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97Y1 -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97Y1
KR200337097Y1 KR20-2003-0030528U KR20030030528U KR200337097Y1 KR 200337097 Y1 KR200337097 Y1 KR 200337097Y1 KR 20030030528 U KR20030030528 U KR 20030030528U KR 200337097 Y1 KR200337097 Y1 KR 200337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rail
plate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규
이권순
Original Assignee
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규 filed Critical 박대규
Priority to KR20-2003-0030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창고에 각각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컨테이너를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적재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컨테이너를 편,하중에 관계없이 보다 안전하게 승하강시키고, 적재실로 보다 안전하게 감속시켜 수납하며, 권상기의 전후 및 상하 슬라이드가 이탈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부재의 회전이 보다 안전하고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전된 상태에서의 흔들림이 없도록 하고, 또한 컨테이너가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실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Apparatus for load or take out of container}
본 고안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또는 육상으로 운반된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창고에 간편하게 적재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하역 또는 선적을 위하여 운반된 컨테이너를 통상적인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을 이용하여 부둣가에 지정된 소정의 적재장소에 다열, 다층으로 적재하였다가 화주로부터의 반출요구가 있을 때에는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한 적재방법은 부둣가의 지정된 소정의 적재장소에 컨테이너를 하나씩 들어올려 다열, 다층구조로 적재시켜 놓은 상태로 보관하다가 화주로부터 하부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반출요구가 있을 시에는 반출하고자 하는 하부의 컨테이너 상단에 적재된 다수의 컨테이너를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나씩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놓은 후, 해당 컨테이너를 반출하게 되고, 반출후에는 이동된 다수의 컨테이너를 다시 제자리로 이동시켜 적재하여야 하므로 이의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창고에 각각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컨테이너를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적재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컨테이너를 편,하중에 지장없이 보다 안전하게 승하강시키고, 적재실로 보다 안전하게 감속시켜 수납하며, 권상기의 슬라이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부재의 회전이 보다 안전하고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컨테이너가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실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창고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를 발췌한 상태의 확대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의 상부권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권상기의 하부권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동작을 보여 위한 도 4의 요부 확대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파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컨테이너 8 : 적재창고
10 : 수평레일 11 : 수직레일
16 : 적재실 16a : 고정구
20 : 권상기 22 : 상부권상판
26 : 수평이동롤러 27 : 수직이동롤러
28 : 권상윈치 29 : 드럼
30 : 권상케이블 32 : 하부권상판
38 : 웜기어 39 : 고정돌기
46 : 선회륜부재 48 : 회전부재
49 : 고정판 49a : 유압실린더
52 : 레일연결부재 53 : 피니언기어
53a : 래크기어부 55 : 연결가이드
60 : 주행클리퍼 66 : 파지수단
M1~M5 : 구동모터 RA1~RA3 : 레일
RO2,RO3 : 이송롤러 WH1~WH5 : 활차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는, 내부 천정에 레일이 구비되고, 그 바닥면으로 컨테이너 정위치 적재를 위한 고정구가 마련된 다수의 적재실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수직통로가 형성되며 상면과 측면에는 각각 수평레일 및 수직레일이 구비되되, 상기 수평레일 및 수직레일은 다각형의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열,다층구조의 적재창고를 구비함과,
상기 적재창고의 수평레일과 대응하는 수평이동롤러의 중앙부위가 요홈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이중활차를 적용하고,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조합구성을 갖는 상부권상판과 하부권상판이 마련되되,
상기 하부권상판의 선회륜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적재실내의 레일과 연결시키는 레일연결부재 및 컨테이너를 파지하여 적재실로 삽입 및 안착시키는 주행 클리퍼로 구성됨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상기에서, 권상기는 적재창고 상면의 수평레일상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수평이동롤러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2중의 권상케이블을 감고 풀 수 있도록 된 권상원치가 구비된 상부권상판과; 상기 상부권상판의 하단에 2중의 권상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구비되고, 그 하부에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하부권상판으로 이루어 짐과, 그 하부권상판의 상면에 베벨기어와 축이 종,횡으로 마주보기 방향으로 회전되며 하부권상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연동활차와;
상기 하부권상판과 선회륜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 내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양측의 적재실레일과 연결되도록 좌우로 진행되는 레일연결부재와;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을 갖춘 주행클리퍼와; 컨테이너를 적재실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갖는 적재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권상판과 연결되는 회전수단을 이루는 회전부재의 상면에는 정확한 고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권상판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결착되게한 구조의 고정판을 형성하고, 이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입출되는 구조를 갖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레일연결부재가 적재실의 천정레일과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진행되게 하는 래크와 피니언 맞물림의 구조가 형성된다.
