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81Y1 - 농약 살포기 - Google Patents

농약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81Y1
KR200285681Y1 KR2020020014067U KR20020014067U KR200285681Y1 KR 200285681 Y1 KR200285681 Y1 KR 200285681Y1 KR 2020020014067 U KR2020020014067 U KR 2020020014067U KR 20020014067 U KR20020014067 U KR 20020014067U KR 200285681 Y1 KR200285681 Y1 KR 200285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corrugated pipe
blower
ring
prime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주
Original Assignee
양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주 filed Critical 양진주
Priority to KR2020020014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81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을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멀리까지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원동기와 이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농약저장통에 저장된 농약을 펌핑하여서 호스를 통해서 분사하는 농약살포기에 있어서,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송풍작동을 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배출관에 연결밴드로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후렉시블한 주름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볼축수부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및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볼조인트와;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볼조인트의 상단에 형성된 링형고리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한 지지밴드의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링형고리의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채 그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상,하,좌,우 사방으로 회전 및 각도조정시킴에 따라 주름관의 선단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바와; 상기 연결밴드 및 지지밴드에 형성된 호스고리에 지지되는 농약공급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주름관을 통해 송풍되는 바람과 함께 농약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약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농약 살포기{Crop duster}
본 고안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을 이용하여 농약을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확산시키면서 멀리까지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 배, 밀감, 포도 등 과수(果樹)를 재배하는 과수원이나 상추, 시금치, 오이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는 농가 등에서는 과수 및 밭작물의 병충해를 막기 위해 농약을 살포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농약을 살포하는 장치로서는 작업자가 농약통을 등에 지고 한손으로는 펌핑레바를 작동시키고 다른 한손으로는 노즐대를 잡고 과수들 사이 또는 밭고랑을 걸어가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수동식 농약살포기가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노즐대를 이동시키면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곳을 향해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살포되는 농약이 작업자의 근접한 거리에서 살포되기 때문에 농약이 작업자의 의복과 피부에 묻게될 뿐 아니라 농약이 호흡기로 흡입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농업용 관리기의 트레일러에 농약저장통을 탑재한 다음 그 농약저장통에 연결된 호스를 작업자가 손에 들고 관리기의 뒤를 쫓아가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는 작업자가 농약통을 등에 메지 않는다는이점만 있을 뿐 작업자가 호스를 들고다니면서 농약을 살포하기 때문에 이 역시 호스 끝에 달린 노즐에서 살포되는 농약이 작업자의 신체에 묻게될 뿐 아니라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흡입되는 현상이 나타나 농약 피해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상기한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농약살포장치는 농약통에 저장된 농약만을 펌핑하여 살포하기 때문에 농약이 살포범위가 매우 좁고 또 멀리까지 살포되지 아니하므로 농업용 관리기가 진입하기 곤란하고 비교적 큰 규모의 과수원에는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약의 피해를 입지 않고 농약을 살포하는 시설로서 과수원이나 밭에 농약이송용 파이프라인을 설치한 다음 파이프라인상에 정해진 구간마다 농약을 사방으로 살포하는 스프레이를 설치하는 것이 있으나, 이는 파이프라인과 스프레이를 설치하는데 따른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력이 없는 농가에서는 비용부담으로 인하여 파이프라인 등의 시설투자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또 파이프라인이 과수원 및 밭의 지상에 설치될 경우에는 수확된 과수 및 밭작물을 실어나르는 농업용 관리기 또는 손수레의 이동에 방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이프라인을 지하에 매설하게 될 때에는 매설공사비가 더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특히 파이프라인 시설의 경우 구간마다 설치된 스프레이가 한 곳에 고정된 상태에서 농약을 살포하기 때문에 스프레이에서 살포되는 농약이 인접해 있는 과수에는 어느 정도 충분하게 살포될 수 있겠지만 스프레이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과수의 경우에는 농약을 살포해주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기를 강하게 송풍시켜주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농약을 멀리까지 살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농약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공기와 함께 살포하므로서 농약이 고르게 확산되면서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농약살포기 자체를 차량에 탑재시킨 상태에서도 농약을 원하는 방향을 향해 살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농약의 살포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농업용 관리기 포함)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원동기와 이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농약저장통에 저장된 농약을 펌핑하여서 호스를 통해서 분사하는 농약살포기에 있어서,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송풍작동을 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배출관에 연결밴드로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후렉시블한 주름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볼축수부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및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볼조인트와;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볼조인트의 상단에 형성된 링형고리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선단은상기한 지지밴드의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링형고리의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채 그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상,하,좌,우 사방으로 회전 및 각도조정시킴에 따라 주름관의 선단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바와;
