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848Y1 -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 Google Patents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848Y1
KR200336848Y1 KR20-2003-0030479U KR20030030479U KR200336848Y1 KR 200336848 Y1 KR200336848 Y1 KR 200336848Y1 KR 20030030479 U KR20030030479 U KR 20030030479U KR 200336848 Y1 KR200336848 Y1 KR 200336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pacer
reinforcement
slab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만
윤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Priority to KR20-2003-0030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력근 겸용 철근 스페이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삼각형 형태로 한개씩 철근(11)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세개의 철근(11)을 이보다 가는 철선(13)을 이용해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연결함으로써, 입체트러스 형태의 수평삼각대가 형성되고 이를 슬래브의 주철근(1) 각각에 체결ㆍ적용시키면 주철근(1)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견고하게 받쳐주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주철근(1)의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력근(3)이 슬래브의 상하에 있어야 하는데, 본 고안에 의한 세개의 철근(11)이 이 배력근(3) 역할을 대신하고, 연속된 입체 수평삼각대 형태로 구성되어 쉽게 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스페이서(5)가 콘크리트(7)를 타설할 때 쉽게 넘어져 주철근(1)이 제 위치에 있지 못하게 되는 관계로 슬래브의 구조적 성능이 유지되지 못하였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는 배력근을 겸한 철근 스페이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THE STRUCTURE OF A STEEL-SPACER FOR A STEEL CONCRETE FABRIC}
본 고안은 철근스페이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삼각형 형태로 한개씩의 철근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세개의 철근이 철선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연결됨으로써, 입체트러스 형태의 수평삼각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응력을 받는 철근과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가 조합되어 철근 콘크리트가 형성되며, 특히 콘크리트 내부에 묻히는 철근의 위치가 바르게 되어야만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가 구조적 성능 뿐만 아니라 내구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철근이 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이 스페이서로서, 스페이서는 철근과 거푸집 또는 철근과 철근의 적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슬래브의 두께는 보나 기둥에 비해 그 두께가 얇으므로 슬래브 두께 내에서 철근이 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슬래브 철근 받침용 스페이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슬래브를 형성할 때는 철근이 슬래브 내에 매설되게 설치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은 슬래브 내의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철근이 슬래브내의 일정한 높이에 매설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틀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하여 가는 금속선으로 된 결속선으로 철근들을 상호 결속한 다음, 철근과 거푸집 사이에 일정한 높이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철근이 슬래브내의 일정한 높이에 배근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슬래브의 주철근을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슬래브 철근용 스페이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다리꼴 또는 원통형의 플라스틱 제품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단독으로 설치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 호스가 이동되면서 혹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자, 설비작업자등에 의해 밟히거나 충격등으로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철근(1)을 받쳐주는 배력근(3)은 계산상 가는 철근으로 설계되고 보통 이 배력근(3)에 기존의 플라스틱 스페이서(5)를 받쳐 놓는데, 상기 스페이서(5)가 배력근(3)에 매우 촘촘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작업자가 밟거나 콘크리트 호스등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력근(3)이 심하게 변형이 되어 그 상부에 위치한 주철근(1)이 제 위치에 있지 못하게 됨에 따라, 슬래브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므로 종래 여러 구조물의 슬래브들은 심한 균열이 생겨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균열로 인해 누수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러므로, 콘크리트와 함께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구성하는 철근의 위치가 제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슬래브 구조성능의 확보에 기본적인 요건이고, 특히 슬래브의 구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도(顚倒)나 변형되지 않는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슬래브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삼각형 형태로 한개씩 철근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세개의 철근을 철선을 이용해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점용접 시킴으로써, 입체트러스 형태로 일체화된 수평삼각대 형태가 구성되고, 세개의 철근이 나선형 형상의 철선으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큰 충격에도 전도(顚倒)되거나 변형되지 않음에 따라, 슬래브의 주철근이 제 위치에 있도록 주철근을 받쳐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수평삼각대를 구성하는 철근들은 주철근의 직각방향으로 배근되는 배력근의 기능도 할 수있도록 고안되어 구조적 기능과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근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 스페이서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주철근이 결합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철근 3 : 배력근
