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286Y1 -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 Google Patents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286Y1
KR200339286Y1 KR20-2003-0033487U KR20030033487U KR200339286Y1 KR 200339286 Y1 KR200339286 Y1 KR 200339286Y1 KR 20030033487 U KR20030033487 U KR 20030033487U KR 200339286 Y1 KR200339286 Y1 KR 200339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ire
flame
acs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인
강지원
이동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3-0033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7/00Measuring arrangement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e.g. bridge
    • G01R17/02Arrangements in which the value to be measured is automatically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16Measuring impedance of element or network through which a current is passing from another source, e.g. cable, power lin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 송전선 중 ACSR(Aluminum Conductors Steel Reinforced : 이하 ACSR 이라고 함) 전선에 산불이 발생한 경우 와전류 센서에 의해 전선 내부의 알루미늄선과 아연도금 강선의 아연도금의 소실정도 및 양상을 추정함으로써 선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산불에 열화된 가공 송전전의 수명을 평가할 수 있는 화염열화정도 측정하는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센서장치는, 다수의 상용 커넥터(Connector)와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이용하여 제작된 ACSR 전선에 탈착이 용이한 다층의 분할 관통형 센서(도 2a 및 도 2b) 및 미리 삽입된 내부도체 및 코일을 가진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도 3)를 이용하는 화염열화측정부, 이 화염열화 측정부에 고주파 교번 자속을 공급하기 위한 D/A 변환부,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전력선 도체상에서의 전진 및 후진 구동을 위한 모터제어부, 지상으로 측정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부, 그리고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을 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ACSR 전선의 환경에 따른 자연 상태의 알루미늄 단면적 변화와 아연 부식정도를 측정하는 기존의 전선부식 탐상기를 개량한 것으로, 주변에 산불이 발생하여 단시간에 강도가 센 화염에 ACSR 전력선이 노출될 때 생기는 전선의 열화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측정시의 감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기존의 단층형 분할 관통형 센서와 정전류 직접공급 방식의 측정회로를 개선한 것이다.

Description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A Method and Sensor Equipment for Detection of Flame-Deterioration Degree of ACSR Power Line Conductor}
본 고안은 전력설비 중 가공송전선로의 전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ACSR 전선이 화염에 노출될 경우 화염에 의한 전선의 열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선로의 상태를 분석 예측할 수 있도록 비파괴 검사방법을 통한 ACSR 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전선중에서 아연도금 강선을 중심에 두고 알루미늄을 외부로 하여 연선한 강심 알루미늄연선(ACSR : Aluminum Conductors Steel Reinforced)은 동에 비해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므로 약 1/3배 가볍다.
