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824Y1 -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 Google Patents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824Y1
KR200338824Y1 KR20-2003-0029724U KR20030029724U KR200338824Y1 KR 200338824 Y1 KR200338824 Y1 KR 200338824Y1 KR 20030029724 U KR20030029724 U KR 20030029724U KR 200338824 Y1 KR200338824 Y1 KR 200338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iver
wall
fis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대건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건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대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3-0029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새롭게 호안박스 옹벽을 설치하여 홍수시나 평상시에 물고기가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천과 하천 제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옹벽에 있어서, 하부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에 파형 형태로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가 형성되고, 그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에 다수개의 유속감속시설 체결홀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이 형성되고, 하천 측으로 수직하게 입설된 수직부에 수초체결용 앵커가 매설되며,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측면 연결홈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옹벽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초체결용 앵커는, 볼트부와 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고리부에 인조 수초가 체결끈에 의하여 체결된 옹벽; 상기 옹벽의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과 수초체결용 앵커에 체결되어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물고기 이동통로와 앵커홀이 형성된 물고기 보호커버; 및 상기 옹벽의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에 체결 앵커에 의하여 밀착되는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EMBANKMENT BOX WALL OF RIVER}
본 고안은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새롭게 호안박스 옹벽을 설치하여 홍수시나 평상시에 물고기가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하천에는, 옹벽이 설치되어 하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천 옹벽은, 시공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은 형태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천의 옹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천(10)에는, 그 측면에 하천 제방(20)이 시공되고, 상기 하천(10)과 하천 제방(20)이 접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옹벽(30)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옹벽은, 전혀 수중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아 현재는 많은 수중 생태계 보호용 법면 블록은 제작되고 있지만, 옹벽을 이용한 수중 생태계 보호 구조는 미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옹벽 구조에 의하면, 하천 생태계를 보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에 설치되는옹벽을 하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하고, 그 절곡된 면에 격자형 물고기 보호커버를 결합하는 구조로 제작한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천의 옹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천 200: 하천 제방
300: 옹벽 310: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
320: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 330: 측면 연결홈
340: 유속감속시설 체결홀 350: 수초체결용 앵커
352: 볼트부 354: 고리부
360: 벽체 연결앵커 370: 체결 너트
390: 인조 수초 400: 물고기 보호커버
410: 물고기 이동통로 420: 앵커홀
500: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 530: 체결 앵커
900: 호안박스 앵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과 하천 제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옹벽에 있어서, 하부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에 파형 형태로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가 형성되고, 그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에 다수개의 유속감속시설 체결홀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이 형성되고, 하천 측으로 수직하게 입설된 수직부에 수초체결용 앵커가 매설되며,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측면 연결홈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옹벽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초체결용 앵커는, 볼트부와 고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고리부에 인조 수초가 체결끈에 의하여 체결된 옹벽; 상기 옹벽의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과 수초체결용 앵커에 체결되어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물고기 이동통로와 앵커홀이 형성된 물고기 보호커버; 및 상기 옹벽의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에 체결 앵커에 의하여 밀착되는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천(100)에는 하천 제방(200)과 접하는 위치에 호안박스 옹벽(900)이 설치되어 물고기들의 서식지 및 피난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호안박스 옹벽(900)은, 크게 하부가 절곡된 옹벽(300), 옹벽(300)에 앵커에 의해 체결되는 물고기 보호커버(400) 및 물고기들의 피난처로 이용되는 벽체 부착용 유속감소시설(500)로 구성된다.
상기 옹벽(300)은, 하부가 절곡된 형태로, 하천 제방(200)과 접하는 면의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옹벽(300)은, 하천 제방(200)과 접하는 반대면에 파형 형태로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가 형성되고, 그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에 다수개의 유속감속시설 체결홀(340)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320)이 형성되고, 하천(100) 측으로 수직하게 입설된 수직부에 수초체결용 앵커(350)가 매설된다.
