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901Y1 -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901Y1
KR200339901Y1 KR20-2003-0032964U KR20030032964U KR200339901Y1 KR 200339901 Y1 KR200339901 Y1 KR 200339901Y1 KR 20030032964 U KR20030032964 U KR 20030032964U KR 200339901 Y1 KR200339901 Y1 KR 200339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pump
hopper
pump assembly
fertiliz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안병출
한남천
Original Assignee
동명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기전(주) filed Critical 동명기전(주)
Priority to KR20-2003-0032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로서 호퍼내의 비료가 믹서펌프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을 통하여 살포되고, 경운기 및 트랙터 트레일러에 탑재 이동하고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외면 하부에 바퀴와 다리가 구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하부는 상광하협의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속도가변모터로 회전하는 믹서펌프가 내장된 믹서펌프 조립체와,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의 송출구와 연결되는 분사호스의 단부에 무선송출기가 구성된 분사관과,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의 흡입구와 공기압축기를 연결하는 흡입호스가 구성되어,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가 흡입호스 및 믹서펌프 조립체로 분출하면서 호퍼 내의 비료가 믹서펌프 조립체 내의 믹서펌프에서 상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을 통하여 살포되는 구성으로서, 원격제어에 의한 운전이 가능하고, 집중, 광역, 산포 살포 및 다량의 비료를 신속하고 연속적인 살포가 가능하며, 분사호스를 사용하므로 경작물이 자란 농지에서도 자유롭게 살포가 가능하고, 흡입호스와 분사호스의 체결 분리가 간단하며, 분사호스의 경량 사용으로 분사 작업이 자유로운 것이다.

Description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Broad caster for Compressed air}
본 고안은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로서 호퍼 내의 비료가 믹서펌프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을 통하여 살포되고 경운기 및 트랙터 트레일러에 탑재 이동하며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터 부착형 비료살포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1에 도시된 트랙터 부착형 비료살포기를 살펴보면,
사각형상의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말단에 롤라로 구성된 4개의 다리(102)와, 트랙터 엔진에 연결된 조인트(101)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콤프레셔 (102)를 지지하는 지지대(111)와, 상기 에어콤프레셔 (102)의 후면에 연결되어 설치된 압축공기통(103)과, 상기 받침대(100)상부에 위치된 에어콤프레셔 (102)와, 상기 압축공기통(103)의 상부에 형성되고 비료가 내장되는 비료통(104)과, 상기 비료통(104)과 호스(105)에 의해 연결되고 타이머가 형성된 살포총(106)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트랙터의 엔진을 동력원을 이용하는 것로서 트랙터의 PTO축에 유니버샬조인트를 이용하여 조인트(101)에 연결시킨 후 트랙터의 엔진을 시동 한후 PTO클러치를 넣어 PTO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인트(101)와 연결된 에어콤프레셔(102)가 작동되어 압축공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압축공기는 압축공기통(103)를 통하여 비료가 내장된 비료통(104)에 충전된다.
이때 살포총(106)의 방아쇠를 당기면 압축공기통(103) 내의 압축공기가 호스를 통하여 비료통(104)에 압송되어 비료통(104)내의 비료와 압축공기가 혼합되어 호스(105)를 통하여 살포총(106)에 의해 발사하는 것으로서, 타이머에 의해 비료 및 압축공기를 연속적으로 발사하던가, 맥동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비료를 살포하기 위해서는 유니버샬조인트를 사용하여 조인트를 트랙터의 PTO축에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트랙터에 작업기 승강장치에 직접 연결하는 구성이 불비되어 트레일러로 운반시켜 하차 후에 조인트를 트랙터의 PTO축에 유니버샬조인트를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트랙터의 PTO축을 이용하여야만 살포 작업이 가능하므로 트랙터의 진입할 수 없는 지역은 살포가 불가능하여 살포지역에 한정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압축공기통 내에서 약간의 습기를 함유한 분말 비료를 압축공기가 압송하지 못하여 비료를 제대로 살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비료통 상부에 있는 두껑이 밀폐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두껑과 비료통 사이로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압축공기가 비료통 내의 비료를 압송하지 못하여 비료를 제대로 살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호퍼 내의 비료가 믹서펌프와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을 통하여 살포되며, 분사관에 부착된 무선송출기로 믹서펌프의 모터를 제어하여 비료가 살포되는 것을 통제하며, 비료 및 농약의 살포가 가능하고 무선제어하여 살포작업이 용이한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트랙터 및 경운기 부착형 비료살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믹서펌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믹서펌퍼 조립체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믹서펌프 조립체의 정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믹서펌프 조립체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호퍼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바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호스 및 분사호스의 원터치 결합수단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호퍼-믹서펌프 조립체 2: 호퍼