또, 상기 레일연결부재 상면 선단측으로 적재실의 레일과 연결되게 하는 연결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권상판과 회전부재의 일측에는 적재실의 수직레일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요홈이 형성된 수직이동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의 도면으로서, 도 1 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창고(8)는 H빔 형상의 철구조물로 이루어져서 양편의 적재창고(8)가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한 적재창고(8)의 내부에는 컨테이너(4)의 규격 및 적재수량의 규모에따라 적절한 층수와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적재실(16)이 다열,다층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양편의 적재창고(8) 상단부에는 수평레일(10)이 구비되고, 각 적재실(16)의 천정면에는 천정레일(RA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적재창고(8)의 수평레일(10)상에는, 상부권상판(22)과, 하부권상판(32),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로 이루어진 권상기(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상부권상판(22)은 도 4와 5에서 보는 바와같이 적재창고(8)의 수평레일(10)상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되어 구비되되, 그 상단부에는 권상케이블(30)이 권취된 권상윈치(28)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구동모터(M2)에 의해서 구동되는 수평이동롤러(26)가 적재창고(8)의 수평레일(10)상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권상윈치(28)는 통상적인 4축 연동윈치로서, 이 권상윈치(28)에는 권상케이블(30)이 권취된 드럼(29)이 양편에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며, 이 드럼(29)은 구동모터(M1)와 기어로 연결되어 구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서 양편의 드럼(29)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드럼(29)에 권취된 권상케이블(30)의 일단은 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지나 활차(WH1,WH2)에 권취되어 감김되거나 풀림되는데, 권상윈치(28)의 드럼(29)은 2단으로 분리되어져 1단의 케이블은 중심부에 종대로 위치하는 활차(WH1)와 연결되고, 2단의 케이블은 횡대로 배치되어진 활차(WH2)와 연결되게 하였다.
상기한 상부권상판(22)의 하단부에는 이렇게 권상케이블(30)에 의해 연결되어 승강가능하도록 된 하부권상판(32)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권상판(32)은 도 6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부권상판(22)의 활차(WH1,WH2)에 대응되는 위치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활차(WH3,WH4,WH5)가 힌지되어 구비되는데, 종대로 설치된 활차(WH3,WH4)는 화물의 무게로 인한 편하중을 견뎌내기 위하여 힌지된 회전축에 견고하게 고정된 2중으로 이루어진 활차(WH4)와 자유활차(WH3)를 케이블(미 도시하였음.)로 경유하며 케이블과 2중활차(WH4)의 접촉면을 확대하여 마찰력을 증대시켜 케이블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베벨기어조합의 기어박스(G1)로 연결된 활차(WH4)축의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부권상판(22)의 이동시에 종대로 흔들거림을 방지할 목적으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고, 횡대로 설치된 활차(WH5)는 베벨기어조합의 기어박스(G2)로 연결된 활차(WH5)축의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부권상판(22) 이동시 횡대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대로 설치된 활차(WH4)에 대응하여 그 방향을 90도 방향으로 전환시켜 구성한 것이 특징인것이다.
