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131Y1 -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131Y1
KR200337131Y1 KR20-2003-0031726U KR20030031726U KR200337131Y1 KR 200337131 Y1 KR200337131 Y1 KR 200337131Y1 KR 20030031726 U KR20030031726 U KR 20030031726U KR 200337131 Y1 KR200337131 Y1 KR 200337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outlet
powder
coffe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철
Original Assignee
장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철 filed Critical 장기철
Priority to KR20-2003-0031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의 재료인 커피분말, 설탕, 프림 또는 차(Tea) 종류의 재료인 율무분말, 인삼분말, 녹차분말, 설탕 등이 각각 구비된 자판기를 벽에 걸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커피 재료 케이스마다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재료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커피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벽체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미니 자판기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자판기의 본체 상부에 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각각의 관통공과 연통되어 본체의 하부 중앙부로 집중되어 상광하협하게 형성되는 혼합배출구와; 분말재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분말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재료 케이스와; 상기 재료 케이스의 배출구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상부 투입구와 하부 배출구가 형성된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 내측에는 상,하가 관통된 재료 개량부와 차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단추가 연설되어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는 배출구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음용하고자 하는 소정의 분말재료를 일정량만큼 취할 수 있으며, 재료 케이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재료의 보충시 흘릴 염려가 없고, 분말재료의 찌꺼기가 퇴적되지 않고 배출되므로 오작동의 염려가 없으며, 분말재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Description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Coffee machine}
본 고안은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의 재료인 커피분말, 설탕, 프림 또는 차(Tea) 종류의 재료인 율무분말, 인삼분말, 녹차분말, 설탕 등이 각각 구비된 자판기를 벽에 걸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커피 재료 케이스마다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간편한 조작으로 원하는 재료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커피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의 수동식 커피 자판기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93516호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가 있으며, 이는 3개의 사각형 커피재료용기(7)를 커피재료케이스(21)의 배출구(22) 하단에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커피재료용기(7)와 연설되며 용수철(4)에 의해 탄지되는 개폐버턴(5)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커피재료용기(7)를 받치는 받침대(6)를 형성하고, 컵(10)을 받치는 컵받침대(8)를 제품 본통(20)의 하부에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커피 자판기를 이용하여 커피를 마시고자 하면, 본통(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개폐버턴(5)을 압지하며, 이렇게 압지함에 따라 상기 커피재료용기(7)가 밀리면서 받침대(6)를 벗어나고, 커피재료용기(7)에 담겨있는 커피재료는 컵받침대(8)에 올려져 있는 컵(10)으로 떨어져 수용된다.
이때, 상기 개폐버턴(5)을 압지함에 따라 안쪽으로 밀리면서 상면이 커피케이스(21)의 배출구(22)를 막아 커피재료의 배출을 막게 되며, 다시 압지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탄지되어 있는 용수철(4)에 의해 개폐버턴(5)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커피재료용기(7) 또한 일체로 복귀하여 배출구(22) 아래에 위치한다. 그러면, 다시 커피재료가 커피재료용기(7)에 배출이 되어 대기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피 자판기는 커피 재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압지되는 개폐버턴(5)에 의해 커피재료용기(7)가 반복적으로 전,후 이동하게 되면, 배출되지 않고 상기 커피재료용기(7)와 받침대(6)의 틈 사이에 있던 찌꺼기가 상기 커피재료용기(7)의 이동에 의해 우측 하단부 모서리에 퇴적된다.
