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165Y1 - 잔디깍기 - Google Patents
잔디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0165Y1 KR200340165Y1 KR20-2003-0033829U KR20030033829U KR200340165Y1 KR 200340165 Y1 KR200340165 Y1 KR 200340165Y1 KR 20030033829 U KR20030033829 U KR 20030033829U KR 200340165 Y1 KR200340165 Y1 KR 2003401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oading
- discharge pipe
- main body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01D43/063—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in or into a container carried by the mower; Containers therefor
- A01D43/0635—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in or into a container carried by the mower; Containers therefor with empty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2/00—Mowers convertible to apparatus for purposes other than mowing; Mower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other than mowing
- A01D42/06—Sweeping or cleaning lawns or other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디깍이에 관한 것으로 주행가능한 본체와, 본체의 저부에 있는 잔디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깍을 수 있게 본체에 설치된 컷팅기와, 컷팅기에 의해 절단된 잔디를 송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 송출관을 통해 유입된 잔디를 적재할 수 있게 본체에 결합된 적재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잔디깍기에 의하면, 절단한 잔디를 적재함에 적재 및 적재된 잔디의 배출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잔디깍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깍은 잔디를 적재함에 적재시킬 수 있도록 된 잔디깍기에 관한 것이다.
동력형 잔디깍기는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잔디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잔디깍기는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 잔디가 지면에 그대로 버려짐으로써 잔디를 깍은 이후에 절단된 잔디를 수거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잔디를 깍는 과정에서 절단처리된 잔디를 수거할 수 있는 잔디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디깍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송풍기와 컷팅기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송풍기와 컷팅기 부분을 분리 도시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부분 절단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적재함에 적재된 잔디를 배출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적재함이 추종프레임에 대해 소정각도로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적재함의 개폐도어의 록킹 해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록킹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적재함을 추종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적재함 록킹부를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송출관과 적재함과의 결합부분을 부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전면패널에 대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잔디깍기 110: 본체
130: 컷팅기 150: 송풍기
200: 적재부 210: 추종프레임
250: 적재함 260: 개폐도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잔디깍기는 주행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부에 있는 잔디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깍을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컷팅기와; 상기 컷팅기에 의해 절단된 잔디를 송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송출관을 통해 유입된 잔디를 적재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적재부;를 구비한다.
상기 송출관은 상기 컷팅기의 배출구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컷팅기의 배출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송출관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송출관과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부는 상기 본체와 일단이 추종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된 추종 프레임과; 내부에 적재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추종 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송출관과 연결된 전면패널 맞은편에 개폐도어가 설치된 적재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적재함의 상기 개폐도어 방향으로 개구를 갖는 적재 프레임의 상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이 상기 추종 프레임에 대해 설정된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방으로 들려지면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해 락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 록킹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도어 록킹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으로 열린 결합홈이 형성된 록킹편을 갖는 제1록킹부재와; 상기 제1록킹부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록킹편 맞은편 부분과 상기 적재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개폐도어상에 설치되며 상기 록킹편의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게 설치된 제1록킹핀과; 상기 적재함이 상기 추종프레임에 대해 설정된 각도로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1록킹부재가 상기 추종프레임에 간섭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설치된 회동범위 제한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송출관이 접속되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패널은 상기 송출관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회동이 가능하게 장공이 형성된 전면끼움판과; 상기 송출관이 관통될 수 있게 형성되되 상기 적재함이 상기 송출관에 대하여 회동시 상기 장공을 통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게 상기 전면끼움판과 밀폐되게 결합된 신축밀폐판;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함을 상기 추종 프레임에 대해 회동이 제한되게 고정 및 회동이 가능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적재함 록킹부와; 상기 적재함이 상기 추종프레임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를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추종프레임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된 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컷팅기 및 상기 송풍기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디깍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디깍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잔디깍기(100)는 본체(110), 컷팅기(130), 송풍기(150) 및 적재부(20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주행 및 방향 회전을 자유롭게 운전할 수 있는 4륜 주행 동력기가 적용되었다.
즉, 본체(110)는 차체 프레임(111), 엔진이 탑재된 엔진부(113), 바퀴(114), 핸들(115), 기어 변속기(116)를 구비한다.