또한, 하부권상판(32) 상면에 종, 횡으로 설치된 활차(WH3~WH5)와 베벨기어박스(G1,G2)를 벗어난 위치에 하부권상판(32) 하단부로 설치되는 선회륜부재(46)를 내치합하는 기어(G)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웜기어(38)와 구동모터가 비대칭으로 설치되며 구동모터는 스텝핑 모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한 하부권상판(3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선회륜부재(46)와 연결되는 회전부재(48) 및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 및 수직이동롤러(27) 등에 소요되는 동력과 제어선은 선회륜부재(46)의 회전중심에 설치된슬립링과 로터리죠인트 등으로 회전중에도 동력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하부권상판(32)과 선회륜부재(46)에 구비된 웜기어(38)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은 하부권상판(32)의 하단에 구비된 선회륜부재(46)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의 웜기어(38)외에 베벨기어 등과 같은 다른 회전수단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하부권상판(32)과 회전부재(48)의 양측단에는 수직통로(12)를 이루는 적재창고(8)의 양측면에 하부권상판(32)과 회전부재(48)로부터 소정의 제어수단에 의해서 입출이 가능하도록 된 수직이동롤러(27)를 구비하되, 그 내부 요홈은 도면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각형의 특정형상을 갖는 수직레일(11)과 일치되는 홈을 형성하여 수직레일에 완전밀착 및 이의 승강시 안정적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흔들림을 방지하고 외부의 영향으로 레일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고자 한것이다.
또한, 상기한 선회륜부재(46)의 하단부에는 이와 같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된 회전부재(48)가 구비되고, 그 상면이 선회륜부재(46)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판상의 플레이트로 폐쇄된 상태이고, 하면은 개구된 상태로서 양측의 내측단에는 레일(RA1)이 형성된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같이 하부권상판(32)하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고정돌기(39)에 결합되는 요홈을 갖는 고정판(49)을 상기 회전부재(48) 상면으로 형성하고, 이 고정판(49)은 그 후단으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49a)와 같은 제어수단에 의해 전진, 후진 동작하여 하부권상판(32) 하면의 고정돌기(39)와 결착하여 회전부재(48)가 적재실(16)을 향하거나 트레일러에 적하역을 위한 정밀한 방향을 설정하도록 된 수단인 것으로 회전부재(48)에 종,횡으로 적어도 4개소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회전부재(48)의 하단에는 레일연결부재(52)가 구비되는 바, 이 레일연결부재(52)는 적재실(16)내의 레일(RA3)과 연결될시에 그 위치를 정확히 제어해주는 연결가이드(55)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연결부재(52) 양측단에 회전부재(48)의 레일(RA1)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된 롤러(RO2)가 구비되고, 이 양측의 롤러(RO2)는 축으로 연결되어 동기되며, 그 레일(RA1)의 내측상단으로 래크기어부(53a)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레일연결부재(52) 상면에는 피니언기어(53)와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M4)가 브라켓을 매개로 일체 형성되어있고, 회전부재(48)하단의 레일(RA1)의 내측상단으로 래크기어부(53a)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3)를 구동하여 적재실의 레일(RA3)과 밀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한 레일연결부재(52)의 하단에는 이 레일연결부재(52)의 레일(RA2)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된 주행클리퍼(60)가 구비된다.
상기한 주행클리퍼(60)는 그 상단 양측에 레일연결부재(52)의 레일(RA2)상에서 적재실(16)로 이동가능한 롤러(RO3)가 내외로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구비되고, 레일(RA2)의 내측으로 힌지되는 브라켓을 매개로 주행클리퍼(60)와 일체형성된 구동모터(M5)의 구동으로 롤러(RO3)를 구동시켜 주행클리퍼(60)를 적재실의 레일(RA3)을 따라 적재실(16)로 진입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주행클리퍼(60)의 모서리부 내측에는 컨테이너(4)를 잡을 수 있도록 된 파지수단(66)이 구비된다.