3: 믹서펌프 조립체 4: 속도가변모터
7: 이동손잡이 12: 분사관
13: 무선송출기 14: 호스릴
15: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 16: 엔진
17: 공기압축기 18: 프레임
19: 솔레노이드밸브 24: 진동바
25: 진동바걸이봉 26: 믹서펌프
29: 그물망거치봉 30: 소켓
33: 회전조인트 34: 호스클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외면 하부에 바퀴와 다리가 구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하부는 상광하협의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속도가변모터로 회전하는 믹서펌프가 내장된 믹서펌프 조립체와,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의 송출구와 연결되는 분사호스의 단부에 무선송출기가 구성된 분사관과,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의 흡입구와 공기압축기를 연결하는 흡입호스가 구성되어,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가 흡입호스 및 믹서펌프 조립체로 분출하면서 호퍼 내의 비료가 믹서펌프 조립체 내의 믹서펌프에서 상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을 통하여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에 바퀴가 형성된 프레임과, 발전기, 스타터모터, 축전지 및 연료통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 상부일측의 엔진과, 상기 엔진 동력을 V벨트로 전달받는 상기 프레임 상부타측의 공기압축기와, 상기 흡입호스가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는 상부가 개방되어 호퍼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믹서펌프는 외주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톱니부 사이에서 진입된 비료가 분사호스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호퍼의 하부 내부에 진동바걸이봉을 형성하고 진동바의 일단을 상기 진동바걸이봉에 걸고 타단을 상기 믹서펌프의 톱니부와 접촉되게하여, 믹서펌프의 회전시 믹서펌프의 톱니부가 진동바를 주기적으로 접촉하여 진동바가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무선송출기의 송출신호에 의해 상기 속도가변모터의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호퍼의 상부 내부에는 종횡으로 그물망거치봉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호퍼의 외부 일측면에는 회전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인트와 결합된 원형의 릴로 형성된 호스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흡입호스와 상기 분사호스를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에 결합하는 방식은 소켓에 환테 또는 환홈, 믹서펌프 조립체에 환홈 또는 환테가 형성되어 소켓이 믹서펌프 조립체에 유삽되는 원터치 결합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믹서펌프를 회전시키는 속도가변모터의 전원은 엔진의 축전지의 전원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은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 및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15)로 크게 구분되며 상기 각각의 조립체는 경운기 및 트랙터의 트레일러에 탑재하여 운반되고 현장에서 트레일러에서 하치하거나 트레일러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비료살포작업이 가능한 것으로서,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는 호퍼(2)과 믹서펌프 조립체 및 분사에 관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15)는 프레임(18)과 엔진(16) 및 공기압축기(17)와 관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 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와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15)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의 프레임(18)은 단면이 관상이고 형상이 사각형으로 구성된 하부프레임에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ㄷ'형상의 측면프레임이 형성되고 좌우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안전가이드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에는 하부프레임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하고 프레임(18) 상부에 답재되는 엔진(16) 및 공기압축기(17)의 설치를 위한 연결바가 종횡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마다 바퀴(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가이드는 프레임(18)의 상부에 답재되는 답재물을 보호하고 프레임(18)의 견인을 위해 사람의 힘 등의 외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손잡이 역할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시동을 거는 농업용 엔진은 스타터모터가 불비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전기를 발생시켜는 발전기와 시동키에 의해 축전지의 전원으로 엔진(16)을 시동시키는 스타터모터와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고 솔레노이드밸브(19)·스타터모터·축전지·공기압축기(17)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지 및 연료를 보관하고 이를 엔진(16)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게 공급하는 연료통이 구비된 일반적인 엔진(16)이 상기 프레임(18) 상부일측에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8) 상부타측에는 상기 엔진(16)의 동력을 V벨트(22)로 전달받는 공기압축기(17)가 구성된다. 상기 공기압축기(17)는 엔진(16)의 동력으로 작동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크리너와, 압축기의 토출관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19)와,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연결된 레규레이터 V풀리로 구성되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2)의 외부 일측면에는 호스릴(14)이 구성되고, 타측면 외부 하부에는 호퍼 내외부로 관통된 작은 원통형의 호스클립(34)이 구성되고, 상기 호퍼(2)의 상부 좌우에는 손잡이(6)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두껑(5)이 구성된다.
