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293Y1 -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 Google Patents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293Y1
KR200340293Y1 KR20-2003-0034043U KR20030034043U KR200340293Y1 KR 200340293 Y1 KR200340293 Y1 KR 200340293Y1 KR 20030034043 U KR20030034043 U KR 20030034043U KR 200340293 Y1 KR200340293 Y1 KR 200340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pole
telephone line
mounting hole
li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0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식
Original Assignee
김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식 filed Critical 김철식
Priority to KR20-2003-0034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2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29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 또는 벽면에 설치되는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선 단자함의 배면에 장착공(16a)을 구비하는 돌출부(16)를 일체로 성형하고, 단자함배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체결공(18a)을 구비하는 체결편(18)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인 전주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원호형 오목부분(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자함은 전체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장착공을 이용하여 전주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체결편을 이용하여 벽면에도 쉽게 체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line terminal box that is installed on the pole o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iece 18 integrally molded with the mounting hole 16a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x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8a.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ly formed. An arcuate recess 16b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Such a terminal box has a simple structure as a whole,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a pole by using a mounting hole, and can also be easily fastened to a wall by using a fastening piece.

Description

전화선 단자함{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본 고안은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 또는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구성되는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lephone line terminal box that is more easily configured to attach to the wall of the pole or building.

도 1에는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화선 단자함(1)은, 전화국에서 나오는 국선과 가입자와 연결되는 가입자선을 서로 연결해주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전주에 설치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벽면에 설치되고 있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elephone line terminal box. 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1 is a device that connects a trunk line coming out of a telephone station and a subscriber line connected to a subscriber.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1)의 배면(2)에는,고정구(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3)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스크루(5)에 의하여 상기 단자함(1)의 배면(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3)는, 단자함(1)의 배면(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통상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xing tool 3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2 of the conventional telephone line terminal box 1. As shown in FIG. The fastener 3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2 of the terminal box 1 by, for example, a plurality of screws 5. The fastener 3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rear surface 2 of the terminal box 1, and is usually formed of aluminum.

그리고 상기 고정구(3)의 이면에는, 원형단면인 전주에 밀착될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 밀착구(7)가 부착되어 있다.And the back surface of the said fastener 3 is attached to the contact hole 7 in which the recessed part which can be adhered to the electric pole which is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정구(3)를 이용하여 단자함(1)을 전주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3)와 배면(2) 사이에 밴드를 넣고, 상기 밴드를 전주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단자함(1)을 전주에 고정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box 1 is fixed to the electric pole by using the fastener 3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band is inserted between the fastener 3 and the rear surface 2 and the band is fixed to the electric pole. The terminal box 1 is fixed to the pol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자함(1)을 전주가 아닌 일반적인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3)를 분리한 후,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단자함(1)을 벽면에 고정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terminal box 1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a general wall instead of a pole, the fixing box 3 is removed, and then the terminal box 1 is fixed to the wall using a separate fastener. .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자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rminal box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are pointed out.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자함을 전주가 아닌 일반적인 벽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그 작업이 상당히 곤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품의 제조원가 상승이라는 단점도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3) 자체를 단자함에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등과 같이, 제품의 제조 및 설치시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됨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ventional terminal box is fixed to the general wall instead of the pole,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is quite difficult. In addition, since the fastener 3 is formed of relatively expensive aluminum,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is substantially increas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hassle is involved in the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of the product, such as fixing or removing the fastener 3 itself in the terminal box.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구조를 가지면서, 전주 또는 일반적인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간편한 전화선 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telephone line terminal box very simple to install on a pole or a general wall while having a simpler structure.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의 구조가 간단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제조원가를 충분하게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simple structure of 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도 1은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의 배면 사시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elephone line terminal box.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의 배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단자함 12 ..... 단자함배면10 ..... terminal box 12 ..... terminal box back

16 ..... 돌출부 16a ..... 장착공16 ..... projection 16a ..... mounting hole

18 ..... 체결편 18a ..... 체결공18 ..... Fasteners 18a ..... Fasten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은, 전화선 단자함의 이면에 장착공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단자함배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편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lephone lin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tegrally molded with a projection having a mounting hole on the back surface of 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integrally fastening piece extending outward from the terminal box back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integrally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인 전주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원호형 오목부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분에는 상기 장착공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오목부분의 양측면에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an arc-shaped concave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preferably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ounting hole is formed in the opening state, and the mounting hole is formed in the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is composed of a pair having a constant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주 또는 일반 벽면에 보다 쉽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and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an advantage that can be more easily mounted on the pole or the general wall.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함의 배면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Nex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단자함(10)의 배면(12)에는 돌출부(16)가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6)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상하 한쌍의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a protrusion 16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2 of the terminal box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sions 16 are preferably formed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ones having a constant interval.

상기 돌출부(16)는, 상기 단자함배면(12)과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을 따르는 장착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6)에 형성되는 장착공(16a)은, 본 고안의 단자함을 전주에 장착할 때, 필요한 밴드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protruding portion 16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16a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terminal box rear surface 12. The mounting hole 16a formed in the protrusion 16 is formed so that the necessary band can pass through when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le.