또한, 엔진부(113)의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컷팅기(130) 및 송풍기(150)로 전달 및 차단 할 수 있는 컷팅조작기(117)을 구비한다.
엔진부(113)로부터 바퀴(114)로의 동력전달 및 기어 변속 구조는 공지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본체(110)는 수동방식으로 주행될 수 있는 구조 즉, 엔진이 생략되고, 차체프레임(111)에 바퀴(114)가 자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컷팅기(130)는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137은 컷팅기(130)에 결합된 바퀴이다.
컷팅기(130)를 도 2 내지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컷팅기(130)는 하우징(131) 및 블레이드(132)를 구비한다.
하우징(131)은 블레이드(132)에 의해 절단된 잔디가 회전되는 블레이드(132)에 의해 형성된 공압에 의해 측면에 형성된 개구(133)를 통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열린 캡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복수의 블레이드(13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132)의 수는 처리능력에 맞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절단된 잔디가 시계방향을 따라 부상되어 이동될 수 있게 회전방향의 선단부분이 추종 부분 보다 낮게 경사지게 날이 형성된 것이 적용된다.
하우징(131)의 측면에는 송출관(155)과 연통될 수 있게 개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31)의 내부공간은 블레이드(132)의 종단 부근의 날부분과 수직상으로 대향되는 위치가 블레이드(132)의 회전중심 부분 보다 더 높되 개구방향으로 가이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환형 가이드 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 가이드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의 부상 및 개구(133)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개구(133)와 블레이드(132)의 회전중심을 잇는 선상에서 시계방향을 따라 환형가이드골을 따라 진행할 때 환형가이드골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133)는 절단된 잔디가 배출과정에서 걸림이 억제될 수 있도록 기류의 회전방향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도 3의 A부분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형으로 형성된 걸림완화부재(134)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완화부재(134)는 적절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을 개구(133)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블레이드(132)는 엔진부(113)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132)는 블레이드회전축(135)에 설치된 제1종동풀리(121)가 중계회전축(125)에 설치된 제1구동풀리(126)로부터 벨트(128)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24는 가이드 롤러이다.
중계 회전축(125)은 엔진부(113)의 동력을 컷팅조작기(117)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되면 되고 이에 대한 동력전달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며 세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본체의 엔진부(113)와는 독립된 별도의 구동원 예를 들면 모터를 적용하여 블레이드회전축(13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풍기(150)는 송풍팬(151) 및 송출관(155)을 구비한다.
송풍기(150)를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풍팬(151)은 송출관(155)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151)의 공기 배출관(152)이 상방으로 경사져 송출관(155)의 중간부분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송풍팬(151)은 송풍팬(151)의 하우징내에 설치된 팬(미도시)과 결합된 송풍팬회전축(151a)에 형성된 제2종동풀리(122)가 중계회전축(125)에 설치된 제2구동풀리(127)로부터 벨트(129)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송출관(155)은 컷팅기(130)의 하우징(131)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컷팅기(130)의 하우징(131)에 탄성바이어스 상태로 결합 및분리될 수 있는 스프링형 결합고리(157)의 일단이 송출관(155)에 설치되어 있고, 컷팅기(130)의 하우징(131)에는 스프링형 결합고리(157)의 타단에 형성된 걸이구를 걸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송출관(155)은 본체(110)에 지지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송출관(155)은 청소시 또는 이물질 제거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다단 구조로 상호 끼움 결합된 것이 적용된다.
적재부(200)는 송출관(155)으로부터 유입된 절단된 잔디를 적재할 수 있게 송출관(155)과 끼움 결합되어 있다.
적재부(200)는 추종프레임(210)과, 추종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적재함(250)을 구비한다.
추종프레임(210)의 선단은 본체를 따라 주행될 수 있게 본체(110)의 차체프레임(111)에 추종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추종프레임(210)의 선단에 본체(110)의 차체프레임(111)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고리(21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고리(212)는 본체(110)의 차체프레임(111)에 착탈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의 차체프레임(111)에 적재함(250)이 설치되는 경우 추종프레임(210)은 생략될 수 있다.
추종프레임(210)의 후단 저면에는 방향선회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바퀴인 캐스터(220)가 설치되어 있다.