상기 연결밴드 및 지지밴드에 형성된 호스고리에 지지되는 농약공급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주름관을 통해 송풍되는 바람과 함께 농약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약분사노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농약분사노즐은, 상기한 농약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어 주름관의 선단에 환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농약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로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농약 살포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농약 살포기의 평면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농약 살포기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농약분사노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원동기
3 : 펌프 4 : 농약저장통
5 : 송풍기 6 : 주름관
7 : 볼조인트 8 : 조절레바
9 : 농약분사노즐 11 : 적재함
21 : 구동풀리 22,23 : 벨트
31 : 연동풀리 32 : 농약공급호스
51 : 회전축 52 : 풀리
53 : 공기흡입구 54 : 공기배출관
55 : 연결밴드 56 : 지지밴드
58,59 : 호스고리 71 : 볼축수부
72 : 볼 73 : 링형고리
81 : 손잡이 91 : 연결구
92 : 노즐본체 93 : 노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농약 살포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농약 살포기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농약분사노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차량(1)은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적재함(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농업용 관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1)의 적재함(11)에는 동력원이 되는 원동기(2)와, 그 원동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펌프(3) 및 농약저장통(4)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한 원동기(2)의 동력전달은 그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풀리(21)와 펌프(3)의 축에 설치된 연동풀리(31)가 벨트(22)로 연결되는 구조에 의하여 원동기(2)의 동력이 펌프(3)에 전달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펌프(3)의 농약흡입구는 농약저장통(4)에 저장되어 있는 농약을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펌프(3)의 농약배출구는 펌핑된 농약을 농약공급호스(5)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한 원동기(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바람을 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송풍기(5)를 이용하여 펌프(3)에서 펌핑된 농약을 송풍기(5)에서 강하게 송풍되는 바람과 함께 살포하는 것에 있으며, 또한 상기 송풍기(5)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송풍기(5)는 휀을 회전시키는 회전축(51)에 설치된 풀리(52)가 벨트(23)에 의해 구동풀리(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5)에는 공기흡입구(53)와 공기배출관(5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5)의 공기배출관(54)의 배출단에는 후렉시블(flexible)한 주름관(6)이 연결밴드(5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주름관(6)은 공기배출관(54)의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있고, 또 주름관(6)의 선단에는 그 선단부 전체를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밴드(5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5)의 공기배출관(54) 상단에 고정 부착된 볼축수부(71)에는 볼조인트(7)가 회전 및 틸팅(tiltting)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볼조인트(7)는 그 하단에 형성된 볼(72)이 볼축수부(71)에 상,하,좌,우 사방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정해진 각도범위내에서 기울기 각도가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 볼조인트(7)의 상단에는 링형고리(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조인트(7)의 상단 링형고리(73)에는 조절레바(8)가 관통하는데, 상기 조절레바(8)의 선단은 주름관(6) 선단부에 설치된 지지밴드(56)의 브라켓(57)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레바(8)의 후단은 볼조인트(7)의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손잡이(8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6)의 선단에는 농약분사노즐(9)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농약분사노즐(9)은 상기의 펌프(3)에서 펌핑된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호스(32)에 연결되는 연결구(91)와 주름관(6) 선단에 환형상으로 고정 부착되는 노즐본체(92) 및 상기 노즐본체(92)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농약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9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펌프(3)에서 펌핑된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호스(32)는 상기한 연결밴드(55)와 지지밴드(56)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호스고리(58)(59)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농약을 살포하지 아니할 때에는 상기 조절레바(8)를 고정시켜주는 고정용 바(8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원동기(2)는 농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경운기 엔진을 비롯하여 차량의 적재함(11)에 탑재한 상태에서 구동이 가능한 엔진이면 모두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원동기(2)를 탑재하지 않고 차량(1)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펌프(3)와 송풍기(5)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농약을 살포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1)을 농약살포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한곳에 정차한 상태에서 농약을 살포하거나 또는 차량(1)을 서행으로 이동시키면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으며, 농약을 살포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원동기(2)를 구동시키는데, 상기 원동기(2)가 구동하게 되면 구동풀리(21)에 연설되어 있는 벨트(21)(22)에 의하여 원동기(2)의 동력이 펌프(3)와 송풍기(5)에 동시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원동기(2)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을 개시하는 펌프(3)의 경우는 농약저장통(4)에 저장되어 있는 농약을 흡입 펌핑하여 농약공급호스(32)를 통해 농약을 공급하게 되며, 송풍기(5)의 경우는 공기흡입구(53)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배출관(54)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펌프(3)에 의해 농약공급호스(32)로 펌핑 공급되는 농약이 농약분사노즐(9)의 연결구(91)를 통해 노즐본체(92) 내부로 유입되면서 그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노즐(93)을 통해서 주름관(6) 선단의 전방을 향해 분사되는 작동과, 상기 송풍기(5)에 의해 공기배출관(54)로 배출되는 바람이 주름관(6) 선단의 전방으로 송풍되는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므로서 상기한 농약분사노즐(9)의 각 노즐(93)들에서 분사되는 농약은 주름관(6)에서 배출되는 강한 바람에 섞이면서 바람이 송풍되는 방향으로 살포되는 것인데, 이때 바람에 섞이는 농약은 각 노즐에서 분사될 때보다 더작은 입자로 분리되면서 바람에 혼합된 상태가 되며, 이렇게 바람에 