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866Y1 - 음성재생함 - Google Patents

음성재생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866Y1
KR200338866Y1 KR20-2003-0031135U KR20030031135U KR200338866Y1 KR 200338866 Y1 KR200338866 Y1 KR 200338866Y1 KR 20030031135 U KR20030031135 U KR 20030031135U KR 200338866 Y1 KR200338866 Y1 KR 200338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groove
movable co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식
Original Assignee
김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식 filed Critical 김덕식
Priority to KR20-2003-003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8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성재생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노브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고정커버를 갖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IC로 부터 특정한 메세지가 들려지도록 구성된 음성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노브형 스위치는 스위치 몸체의 양측에 제 1힌지축과 걸림돌기 및 제 1걸림홈을 형성하여 고정커버의 제 1홈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과 제 2걸림홈에 결합됨과 동시에 가동커버에 형성된 걸림턱이 제 1걸림홈에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커버는 노브형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고정커버에 힌지 고정된 가동커버가 후방상부로 젖혀져 그 내면에 구비된 인쇄물이 보여지도록 구성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IC로 부터 메세지가 스피커를 통해 발생됨과 동시에 LED가 깜빡거리도록 구성되어져 전면의 상측 부분에 구비된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가동커버가 상부로 젖혀져 열리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IC로 부터 특정 메세지가 들리도록 하고, 동시에 복수개의 LED가 빛나도록 하여 결혼식의 폐백 분위기를 더 한층 복돋으면서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케익이나 기타 선물 등에 사용할 경우 역시 동일한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재생함{Voice regenerative box}
본 고안은 음성재생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의 상측에 구비된 노브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가동커버가 상부로 젖혀져 열리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집적회로(集積回路)(Integrated Circuit, 이하,"IC"라 한다)로 부터 특정 메세지가 들려오도록 하고, 동시에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한다)가 빛나도록 함으로써, 분위기를 더 한층 복돋으면서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물은 주는 사람에게는 풍족한 마음에서 나누어주는 기쁨을 갖도록 하고, 받는 사람에게는 선물을 받음으로써 더 많은 기쁨을 느끼며 서로간의 우애를 돈독(敦毒)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선물은 통상 물품(물건)을 박스의 내부에 넣어 운반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박스를 포장지 등으로 포장하여 리본이나 끈으로 묶여 있어 들고가 상대방에게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물은 박스의 내부에 들어 있는 선물과 박스를 포장하는 포장지 및 리본 그리고 끈으로 이루어져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색다른 느낌을 주거나 갖니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물 이외에 선물과 함께 별도의 소리나 음악을 통해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호기심을 자극하여 새로운 느낌을 불러 일으키도록 하는 것으로 국내실용등록출원 제 1997-9117(1994.4.29)호의 "멜로디 박스"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멜로디 박스는 내부에 수납실을 갖는 상자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멜로디 박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측에 스위치 압력단자와 음성출력단자를 갖는 음성합성기판을 설치하고, 그 일측에 스위치 입력단자로 부터 타측의 스위치 입력단자에 압접되는 탄성접점편을 설치하며, 그 탄성접점편과 타측의 스위치 입력단자 사이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둘 사이의 접점을 개폐하는 절연판의 일측단을 상기 상자본체의 안쪽벽면에 고정하여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탄성접점편과 스위치 입력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이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소자를 상기 뚜껑에 설치하고, 상기 음성합성기판과 음성출력소자, 절연판을 덮는 은폐용 시트로 상기 뚜껑의 안쪽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을 열었을 때 절연판이 멀어지면서 탄성접점편이 스위치 입력단자에 압접됨과 동시에 음성출력단자와 음성출력소자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며, 뚜껑을 닫았을 때 절연판이 다시 탄성접점편과 스위치 입력단자 사이에 위치하면서 접점을 떨어 뜨려 음성이 나오질 않게 된다.