따라서, 상기 커피재료용기(7)의 전,후 이동이 자유롭지 않아 커피 재료의 배출작동이 자유롭지 않아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며, 벽에 걸어 사용하는 커피 자판기의 커피재료케이스(2)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재료를 보충하고자 하면 자판기 전체를 내려 커피 재료를 보충한 후 다시 부착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자판기를 부착한 상태로 커피 재료를 보충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피 재료를 쏟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 불편함이 따르며, 커피 재료가 배출되는 커피재료용기(7)의 크기가 일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배출량이 일정하게 되어 개인의 취향에 맞게 음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고안으로서, 커피 또는 차 등을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분말재료가 일정한 양으로 혼합되어 배출되며, 분말재료의 보충이 편리하며 배출되는 커피 재료의 찌꺼기가 퇴적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식 미니 자판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미니 자판기의 측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재료 케이스를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재료 케이스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받침판과 배출구 개폐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도 5에서 받침판을 일부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개량부에 분말재료가 채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배출구 개폐수단에 의해 개량부의 분말재료가 배출되고 재료 케이스의 배출구가 차단판에 의해 차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배출구 개폐수단을 원위치 시킴에 따라 찌꺼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본체 110 : 수납부
111 : 관통공 112 : 걸림턱
120 : 혼합배출구 130 : 찌꺼기 회수통
131 : 힌지 200 : 재료 케이스
210 : 수용부 220 : 배출구
230 : 배출구 개폐수단 231 : 개량부
232 : 차단판 233 : 누름단추
234 : 탄성체 240 : 받침판
241 : 상부 투입구 242 : 하부 배출구
243 : 찌꺼기 배출구 250 : 조절판
251,252 : 멈춤구
본 고안은 벽체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미니 자판기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자판기의 본체 상부에 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각각의 관통공과 연통되어 본체의 하부 중앙부로 집중되어 상광하협하게 형성되는 혼합배출구와; 분말재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분말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재료 케이스와; 상기 재료 케이스의 배출구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상부 투입구와 하부 배출구가 형성된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 내측에는 상,하가 관통된 재료 개량부와 차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단추가 연설되어 탄성체에 의해 탄지되는 배출구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받침판의 하부 배출구가 형성된 반대측 끝단에는 찌꺼기 배출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는 가이드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구에는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혼합배출구에는 경사면에 의해 서로 접하고 힌지로 결합되어회동 가능한 찌꺼기 회수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체(100)의 상측부에 차 또는 커피를 음용하기 위한 각각의 분말재료를 담을 수 있는 재료 케이스(200)를 다수개 구비하며, 하부에는 상기 각각의 재료 케이스(200)에서 배출되는 분말재료들을 컵으로 모으기 편리하도록 상광하협하게 이루어지는 혼합배출구(1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혼합배출구(120)는 전측에서 후측 상단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혼합배출구(120)와 대접되는 형태로 바닥면이 있는 찌꺼기 회수통(130)을 힌지(131)에 의해 결합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재료 케이스를 일부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재료 케이스의 일부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도시된 재료 케이스(200)에는 예를 들어 율무분말, 인삼분말, 녹차분말, 설탕 등을 각각 채우거나, 커피의 재료인 커피분말, 설탕, 프림 등의 재료를 각각 채워 구비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여러 칸으로 구획된 수납부(110)에 각각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10)는 재료 케이스(200)의 수납과 분리가 편리하도록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나, 하측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걸림턱(112)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재료 케이스(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수납부(110)의 바닥면에는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상기 재료 케이스(200)에서 배출되는 분말재료가 상기 혼합배출구(120)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재료 케이스(200)는 상부 소정 높이만큼 분말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10)를 형성하며, 그 하부에는 소정의 폭만큼 배출구(2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20)의 하단에는 배출구 개폐수단(230)을 가이드 하는 받침판(240)이 상기 재료 케이스(200)와 일체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자판기의 받침판과 배출구 개폐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받침판을 일부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받침판(240)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중앙부는 