적재함(250)은 추종프레임(210)의 후단에서 힌지(231)에 의해 결합되어 추종프레임(210)에 대해 상방으로 선회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적재함(250)은 송출관(155)을 통해 유입된 잔디를 적재할 수 있는 내부 적재공간부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적재함(250)은 적재프레임(251), 밀폐패널(253), 개폐도어(260)를 구비한다.
적재프레임(251)은 사각형 틀부분과, 사각형 틀부분 상방으로 사각원추형 지붕(도 9참조)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밀폐패널(253)은 후방이 개방되게 전면, 상면, 저면, 측면이 상호 접합되어 적재프레임(251)에 결합되어 있다. 밀폐 패널(253)은 합성수지, 함석, 합판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밀패패널(253)이 견고한 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적재프레임(251)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밀폐패널(253)의 전면패널(254)의 일부는 탑승자가 적재함에 적재된 잔디의 적재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형성된다.
또한, 밀폐패널(253)의 전면패널(254)중 송출관(155)이 끼움 결합되는 전면끼움판(254a)은 끼움결합 상태에서 송출관(15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전면패널(254)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조부호 258은 적재함(250)의 송출관(155)을 통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잔디가 밀폐패널(253)의 지붕부분에 충돌한 다음 시계방향으로 선회할 때 잔디를 간섭하여 적재함(250)의 하방으로의 낙하를 유도하기 낙하가이드판이다.
낙하가이드판(258)은 통풍성을 제공하기 위해 망사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재함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잔디는 낙하가이드판(258)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고, 실선으로 표기한 공기는 개패도어를 통해 배출된다.
개폐도어(260)는 적재함(250)에 일정량의 잔디가 적재되었을 때 적재된 잔디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적재프레임(251)의 상단과 힌지(27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개폐도어(260)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밀폐 패널(253)의 개구와 대향되는 내측패널(261)은 통공을 갖는 망사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도어(260)의 외측패널(263)과 내측패널(261) 사이 공간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265)의 전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재함(250)은 추종프레임(210)에 대한 승강각도에 따라 개폐도어(260)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도어 록킹부(2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록킹부의 구조를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록킹부(280)는 제1록킹부재(281), 스프링(286), 제1록킹핀(287) 및 회동범위제한부재(288)를 구비한다.
제1록킹부재(281)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록킹부재(281)는 적재프레임(251)에 힌지(28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방으로 열린 결합홈(281b)이 형성된 록킹편(281a)을 갖는다. 록킹편(281a)은 록킹해제상태에서 개폐도어(260)가 진입될 때 진입이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종단이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사면(281c)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바이어스부재로 적용된 스프링(286)은 록킹부재(281)의 힌지(282)를 중심으로 록킹편(281a) 맞은편 부분에 형성된 걸이구(281d)와 적재함(250)의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된 적재 프레임(251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록킹핀(287)은 록킹편(281a)의 결합홈(281b)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상의 개폐도어(260)의 내측패널(261)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회동범위 제한부재(288)는 적재함(250)이 추종프레임(210)에 대해 설정된 각도로 상방으로 회동되면 제1록킹부재(281)가 추종프레임(210)에 간섭되어 회동이 차단되도록 적재함(250)의 회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1록킹부재(281)의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도어 록킹부(280)는 적재함(250)에 적재된 잔디를 배출하고자 할때 적재함(250)을 추종프레임(210)에 대해 승강시키면, 이 과정에서 회동범위 제한부재(288)가 추종프레임(210)의 저면과 접촉되어 추가 회동이 제한되고, 이후 제1록킹부재(281)는 회동이 멈춘 상태에서 적재함(250)만 추가 상승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50)의 추가 선회에 의해 제1록킹부재(281)의 걸림홈(281b)에 끼여 있던 제1록킹핀(287)이 록킹해제 위치인 하방으로 선회 됨으로써 록킹이 해제되고 개폐도어(260)의 자중에 의해 적재프레임(251)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재함(250)의 승강을 원할하기 위해 탄성바이어스부의 일 예로서 압축실린더(290)가 설치된다.
압축실린더(290)의 몸통(291)은 추종프레임(210)에 일단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몸통에 대해 진퇴되는 로드(292)의 종단은 적재함(250)의 저면과 결합되어 있다.