그런데, 가공송전선로에 사용되고 있는 ACSR 전선의 열화는 가설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선의 가설상태 및 선로 주변의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진행된다. 전선의 가설상태 및 노출환경으로 인한 ACSR 전선의 열화는 알루미늄, 아연, 철의 순서로 부식하게 되는데, 이는 상당히 오랜 시간을 통하여 천천히 진행된다. 한전 전력연구원에서는 이와 같은 자연적인 부식에 대해서 ACSR전선내의 알루미늄선의 단면적 변화와 아연도금강선의 아연 부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개발하여 전선의 부식정도를 평가하여 왔다. 그러나, 이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어온 부식의 검출에만 한정되었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는 산악지역에 건설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불 발생시에는 전력선이 직접적으로 빈번하게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ACSR 전선이 고온의 산불에 노출되었을 경우, 전선은 상기의 점차적인 부식과는 달리 단시간내에 급속하게 열화가 진행될 수 있으며, 그 양상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산불에 의하여 발생한 열화는 전선의 내·외부에서 급격하게 발생하지만, 전선이 완전히 손상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열화 정도를 육안으로 식별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산불에 의해 얼마만큼의 고온에 의하여 노출되어졌는가 하는 노출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이에 따른 전선중의 알루미늄과 아연에 대한 열화정도의 정확한 파악이 힘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전선의 화염 열화에 의한 전선의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정확한 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산불에 노출된 전선의 경우에는 그 열화정도를 파악하지 못한 채 일괄적으로 교체하게 되면, 열화정도가 미미한 전선들의 빠른 교체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교체시기가 적절하지 못하면 전선의 결함에 의한 단선사고와 같은 전력공급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가공 송전선 중 ACSR 전선에 산불이 발생한 경우 와전류 센서에 의해 전선내부의 알루미늄과 아연의 소실정도 및 양상을 추정함으로써 선로의 상태를 파악하여 산불에 열화된 가공 송전전의 수명을 평가 할 수 있도록 비파괴 검사방법을 통한 ACSR 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ACSR 전선의 환경에 따른 자연 상태의 알루미늄 단면적 변화와 아연 부식정도를 측정하는 기존의 전선부식 탐상기를 개량하여 주변에 산불이 발생하여 단시간에 강도가 센 화염에 ACSR 전력선이 노출될 때 생기는 전선의 열화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기존의 단층형 분할 관통형 센서와 정전류 직접공급 방식의 측정회로를 개선하여 측정시의 감도 및 회로의 안정성을 증대시켜 화염열화 정도의 판정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고안에서 상용 커넥터와 플랫 케이블을 이용한 다층형 분할 관통형 코일 센서구조,
도 3 은 본 고안에서 미리 삽입된 내부도체 및 코일을 가진 브리지방식을 이용한 측정회로의 구조,
도 4 는 본 고안의 검출 방법 및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한 예의 결과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염열화 측정부 20 : D/A변환부
30 : 마이크로프로세서부 40 : 모터제어부
50 : 무선통신부 60 : 출력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상용 커넥터와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여 제작된 ACSR 전선에 탈착이 용이한 다층의 분할관통형 센서 및 미리 삽입된 내부도체 및 코일을 가진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를 이용하는 화염열화측정부, 이 화염열화 측정부에 고주파 교번자속을 공급하기 위한 D/A 변환부,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전력선 도체상에서의 전진 및 후진 구동을 위한 모터제어부, 지상으로 측정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부, 그리고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을 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ACSR 송전선의 산불에 의한 화염열화 정도의 측정 방법은, 화염열화측정부에서 비파괴 와류 측정법을 응용한 것으로 ACSR 전선을 감싸는 분할관통형 센서를 다층(3층) 코일구조로서 만들고 교류전류를 코일에 인가하면 코일에 자계가 형성되고 이 자계에 의해 전선내부에 와전류가 생성되고, 이 와전류에 의해서 인가자계와 반대 방향으로 새로운 자계가 형성되어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때의 변화분을 내부도체 및 코일을 가진 브리지형 측정회로로 검출하여 이 변화분의 크기와 위상을 분석하여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센서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ACSR전선의 화염열화를 측정하는 센서장치에 대한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화염열화 측정센서장치는 ACSR 전선(11)에 탈착이 가능한 센서 헤드구조를 가진 다층(3 층으로 함)의 분할관통형 센서부(12) 및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13)를 