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425Y1 - 길이 측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길이 측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425Y1
KR200340425Y1 KR20-2003-0034174U KR20030034174U KR200340425Y1 KR 200340425 Y1 KR200340425 Y1 KR 200340425Y1 KR 20030034174 U KR20030034174 U KR 20030034174U KR 200340425 Y1 KR200340425 Y1 KR 200340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length
plate shape
measuring t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조
곽태옥
김점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4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측정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측정부재의 손상된 모서리 부에 상기 모서리의 양측 변에서 150㎜ 정도의 일정한 길이를 이룸과 더불어 상호 수직을 유지하도록 된 길이측정지그가 부착되어, 작업자의 단순 조작만으로 측정점을 설정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길이측정지그가 상기 측정부재에 견고히 부착되어 상기 측정점의 정확도가 향상되며, 1인 작업자만으로 상기 측정부재 변의 길이 및 대각선의 길이 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 측정용 지그{A Jig for measure the length}
본 고안은 물체의 길이를 측정할 시에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서리가 손상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판재의 각 모서리에 가상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기준점에 대한 길이를 측정하도록 된 길이 측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절단기 등의 장치를 통해 절단된 강판 등의 판재는 그 모서리부가 손상되어 상기 판재의 각 변 길이를 측정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가 손상된 측정부재(1) 등의 판재 양끝 모서리에 각 2개의 직선자(3)를 상기 모서리를 이루는 각 변의 끝단에 대어 상기 2개의 직선자(3)가 접하는 점에서 상기 판재의 가상모서리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가상의 모서리에서 각 변의 중앙방향으로 일정한 길이(통상 150㎜) 지점에 표시를 하며, 상기 가상의 모서리에서 일정길이를 이루고 표시된 지점에서 다시 상기 각 변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일정한 길이(통상 150㎜) 이격된 지점에 표시를 하여 측정점(4)을 형성하고, 이 측정점(4)을 기준으로 상기 판재의 각 변의 길이 및 대각선의 길이 등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또,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측정점(4)은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2개의 변이 상호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2개의 직선자(3)를 통해 2개의 변에서 표시되는 측정점(4)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2개의 상이한 측정점(4)의 중앙 지점 등을 재 설정하여 상기 판재의 길이 측정을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하도록 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모서리부가 손상된 판재의 길이측정을 위해 상기 모서리 부에 2개의 직선자(3)를 접해 가상의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모서리의 양측에서 2명의 작업자가 상기 각 직선자(3)를 상기 판재의 각 변에 지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상기 가상의 모서리 형성을 위해 2명 작업자의 작업공수가 요구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각 변이 직선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가상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양측의 각 변에 밀착되는 직선자(3)에서 표시하는 측정점(4)이 상이하게 되어 상기 2개의 측정점(4)으로부터 또 다른 기준점을 설정해야 하므로, 상기 측정점(4)의 설정을 위한 2중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변이 직선을 이루지 않거나, 상호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변에 접하는 직선자(3)로부터 가상의 모서리를 구하는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상기 가상의 모서리가 부정확하게 설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상의 모서리로부터 구해지는 측정점(4)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되고, 상기 측정점(4)이 상이하게 되는 경우 상기 2개의 측정점(4)으로부터 구해지는 기준점의 정확성이 저하되어 상기 손상된 모서리를 갖는 판재의 길이측정에 오차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 상기 손상된 모서리로부터 구해진 측정점(4)의 간의 길이 측정이 상기 판재의 일측 모서리에 설정된 측정점(4)에 1인의 작업자가 위치하여 줄자 등의 측정도구를 지지하고, 상기 판재의 또 다른 모서리에 설정된 측정점에 제2의 작업자가 위치하여 상기 줄자 등의 측정도구를 판독하는 방식으로 상기 판재의 길이측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상기 판재의 길이측정을 위한 작업인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손상된 모서리 부를 갖는 부재의 가상모서리 형성 없이 측정점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 길이 측정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측 변이 상호 수직을 이루지 않는 손상된 모서리 부의 측정점을 설정 가능하게 된 길이 측정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상된 모서리를 갖는 측정부재에 견고히 고정되어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길이 측정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인 작업자의 단순조작 만으로 손상된 모서리 부의 측정점을 설정하도록 된 길이 측정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1인 작업자의 단순조작 만으로 손상된 모서리를 갖는 부재의 양측 모서리간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된 길이 측정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측정지그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겟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측정지그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측정지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길이측정방법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측정부재 2 - 줄자