압축실린더(290)는 적재함(250)이 상방으로 일정각도 회동된 위치에 대응되는 전진길이로 로드(292)가 복원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고, 로드(292)가 몸통(291)내로 진입되면 개스가 압축되는 개스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적재함 록킹부(300)는 적재함(250)이 추종프레임(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압축실린더(290)에 의해 상방으로 인가되는 복원력에 의해 적재함(250)이 상승되지 않도록 적재함(250)을 추종프레임(2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적재함 록킹부(300)를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적재함 록킹부(300)는 제2록킹부재(310) 및 록킹바이어스부(320)를 구비한다.
제2록킹부재(310)는 추종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있고 결합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바이어스부(320)는 적재함(250)이 추종프레임(210)에 안착되었을 때 제2록킹부재(310)의 결합홈(311)에 진입될 수 있게 적재함(250)의 적재프레임(251)에 형성되어 있다.
록킹바이어스부(320)는 하우징(321), 제2록킹핀(323), 스프링(325), 와이어(327) 및 레버(329)를 구비한다.
하우징(321)은 적재프레임(251)에 설치되어 있고, 제2록킹핀(323)이 외부로 진퇴될 수 있게 전방개구와 와이어(327)가 관통될 수 있는 후방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2록킹핀(323)은 스프링(325)에 의해 하우징(321)의 전방개구를 통해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게 탄성바이어되게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327)의 일단은 제2록킹핀(323)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고, 하우징(321)의 후방개구를 관통한 타단은 레버(329)에 연결되어 있다.
레버(329)는 적재프레임(251)으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된 손잡이부(3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327)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부(330)의 연장 길이는 좌석(118)에 앉은 운전자가 착석상태에서 레버(329)의 조작이 가능하게 결정하면 된다.
따라서, 적재함(250)에 잔디가 충분히 적재되어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배출장소로 이동 후에 레버(329)를 와이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적재함(250)과 추종프레임(210)과의 록킹이 해제되고, 압축실린더(290)의 복원력에 의해 적재함(250)이 상승된다. 또한, 상승과정에서 개폐도어(260)의 락킹이 해제되어 적재된 잔디가 바닥으로 낙하된다.
한편, 적재함(250)의 전면패널(254)은 도 9 및 도 10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50)을 추종프레임(210)에 대해 선회시킬 때 송출관(155)이전면패널(254)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게 장공(254b)이 형성된 전면끼움판(254a)내에 송출관(155)과의 상대 위치이동에 대해 송출관(155)과 함께 연동될 수 있게 설치된 신축밀폐판(257)을 구비한다.
신축밀폐판(257)의 종단은 송출관(155)을 외측에서 밀착상태로 가압하여 밀폐시킬 수 있고 분리 및 삽입이 용이하게 점진적으로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밀폐판(257)은 탄성이 좋은 고무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밀폐판(257)의 연동이 용이하게 신축밀폐판 외주면에는 스프링(259)이 감겨져 있고, 이 스프링(259)은 지지밴드(259a)에 의해 양쪽에서 전면돌출판(254a)에 지지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디깍기는 절단한 잔디를 적재함에 적재 및 적재된 잔디의 배출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8)
- 주행가능한 본체와;상기 본체의 저부에 있는 잔디를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깍을 수 있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컷팅기와;상기 컷팅기에 의해 절단된 잔디를 송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상기 송출관을 통해 유입된 잔디를 적재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결합된 적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관은 상기 컷팅기의 배출구와 접속되어 있고,상기 송풍기는 상기 컷팅기의 배출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송출관으로부터 상기 적재함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송출관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상기 본체와 일단이 추종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된 추종 프레임과;내부에 적재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추종 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송출관과 연결된 전면패널 맞은편에 개폐도어가 설치된 적재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적재함의 상기 개폐도어 방향으로 개구를 갖는 적재 프레임의 상단을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상기 적재함이 상기 추종 프레임에 대해 설정된 개방각도 이상으로 상방으로 들려지면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해 락킹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 록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부는상기 적재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으로 열린 결합홈이 형성된 록킹편을 갖는 제1록킹부재와;상기 제1록킹부재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록킹편 맞은편 부분과 상기 