컨테이너를 잡을 수 있는 파지수단(66)은 그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서는 도 9 및 도 10 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례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파지수단(66)은 컨테이너(4)의 상면 모서리부에 관통된 걸이공(6)이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4)의 걸이공(6)에 대응한 주행클리퍼(60)의 모서리부 내측에는 그 선단에 입출가능한 피스톤(88)이 구비되고, 타단은 주행클리퍼(6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유압실린더(90)가 구비되며, 이 유압실린더(90)의 피스톤(88) 선단에는 그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86)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중공의 회전체(8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회전체(84)는 그 내부가 빈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84)의 내면은 그 일측에 각진 모서리부를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체(84)의 내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일예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한 회전체(84)와 이격된 하단부에는 그 중앙부가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웜휠(78)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웜휠(78)의 외주면 일측에는 이에 치합되는 웜(80)이 구비되며, 웜(80)의 일단에는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웜휠(78)과 회전체(84)의 중앙부에는후크부재(68)가 관통,삽입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후크부재(68)는 그 선단부에 컨테이너(4)의 걸이공(6)에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된 장방형형상의 후크부(70)가 형성되고, 이 후크부(70)의 후단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단차진 요부(72)가 형성되며, 이 요부(72)의 후단에는 웜휠(78)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웜휠(78)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74)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74)의 후단에는 회전체(84)의 내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76)가 형성되어 회전체(84)내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에 구비된 구동모터(M1~M5)와 유압실린더의 작동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도시된 조정실에는 상기한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정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적재 및 반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등을 통해 화면으로 나타내 조정자가 현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컨테이너 적재 및 반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4)를 적재한 차량(2)이 적재창고(8)의 수직통로(12)로 진입하여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면, 상기한 컨테이너(4)의 적재 및 반출장치를 조정하는 조정자의 운전조작에 의해서 적재창고(8) 상단의 수평레일(10)상에 구비된 권상기(20)가 차량(2)에 대응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권상기(20)는 상부권상판(22)에 구비된 구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서 수평이동롤러(26)가 수평레일(10)상에서 회전하여 미리 지정된 적재실(16)위치로 이동하여 적재실 입구의 좌, 우측에 설치된 수직이동레일(11)에 하부권상판(32) 및 회전부재(48)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이동롤러(27),(47)가 유압작동기 등의 수단으로 밀착되어 안정된 자세를 갖추게 되면, 상부권상판(22)은 그 상면에 구비된 권상윈치(28)가 작동하여 드럼(29)으로 부터 권상케이블(30)을 풀어내게 되고, 그로 인해 상부권상판(22)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권상판(32)의 활차(WH3~WH5)에 감긴 권상케이블(30)이 풀리면서 선회륜부재(46)와, 회전부재(48),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정된 위치에 정차한 차량(2)의 상부로 근접하여 하강되는 하부권상판(32)은 상면에 구비된 구동모터(M3)가 작동하여 웜기어(38)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 웜기어(38)에 의해서 선회륜부재(46)가 회전되면서 회전부재(48)와,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를 정차된 차량(2)에 평행한 상태로 90도 회전시켜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한 주행클리퍼(60)의 근접센서와 같은 제어기(미도시함)의 신호에 따라 차량(2)에 적재된 컨테이너(4)의 상면까지 하강하게 되면, 권상윈치(28)의 작동이 정지되어 하부권상판(32)과,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의 하강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지된 주행클리퍼(60)는 그 모서리부에 구비된 파지수단(66)이 작동하게 되는 바, 상기한 파지수단(66)의 구동모터(82)가 작동되면, 이구동모터(82)에 의해서 웜(8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되고, 이에 치합된 웜휠(78)이 웜(80)의 구동에 의해서 도 9내지 도 1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중앙부에 관통되어 나사 결합된 후크부재(68)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후크부재(68)는 그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결합부(76)에 