상기 호스릴(14)은 도 5,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2)의 측면 일측의 원통형 중앙에는 회전조인트(33)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조인트(33)의 중앙은 호퍼 내외부로 관통되며, 회전조인트(33)의 외부에는 방사상의 리브가 결합되고, 원형의 링이 상기 리브의 외부에 결합된 호스릴(14)이 구성된다.
상기 호스릴(14)은 동일 크기의 원형의 외부링과 내부링로 형성되는데, 내부릴이 상기 리브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링과 내부링은 다수의 반원호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데, 호스릴(14)이 회전조인트(33)를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압공기를 분사라인으로의 투입은 상기 무선송출기(13)의 송출신호에 의해 투입 여부가 결정되는 것는 것으로서, 작동전 즉 비료를 살포하기전에 비료를 살포하는 장소인 현장에서 분사관(12)에 구성되어 있는 무선송출기(13)로 작동신호를 보내면, 무선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하여 믹서펌프의 속도가변모터(4)의 작동을 개시하는 되는데 압축기의 작동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속도가변모터(4)가 작동하고 믹서펌프(26)가 작동되어 비료를 송출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왜냐하면, 공기압축기(17)의 압축공기가 믹서펌프(26)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러한 시간을 감안한 것이다.
또한, 무선송출기(13)로 정지신호를 보내면 속도가변모터(4)가 오프되어 전원공급이 중단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비료의 공급이 중단된 후에 공기압축기(17)가 오프되고 전체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왜냐하면, 분사호스(11) 및 분사관(12)에 잔류하고 있는 비료를 완전히 분사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을 상기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와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15)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15)의 축전지의 전원을 사용하여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의 속도가변모터(4)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엔진(16)의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기는 DC 12V이고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속도가변모터(4)도 DC 12V를 사용하므로 엔진(16)의 축전지의 전원으로 속도가변모터(4)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 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즉, 기존 시설물에 모터로 구동되는 공기압축기가 구비되고 전기시설이 설비되어 있는 비닐하우스 등에서의 사용시는 기존의 AC 110V 또는 AC 220V의 전원을 컨버터를 사용하여 DC 12V로 변환시킴으로서 속도가변모터(4)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2)는 상하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이고 원통형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좁은 즉 상광하협의 형상의 바켓으로 되어 있되 상하부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호퍼(2)의 외면 전부에는 한쌍의 바퀴(8)가 구성되어 있는데 바퀴(8)의 지지는 호퍼(2)의 원통부 아래에 고정되어 있으며 호퍼(2)의 이동시 이동의 간편을 위한 바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호퍼(2)의 외면 후부에는 한쌍의 다리(9)가 구성되어 있는데 다리(9)의 지지는 호퍼(2)의 원통부 아래에 고정되어 있으며 호퍼(2)의 정치시 호퍼(2)의 지지를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바퀴(8)와 상기의 다리(9)로 인하여 호퍼(2)이 전체적으로 직립된 구조로서 정치시도 직립되는 형인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2)의 하부의 최하단에는 도 6의 본 고안에 따른 믹서펌프 조립체(3)의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와 같이 믹서펌프 조립체(3)가 구성되는데,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3)는 상부가 상광하협으로 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상부가 호퍼(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 중앙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공간에 믹서펌프(26)가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믹서펌프(26)는 속도가변모터(4)의 축으로 믹서펌프(26)의 중심이 연결되어 속도가변모터(4)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다. 즉 속도가변모터(4)가 회전하면 믹서펌프(26)도 회전하고 속도가변모터(4)의 회전이 정지하면 믹서펌프(26)의 회전도 정지한다.
속도가변모터(4)의 전원은 엔진(16)의 축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AC 110V 또는 AC 220V의 전원을 DC 12V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전원은 일반적인 사람도 구성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과 전선에 대한 도면을 생략한다.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3)의 하부에는 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믹서펌프(26)는 외주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는 톱니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는데, 톱니부의 곡률형상은 믹서펌퍼 조립체(3)의 상부 개방부의 곡률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왜냐하면 비료가 호퍼(2)에서 믹서펌프(26) 내로 낙하될 때 비료의 진입이 용이하고 비료가 믹서펌프(26) 내부로 이탈되지 않토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압축공기가 믹서펌프 조립체(3) 내부로 공급됨으로 인하여 압축공기의 누출이 없어 압축공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그 효율을 높은 것이다.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3)의 하부는 상기 통공의 전후에 외부와 호퍼(2) 내부 중앙의 일정한 공간과 서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통공과 일치하게끔 믹서펌프(26)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3) 하부의 관통공은 흡입구(27)와 송출구(28)로 형성되는데 흡입구(27)에는 상기 공기압축기(7)와 연결되어 있는 흡입호스(10)가 송출구(28)에는 분사관(12)과 연결되어 있는 분사호스(11)가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호스길이가 길어 집중 및 광역 살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산파 작업도 가능한 것이다.
