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693Y1 -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 Google Patents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693Y1
KR200336693Y1 KR20-2003-0014457U KR20030014457U KR200336693Y1 KR 200336693 Y1 KR200336693 Y1 KR 200336693Y1 KR 20030014457 U KR20030014457 U KR 20030014457U KR 200336693 Y1 KR200336693 Y1 KR 200336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bathroom
mirror
ho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배
Original Assignee
방기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배 filed Critical 방기배
Priority to KR20-2003-0014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6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6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샤워기로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욕실 거울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여 샤워를 하면, 욕실의 급수전과 연결되어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샤워기로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져 샤워 도중에 거울 표면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는, 급수전과 샤워기 라인의 사이에 공급관을 연결하고, 공급관은 욕실 거울의 후면을 따라 공급로를 형성하고, 공급관으로 전달되는 온수의 열에 의해 욕실 거울의 표면 온도를 욕실 내부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켜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욕실에서도 별도의 작업없이 간편하게 탈부착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의 설치비용만으로도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시공 및 관리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Shower water supplying device to prevent steam on surface of mirror in bathroom}
본 고안은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샤워기로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욕실 거울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여 샤워를 하면, 욕실의 급수전과 연결되어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샤워기로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져 샤워 도중에 거울 표면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욕실내에는 샤워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샤워를 할 때에는 샤워기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로 인해 욕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 거울 표면의 온도는 상승된 욕실 내부의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거울 표면에 김이 서리게 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샤워를 하기 위해 온수를 사용하면, 샤워기로 뿜어져 나오는 온수로 인해 수증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수증기는 욕실 거울에 김을 서리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울을 보기 위하여 다시 욕실 거울을 닦아보지만, 금방 다시 김이 서리게 되어 샤워시 세수나, 면도를 위해 욕실 거울을 보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욕실 거울에 코일과 같은 가열수단을 통해 욕실 내부 온도와 거울의 표면 온도를 일치시켜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고비용이 단점과 거울의 후면으로 별도의 설치공간 확보 문제, 가열수단으로 별도의 에너지 공급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의 욕실 문화는 욕조에 물을 받아서 목욕을 하는 전통적인 생활패턴에서 샤워기를 이용하여 가볍고 자주 씻는 생활 패턴으로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에 많은 가정에서는 욕조를 제거하고 별도의 샤워 부스만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욕실 개조를 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급수전과 샤워기 사이에서의 온수 공급 라인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는, 욕실의 급수전과 샤워기 사이의 온수 공급을 욕실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온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욕실 거울에 맺히는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는 기존의 욕실 내에서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샤워기 온수장치 2 : 급수전
3 : 샤워기 4 : 공급관
5 : 거울 6 : 벽면
21 : 공급구 31 : 라인41 : 최우측 공급로 a : 좌측부분b : 우측부분 ㄱ, ㄴ, ㄷ, ㄹ, ㅁ : 공급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배출하며 소정의 위치에 샤워용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구비한 급수전; 상기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받은 냉온수를 분출하는 샤워용 손잡이와 라인으로 구성된 샤워기; 및 상기 급수전과 상기 샤워기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급수전의 공급구와 연결되고, 욕실 벽면에 밀착고정됨에 따라 욕실 거울의 후면에서 고정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워기의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급수전의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욕실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상기 공급관을 통해 욕실 거울의 표면을 욕실 내부 온도와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은,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이며, 욕실 거울의 후면에서 부피를 줄이기 위해 단방향의 폭과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거울 후면의 벽면에서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로가, 좌측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온수를 공급하며, 우측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공급하고 다시 하단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공급로를 형성함으로써 샤워후에도 공급관에 온수가 계속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는, 급수전으로부터 샤워기로의 온수 공급을 욕실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기 때문에 욕실의 내부 온도와 거울의 표면 온도를 일치시켜 주며, 기존의 욕실에서도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샤워기 온수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샤워기 온수장치가 설치된 욕실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1)가 설치된 욕실의 내부 사시도이다.
보통 일반적인 욕실 구조에서는, 급수전(2)의 공급구에 샤워기 라인(31)의 일단이 바로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환경이나, 본 고안에서는 급수전(2)과 샤워기(3) 사이의 온수 공급을 공급관(4)을 통해 공급한다. 공급관(4)의 일단은 급수전의 샤워용 공급구(21)와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아 샤워기(3)로 전달하며, 욕실 거울(5)의 후면 벽면을 따라 온수 공급로를 형성한다. 거울(5) 뒷면에 설치된 공급관(4)은 내부의 온수 온도를 앞쪽의 거울(5)로 전달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거울 표면 온도를 욕실 내부의 온도와 차이가 적어지도록 상승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샤워를 하게 되면 욕실 거울에는 김이 서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1)가 설치된 욕실 벽면의 정면도이고, 거울 후면의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로는 점선으로 도시한다.
공급관(4)의 일단은 급수전(2)의 샤워용 공급구(21)와 연결되어 온수를 전달받으며, 욕실 벽면을 따라 거울(5)의 후면 벽면에 밀착 고정된다. 공급관은 공급로는 거울(5)의 전체로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샤워기 라인(31)의 끝단과 연결됨으로써 샤워기(3)로 온수를 전달한다.
특히, 거울(5)의 후면 벽면에서의 공급관(4)이 형성하는 공급로는 좌측부분(a)이 상단(ㄱ)으로부터 하단(ㄴ) 방향 공급로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우측부분(b)은 다시 하단(ㄷ)에서 상단(ㄹ)으로 온수를 공급하였다가 다시 하단(ㅁ) 방향 공급로로 공급하도록 형성하였다.이와 같이 우측부분(b)의 공급로를 하단(ㄷ)->상단(ㄹ)->하단(ㅁ)의 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샤워를 마친 후에 역류 현상에 의해 물이 샤워기로부터 배출되어도 공급관(4)의 공급로에 온수의 일정량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샤워를 마친 후 샤워기(3)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대에 고정하였을 경우, 샤워기 급수전을 잠그면 역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샤워기(3)를 바닥에 두거나 또는 급수전(2) 위에 바로 걸쳐 놓았을 때 역류로 인해 샤워기 분출구로부터 물이 배출된다. 이 때 역류 현상에 의해 물이 배출되는 부분은 (ㄹ),(ㅁ)에 저장된 물만 배출되고, 공급구(21)로부터 (ㄱ), (ㄴ), (ㄷ)에 저장된 물은 그대로 공급관(4)에 남아있게 되어 지속적으로 거울의 표면으로 온수의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샤워를 끝마친 후 역류현상이 일어나도 거울(5) 후면의 공급관(4)에는 그대로 온수가 남아있어 계속적으로 거울 표면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김서림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1)는 별도의 에너지 공급없이도 사용자가 샤워중에 사용하는 온수의 열을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거울(5) 표면에 맺히는 김서림을 제거한다는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1)가 설치된 욕실 벽면의 측단면을 도시한다. 공급관(4)의 재질은 내열성 플라스틱 관으로서 가격이 저렴함과 동시에 시공이 간편하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공급관(4)이 벽면(5)에 설치되었을 때 거울이 벽면으로부터 너무 뜨지 않도록 단방향(a방향)의 폭과 장방향(b방향)의 길이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본 고안의 따른 샤워기 온수장치의 시공방법을 설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급수관(2)의 공급구(21)에 연결된 샤워기 라인(31)의 끝단을 분리한 후 플라스틱 재질의 공급관(4)을 거울의 표면적에 맞도록 성형시킨다. 다음 공급관(4)을 벽면(6)을 따라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밀착 고정시킨다. 접착수단으로서는 실리콘 또는 기타 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는 공급관(4)의 타단을 샤워기 라인(31)의 끝단과 연결시킴으로써 시공을 마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의 실시예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는 급수전과 샤워기 라인의 사이에 공급관을 연결하고, 공급관은 욕실 거울의 후면을 따라 공급로를 형성하고, 공급관으로 전달되는 온수의 열에 의해 욕실 거울의 표면 온도를 욕실 내부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켜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욕실에서도 별도의 작업없이 간편하게 탈부착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의 설치비용만으로도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시공 및 관리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3)