개방되어 상부 투입구(241)가 형성되어 상기 재료 케이스(200)의 배출구(220)와 접하여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240)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 배출구(24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투입구(241)와 하부 배출구(242)가 지그재그 형태로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판(240)의 타측 하부에는 찌꺼기 배출구(243)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40)의 하단에 가이드구(244)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구(244)에 의해 가이드 되며 상기 하부 배출구(242)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분말재료 조절판(25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조절판(250)의 전,후 이동의 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부 배출구(242) 측 받침판(240)의 하부와 찌꺼기 배출구(243) 측 하부에는 각각 멈춤구(251)(252)를 돌출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받침판(240)의 상,하에 별도로 상부 투입구(241)와 하부 배출구(242)를 형성하는 대신에 받침판(240)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개방한 후,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판(250)을 소정의 위치만큼 전,후 이동함에 의해 일측에는 하부 배출구(242)가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에는 찌꺼기 배출구(24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240)의 내측에 구비되어 분말재료를 일정량 만큼 담아 배출시켜주는 작용을 하는 배출구 개폐수단(230)은 일측에 개량부(23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차단판(232)이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단추(233)가 일체로 연설되어 상기 받침판(240)을 관통해 상기 재료 케이스(200)의 외부까지 인출된다. 또한, 상기 누름단추(233)와 상기 차단판(232)과의 사이에는 탄성체(234)가 탄지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40)의 상부 투입구(241)의 저면에는 고무재 등의 연질 러버(rubber)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개량부(231) 및 차단판(232)이 이동시 배출되는 분말재료가 배출구 개폐수단(230)과 받침판(240)의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여 준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수동식 미니 자판기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각의 재료 케이스(200)에 커피, 설탕, 프림 등의 분말재료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재료 케이스(200)를 상기 본체(100)의 수납부(110)로부터 분리하여 소정의 분말재료를 보충하며, 다시 상기 재료 케이스(200)를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전면측으로 수납부(110)에 수납하여 위치시킨다. 그러면, 상기 재료케이스(200)는 수납부(110)와 본체(100)의 전면에 구비된 걸림턱(112)에 의해 상기 수납부(110)에서 이탈하지 않고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분말재료가 준비된 본 고안의 수동식 미니 자판기에서 음용하고자 하는 분말재료를 혼합, 인출하기 위해 본체(100)의 혼합배출구(120) 측을 컵으로 밀면, 상기 혼합배출구(120)와 힌지(131) 결합된 찌꺼기 회수통(130)이 후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혼합배출구(120)가 개방이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재료 케이스(200)에 구비된 배출구 개폐수단(230)의 누름단추(233)를 눌러 원하는 분말재료를 인출하는 바, 상기 누름단추(233)를 누르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지되어 있던 탄성체(234)가 밀리면서 공간부에 분말재료가 채워져 있는 개량부(231)와 차단판(232)이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량부(231)에 채워져 있던 분말재료는 받침판(240)의 하부 배출구(242)를 통해 본체(100)의 관통공(111)을 통과 한 후 혼합배출구(120)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동시에 배출구 개폐수단(230)의 차단판(232)이 일체로 이동하면서 재료 케이스(200)의 배출구(220)를 차단함으로써 분말재료의 배출이 정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재료의 배출이 마무리되면, 상기 누름단추(233)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여 탄성체(234)의 탄성력에 의해 밀리면서 원위치 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누름단추(233)가 원위치 됨에 따라 일체로 연설되어 있는 개량부(231)와 차단판(232)도 일체로 원위치 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232)이 원위치 되면서 동시에 개량부(231)가 상기 재료 케이스(200)의 배출구(220)와 연통되면서 상기 개량부(231)의 공간에는 다시 분말재료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차단판(232)이 원위치 되면서, 상기 차단판(232)의 후측과 받침판(240)의 사이에 있던 분말재료의 찌꺼기도 함께 밀리면서 찌꺼기 배출구(243)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각각의 분말재료가 컵으로 배출되면 자판기의 외부로 컵을 인출하며, 상기와 같이 컵을 인출함에 따라 찌꺼기 회수통(130)이 자중에 의해 힌지(1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본체(100)의 혼합배출구(120)를 닫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찌꺼기 회수통(130)이 혼합배출구(120)를 닫음에 따라 배출되지 않고 본체(100)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어 있던 분말재료의 찌꺼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탈리되어 상기 혼합배출구(120)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찌꺼기 회수통(130)에 의해 회수됨으로써, 상기 찌꺼기 회수통(130)만 청소해 주면 분말재료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량부(231)에 채워져 있는 분말재료를 소정의 양만큼만 