길이가 최대 100M까지도 가능한 상기 분사호스(11)는 일단이 믹서펌프 조립체(3)와 소켓(30)으로 조립되고, 호스클립(34)을 관통하여 호퍼(2)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조인트(33)를 관통하여 호퍼(2)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호스릴(14)에 감기는 구성이면서, 분사호스(11)의 타단은 분사관(12)과 조립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살포작업시는 상기 호스릴(14)를 회전시켜 분사호스(12)를 살포작업에 알맞는 적당한 길이로 풀어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살포반경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으며, 살포작업 후 보관할 경우에는 호스릴(14)를 역으로 회전시켜 풀었던 분사호스(12)를 호스릴(14)에 되감아 보관하는 것이다.
이때 필요하다면, 예를들어 분사호스(12)의 비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분사호스(12)에 결합된 소켓(30)과 믹서펌프 조립체(3)의 외주면과는 분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믹서펌프(26)는 외주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는 톱니부가 형성되는데 톱니부 사이에 비료가 진입되어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은 톱니부의 분당회전수에 따라 비료살포량이 결정되므로 톱니부의 회전수가 일정하면 비료살포량도 일정하므로 비료살포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속도가변모터(4)의 분당회전수로 조절하면 된다.
상기 믹서펌프(26)의 회전시 호퍼(2) 내에 있는 비료가 믹서펌프 조립체(3)의 상부 개방를 통하여 톱니부 사이로 진입되면 그 톱니부가 반회전 하여 송출구(28)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공기압축기(17)와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3)를 연결하는 흡입호스(10)로 구성되어 공기압축기(17)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흡입호스(10) 및 믹서펌프(26)로 분출하면서 톱니부 내의 비료가 상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호스(11)로 송출되고 송출된 혼합물은 분사관(12)을 통하여 살포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호스(11)의 단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관상된 분사관(12)이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공기압축기 및 믹서펌프(26)의 속도가변모터(4)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압축기(17) 및 믹서펌프(26)의 속도가변모터(4)의 가동 및 정지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기(13)가 형성되어 비료를 살포작업의 실시와 중단이 원격제어되고 구동방법이 자동화된 것이다.
상기 호퍼(2)의 상부 외부에는 관상으로된 이동손잡이(7)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손잡이(7)는 좌우걸이대와 연결봉으로 구성되는데 좌우걸이대는'ㄴ'형상을 하면서 일단이 원통의 외부에 고정되고, 연결봉은 좌우걸이대의 각각의 타단을 횡으로 연결하여 좌우걸이대와 연결봉이 일체형으로 되어 호퍼(2)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보관할 경우에 이동손잡이(7)는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를 이동할 경우에 연결봉이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손으로 이동손잡이(7)를 몸 앞으로 당기면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가 몸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다리(9)가 들리면서 바퀴(8)가 호퍼-믹서펌프조립체(1)를 지지하게되어 바퀴(8)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경운기 및 트랙터의 트레일러로 운반이 가능하고, 트레일러에 상치된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하치된 상태에서도 살포작업이 가능하며,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 및 엔진-공기압축기 조립체(15)로 구분되어 규모의 적소화로 이동이 자유로운 것이다.
도 4, 5의 본 고안에 따른 호퍼-믹서펌프 조립체(1)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구성에서, 상기 호퍼(2) 내부의 하부 호퍼형상의 일정한 위치에 중심을 가로질러 환형 등으로된 진동바걸이봉(25)를 형성하되 진동바걸이봉(25)의 양단이 호퍼 내부에 고정된다. 진동바걸이봉(25)에는 도8과 같은 진동바(24)가 설치되는데 상기 진동바(24)는 일단이 개방된 원을 형성하고 타단이 훅크 형상으로 되어있다.