이용하는 화염열화 측정부(10), 이 화염열화 측정부(10)에 고주파 교번 자속을 공급하기 위한 D/A 변환부(20),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 전력선 도체상에서의 전진 및 후진 구동을 위한 모터제어부(40), 지상으로 측정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부(50)및,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을 하는 출력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ACSR 전선(11)에는 탈착이 가능한 센서 헤드구조를 가진 3 층의 분할관통형 센서부(12 : 도 2a 참조)가 설치되는 바, 이 센서부(12)에는 아날로그부로써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13)가 설치되어 측정 기준파형과 출력파형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 22)를 통하여 연산 및 제어의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가 이들 파형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는 D/A모듈(23)을 통해 인가파형을 상기 측정회로(13)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에는 모터제어부(40)와 무선통신부(50)가 각각 연결되는 바, 상기 모터제어부(40)는 모터(42)의 엔코더값을 마이크로프로세서부 (30)로 보내는 한편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부(30)로부터 모터제어모듈(41)을 통해 모터(42)가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부(50)는 공중기 통신모듈(51)과 지상기 통신모듈(52)간의 상호 전송되어 출력부(60)와의 출력과 키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a 는 도 1 에 도시된 ACSR 전선(11)의 열화 정도를 측정하는 코일센서의 측정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설계 제작한 다층형의 분할관통형 센서부(12)를 나타낸다. 센서부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강도를 크게 하거나, 센서부에 있어 코일의 감은 수를 많게 해주면 되나, 전류의 강도를 크게 하면 실선로에서 측정을 수행할 때 축전지의 소모가 커지게 되어 전체 선로 경간을 모두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상기 코일 센서의 감은 횟수를 단순히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더 늘리면 센서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측정 수행시 그 길이만큼의 평균치 측정값을 얻게 되어, 국부적인 화염열화 상태를 판정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한편으로 관통분할형 코일센서의 감은 횟수를 수직방향으로 늘리는 데에는 코일과 이를 연결하는 적절한 커넥터의 제작이 문제점으로 되어 있어 실용상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센서에 있어 국부적인 열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센서의 길이를 제한하면서 실용상 제작이 용이하도록 3쌍의 상용커넥터(14)와 플랫 케이블(15)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코일을 배치하여 3층의 관통분할형 센서부(12)를 제작하여 센서의 측정감도를 개선하고 있다. 상용커넥터(14)는 각기 커넥터 3층(16), 커넥터 2층(17) 및 커넥터 1층(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경의 크기는 커넥터 1층(18), 커넥터 2층(17) 및 커넥터 3층(16)순의 크기로 되어 있다.
도 3 은 측정센서와 함께 측정회로 구성에 사용되는 본 고안에서 개발된 브리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즉, 내부도체 및 코일을 이용한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는 4개의 임피던스 성분(R, Rm, R, Rf)으로 구성되어 지는 데, AC 전원인가에는 직렬의 저항(R)과 실선로의 ACSR 전선에 장착된 센서부(12), 직렬의 다른 저항(R)과 코일(1)감긴 측정하고자 하는 ACSR 전선과 유사한 전선(2)이 각기 병렬로 연결되어서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센서부(12)는 Rm 의 임피던스성분과 Va 전압이고, 상기 코일(1)의 전선(2)은 Rf 의 임피던스성분과 Vb 전압이다. 그러면, 상기 AC 전원인가의 양단에는 차동입력 Vi가, 저항(R)과 센서부(12)사이와 다른 저항(R)과 코일감긴 전선(2)사이를 차동입력 Vo가 각각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전선이 삽입되는 코일센서에 대응하는 마주보는 임피던스성분에 측정대상 전선과 유사한 전선(2)시료 및 코일센서와 특성이 유사한 코일(1)을 사용하여 실제 전선의 상태를 측정하는 코일의 측정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미리 임피던스 균형을 맞추어 주어, 센서코일의 미세한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전선상태에 의한 것이 아닌 동작온도 등 내부 회로요인에 의한 측정오차를 감소시키고 있다.