10 - 길이측정지그 20 - 제1측정대
21 - 제1결합부 22 - 핀홀
23 - 제1단차면 24 - 제1경사면
25 - 제1고정부 26 - 고정구
30 - 제2측정대 31 - 제2결합부
32 - 핀홀 33 - 제2단차면
34 - 제2경사부 35 - 제2고정부
36 - 고정구 40 - 베이스
41 - 핀홀 42 - 걸림홈
50 - 타겟 51 - 핀홀
52 - 수용홈 53 - 경사판
54 - 마감판 60 - 고정판
61 - 자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변에 측정대의 일단이 접하고, 타단이 또 다른 측정대와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결합된 2개 측정대의 수직상태를 점검하도록 상기 2개 측정대의 각 결합부에 45°각도를 이루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금속재질의 측정부재에 상기 측정대가 부착되도록 자석을 포함하는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2개의 측정대를 결속하는 핀의 중앙부에 필기구를 이용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개구된 마킹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줄자 등의 측정도구를 걸쳐 고정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베이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줄자 등의 측정도구를 걸쳐 고정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타겟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측정지그(10)의 각 구성품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겟(50)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측정지그(10) 및 베이스(4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길이측정지그(10)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 길이측정지그(10)는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와, 핀(11)과, 베이스(40)와, 타겟(50) 및 고정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측정대(20)는 제1결합부(21)와, 제1경사부(24)와, 제1고정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1)는 상기 제1측정대(20)의 일측에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핀홀(22)과, 제1단차면(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홀(22)은 후술하는 핀(11)이 삽입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상기 핀(11)의 외경과 비슷한 직경을 이루고 상기 제1결합부(21)의 중앙에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단차면(23)은, 상기 제1결합부(21) 및 후술하는 제1경사부(24)가 상기 제1측정대(20) 두께의 절반 두께를 가지도록 그 하단면이 절단되어 상기 제1측정대(20)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24)는 상기 제1측정대(20)의 일측단에서 판 형상을 이루고 연장된 제1결합부(21)의 상기 제2측정대(30)와 주로 예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며, 직선을 이루는 제1측정대(20)의 예각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제1결합부(21)의 일면 양끝모서리에 이르도록 상기 제1결합부(21)가 확장되어 상기 제1측정대(20)의 예각면 및 상기 제1결합부(21)의 일면에 대해 45°각도를 이루는 확장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25)는 상기 제1결합부(21)가 형성된 제1측정대(20)의 타측에서 상기 제1결합부(21)와 반대방향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제1고정부(25)의 중앙부에 후술하는 고정판(60)의 자석(61)이 삽입되도록 상기 자석(6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구(26)가 개구된다.
상기 제2측정대(30)는 제2결합부(31)와, 제2경사부(34) 및 제2고정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31)는 상기 제2측정대(30)의 일측, 상기 제1측정대(20)의 제1결합부(21) 형성방향 일측에 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핀홀(32)과, 제2단차면(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홀(32)은 후술하는 핀(11)이 삽입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상기 핀(11)의 외경과 비슷한 직경을 이루고 상기 제2결합부(31)의 중앙에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단차면(33)은, 상기 제2결합부(31)가 상기 제2측정대(30) 두께의 절반 두께를 가지도록 그 상단면이 절단되어 상기 제2측정대(30)와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경사부(34)는 상기 제2측정대(30)의 일측단에서 판 형상 이루고 연장된 제2결합부(31)의 상기 제1측정대(20)와 주로 예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되며, 직선을 이루는 제2측정대(30)의 예각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제2결합부(31)의 일면 양끝모서리에 이르도록 상기 제2결합부(31)가 확장되어 상기 제2측정대(30)의 예각면 및 상기 제2결합부(31)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제1경사부(24)가이루는 45°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면서 확장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35)는 상기 제2결합부(31)가 형성된 제2측정대(30)의 타측에서 상기 제2결합부(31)와 반대방향으로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제2고정부(35)의 중앙부에 후술하는 고정판(60)의 자석(61)이 삽입되도록 상기 자석(6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고정구(36)가 개구된다.