  1.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배출하며 소정의 위치에 샤워용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구를 구비한 급수전;
    상기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받은 냉온수를 분출하는 샤워용 손잡이와 라인으로 구성된 샤워기; 및
    상기 급수전과 상기 샤워기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급수전의 공급구와 연결되고, 욕실 벽면에 밀착고정됨에 따라 욕실 거울의 후면에서 고정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샤워기의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급수전의 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욕실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상기 공급관을 통해 욕실 거울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이며, 욕실 거울의 후면에서 부피를 줄이기 위해 단방향의 폭과 장방향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거울 후면의 벽면에서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로가, 좌측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온수를 공급하며, 우측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공급하고 다시 하단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공급로를 형성함으로써 샤워후에도 공급관에 온수가 계속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KR20-2003-0014457U 2003-05-10 2003-05-10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KR2003366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57U KR200336693Y1 (ko) 2003-05-10 2003-05-10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457U KR200336693Y1 (ko) 2003-05-10 2003-05-10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562A Division KR20040096674A (ko) 2003-05-10 2003-05-10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693Y1 true KR200336693Y1 (ko) 2003-12-24

Family

ID=4942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457U KR200336693Y1 (ko) 2003-05-10 2003-05-10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6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554B1 (ko) 2015-09-10 2016-02-26 에스제이코퍼레이션(주) 김 서림 제거기능을 가진 거울
KR20230053337A (ko) 2021-10-14 2023-04-21 노정섭 김서림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거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554B1 (ko) 2015-09-10 2016-02-26 에스제이코퍼레이션(주) 김 서림 제거기능을 가진 거울
KR20230053337A (ko) 2021-10-14 2023-04-21 노정섭 김서림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0869A (en) Condensate-proof mirror
US20110094708A1 (en) Shower heat exchanger with clog-removable drain
JP4075467B2 (ja) 局部洗浄装置
KR200336693Y1 (ko)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KR200453744Y1 (ko) 비데용 순간 가열 히터 어셈블리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40096674A (ko) 욕실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샤워기 온수장치
US11879244B2 (en) Add-on bidet module for a toilet
JP2010227272A (ja) 防曇鏡付き混合水栓装置
KR20120015967A (ko) 욕실거울 김서림 방지장치
KR101561927B1 (ko) 비데의 온수장치
JP2008082002A (ja) シャワーヘッドの支持装置
CA2775456A1 (en) Shower heat exchanger with clog-removable drain
US20090224071A1 (en) Soap Dispensing Shower Head
JP5857185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224457Y1 (ko) 김서림방지 거울
CN114766939A (zh) 一种自循环保温蒸汽浴缸
JP3027360U (ja) シャワー設備
KR200280630Y1 (ko) 김서림 방지용 거울
JP2007218075A (ja) トイレ装置
JP2004116151A (ja) 衛生洗浄装置
JPH02571Y2 (ko)
KR200226853Y1 (ko) 김 서림 방지 장치가 있는 거울
JP2008142380A (ja) 化粧鏡装置及び温水パネル
JP2004251015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