한편, 이러한 멜로디 박스를 결혼식의 폐백에 이용할 경우에는 그 부피가 너무커 폐백 장식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뚜껑을 열자 마자 소리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당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멜로디 박스의 크기를 줄여 폐백의 장식용으로 사용하더라도 뚜껑을 열고 닫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커버에 특정한 사진 등을 구비할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면의 상측에 구비된 노브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가동커버가 상부로 젖혀져 열리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IC로 부터 특정 메세지가 들리도록 하고, 동시에 복수개의 LED가 빛나도록 구비함으로써, 결혼식의 폐백 분위기를 더 한층 복돋으면서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케익이나 기타 선물 등에 사용할 경우 역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음성재생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노브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고정커버를 갖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IC로 부터 특정한 메세지가 들려지도록 구성된 음성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노브형 스위치는 스위치 몸체의 양측에 제 1힌지축과 걸림돌기 및 제 1걸림홈을 형성하여 고정커버의 제 1홈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과 제 2걸림홈에 결합됨과 동시에 가동커버에 형성된 걸림턱이 제 1걸림홈에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커버는 노브형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고정커버에 힌지 고정된 가동커버가 후방 상부로 젖혀져 그 내면에 구비된 인쇄물)이 보여지도록 구성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IC로 부터 메세지가 스피커를 통해 발생됨과 동시에 LED가 깜빡거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재생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가동커버를 오픈시켰을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가동커버를 장식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노브형 스위치 2:고정커버
3:몸체 4:제어부
5:가동커버 11:스위치 몸체
12,12':제 1힌지축 13,13':걸림돌기
14:제 1걸림홈 21:제 1홈부
22,22':힌지공 23,23':제 2걸림홈
24:구멍 25:제 2홈부
26,26':제 1힌지부재 26a,26a':제 1관통공
42:IC 43,43':LED
44:스피커 51:인쇄물
52:걸림턱 53:홈부
53':인쇄지 53":보호막
54:T형홈부 55,55':제 2힌지부재
55":스토퍼 55a,55a':제 2관통공
56:힌지축 57:제 1고정돌기
57a:고정홈 58:캡
58a:제 2고정돌기 59:압축코일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음성재생함(A)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 고정커버(2), 가동커버(5) 및 노브형 스위치(1) 그리고 메세지와 더불어 빛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어부(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3)는 내부가 비어있는 함체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후방 하측에는 후술하는 고정커버(2)에 형성된 배터리 삽입구(27)로 배터리(44)를 삽입하고, 삽입된 배터리(44)가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캡(31)이 캡고정구(32)에 슬라이딩 형태로 닫히고 열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캡(31)의 양측 앞쪽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돌기(31')(31")가형성되어 캡고정구(32)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32')(32")에 삽입되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3)의 내면에는 다수의 곳에 고정부재 가이드(33)(33')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고정커버(2)에 형성된 고정부재(28)를 안착시킨 후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몸체(3)의 앞쪽 부분에 형성된 고정부재 가이드(28) 사이에는 복수개의 PCB고정축 가이드(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3)의 밑면 양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4) 및 그 양측에 관통된 삽입공(34')를 지지대(35)를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커버(2)는 몸체(3)의 상부로 고정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관통공(2a)이 형성된 밑면에는 제어부(4)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스피커(44)가 고정되어 있고, 스피커(44)가 고정된 뒷쪽에는 복수개의 입력전원단자를 갖는 배터리 삽입구(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향되는 앞쪽에는 복수개의 PCB고정축(29)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전자푸품이 구비된 제어부(4)의 PCB(41)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하고, PCB(41)에 고정된 복수개의 LED(43)(43')의 선단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LED노출공(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44)가 고정된 고정커버(2)의 밑면에는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 (33)에 맞닿는 고정부재(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커버(2)의 앞쪽에는 노브형 스위치(1)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삽입구(27)의 뒷쪽에는 가동커버(5)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노브형 스위치(1)는 고정커버(2)의 앞쪽에 형성된 제1홈부(21)에 양측이 힌지 고정되어 눌려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는 스위치 몸체(11)의 양측면에 각각 제 1힌지축(12)(12')을 형성하여 고정커버(2)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22)(22')에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걸림돌기(13)(13')를 형성하여 상기 제 1홈부(21)의 양측 밑면에 형성된 제 2걸림홈(23)에 걸려져 스위치 몸체(11)가 고정커버(2)의 윗면으로 더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힌지축(12)(12')과 걸림돌기(13)(13')가 형성된 양측면을 연결하는 뒷면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제 1걸림홈(1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동커버(5)에 형성된 걸림턱(52)이 삽입되어 구속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몸체(11)의 내부에는 하향으로 향하는 스위치 누름축(16)이 스프링 