여기서,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모서리 부에 통상의 측정점을 형성하도록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31)와,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의 길이를 합쳐서 15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11)은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의 제1결합부(21) 및 제2결합부(31)에 개구되어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가 결합됨과 더불어 관통되는 각각의 핀홀(32,22)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핀(11)은 그 중앙부에 원형으로 개구됨과 더불어 통상의 필기구가 삽입되도록 된 마킹홀(12)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측정부재(1)에 대한 표기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가 상기 핀(11)을 매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대(20)의 상부로 돌출된 핀(11)의 선단에 결합되도록 되며,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40)는 핀홀(41)과 걸림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홀(41)은 상기 핀(11)의 선단이 삽입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상기베이스(40)의 중앙부에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2)은 상기 베이스(40)의 일측부가 상기 베이스(40)의 중앙에서 일측 모서리에 이르는 직사각형 면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핀홀(41)의 중앙지점에 이르도록 절단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걸림홈(42)은 상기 핀홀(41)의 중앙부에 이르도록 절단된 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줄자(2) 등 측정도구의 선단이 수평을 이루고 걸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겟(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 형상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4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측정대(20)의 상단으로 돌출된 핀(1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타겟(50)은 핀홀(51)과, 수용홈(52)과, 경사판(53)과, 마감판(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홀(51)은 상기 타겟(50)의 일측 중앙부에 상기 핀(11)이 삽입되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52)은 상기 타겟(50)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중앙부에 이르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절단된 홈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경사판(53)은 상기 수용홈(5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홈(5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겟(50)의 중앙방향으로 가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그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나사홀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판(54)은 상기 경사판(53)의 나사홀에 나사를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경사판(53)에서 상기 타겟(50)의 일부를 덮어막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60)은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의 고정구(36,26) 상단을 덮도록 원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에 형성된 고정구(36,26)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구(36,26)를 통해 표출되는 측정부재(1)의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구(36,26)의 형상과 동일한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자석(61)이 포함된다. 또, 상기 고정판(60)은 그 상단에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고정판(60)을 이동 및 고정하도록 원형의 고리(52)형상을 이룬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36,26) 및 자석(61)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나,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를 상기 측정부재(1)에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자력을 갖는 직사각형이나 원형의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길이 측정용 지그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서리부가 손상된 측정부재(1)의 변의 길이 및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 길이측정지그(10)의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가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벌려 놓는다.
여기서,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가 상호 수직을 이루는 지의 확인은 상기 제1측정대(20)의 제1경사부(24)와 상기 제2측정대(30)의 제2경사부(34)가 상호 평행하도록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를 핀(11)을 축으로 회동시켜 맞춘다.
상기 제1측정대(20)와 제2측정대(30)가 상호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의 각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를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변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측정부재(1)에 접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이 직선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의 각 끝단을 상기 모서리의 양측 각 변에 평행을 이루고 접하게 된다. 또,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각 변이 직선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가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벌어진 상태의 길이측정지그(10)를 상기 모서리 부의 양측 변에 근접하도록 접해 상기 모서리 부의 측정점을 정한다.
또한,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면이 상호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손상된 모서리의 양측 변에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를 접해 상기 손상된 모서리 부의 양측 변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를 벌려놓고, 상기 제1측정대(20) 및 제2측정대(30)가 상기 모서리 부와 동일한 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모서리 부의 양측 변에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를 고정시켜 상기 손상된 모서리 부의 측정점을 구한다.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가 상기 모서리 부의 양측 각 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에 형성된 고정구(36,26)를 통해 고정판(60)의 자석(61)을 삽입시켜, 상기 자석(61)이 상기 고정구(36,26)로 관통되면서 금속재질로 구성된 상기 측정부재(1)의 전면에 자력으로서 밀착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36,26)를 통해 자석(61)이 삽입됨과 더불어 측정부재(1)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자석(6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판(60)이 상기 고정구(36,26)의 상부를 덮어 막음과 더불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측정부재(1)의 전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상기 제1고정부(25) 및 제2고정부(35)가 상기 측정부재(1)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핀(11)에 형성된 마킹홀(12)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측정부재(1)의 전면에 측정점을 표시한다. 