본 고안은 ACSR 전선이 산불로 인하여 화염에 노출될 경우, 전선의 시료를 직접 채취할 필요없이 전선 도체상을 주행하면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여 화염열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방법 및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ACSR전선의 화염열화에 의한 열화정도를 정확히 평가하여 산불지역 선로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분석 예측함으로써 전선의 적절한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선사고와 같은 예측하지 못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선로의 경제적인 운용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에서 고안된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인공화염에 의해 열화된 ACSR 480mm2의 화염열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화염에 의한 열화정도를 잘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 에 도시된 A는 같은 규격의 새전선의 상태를 측정한 결과이고, B는 내부 아연도금 강선의 아연이 화염에 의해 모두 소실된 상태를 측정한 것이다. 본 측정에 사용한 시료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의 단면적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도 4에서 P는 아연의 소실정도, Q는 알루미늄 단면적의 소실정도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산불에 의한 ACSR 전선의 소손 정도를 정밀하게 검출함으로써 가설된 선로의 상태를 정량화하여 분석하고 선로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 전력공급의 신뢰성을 높이고 경제적인 송전선로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상용 커넥터와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여 제작된 ACSR 전선에 탈착이 용이한 다층의 분할관통형 센서 및 미리 삽입된 내부도체 및 코일을 가진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를 이용하는 화염열화측정부, 이 화염열화 측정부에 고주파 교번자속을 공급하기 위한 D/A 변환부,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부, 전력선 도체상에서의 전진 및 후진 구동을 위한 모터제어부, 지상으로 측정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통신부, 그리고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을 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열화측정부의 센서부가 실선로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ACSR 전선에 착·탈 가능한 구조이고, 국부적인 화염열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센서의 길이를 제한하고 다층으로 코일을 배치하여 센서의 측정감도를 개선하며, 측정시 적은 전류를 사용하여 축전지의 소모량을 줄여 측정거리를 늘리도록 된 상용커넥터와 플랫케이블을 이용한 다층형태의 분할관통형 코일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커넥터는 커넥터 3층, 커넥터 2층 및 커넥터 1층으로 구성되고, 직경의 크기는 커넥터 1층, 커넥터 2층 및 커넥터 3층순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열화측정부의 측정회로가 브리지회로로 구성되고, 이 브리지회로내의 비교대상 임피던스측에 측정대상 전선과 유사한 전선시료 및 코일센서와 특성이 유사한 코일을 사용하여 실제 전선의 상태를 측정하는 코일센서의 측정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미리 임피던스 균형을 맞추어 주어 코일센서의 미세한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SR전선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성분으로 AC 전원인가에는 직렬의 저항과 실선로의 ACSR 전선에 장착된 센서부, 직렬의 다른 저항과 코일감긴 측정하고자 하는 ACSR 전선과 유사한 전선이 각기 병렬로 연결되어서 브리지방식의 측정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화염열화측정부의 센서부와 브리지 측정회로를 이용하여 코일 센서부의 임피던스 크기 및 위상을 감지하여 ACSR 전선의 알루미늄선과 아연도금강선의 아연도금의 소실여부 및 양상을 추정하여 화염열화정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KR20-2003-0033487U 2003-10-25 2003-10-25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KR200339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487U KR200339286Y1 (ko) 2003-10-25 2003-10-25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487U KR200339286Y1 (ko) 2003-10-25 2003-10-25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286Y1 true KR200339286Y1 (ko) 2004-01-28

Family

ID=4942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487U KR200339286Y1 (ko) 2003-10-25 2003-10-25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2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2108C (en) Wire rope damage index monitoring device
KR100999575B1 (ko) 전력 케이블에서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3675029B (zh) 检测装置和方法
US5481198A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orrosion on a portion of a metallic path carrying an undetermined load current
JP2008026218A (ja) 超電導ケーブル線路の試験方法
JP4558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検査装置
GB2498207A (en) Monitoring a conductive fluid conduit
JPS589079A (ja) ケ−ブルにおける故障状況をみつけだ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08123A (ko) 노후 가공송전선의 비파괴 수명 진단 방법
KR200339286Y1 (ko) Acsr전선의 화염열화정도를 측정하는 센서장치
US3405356A (en) System including two pairs of voltage electrodes for detecting discontinuities in insulation coatings on conductive conduit
RU1097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ирующих стыков в рельсовых цепях на участках с электротягой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CA1305521C (en) Underground cable testing method
KR101032465B1 (ko) 송전선 부식 탐지기 및 방법
JP2008232737A (ja) 漏電検出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デジタルテスタ
US4410850A (en) Water-compensated open fault locator
RU2514027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состоя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противления рельсовых линий в рельсовых цепях на участках с электротягой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CN108369254B (zh) 定位电力传输介质中的故障的方法
JP2006067679A (ja) 電力ケーブル点検装置及び方法
CN114755603A (zh) 一种便携式电缆接地环流测试及故障诊断的方法和装置
CN113567807A (zh) 一种电力电缆金属护套层电流异常的检测方法
KR20130028858A (ko) 임피던스 측정장치
RU2467338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токоведущих частей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RU2543435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состояния дроссельных перемычек путевых дроссель-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KR100361644B1 (ko) 무선에 의한 acsr전선 내부부식 검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