배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조절판(250)을 상기 재료 케이스(200)의 하부로 손을 넣어 하부 배출구(242)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하부 배출구(242)를 일정폭만큼 차단함으로써, 배출되는 분말재료의 양을 제어하며, 상기 조절판(250)이 하부 배출구(242)를 완전히 닫는 것을 받침판(240)의 멈춤구(251)가 제어하고, 또한, 상기 조절판(250)이 찌꺼기 배출구(243)를 막는 것을 받침판(240)의 타측에 구비된 멈춤구(252)가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미니 자판기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변경,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으로 음용하고자 하는 소정의 분말재료를 일정량만큼 취할 수 있으며, 재료 케이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재료의 보충시 흘릴 염려가 없고, 분말재료의 찌꺼기가 퇴적되지 않고 배출되므로 오작동의 염려가 없으며, 분말재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4)

  1. 벽체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미니 자판기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관통공(111)어 상기 자판기의 본체(100)여러 칸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수납부(110)와;
    상기 수납부(110)의 각각의 관통공(111)과 연통되어 본체(100)의 하부 중앙부로 집중되어 상광하협하게 형성되는 혼합배출구(120)와;
    재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10)의 하단에는 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수납부(110)에 수납되는 재료 케이스(200)와;
    상기 재료 케이스(200)의 배출구(220)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상부 투입구(241)와 하부 배출구(242)가 형성된 받침판(2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240) 내측에는 상,하가 관통된 재료 개량부(231)와 차단판(232)이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단추(233)가 연설되어 탄성체(234)에 의해 탄지되는 배출구 개폐수단(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40)의 하부 배출구(242)가 형성된 반대측 끝단에는 찌꺼기 배출구(24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40)의 하부에는 가이드구(244)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구(244)에는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25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배출구(120)에는 경사면에 의해 서로 접하고 힌지(131)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찌꺼기 회수통(1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KR20-2003-0031726U 2003-10-09 2003-10-09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KR200337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26U KR200337131Y1 (ko) 2003-10-09 2003-10-09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726U KR200337131Y1 (ko) 2003-10-09 2003-10-09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131Y1 true KR200337131Y1 (ko) 2003-12-31

Family

ID=4934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726U KR200337131Y1 (ko) 2003-10-09 2003-10-09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1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919B1 (ko) 2016-04-06 2017-10-17 주식회사 동구 분말 원료 캐니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919B1 (ko) 2016-04-06 2017-10-17 주식회사 동구 분말 원료 캐니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832B2 (en) Ergonomic service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US8998037B2 (en) Drink dispensing device with holding and drip-collect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CA2842936C (en) Beverage dispenser with improved refilling operation
US20040107841A1 (en) Device for making coffee drink having a crema layer
US6935533B2 (en) Refrigerator liquid dispenser
US20080202346A1 (en) Tea maker with agitator
US7882796B2 (en) Dispenser cabinet
KR200337131Y1 (ko)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JP3954880B2 (ja) 飲料用原料供給装置および飲料調理装置
US20070169632A1 (en) Coffee maker with dual use pour and dispensing carafe
US20070169633A1 (en) Method for mak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a beverage
KR200343513Y1 (ko)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EP3360449B1 (en) Beverage machine
JP2007244541A (ja) 容器
JP2008056477A (ja) 粉粒体の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200304954Y1 (ko) 분말 커피 배출 조절 장치
JP2017524392A (ja) 補充可能な複数回用貯蔵コンテナを備えた飲料調製マシン
KR200347355Y1 (ko) 가정용 커피통
KR102523392B1 (ko) 음료 믹싱 용기
TWI735133B (zh) 杯(瓶)之蓋體結構
WO2007021691A1 (en) Coffee maker with dual use pour and dispensing carafe and method
KR20100006426A (ko) 캡 장착이 가능한 자동판매기
JPH0348067Y2 (ko)
KR20160104512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3165330U (ja) 給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