의해서 이의 회전은 방지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후크부재(68)의 요부(72) 일측이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4)의 걸이공(6) 일측에 접하게 되면, 구동모터(82)의 작동이 정지됨과 아울러 후크부재(68)의 하강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지된 후크부재(68)는 그 선단의 후크부(70)가 컨테이너(4)의 걸이공(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유압실린더(90)가 작동하여 피스톤(88)을 인출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피스톤(88)의 선단에 브라켓(86)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회전체(8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유압실린더(90)는 그 일단의 힌지부를 축으로 소정량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회전체(84)는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가 되고, 상기한 회전체(84)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크부재(68)의 결합부(76)가 상기한 회전체(84)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어 후크부(70)의 장방향측이 도 9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4)의 걸이공(6) 내측에 접하여 걸림되도록 위치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후크부(70)에 의해서 컨테이너(4)를 들어올리게 되는 바, 이는상기한 구동모터(82)가 역회전 구동되어 웜(80)과 웜휠(78)을 전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웜휠(78)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후크부재(68)가 그 일측의 나사부(74)를 매개로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 후크부재(68)의 후크부(70)가 컨테이너(4)의 걸이공(6)내에 걸림된 상태로 상승하여 컨테이너(4)의 상면을 주행클리퍼(60)의 하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4)가 구비된 권상기(20)는 상부권상판(22)의 권상윈치(28)가 전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하부권상판(32)과, 선회륜부재(46), 회전부재(48),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4)를 구비한 상태로 상승되는 권상기(20)는 차량(2)으로부터 컨테이너(4)를 들어올린 후, 이 컨테이너(4)가 수납되는 적재창고(8)의 해당 적재실(16)에 위치하게 되면, 권상기(20)의 상승작동이 정지됨과 아울러 컨테이너(4)를 적재창고(8)의 적재실(16)에 수납하기 좋은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상기 하부권상판(32)의 상면에 구비된 구동모터(M3)가 역회전 구동되어 웜기어(38)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선회륜부재(46)가 역회전하면서 회전부재(48)와, 레일연결부재(52), 주행클리퍼(60)를 적재창고(8)의 적재실(16)에 평행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고, 평행한 상태의 정위치에 오게되면, 유압실린더(49a)와 같은 제어수단이 작동되면서 회전부재(48)의 고정판(49)이 하부권상판(32)의 고정돌기(39)에 결합되게 하여 평행상태의 정위치로 고정된 상태가유지된다.
이후, 레일연결부재(52)가 적재실(16)의 천정레일(RA3)에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가 되면, 피니언기어(53)가 연결된 구동모터(M4)가 동작하고 이어서 래크기어부(53b)를 따라 전진동작하여 레일연결부재(52)는 적재실(16)내의 천정레일(RA3) 끝단부와 일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레일연결부재(52) 양측 선단의 연결가이드(55)에 의해 적재실(16)내의 천정레일(RA3)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편 하중등으로 컨테이너의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래크(53b)와 피니언(53) 그리고 연결가이드(55)로 인해 일정한 힘으로 양 레일이 맞닿게 하도록 강제 일치시키는 동작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레일연결부재(52)의 레일(RA2)이 적재실(16)의 천정레일(RA3)과 일치하여 밀착되면, 주행클리퍼(60)의 구동모터(M5)가 작동하여 주행클리퍼(60)의 롤러(RO3)를 레일연결부재(52)의 레일(RA2)상에서 구동시켜 상기한 주행클리퍼(60)가 적재실(16)의 천정레일(RA3)측으로 이동하게 되는것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주행클리퍼(60)는 그 상면의 롤러(RO3)가 적재실(16)의 천정레일(RA3)상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이 주행클리퍼(60)에 구비된 컨테이너(4)가 적재실(16)로 인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주행클리퍼(60)가 적재실(16)내로 인입하여 미도시된 센서등의 제어기 신호에 따라 정지된 위치에서 주행클리퍼(60)의 파지수단(66)이 재작동하게 되는 바, 이는 파지수단(66)의 역동작으로 인해 적재실(16)의 바닥면에 컨테이너(4)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상기 적재실(16)의 바닥면에는 컨테이너(4)의저면에 형성된 걸림요홈(4a)에 대응하는 고정구(16a)가 형성되어 이 적재실(16)에 컨테이너(4)가 안착된 경우, 상기 컨테이너(4)의 걸림요홈(4a)과 적재실(16) 바닥면의 고정구(16a)에 의한 보호지지로 인하여, 태풍 등의 악조건 속에서도 컨테이너(4)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4)를 적재실(16)에 완전하게 적재한 후에는 주행클리퍼(60)의 구동모터(M5)가 역회전 구동되어 롤러(RO3)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주행클리퍼(60)가 적재실(16)로부터 빠져 나와 레일연결부재(52)의 레일(RA2)을 따라 그 중심 위치로 완전하게 이동된 후, 이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창고(8)의 적재실(16)에 적재된 컨테이너(4)를 반출할 시에는 권상기(20)가 전술한 역순으로 작동하여 컨테이너(4)를 적재실(16)로 부터 반출시키게 되는것이다.