고정축(15)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스프링 고정축(15)의 직경이 스위치 누름축(16)의 직경에 비해 다소 크도록 형성되어 스프링(17)이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16)의 내측면과 스위치 누름축(16)이 맞닿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커버(2)의 후방에는 구멍(24)을 갖는 제 2홈부(25)의 양측에 제 1힌지부재(26)(26')를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힌지축(56)을 이용하여 가동커버(5)의 제 2힌지부재(55)(55')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커버(5)는 고정커버(2)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서, 평상시는 걸림턱(52)이 스위치 몸체(11)의 제 1걸림홈(14)에 걸려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스위치 몸체(11)를 눌렀을 때 제1걸림홈(14)으로 부터 걸림턱(52)이 분리되어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압축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 상부로 젖혀지면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커버(5)는 T형홈부(54) 입구의 양측에 형성된 제 2힌지부재(55)(55')가 제 1힌지부재(26)(26')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힌지부재(26)(26')와 제 2힌지부재(55)(55')에 각각 제 1관통공(26a)(26a') 및 제 2관통공(55a)(55a')을 형성하여 힌지축(56)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힌지부재(55)(55')를 연결하는 일측에 스토퍼(55")가 돌출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T형홈부(54)의 입구로 노출된 힌지축(55)(55')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59)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59)의 일측단이 상기 구멍 (2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T형홈부(54)는 양측에 고정홈(57a)이 형성된 제 1고정돌기(57)를 형성하여 제 2고정돌기(58a)를 갖는 캡(58)이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압축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커버(5)가 열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커버(5)의 내면은 인쇄물(51)이 구비되어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외부로 보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외면인 상부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부(53)를 형성하여 그림이나 사진 등이 인쇄된 인쇄지(53')를 삽입하고, 그 윗면에 소정 두께와 쿠션을 갖는 투명한 보호막(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는 배터리(44)의 전원을 이용하여 PCB(41)에 구비된 IC(42)로 부터 특정한 메시지가 스피커(44)를 통해 외부로 들려지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고, 동시에 LED(43)(43')가 깜빡거리면서 점멸이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PCB(41)에는 스위치(45)가 구비되어 스위치 몸체(11)를 누름과 동시에 스위치 누름축(16)에 의해 ON이 되도록 하여 전원이 PCB(41)를 통해 IC(42)로 인가됨과 동시에 트렌지스터(Tr)를 통해 LED(43)(43')로 인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눌려진 스위치 몸체(11)는 스프링 고정축(15)에 고정된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5)는 몸체(3)를 받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되, 수평부위의 양측에는 철부(35a)를 형성하여 몸체(3)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4)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하고, 수직부위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되, 역삼각형태의 돌기(35b)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폐백용 닭이나 케익 등에 꽂을 때 잘 박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쉽게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성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한 폐백이나 케익 또는 선물을 꺼내 놓은 다음 몸체(3)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4)에 지지대(35)를 끼우고 적정한 간격으로 벌린 후 폐백이나 케익 및 선물의 근처에 쓰러지지 않게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폐백이 시작되거나 케익을 자르기 전에 가동커버(5)의 앞쪽에 있는 노브형 스위치(1)의 스위치 몸체(11)를 누름과 동시에 힌지공(22)(22')을 중심으로 제 1힌지축(12)(12')이 회동하게 되며, 이때 스프링 고정축(15)에 삽입된스프링(17)은 압축된다.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그 중앙에 있는 스위치 누름축(16)이 스위치(45)를 눌러 미도시한 접속단자가 접속됨과 동시에 배터리의 전원이 PCB(41)를 통해 IC(42)로 인가되어 IC(42)의 출력측에 접속된 스피커(44)를 통해 특정한 메세지가 외부로 들리게 된다.
또한, 메세지가 외부로 절달됨과 동시에 IC(42)의 또 다른 출력측을 통해 트렌지스터(Tr)로 인가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류가 LED(43)(43')로 흐름에 따라 LED(43)(43')가 메세지에 맞추어 깜빡거리게 된다.
한편, 스위치 몸체(11)가 눌려짐과 동시에 제 1걸림홈(14)에 걸려져 구속되어 있던 걸림턱(52)이 해제됨에 따라 힌지축(56)에 끼워져 있는 압축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제 2힌지부재(55)(55')가 힌지축(5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젖혀지면서 열려 그 내부에 있던 인쇄물(51)이 외부로 보여지게 된다.
이때, 제 2힌지부재(55)(55')를 연결하는 외측에 형성된 스토퍼(55")가 제 1힌지부재(26)(26')를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커버(2)의 일측에 닿음으로써, 가동커버(5)가 완전히 젖혀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동커버(5)를 눌러 가동커버(5)의 밑면이 고정커버(2)의 윗면에 닿도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 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제 1걸림홈(14)에 걸림턱(52)이 걸려져 구속이 됨에 따라 가동커버(5)가 다시 열려지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결혼의 폐백이나 생일 케익과 축하 케익 및 각종 선물을 주는 과정에서 폐백닭이나 케익 선물 등에 꽂아 사용할 경우, 전면의 상측부분에 구비된 노브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가동커버가 상부로 젖혀져 열리면서 그 내부에 설치된 IC로 부터 특정 메세지나 음악이 들리도록 하며 동시에 LED가 빛나도록 함으로써 폐백이나 생일축하의 분위기를 더 한층 높여 기억에 오래토록 남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서로간의 우애나 사랑을 더욱 돈독히 다질 수 있도록 한 효과도 더 있다.

