시키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의해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압착이 이루어질 때 그 압착 속도를 조절하는 압착속도조절부 및,
상기 압착부에 의해 전원단락 스프링(11)이 압착될 때 그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압착부는,
후술하는 하부압착판(22)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봉(23)과,
상기 안내봉(23)의 상단부위에 고정되는 고정체로서 하면의 일단에 구조물(10)의 상단부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21a)을 형성시킨 상부압착판(21) 및,
상기 안내봉(23)의 하단부위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전원단락 스프링(11)을 압착시키는 유동체로서 일단에 구조물(10)의 하단부를 잡아주는 ∪자형의 고정부(22a)를 형성시킨 하부압착판(22)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압착 속도조절부는,
상부압착판(21)과 하부압착판(22)이 상하단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피스톤로드(24)와,
하부압착판(22)에 의한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압착을 진행시키도록 상기 피스톤로드(24)를 상하방향으로 속도를 조절시키면서 유동시키는 실린더(25)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부압착판(21)의 일단에 돌출되어 전원단락 스프링(11)이 체결된 구조물(10)의 상단 측부를 잡아주는 구조물 이탈방지돌기(26)와,
하부압착판(22)의 일단에 돌출되어 구조물(10)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압착이 진행될 때 그 압착되는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반원형태의 스프링 이탈방지돌기(2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28은 상부압착판(21) 및 하부압착판(22)에 형성된 결합구멍으로서, 이는 안내봉(23)의 양단이 체결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9a,29b는 각각 상부압착판(21)과 하부압착판(22)에 형성된 제 1,2 피스톤구멍으로서, 이는 제 1,2 피스톤로드(24)의 상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그 직경이 제 1,2 피스톤로드(29a)(29b)의 직경보다 크게 설계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중차단기의 핵심부품으로 그 기중차단기로 구조물(10)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11)을 압착시켜 조립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압착 조립은 지그(20)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즉, 상기 지그(20)는 압착부와 압착속도조절부 및 이탈방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압착속도조절부를 통해 압착의 속도를 조절하면서 압착부를 유동시키면, 상기 압착부에 의해 구조물(10)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11)은 기중차단기로 그 압착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그(20)에 구성된 이탈방지부는 전원단락 스프링(11)이 압착부에 의해 압착될 때 구조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압착 조립은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압착부는 제 1 피스톤구멍(29a), 결합구멍(28), 안착홈(21a)을 포함하는 상부압착판(21)과, 제 2 피스톤구멍(29b), 결합구멍(28), ∪자형의 고정부(22a)를 포함하는 하부압착판(22) 및, 상기 결합구멍(28)으로 양단이 체결되는 안내봉(23)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 속도조절부는 피스톤로드(24)와 실린더(25)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부압착판(21)에 형성되는 구조물 이탈방지돌기(26)와 하부압착판(22)에 형성되는 스프링 이탈방지돌기(2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20)에 포함된 상부 및 하부 압착판(21)(22)의 사이에 전원단락 스프링(11)에 체결된 구조물(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실린더(25)를 통해 도 4에서와 같이 하부압착판(22)을 상방향으로 속도 조절하면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하부압착판(22)는 안내봉(23)을 따라 상방향으로 그 유동이 이루어지면서 일단에 형성된 ∪자형의 고정부(22a)로 구조물(10)의 하단부위가 삽입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조물(10) 또한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구조물(10)의 상단부위는 하부압착판(22)의 상방향 유동으로 부터 상부압착판(21)의 일단에 형성된 안착홈(21a)으로 안착되는 한편, 상기 상부압착판(22)의 일단에 형성된 구조물 이탈방지돌기(26)는 구조물(10)의 측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구조물(10)의 외부 이탈을 방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부압착판(22)의 상방향 이동으로 부터 구조물(1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압착판(21)(22)의 사이에서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구조물(10)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11)은 하부압착판(22)의상방향 유동으로 부터 그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압착판(22)의 일단에 형성된 반원형태의 스프링 이탈방지돌기(27)는 전원단락 스프링(11)의 압착이 이루어질 때 그 전원단락 스프링(11)의 둘레면을 잡아줌으로써, 상기 전원단락 스프링(11)은 압착이 이루어질 때 그 반발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부 및 하부 압착판(21)(22)에 각각 형성된 구조물 이탈방지돌기(26)와 스프링 이탈방지돌기(27)를 통해 구조물(10)의 상단 측부는 물론, 전원단락 스프링(11)의 하단 둘레면을 잡아줌으로써, 상기 전원단락 스프링(11)은 반발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기중차단기로 그 압착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로 전원단락 스프링을 압착 조립하는 지그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문제 개선을 통해 조립에 따른 시간 단축은 물론 비용을 절감하고, 전원단락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기중차단기의 핵심부품으로 그 기중차단기에 압착 조립되도록 구조물에 체결된 통상적인 전원단락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기중차단기로 전원단락 스프링을 용이하게 압착 조립하는 지그를 구성하되, 상기 지그는,