상기 장착공(16a)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6)는, 단자함(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6)의 이면 중앙부분에는 원호형을 가지는 오목부분(1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분(16b)은, 상기 단자함(10)이 전주에 장착될 때, 원형단면을 가지는 전주의 일부분에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part 16 in which the said mounting hole 16a is form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erminal box 10. FIG. A concave portion 16b having an arc shap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16. The concave portion 16b is formed to be completely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p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when the terminal box 10 is mounted on the pole.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공(16a)은 상기 오목부분(16b)에서는 개방되어 있고, 그 양측에서 상기 돌출부(16)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6)를 이용하여 단자함(10)을 전주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착공(16a)을 통하여 묶을 수 있는 밴드를 삽입하여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자함(10)의 배면(12)을 전주에 접촉시킨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오목부분(16b)이 전주의 일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단자함(10) 자체가 보다 견고하게 전주에 밀착될 수 있는 상태이다.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unting hole 16a is open at the concave portion 16b, and is form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protrusion 16 on both sides thereof. Accordingly, when the terminal box 10 is mounted on the pole using the protrusion 16,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x 10 is inserted in a state where a band that can be bundl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6a is inserted therethrough. 12) in contact with the pole. In this state, since the concave portion 16b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le, the terminal box 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le more substantially.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16a)을 관통하고 있는 묶음용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단자함(10)을 전주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같이 장착공(16a)을 각각 구비하는 돌출부(16)를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한쌍의 묶음용 밴드를 이용하여 단자함(10)을 보다 견고하게 전주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terminal box 10 can be fixed to the electric pole by using the bundle band penetrating the mounting hole 16a.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y forming a pair of protrusions 16 each having mounting holes 16a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erminal box 10 is more firmly formed using a pair of bands. It is possible to fix to the pol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장착공(16a)을 구비하고 있는 돌출부(16)를, 단자함(10)의 배면(12)에서 일체로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공(16a)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고가의 고정구가 불필요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제조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될 것이다.Thus,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turns out that the protrusion part 16 provided with the mounting hole 16a is integrally molded by the back surface 12 of the terminal box 10. As shown in FIG. In this way, by integrally molding the mounting hole 16a, expensive fixture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unnecessary, and the manufacturing cost will be substantially reduced.

본 고안에 의한 단자함(10)의 배면(12)에는, 상기 단자함(10)을 평면상의 벽면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편(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18)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함배면(12)의 상하부에서 더욱 연장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18)은 단자함(10)의 배면(12)에서 어떠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평면을 이루는 벽면에 단자함(10)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back 12 of the terminal box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piece 18 capable of fixing the terminal box 10 to a flat wall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As illustrated, the fastening piece 18 may be further exten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erminal box rear surface 12. The fastening piece 18 may be formed at any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2 of the terminal box 10,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fastening piece 18 may be fastened to the flat wall. .

상기 체결편(18)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8a)이 형성되어 있어서, 건축용 목이나 체결용 스크루 등과 같은 공구요소를 이용하여, 단자함(10)을 일반적인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8a are formed in the fastening piece 18, so that the terminal box 10 can be firmly fixed to a general wall surface by using a tool element such as a building neck or a fastening screw.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함(10)의 배면(12)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와 체결편을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and a fastening piec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12 of the terminal box 10.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advantages are expected.

본 고안에서는, 장착공을 구비하는 돌출부(16)가 단자함(10)의 배면(12)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단자함(10)을 형성할 때, 상기 돌출부(16)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고가의 알루미늄제의 고정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공정에 있어서도 매우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6 provided with the mounting ho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12 of the terminal box 10. That is, when forming the terminal box 10 that is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since the protrusions 16 are integrally molded, expensive fixtures made of aluminum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a whole, and is expected to be very convenient in the assembling process.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단자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아주 편리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일반적인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체결편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very conveniently even when installed on the pole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using the fastening piece even when installed on a general wall surface. Benefits are expected.

Claims (4)

전화선 단자함의 배면에, 장착공(16a)을 구비하는 돌출부(16)를 일체로 성형하고; 단자함배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복수개의 체결공(18a)을 구비하는 체결편(18)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A projection 16 having a mounting hole 16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 telephone line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iece 18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x and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8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중심에는, 단면이 원형인 전주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원호형 오목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rc-shaped recess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p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분에는 상기 장착공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고, 오목부분의 양측면에 장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cess is formed with the mounting hole opened, and mount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The telephone line terminal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sions comprise a pair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KR20-2003-0034043U 2003-10-30 2003-10-30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KR2003402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43U KR200340293Y1 (en) 2003-10-30 2003-10-30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43U KR200340293Y1 (en) 2003-10-30 2003-10-30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293Y1 true KR200340293Y1 (en) 2004-02-05

Family

ID=4942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043U KR200340293Y1 (en) 2003-10-30 2003-10-30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2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99007A (en) Cable routing structure of wire harness
US20040188122A1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KR20060073509A (en) A support for multistation electrical equipment, with indexed mounting of equipment mechanism bases
KR200340293Y1 (en) Terminal casing for telephone lines
RU2005130970A (en) FRAME ELEMENT FOR INSTALLATION ON AQUARIUM HOLE
KR0119718Y1 (en) Coupling structure for a speaker
JPH09199188A (en) Terminal cap
JP3923392B2 (en) Cover holding structure of screw terminal
JP4155384B2 (en) Automotive interior parts
JP2003204614A (en) Electric outlet box spacer
JPH0564005B2 (en)
JPH0128794Y2 (en)
KR200255459Y1 (en) Lead wire cover fastening structure of car trunk hinge
KR200276330Y1 (en) Fixing device of contact case for wiring indoors
KR0121534Y1 (en) The structure of shield case and frame of speaker
JPH0728755Y2 (en) Exterior panel mounting structure
KR100353079B1 (en) Clip for mounting wire and pillar trim togather
JPH09282931A (en) Waterproof structure for luminaire
KR100520281B1 (en) Device of Preventing Rotation of Blanking Cover
KR100372719B1 (en) Roof molding assembly for a bus
KR100247187B1 (en) Speaker fixing device
KR0126227Y1 (en) Side mirror cover panel mount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KR200357693Y1 (en) Terminal box
JPH01209913A (en) Wiring device
KR200156225Y1 (en) Automobile trim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