한편, 상기 옹벽(300)은,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측면 연결홈(330)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옹벽(300)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수초체결용 앵커(350)와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320)에 물고기 보호커버(40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옹벽(300)에 매설된 수초체결용 앵커(350)는, 볼트부(352)와 고리부(354)가 일체로 형성되어 물고기 보호커버(400)의 앵커홀(420)에 관통되어 체결 너트(370)로 체결되고, 그 고리부(354)에 인조 수초(390)가 체결끈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물고기 보호커버(400)는, 격자형 형태로 절곡되고, 절곡된 일측에 다수개의 물고기 이동통로(410)가 형성되고, 절곡된 타측에 다수개의 앵커홀(420)이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500)은, 일측에 앵커홀이 형성되어 체결 앵커(530)에 의하여 옹벽(300)의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에 밀착되도록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옹벽(300)과 물고기 보호커버(400)는,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인조 수초가 체결되어 있어 평상시는 수중 생물인 물고기들의 식생지로 이용되고, 상기 옹벽(300)에는,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에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500)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홍수에 의하여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그 위치에 물고기들의 피난처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안박스 옹벽(900)은, 수중 생태계를 안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는 완전히 다른 구조로 설치되는 관계로, 친환경적인 자연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호안박스 옹벽은, 옹벽과 물고기 보호커버가 체결되면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그 체결에 사용된 수초체결용 앵커에 인조 수초가 체결되어 있는 관계로, 평상시에는 물고기의 식생지로 이용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옹벽의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에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홍수에 의하여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그 위치에서 물고기들이 피난할 수 있게 되어 수중 생태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하천과 하천 제방의 사이에 설치되는 옹벽에 있어서,
    하부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에 파형 형태로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가 형성되고, 그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에 다수개의 유속감속시설 체결홀(340)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320)이 형성되고, 하천(100) 측으로 수직하게 입설된 수직부에 수초체결용 앵커(350)가 매설되며,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측면 연결홈(330)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옹벽(300)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초체결용 앵커(350)는, 볼트부(352)와 고리부(354)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고리부(354)에 인조 수초(390)가 체결끈에 의하여 체결된 옹벽(300);
    상기 옹벽(300)의 물고기 보호커버 설치홈(320)과 수초체결용 앵커(350)에 체결되어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절곡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물고기 이동통로(410)와 앵커홀(420)이 형성된 물고기 보호커버(400); 및
    상기 옹벽(300)의 유선형 벽면 유속감속부(310)에 체결 앵커(530)에 의하여 밀착되는 벽체부착용 유속감속시설(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KR20-2003-0029724U 2003-09-19 2003-09-19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KR200338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24U KR200338824Y1 (ko) 2003-09-19 2003-09-19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24U KR200338824Y1 (ko) 2003-09-19 2003-09-19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824Y1 true KR200338824Y1 (ko) 2004-01-16

Family

ID=4942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24U KR200338824Y1 (ko) 2003-09-19 2003-09-19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09B1 (ko) * 2007-02-28 2007-04-09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09B1 (ko) * 2007-02-28 2007-04-09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285A (en) Mat installation
KR100530457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생태 블록 구조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US4834578A (en) Energy-dissipating overflow-type protection system on dikes and/or jetties
KR20170113018A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JPH04504151A (ja) 透水形防波堤
JP2006257841A (ja) 津波水門
GB2583105A (en) Breakwater
KR200338824Y1 (ko)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KR200352903Y1 (ko) 하천 생태계 보호용 호안박스 옹벽구조
US5015121A (en) Offshore erosion protection assembly
KR100696066B1 (ko) 해안방호시설용 옹벽구조물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US5975796A (en) Vertical flow diversion mat system
KR100541841B1 (ko) 하천제방블록의 체결구조
KR100566604B1 (ko) 소하천의 수로 보호용 시설물의 구조
KR101557006B1 (ko)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95941B1 (ko) 생태계 보호용 하천 호안 시설물
JP3124733B2 (ja) 護床ブロック及び同護床ブロックの施工方法
KR200350402Y1 (ko)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육각형 생태블록 설치구조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100619559B1 (ko) 하천 수중 바닥면 수초 걸이대 설치구조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KR200318100Y1 (ko) 생태계 보호용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378199Y1 (ko) 하천 수중 바닥 세굴 방지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