적재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 부재와;상기 개폐도어상에 설치되며 상기 록킹편의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게 설치된 제1록킹핀과;상기 적재함이 상기 추종프레임에 대해 설정된 각도로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1록킹부재가 상기 추종프레임에 간섭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설치된 회동범위 제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관이 접속되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패널은상기 송출관에 대해 상기 적재함의 회동이 가능하게 장공이 형성된 전면끼움판과;상기 송출관이 관통될 수 있게 형성되되 상기 적재함이 상기 송출관에 대하여 회동시 상기 장공을 통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게 상기 전면끼움판과 밀폐되게 결합된 신축밀폐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을 상기 추종 프레임에 대해 회동이 제한되게 고정 및 회동이 가능하게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적재함 록킹부와;상기 적재함이 상기 추종프레임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를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추종프레임에 설치된 탄성바이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엔진과;상기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된 바퀴;를 구비하고,상기 컷팅기 및 상기 송풍기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3829U KR200340165Y1 (ko) | 2003-10-29 | 2003-10-29 | 잔디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3829U KR200340165Y1 (ko) | 2003-10-29 | 2003-10-29 | 잔디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0165Y1 true KR200340165Y1 (ko) | 2004-01-31 |
Family
ID=4942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3829U KR200340165Y1 (ko) | 2003-10-29 | 2003-10-29 | 잔디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0165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3794B1 (ko) * | 2011-01-19 | 2013-01-17 | 류호명 | 잔디 수거통 |
KR101330266B1 (ko) * | 2013-01-25 | 2013-11-15 | 한동특장(주) | 수거형 승용 예초 장치 |
KR101410981B1 (ko) | 2012-11-26 | 2014-06-2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율 작업형 잔디깎기 장치 |
KR101416564B1 (ko) * | 2012-12-03 | 2014-07-10 | 최지현 | 절단된 잔디의 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식 잔디깍기 |
KR102105207B1 (ko) * | 2019-04-25 | 2020-04-27 | 이대선 | 인조잔디 폐기물의 재활용 분리수거 장치 |
-
2003
- 2003-10-29 KR KR20-2003-0033829U patent/KR2003401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3794B1 (ko) * | 2011-01-19 | 2013-01-17 | 류호명 | 잔디 수거통 |
KR101410981B1 (ko) | 2012-11-26 | 2014-06-2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율 작업형 잔디깎기 장치 |
KR101416564B1 (ko) * | 2012-12-03 | 2014-07-10 | 최지현 | 절단된 잔디의 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식 잔디깍기 |
KR101330266B1 (ko) * | 2013-01-25 | 2013-11-15 | 한동특장(주) | 수거형 승용 예초 장치 |
KR102105207B1 (ko) * | 2019-04-25 | 2020-04-27 | 이대선 | 인조잔디 폐기물의 재활용 분리수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41679A (en) | Self-propelled rotary lawn mower | |
EP1597959A1 (en) | Reel mower discharge safety guard | |
US5778648A (en) | Lawn mower clipping collection system | |
US3855763A (en) | Self-propelled rotary lawn mower | |
US20120233975A1 (en) | Lawnmowers | |
KR200340165Y1 (ko) | 잔디깍기 | |
KR200404338Y1 (ko) | 잔디깎기 | |
US3802170A (en) | Self-propelled rotary lawn mower | |
US20050193517A1 (en) | Blower/vac debris collection system with collection bag on movable wheeled cart | |
US3890772A (en) | Self-propelled lawn mower | |
US3874151A (en) | Self-propelled lawn mower | |
US20040020180A1 (en) | Mowing machine chute cleaner apparatus and method | |
EP3437453B1 (en) | Riding grass-mower | |
JP6281476B2 (ja) | 草刈機 | |
US5791130A (en) | Bag location riding mower | |
JP4542474B2 (ja) | 乗用型草刈機 | |
WO2016185383A1 (en) | Walk behind lawn mower with a collector dump assembly | |
JP5658014B2 (ja) | 刈刃カバーの開閉構造 | |
EP1419686B1 (en) | Lawnmower | |
US12022773B2 (en) | Lawn mower and associated attachment | |
JP4011004B2 (ja) | モーア | |
JP2511496Y2 (ja) | 管理作業機 | |
JPH06343320A (ja) | 草刈装置 | |
JP3805201B2 (ja) | 草刈り機 | |
AU722518B2 (en) | Mower and/or part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