또, 상기 핀(11)의 상단에 베이스(40)를 끼워 상기 베이스(40)의 걸림홈(42)에 줄자(2)의 선단을 걸쳐 고정하고, 이 일단이 고정된 줄자(2)를 또 다른 길이측정지그(10)에 이르도록 연장하며, 상기 또 다른 길이측정지그(10)에 설치된 타겟(50)에서 상기 줄자(2)의 측정치를 읽어내어 상기 측정부재(1)의 길이를 구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40)는 상기 핀(11)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길이측정지그(10)가 이루는 측정점에서 또 다른 측정점이 상호 직선을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홈(42)에 걸쳐진 줄자(2)의 선단이 상기 베이스(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줄자(2)가 상기 베이스(40)에서 상기 타겟(50)으로 직선상태에서 연결된다. 또, 상기 일측 모서리에 타겟(50)이 결합된 길이측정지그(10)를 부착하고, 상기 타겟(50)의 경사판(53)을 따라 줄자의 선단부를 상기 수용홈(52)의 중앙부 선단에 걸치고, 상기 수용홈(52)의 선단에 줄자의 선단이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판(53)의 상단에 상기 마감판(54)을 나사 결합하여 상기 줄자의 선단이 상기 수용홈(5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줄자를 다양한 각도 및 길이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줄자의 측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상된 모서리 부를 갖는 부재의 측정점 형성작업이 길이측정지그의 접합만으로 이루어져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양측 변이 상호 수직을 이루지 않는 손상된 모서리 부의 측정점 설정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길이측정지그가 부재에 견고히 고정되어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1인 작업자의 단순조작 만으로 손상된 모서리 부의 측정점 설정 및 각 측정점간의 길이측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작업공수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측정대;
    상기 제1측정대의 일단에서 판 형상을 이루고 확장되고, 그 중앙부에 핀홀이 형성되며, 그 하단면이 상기 제1측정대 두께의 절반 두께를 이루도록 절단된 제1단차면이 형성된 제1결합부;
    상기 제1측정대의 일면과 상기 제1결합부가 상호 수직을 이루는 면의 상기 제1결합부 모서리에서 상기 제1측정대에 이르도록 45°각도를 이루고 확장된 제1경사부;
    상기 제1측정대의 타단에서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확장된 제1고정부;
    상기 제1측정대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측정대;
    상기 제2측정대의 일단에서 판 형상을 이루고 확장되고, 그 중앙부에 핀홀이 형성되며, 그 상단면이 상기 제2측정대 두께의 절반 두께를 이루도록 절단된 제2단차면이 형성된 제2결합부;
    상기 제2측정대의 일면과 상기 제2결합부가 상호 수직을 이루는 면의 상기 제2결합부 모서리에서 상기 제2측정대에 이르도록 45°각도를 이루고 확장된 제2경사부;
    상기 제2측정대의 타단에서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확장된 제2고정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핀홀과 제2결합부에 형성된 핀홀에 관통되어 상기 제1측정대와 제2측정대를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측정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의 중앙에 개구된 고정구;
    상기 고정구에 삽입됨과 더불어 측정부재에 부착되도록 자력을 갖는 자석;
    상기 자석의 상단에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구에 덮어지도록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측정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상단에 판 형상을 이루고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 중앙부에 개구된 핀홀;
    상기 핀홀의 중앙점에 이르도록 그 일측면이 절단되어 형성된 걸림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측정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판 형상 이룬 타겟;
    상기 타겟이 핀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타겟의 일측 모서리 부 개구된 핀홀;
    상기 타겟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중앙부에 이르도록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절단된 홈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겟의 중앙방향으로 가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형성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에 나사를 매개로 체결되며, 상기 경사판에서 상기 타겟의 일부를 덮어막도록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마감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측정용 지그.
KR20-2003-0034174U 2003-10-31 2003-10-31 길이 측정용 지그 KR200340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4U KR200340425Y1 (ko) 2003-10-31 2003-10-31 길이 측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74U KR200340425Y1 (ko) 2003-10-31 2003-10-31 길이 측정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425Y1 true KR200340425Y1 (ko) 2004-02-05

Family

ID=4934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74U KR200340425Y1 (ko) 2003-10-31 2003-10-31 길이 측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4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318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럼 브레이크 편심 방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318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럼 브레이크 편심 방지 구조
KR101596693B1 (ko) 2010-11-30 2016-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럼 브레이크 편심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129A (en) Carpenter square
EP1601927B1 (en) BUILDER&amp;rsquo;S MEASURING AND MARKING TOOL
US6029360A (en) Multi-angle pocket level
US5456015A (en) Construction framing square
US7430810B2 (en) Laser square protractor kit
US7513054B2 (en) Construction layout and angle measurement tool
US7343688B2 (en) Versatile adjustable clamp fixture and multiple square tool
US8375592B1 (en) Adjustable construction square
US6591509B2 (en) Floating bench saw guide
US6688014B1 (en) Builder&#39;s measuring and marking tool
US7406774B2 (en) Angle measurement tool
US3823481A (en) Framing layout jig
US6578278B2 (en) Saddle protractor
KR200340425Y1 (ko) 길이 측정용 지그
US20230408238A1 (en) Construction Measuring Tool
US5257775A (en) Jigs for installing recessed light fixtures, ceiling fans, ceiling heaters or combinations
US20060032066A1 (en) Multifunction measuring square
US20030204963A1 (en) Saddle protractor
US20070028474A1 (en) Cutting square
CA1163437A (en) Joint square and divider
US6546641B1 (en) Device for guiding the cutting of an opening in a wall
US11262178B2 (en) Angle measurement apparatus
KR200340424Y1 (ko) 외곽길이 측정용 지그
JP2000073574A (ja) 建築基礎検査用治具
JP3435834B2 (ja) 構造物計測用ターゲット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