진동바(24)는 개방된 원내로 상기 진동바걸이봉(25)이 통과시켜 걸게되고 진동바(24)가 수직으로 형성되게하고 후크모양의 타단이 상기 믹서펌프(26)의 톱니부와 접촉되게 된다. 후크의 끝단이 일정부분만 상기 믹서펌프(26)의 톱니부의 끝단의 일정부분과 접촉하게 하여, 믹서펌프(26)의 회전시 믹서펌프(26)의 톱니부가 진동바(24)를 주기적으로 접촉하여 진동바(24)가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호퍼(2) 내에서 약간의 습기를 함유한 분말 비료가 호퍼(2)와의 마찰 또는 비료들이 조그만한 덩어리를 형성함으로서 호퍼(2)에 엉커붙어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여 비료를 제대로 살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고안은 진동바(24)가 주기적으로 호퍼(2)에 진동을 주고 진동바(24) 자체가 진동을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호퍼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호퍼(2)의 상부 내부에는 종횡으로 봉상의 그물망거치봉(29)이 구성되는데, 그물망거치봉(29)의 끝단은 호퍼(2)의 내부와 고정된다. 메쉬형상으로된 그물망을 호퍼(2) 내의 그물망거치봉(29)에 상치한 후에 습기를 함유한 분말 비료를 투입하면 덩어리가 형성된 분말 비료가 일정한 크기로 분리되어 그물망 아래로 낙하되는 것이다. 낙하되지 않는 덩어리 비료는 손 또는 막대기 등으로 분쇄하면 그물망 아래로 낙하될 수 있다. 이는 약간의 습기를 함유한 분말 비료의 덩어리를 호퍼(2) 내에 투입할 수 없게하여 살포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함이다.
도 9의 본 고안에 따른 흡입호스(10) 및 분사호스(11)의 원터치 결합수단의 단면도를 살펴보면, 상기 흡입호스(10)와 상기 분사호스(11)를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3)에 결합하는 방식은 소켓(30)의 내주면에 환테(32), 믹서펌프 조립체(3)의 외주면에 환홈(31)이 형성되어 소켓(30)이 믹서펌프 조립체(3)의 외주면에서 유삽되어 환테(32)와 환홈(31)이 상호 결합되므로 인하여 소켓(30)이 믹서펌프 조립체(3)에 결착되는 원터치 결합방식이다.
또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인 상기 환테(32) 및 환홈(31)의 구성이 상호 바뀌어도 즉 환테(32)가 믹서펌프 조립체(3)의 외주면에 구성되고 환홈(31)이 소켓(30)의 내주면에 구성될 수 있고, 환테(32) 및 환홈(31)이 형태가 톱날 형에 국한 되지 않고 나사산 또는 사다리꼴 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흡입호스(10)와 분사호스(11)의 체결 분리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식 접속수단을 사용하여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서 비료 살포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엔진(16)의 V풀리와 상기 공기압축기(17)의 V풀리 및 상기 V벨트(22)의 보호하기 위한 안전카바가 일체로 형성되되 그 일단이 상기 프레임(18)에 고정된다.
공기압축기(17)는 외부의 동력으로 즉 엔진(16)의 동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엔진(16)과 공기압축기(17)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주로 V풀리와 V벨트(22)로 구성되는데 이들 V풀리와 V벨트(2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이 통상적인 구조이다. 본 고안도 이와같이 V풀리와 V벨트(2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신체에 위해가 가해질 우려를 해결하기위하여 안전카바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안전카바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카바는 상기 엔진(16)의 V풀리와 상기 에어콤프레셔(17) 의 V풀리 및 상기 V벨트(22)의 보호하기 위한 안전카바가 일체로 형성되되는데, 압축기의 측부에 설치되는 V풀리와 엔진(16)의 측부에 설치되는 V풀리 및 상기 각각의 V풀리를 연결하는 V벨트(22)를 일체로 감싸도록 하기위해 상기 V풀리와 V벨트(22)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일측 및 타측 하부에는 하부프레임에 고정하는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안전카바의 설치작업은 엔진(16) 및 에어콤프레셔(17)를 하부프레임에 설치한 후 V풀리와 V벨트(22)를 조립한 다음에 설치하며 분해는 조립의 역순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입상 및 분말로 된 비료 뿐 만아니라 농약도 살포가 가능하고 씨앗도 살포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는 시동이 간편하고, 원격제어의 작업이 가능하고, 집중, 광역 및 산포 살포가 가능하고, 버켓 내의 비료가 잔류하지 않으며, 흡입호스와 분사호스의 체결 분리가 간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축전지의 전원을 사용함으로서 시동이 간편하고, 송출기를 사용함으로서 원격제어의 작업이 가능하고, 긴 분사호스와 분사구가 부착되어 집중, 광역 및 산포 살포가 가능하고, 진동바를 주기적으로 진동하여 호퍼 내에 비료가 잔류하지 않으며, 원터치식 접속수단을 사용하여 흡입호스와 분사호스의 체결 분리가 간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외면 하부에 바퀴와 다리가 구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이면서 하부는 상광하협의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속도가변모터로 회전하는 믹서펌프가 내장된 믹서펌프 조립체와;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의 송출구와 연결되는 분사호스의 단부에 무선송출기가 구성된 분사관과;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의 흡입구와 공기압축기를 연결하는 흡입호스가 구성되어,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가 흡입호스 및 믹서펌프 조립체로 분출하면서 호퍼 내의 비료가 믹서펌프 조립체 내의 믹서펌프에서 상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분사관을 통하여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바퀴가 형성된 프레임과;