한편, 하부권상판(32)의 2중 활차(WH4)와 결합되는 베벨기어조합의 기어박스(G1)와 이를 1회전 감싸는 감김구조의 권상케이블(30)에 의해 하부권상판(32)이 보다 확실하게 보지되는 바, 컨테이너(4)의 중량에 따른 편하중(슬립현상)에 대하여 상부권상판(32)이 위치이동할때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부권상판(32)과 회전부재(48)에 형성된 수직이동롤러(27)의 중앙부위가 다각형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수직레일(11)은 도 4 원내확대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기 수직이동롤러(27)의 요홈부위가 삽착되기 위한 돌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하부권상판(32)과 회전부재(48)는 적재창고(8)의 수직레일(11)상을 이탈의 우려없이 보다 안전하게 수직이동을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테이너 적재 및 반출장치에 의하면, 다열,다층구조의 적재창고상에서 이동가능한 권상기에 상하이동 및 회전주행되는 주행클리퍼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창고의 적재실에 각각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컨테이너를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적재 및 반출할 수 있게 되되, 상부 권상판과 하부 권상판을 연결하는 권상케이블이 드럼과 활차에 의해 이중 감김구조로 연결지지됨으로 인하여 중량의 컨테이너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지지하여 편하중으로 인한 권상기의 치우침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설치된 레일연결부재와 래크와 피니언기어 조합이 형성되고, 서로 맞물림에 의해 서서히 밀려들어가게 되어, 적재창고상의 레일과 정확한 위치를 정해주는 연결가이드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미끄러짐 없이 안전하게 인입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 저면의 걸림요홈에 대응하는 적재실 바닥면의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컨테이너의 걸림요홈과 적재실의 고정구 결합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가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어 태풍등의 영향에도 흔들림이 없어 안정적으로 적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권상판에 고정핀이 형성되고, 이 고정핀에 대응하도록 회전부재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회전부재가 90도 각도로 회전할 경우 이의 위치를 정확히 보정해주어 보다 확실하게 그 위치를 잡아주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권상기에서 하부권상판과 회전부재에 형성된 수직이동롤러의 중앙에 다각형상의 요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적재창고의 수직레일이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상기 권상기가 적재창고의 수직레일상을 보다 안전하게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것이다.