    구조물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을 압착시키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 의해 전원단락 스프링의 압착이 이루어질 때 그 압착 속도를 조절하는 압착속도조절부 및,
    상기 압착부에 의해 전원단락 스프링이 압착될 때 그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후술하는 하부압착판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의 상단부위에 고정되는 고정체로서 하면의 일단에 구조물의 상단부 안착이 가능하도록 안착홈을 형성시킨 상부압착판 및, 상기 안내봉의 하단부위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전원단락 스프링을 압착시키는 유동체로서 일단에 구조물의 하단부를 잡아주는 ∪자형의 고정부를 형성시킨 하부압착판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속도조절부는,
    상부압착판과 하부압착판이 상하단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피스톤로드와, 하부압착판에 의한 전원단락 스프링의 압착을 진행시키도록 상기 피스톤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속도를 조절시키면서 유동시키는 실린더의 결합 구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부압착판의 일단에 돌출되어 전원단락 스프링이 체결된 구조물의 상단 측부를 잡아주는 구조물 이탈방지돌기와, 하부압착판의 일단에 돌출되어 구조물에 체결된 전원단락 스프링의 압착이 진행될 때 그 압착되는 전원단락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반원형태의 스프링 이탈방지돌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KR20-2003-0035066U 2003-11-10 2003-11-10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KR200340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66U KR200340647Y1 (ko) 2003-11-10 2003-11-10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066U KR200340647Y1 (ko) 2003-11-10 2003-11-10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647Y1 true KR200340647Y1 (ko) 2004-02-05

Family

ID=4934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066U KR200340647Y1 (ko) 2003-11-10 2003-11-10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6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39B1 (ko) 2006-10-17 2008-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용 개폐기구의 투입 스프링 어셈블리
CN110211830A (zh) * 2019-05-23 2019-09-06 杭州杰涵机械科技有限公司 框架断路器桥形触头气动装配夹具及其操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39B1 (ko) 2006-10-17 2008-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용 개폐기구의 투입 스프링 어셈블리
CN110211830A (zh) * 2019-05-23 2019-09-06 杭州杰涵机械科技有限公司 框架断路器桥形触头气动装配夹具及其操作方法
CN110211830B (zh) * 2019-05-23 2024-05-17 杭州杰涵机械科技有限公司 框架断路器桥形触头气动装配夹具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913698U1 (de) Mehrpolige Schaltersicherungsanordnung für Sammelschienensysteme
JPH0463489B2 (ko)
CA2306587A1 (en) Electromagnetic relay,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340647Y1 (ko) 기중차단기의 전원단락 스프링 압착용 지그
EP2592639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FR2938693B1 (fr) Commutateur electromagnetique
WO1997041579A1 (de) Schaltgerät
RS20220602A1 (sr) Relej visoke pouzdanosti i visoke otpornosti na vibracije
CN209747375U (zh) 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210305544U (zh) 一种可固定线材的铆压装置
CN219484691U (zh) 一种用于蓄电池端子焊接的定位机构
CN209896018U (zh) 漏电继电器
KR20010019366A (ko)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피로 시험장치
ITMI960453A1 (it) Rele' di innesto elettromagnetico
KR20130096081A (ko) 라운드타입의 바이메탈을 구비한 트립디바이스조립체
CN217387024U (zh) 一种具有新型磁路的继电器
CN207183184U (zh) 一种漏电断路器
DE2530226B2 (de) Endschalter
KR100566439B1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장치
KR102211719B1 (ko) 릴레이모듈 고정용 안전커버를 구비한 산업용 개폐기
DE3007349A1 (de)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stufenschalter fuer andrehmotoren von brennkraftmaschinen
KR200247019Y1 (ko) 철심접촉구조가 개선된 전자접촉기
JPH0319161Y2 (ko)
US1539278A (en) Electrical switch
PL101978B1 (pl) Elongated travel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