    발전기, 스타터모터, 축전지 및 연료통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 상부일측의 엔진과;
    상기 엔진 동력을 V벨트로 전달받는 상기 프레임 상부타측의 공기압축기와;
    상기 흡입호스가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는 상부가 개방되어 호퍼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믹서펌프는 외주면에 일정한 폭을 가지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톱니부 사이에서 진입된 비료가 분사호스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부 내부에 진동바걸이봉을 형성하고 진동바의 일단을 상기 진동바걸이봉에 걸고 타단을 상기 믹서펌프의 톱니부와 접촉되게하여, 믹서펌프의 회전시 믹서펌프의 톱니부가 진동바를 주기적으로 접촉하여 진동바가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출기의 송출신호에 의해 상기 속도가변모터의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부 내부에는 종횡으로 그물망거치봉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외부 일측면에는 회전조인트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조인트와 결합된 원형의 릴로 형성된 호스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호스와 상기 분사호스를 상기 믹서펌프 조립체에 결합하는 방식은 소켓에 환테 또는 환홈, 믹서펌프 조립체에 환홈 또는 환테가 형성되어 소켓이 믹서펌프 조립체에 유삽되는 원터치 결합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펌프를 회전시키는 속도가변모터의 전원은 엔진의 축전지의 전원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KR20-2003-0032964U 2003-10-21 2003-10-21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KR200339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964U KR200339901Y1 (ko) 2003-10-21 2003-10-21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964U KR200339901Y1 (ko) 2003-10-21 2003-10-21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411A Division KR100620351B1 (ko) 2003-10-21 2003-10-21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901Y1 true KR200339901Y1 (ko) 2004-01-28

Family

ID=4942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964U KR200339901Y1 (ko) 2003-10-21 2003-10-21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9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43B1 (ko) 2007-12-17 2009-06-18 창신대학산학협력단 무선조종모형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43B1 (ko) 2007-12-17 2009-06-18 창신대학산학협력단 무선조종모형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959A (en) Pump and sprayer attachments for lawn mowers
US7909942B2 (en) Pet waste away device
US20070204887A1 (en) Pet waste away device
JP4790683B2 (ja) 肥料・農薬散布器
KR200339901Y1 (ko)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KR100620351B1 (ko) 고압공기를 이용한 비료살포기
CN111202043A (zh) 一种园林用杀虫剂喷洒装置
KR100899870B1 (ko) 비료·농약 살포기
CN212013505U (zh) 一种园林用的松土喷洒一体机
KR101111147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트랙터용 비료살포장치
KR101982541B1 (ko) 어깨끈 결합이 쉬운 자동분무형 휴대용 농약 분무장치
CN110432251A (zh) 一种果园农药自动化拌药喷洒设备
US63438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reading particulate materials
KR200470702Y1 (ko) 다용도용 비료살포기
CN213881518U (zh) 一种园林绿化植物背负式农药喷洒装置
CN109220128A (zh) 一种自动投射装置
US2986336A (en) Fogging machine
KR102431391B1 (ko)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CN201418268Y (zh) 背负式抛肥器
KR20110009066U (ko) 비료살포기의 비료통 에어공급구조
CN109588390A (zh) 绿化景观林木杀虫系统
KR200285681Y1 (ko) 농약 살포기
KR100526412B1 (ko)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200258326Y1 (ko) 트랙터 및 경운기 탈 부착용 살포기
KR20120081061A (ko) 주행식 분무기의 반자주식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