혼합되는 농약입자는 송풍기(5)의 강한 송풍력으로 배출되는 바람이 확산되는 범위 전체와 바람이 도달하는 멀리까지 살포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동기(2)를 구동시켜서 농약을 살포함에 있어 농약의 살포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는 차량(1)의 적재함(11)에 올라 선 상태에서 한손으로 조절레바(8)의 손잡이(81)를 잡고 조절레바(8)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레바(8) 자체는 그 중간부분이 볼조인트(7)의 링형고리(73)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조인트(7) 자체를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며, 또한 볼조인트(7)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절레바(8)는 링형고리(73)에 끼워져 있는 중간부분을 회전기점으로 그 선단이 주름관(6)의 선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구부려주게 되므로서 농약의 살포방향을 작업자의 의지대로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작업자가 조절레바(8)의 손잡이(81)를 잡고 상,하 방향으로 각도조정하게 되면 주름관(6)이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되므로서 농약의 살포방향을 작업자의 의지대로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1)의 적재함(11) 후방측을 향해 농약을 살포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송풍기(5)의 공기배출관(54)을 후방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며, 또는 적재함(11)의 측방을 향해 농약을 살포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송풍기(5)의 공기배출관(54)을 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게 되면 차량(1)이 정차된 위치에 관계없이 농약을 원하는 방향으로 살포할 수 있으며, 또는 차량(1)을 차량이동통로를 따라 천천히 주행하면서도 농약을 원하는 방향으로 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원동기를 구동시켜서 펌프와 송풍기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펌프에 의해 펌핑 분사되는 농약을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에 실어서 분사하므로서 농약을 멀리까지 살포할 수 있는 효과 가 있으며, 또한 바람과 함께 살포되는 농약은 바람에 의해 더작은 입자로 분리되면서 마치 연기와 같은 상태로 퍼지면서 살포되므로서 농약을 고르게 확산시켜서 살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농약의 살포방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농약을 보다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나타내면서 작업자 자신은 농약분사노즐과는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게 하므로서 농약의 피해를 입지 않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차량(농업용 관리기 포함)의 적재함에 탑재되며, 원동기와 이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농약저장통에 저장된 농약을 펌핑하여서 호스를 통해서 분사하는 농약살포기에 있어서,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관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송풍작동을 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공기배출관에 연결밴드로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바람의 송풍방향을 안내하는 후렉시블한 주름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볼축수부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 및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볼조인트와;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밴드와;
    상기 볼조인트의 상단에 형성된 링형고리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한 지지밴드의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후단은 링형고리의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채 그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상,하,좌,우 사방으로 회전 및 각도조정시킴에 따라 주름관의 선단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줄 수 있도록 하는 조절레바와;
    상기 연결밴드 및 지지밴드에 형성된 호스고리에 지지되는 농약공급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어 주름관을 통해 송풍되는 바람과 함께 농약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약분사노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살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분사노즐은, 상기한 농약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어 주름관의 선단에 환형으로 고정 설치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어 농약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로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살포기.
KR2020020014067U 2002-05-08 2002-05-08 농약 살포기 KR200285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067U KR200285681Y1 (ko) 2002-05-08 2002-05-08 농약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067U KR200285681Y1 (ko) 2002-05-08 2002-05-08 농약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81Y1 true KR200285681Y1 (ko) 2002-08-14

Family

ID=7312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067U KR200285681Y1 (ko) 2002-05-08 2002-05-08 농약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089B1 (ko) * 2018-11-22 2019-10-11 현영일 화물차량 탑재용 약액 분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089B1 (ko) * 2018-11-22 2019-10-11 현영일 화물차량 탑재용 약액 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138B1 (ko) 고공붐 살포기능을 가지는 농약살포장치
KR20190121545A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KR20110049228A (ko) 이송수단에 장착되는 복합 방제기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1696350B1 (ko) 송풍식 방제장치
US6622935B1 (en) Articulated crop spraying apparatus
KR102029714B1 (ko) 비닐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KR200285681Y1 (ko) 농약 살포기
CN205682267U (zh) 一种自走式风送果园喷雾机
KR100899870B1 (ko) 비료·농약 살포기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0301384Y1 (ko) 농약 살포 장치
US4669662A (en) Mobile spray apparatus
KR200141298Y1 (ko) 보행형 방제장치
KR20080026961A (ko) 광범위 살포형 농약방제기
KR102275386B1 (ko)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KR200268098Y1 (ko)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한 밀감밭 전용 이동식 농약살포장치
CN106070145A (zh) 一种自走式风送果园喷雾机
KR101331070B1 (ko) 형상유지 자바라를 이용한 분사구방향 가변고정형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분사총
KR100526412B1 (ko)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102431391B1 (ko)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US20140166772A1 (en) Mechanical applicator for high viscous materials
US9771953B1 (en) Mist blower with Venturi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