5 : 스페이서
11 : 철근 13 : 철선
15 : 점용접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은 세개의 철근(11)에 철선(13)이 나선형 형상으로 돌아가면서 점용접(15) 되어 입체 트러스 형상이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삼각형 형태로 철근(11)이 한개씩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세개의 철근(11)이 철선(13)을 이용해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점용접(15)됨으로써, 입체트러스 형태로 일체화된 수평삼각대 형태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를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철근 스페이서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3c는 본 고안에 주철근이 결합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정삼각형등 삼각형 형태로 세개의 철근(11)이 배치되고, 상기 철근(11)보다 가는 철선(13)이 좌우ㆍ상하로 지그재그 나선형의 형태를 그리며 연속적으로 철근(11)에 점용접(15) 됨으로써, 입체트러스 형태로 일체화되어 수평삼각대 형상의 철근(11)이 형성된 후, 정삼각형 형태의 철근중 상부의 철근(11)과 이에 직각방향으로 주철근(1)이 등간격으로 위치하며 철선등으로 묶이고 콘크리트(7)가 타설되어 슬래브 구조물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세개의 철근(11)이 나선형 형상의 철선(13)으로 용접되어 입체트러스 형태로 일체화된 수평삼각대 형태가 되므로, 주철근(1)과 결합될 경우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되고, 종래 주철근(1)과 직각방향으로 배근되는 배력근(3)의 역할도 해 줌으로써, 슬래브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큰 충격이 가해져도 전도(顚倒)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돼, 슬래브의 주철근(1)이 올바른 위치에 자리잡음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조적 성능 뿐만 아니라 내구적 성능도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삼각형 형태의 세개의 철근이 나선형 형상의 철선으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큰 충격에도 전도(顚倒)되거나 변형되지 않음에 따라, 슬래브의 주철근이 제 위치에 있도록 주철근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본 고안에 따른 수평삼각대를 구성하는 철근들은 주철근의 직각방향으로 배근되는 배력근의 기능도 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추가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의 균열을 보수하는 비용등을 절약할 수 있는 등 큰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슬래브용 철근스페이서에 있어서,
    삼각형 형태로 한개씩의 철근(11)이 각각 배치되고, 철선(13)이 상기 세개의 철근(11)에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점용접(15)됨으로써, 철선(13)이 입체트러스 형태로 철근(11)에 일체화된 수평삼각대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KR20-2003-0030479U 2003-09-26 2003-09-26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KR200336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79U KR200336848Y1 (ko) 2003-09-26 2003-09-26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79U KR200336848Y1 (ko) 2003-09-26 2003-09-26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848Y1 true KR200336848Y1 (ko) 2003-12-24

Family

ID=4942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79U KR200336848Y1 (ko) 2003-09-26 2003-09-26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8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79B1 (ko) * 2006-07-04 2007-06-15 이창남 입체 나선형 사재 평면트러스
KR20130121403A (ko) * 2012-04-27 2013-11-06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터널시공용 나선 격자 지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79B1 (ko) * 2006-07-04 2007-06-15 이창남 입체 나선형 사재 평면트러스
KR20130121403A (ko) * 2012-04-27 2013-11-06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터널시공용 나선 격자 지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78193B (zh) 一种后浇带及其施工方法
KR100676627B1 (ko)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JP2014095256A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CN207812307U (zh) 斜拉桥主塔及钢锚梁的施工系统
JP7168429B2 (ja) 床型枠材
KR200336848Y1 (ko) 배력근 겸용 철근스페이서의 구조
KR102288626B1 (ko) 망상거치대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코핑
KR20190044763A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CN212026574U (zh) 采用钢筋桁架模板的悬挑楼楼板钢筋结构
EP0555232B1 (en) Connector beam
KR20024133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JP5729566B2 (ja) コンクリート平版のせん断補強の形成方法と、道路床版及びフラットスラブ
CN207160064U (zh) 一种明挖隧道弧形顶板防水保护层的模板体系
KR200323006Y1 (ko)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KR20100022703A (ko) Gfrp 소재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KR200397203Y1 (ko) 단부 구조가 개선된 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JPH01290853A (ja) 合成床板
KR20180101678A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CN217128748U (zh) 一种控制混凝土板厚和钢筋保护层厚度的支撑装置
KR20110006225U (ko) 단면 손실 방지형 강도 보강용 결합구조체
JP7350651B2 (ja) スラブ
JP745383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配筋構造および鉄筋施工方法
CN210342310U (zh) 一种预应力混凝土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