Claims (6)

  1. 내부에 천정레일(RA3)이 구비되고 그 바닥면으로 컨테이너 정위치 적재를 위한 고정구(16a)가 마련되는 다수의 적재실(16)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수직통로(12)가 형성되며, 상면과 측면에는 결합, 지지력을 강화되게 하는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레일(10) 및 수직레일(11)을 갖는 다열, 다층구조의 적재창고(8)를 구비함과;
    상기 적재창고(8)의 수평레일(10)과 대응하는 수평이동롤러(26)의 중앙부위가 요홈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모터(M2)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일측이 2중으로 감긴 권상케이블(30)을 매개로 승강됨과 아울러 선회륜부재(4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구조를 갖는 권상기(20)를 구비하되,
    상기 권상기(20)의 하단부에는 컨테이너(4)를 파지하여 해당 적재실(16)로 적재 및 반출시킬 수 있도록 부설된 파지수단(66)을 갖는 주행클리퍼(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20)는 적재창고(8) 상면의 수평레일(10)상에 구동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수평이동롤러(26)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2중의 권상케이블(30)을 감고 풀 수 있도록 된 2단의 드럼(29)를 갖는 권상원치(28)가 구비된 상부권상판(22)과;
    상기 상부권상판(22)의 하단에 2중의 권상케이블(30)을 매개로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구비되고, 그 일측에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하부권상판(32)과;
    상기 하부권상판(32) 상부에는 활차의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힌지되게 설치하는 2중활차(WH4)와 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베벨기어조합의 기어박스(G1)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선회륜부재(46)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48)를 갖추되,
    상기 회전부재(48)와 고정설치된 레일연결부재(52) 및 컨테이너(4)를 적재실(16)로 이송시키는 주행클리퍼(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권상판(32)과 연결되는 회전수단을 이루는 회전부재(48)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권상판(32)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9)와 대응하며 유압실린더(49a)의 작동에 의해 입출되는 고정판(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8)의 레일(RA1) 내측 상부에 설치하는 래크(53a)와, 레일연결부재(52)에 브라켓을 매개로 구동모터(M4)와 연결구성을 갖는 피니언(53)을 형성하여 상호 조합에 의해 적재실(16)의 레일(RA3)과 결착시키는 구조를 포함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연결부재(52)와 상기 적재실(16) 내측의 레일(RA3)이 일치되게 하는 연결가이드(55)를 레일연결부재(52)의 끝단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권상판(32)과 회전부재(48)의 일측에는 적재창고(8)의 수직레일(11)에 대응하도록 중앙에 다각형상과 같은 요홈이 형성된 수직이동롤러(27)를 적용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KR20-2003-0030528U 2003-09-26 2003-09-26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KR200337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28U KR200337097Y1 (ko) 2003-09-26 2003-09-26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528U KR200337097Y1 (ko) 2003-09-26 2003-09-26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065A Division KR100602135B1 (ko) 2003-09-26 2003-09-26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97Y1 true KR200337097Y1 (ko) 2003-12-31

Family

ID=4942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528U KR200337097Y1 (ko) 2003-09-26 2003-09-26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692B1 (ko) 2010-02-19 2012-07-05 김동원 장거리 콘테이너 자동 이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692B1 (ko) 2010-02-19 2012-07-05 김동원 장거리 콘테이너 자동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135B1 (ko)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US8628289B1 (en) Material handling and storage/warehouse system
US7931431B2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load transfer vehicles
US7101139B1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motorized transfer vehicles
US8196900B2 (en) Zero fleet winch for stage use
US4726725A (en) Load grasping apparatus for narrow aisle stacker crane
JPH0550981A (ja) 船舶の重量貨物搬出入装置
US8146729B1 (en) Automated elevator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EP2380827B1 (en) Article receiving facility
US6572319B1 (en) Modular cell elevator for containership
KR200337097Y1 (ko)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CN110789892A (zh) 一种货物堆叠校正系统
JP2020063131A (ja) 車載式荷役装置
US20220400849A1 (en) Motorized horizontal support system
KR102124388B1 (ko) 케이블 견인 도르래를 갖는 물류이송 케이블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100655882B1 (ko) 와이어 위치 제어형 해상 크레인 장치
KR200212814Y1 (ko) 컨테이너의 적재 및 반출장치
JP4017829B2 (ja) 棚設備の出し入れ装置
CN211643472U (zh) 一种左右开合的货物堆叠校正系统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JP2021172441A (ja) 扉構造およびコンテナ
CN218261624U (zh) 一种基于物流安全运输的化学危险品装卸装置
JPH0960328A (ja) 物品格納設備
KR102174719B1 (ko)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