Claims (3)

  1. 노브형 스위치(1)의 조작에 의해 고정커버(2)를 갖는 몸체(3)의 내부에 설치된 IC(42)로 부터 특정한 메세지가 들려지도록 구성된 음성재생함(A)에 있어서,
    상기 노브형 스위치(1)는 스위치 몸체(11)의 양측에 제 1힌지축(12)(12')과 걸림돌기(13)(13') 및 제 1걸림홈(14)을 형성하여 고정커버(2)의 제 1홈부(21)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22)(22')과 제 2걸림홈(23)(23')에 결합됨과 동시에 가동커버(5)에 형성된 걸림턱(52)이 제 1걸림홈(14)에 걸려 구속이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커버(5)는 노브형 스위치(1)의 누름에 의해 고정커버(2)의 후방 상부에 힌지 고정된 가동커버(5)가 후방으로 젖혀져 그 내면에 구비된 인쇄물(51)이 보여지도록 구성하고, 제어부(4)에 의해 상기 IC(42)로 부터 메세지가 스피커(44)를 통해 발생됨과 동시에 LED(43)(43')가 점멸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재생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2)와 가동커버(5)의 힌지고정은 구멍(24)을 갖는 제 2홈부(25)의 양측에 제 1힌지부재(26)(26')를 돌출되도록 고정커버(2)에 일체로 형성하고, T형홈부(54) 입구의 양측에 형성된 제 2힌지부재(55)(55')가 제 1힌지부재(26)(26')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 1힌지부재(26)(26')와 제 2힌지부재(55)(55')에 각각 제 1관통공(26a)(26a')및 제 2관통공(55a)(55a')을 형성하여 힌지축(56)을 삽입하되, 제 2힌지부재(55)(55')의 일측에 스토퍼(55")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T형홈부(54)의 입구로 노출된 힌지축(55)(55')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59)을 삽입하되,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59)의 일측단이 상기 구멍(24)에 삽입되도록 하고, 타측단이 T형홈부(54)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T형홈부(54)의 양측으로 형성된 제 1고정돌기(57)의 고정홈(57a)에 제 2고정돌기(58a)를 갖는 캡(58)이 고정되도록 하여 압축코일 스프링(59)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커버(5)가 열려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재생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커버(5)는 상부에 홈부(53)를 형성하여 그림이나 사진 등이 인쇄된 인쇄지(53')를 삽입하고, 그 윗면에 소정 두께와 쿠션을 갖는 투명한 보호막(53")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재생함.
KR20-2003-0031135U 2003-10-02 2003-10-02 음성재생함 KR200338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35U KR200338866Y1 (ko) 2003-10-02 2003-10-02 음성재생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135U KR200338866Y1 (ko) 2003-10-02 2003-10-02 음성재생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19A Division KR20050032766A (ko) 2003-10-02 2003-10-02 음성재생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866Y1 true KR200338866Y1 (ko) 2004-01-16

Family

ID=4942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135U KR200338866Y1 (ko) 2003-10-02 2003-10-02 음성재생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8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4585B2 (en) Digital video and photo greeting card
US8887420B2 (en) Pull apart foam motion card
US8205365B2 (en) Three dimensional foam greeting cards
US10040307B2 (en) Hinged greeting cards and gift card holders
US7600336B2 (en) Sound device for enhancing gift packages, and method and system for marketing such device
US20100287800A1 (en) Two sound gatefold greeting cards
US8904678B2 (en) Voice amplified foam music greeting card
US876328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greeting cards with tap and touch activated effects
KR200338866Y1 (ko) 음성재생함
KR20050032766A (ko) 음성재생함
US8393098B2 (en) Foam greeting card mask
US20120304509A1 (en) Three dimensional foam greeting card
US8887419B2 (en) Three dimensional foam greeting cards
US11452395B2 (en) Musical insulated beverage cozy or container with electronic sound recording and on/off button
KR20110011008U (ko) 화상입력 저장수단이 구비된 선물용 케이스
US9305474B2 (en) Motorized gift package accessory
US6695669B2 (en) Pull activated novelty sound device
CA2838419C (en) Motorized gift package accessory
WO2008110349A1 (de) Grusskarte
US20170043607A1 (en) Christmas Tree Greeting Card
KR19990013192U (ko) 팬시용품의 메모리형 녹음/재생장치
JPS6039266Y2 (ja) 扉を開くと音が出るカ−ド
JPH0347899Y2 (ko)
JP3218924U (ja) グリーティングカード
NZ731859B2 (en) Hinged greeting cards and gift card hol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