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557Y1 - 다기능 귀청소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557Y1
KR200336557Y1 KR20-2003-0027188U KR20030027188U KR200336557Y1 KR 200336557 Y1 KR200336557 Y1 KR 200336557Y1 KR 20030027188 U KR20030027188 U KR 20030027188U KR 200336557 Y1 KR200336557 Y1 KR 200336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ar cleaner
nose
suction fan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권
Original Assignee
(주) 지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더블유 filed Critical (주) 지더블유
Priority to KR20-2003-0027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귀청소기를 본래의 기능인 귀청소기로서는 물론이고, 이를 이용하여 콧털을 깍는 콧털깍기와 손톱 및 발톱 등을 손질하는 손톱미용기로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 모터, 흡입팬 등이 설치되면서도 전면의 개구부에는 귀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나팔형의 헤드 및 안내구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전동식 귀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고, 흡입팬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콧속의 털을 깍는 콧털깍기와, 손톱 및 발톱 등의 연삭하여 미용하는 손톱미용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귀청소기{Multi-functional ear cleaner}
본 고안은 다기능 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귀청소기를 본래의 기능인 귀청소기로서는 물론이고, 이를 이용하여 콧털을 깍는 콧털깍기와 손톱 및 발톱 등을 손질하는 손톱미용기로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귓속에는 귀지가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됨으로써 이들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귀지나 이물질은 귀이개나 면봉 등의 조그마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귀이개나 면봉 등은 본인이 직접 사용할 경우 귓속을 육안으로 볼 수가 없고 순전히 감각에만 의존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활한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귓속을 상처 낼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타인의 도움으로 귀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의사가 아닌 이상 귓속을 깨끗히 청소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수로 인하여 귓속의 연약한 피부에 상처를 내게 되면 염증으로 발전되어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모터의 회전력에 의한 흡입력으로 귓속의 귀지나 이물질을 강제적으로 흡출토록 하는 일명 전동식 귀청소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귀청소기는 내부에 소형의 모터, 배터리, 흡입팬 등이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 개구부에 체결되면서 나팔형으로 형성되어 흡입팬에 의한 흡입력을 안전하게 유도토록 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귓속으로 삽입되어 귓속의 귀지나 이물질을 흡입안내토록 하는 안내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동식 귀청소기는 모터에 의한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귓속의 귀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가질지라도 이는 귀청소기로서의 기능만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의 호환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동식 귀청소기를 귓속을 청소하는 귀청소기로서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콧속의 털을 제거하는 콧털깍기와 손톱 및 발톱을 손질하는 손톱미용기로서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귀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귀청소기는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흡입팬의 흡입력으로 귓속의 귀지나 이물질 등을 강제 흡출토록 하는 귀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귀청소기의 전단에 장착된 헤드 대신에 콧털을 깍을 수 있는 콧털깍기나 또는 손톱 및 발톱을 손질하는 손톱미용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전동식 귀청소기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1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을 콧털깍기로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4의 일부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을 손톱미용기로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7의 분리사시도
도 9은 도7의 일부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귀청소기 10:몸체
11:모터 12:회전축
13:흡입팬 20:헤드
30:안내노즐 40:콧털깍기
41,51:케이스 42:빗살
43,53:브라켓트 44,52:회전축
45:칼날 46,54:체결구
50:손톱미용기 55:연삭부재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2 에서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동식 귀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귀청소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귀청소기(100)는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나팔형의 헤드(20)와, 상기 헤드(20)의 전단에 역시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면서 귓속의 귀지를 흡출안내토록 하는 안내노즐(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배터리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1)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모터(11)의 회전축(12)에는 흡입팬(13)이 장착되고, 상기흡입팬(13)은 고속으로 회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20)는 몸체(10)의 전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면서 전단이 좁고 후단이 넓은 나팔형으로 형성되어 흡입팬(13)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20)의 전방에는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안내노즐(30)은 그 일부가 귓속으로 유입되어 귓속의 귀지나 이물질을 수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귓속과 접촉되더라도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등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대체적으로 종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귀청소기의 구조를 이용하여 콧속의 털을 깍는 콧털깍기로서는 물론이고, 손톱을 손질하는 손톱미용기로서도 선택사용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은 몸체(10)의 전단에 장착되는 헤드(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이의 헤드(20) 대신 필요에 따라 콧털깍기(40) 또는 손톱미용기(5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4 내지 도6 에서는 본 고안의 귀청소기를 콧털깍기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40은 귀청소기(100)의 몸체(10)에 장착되는 콧털깍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콧털깍기(40)는 전단이 좁고 후단이 넓은 나팔형의 케이스(41)를 갖추어 구성되면서도 이의 전단에는 콧속에 주입시 콧털이 그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빗살(42)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는 브라켓트(43)에 지지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44)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전단에는 칼날(45)이 장착되어 케이스(51)의 빗살(42)과 교차되면서 콧털을 깍게 된다.
즉, 빗살(42)의 내부에 원형의 칼날(45)이 체결됨으로써 마치 바리캉과 같은 원리로 콧털을 깍게 되는 것이다.
또, 회전축(44)의 후단에는 몸체(10)내의 흡입팬(13) 사이에 삽입되어 이의 회전동력을 회전축(44)으로 전달하기 위한 체결구(46)가 설치되며, 이 체결구(46)는 후방으로 다수개의 체결핀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콧털깍기(40)는 몸체(10)로 부터 착탈이 가능한 별도의 물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하게 된다.
이를 사용시에는 몸체(10)의 전단에 설치되는 다른 용도의 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귀청소기의 헤드(20) 및 안내노즐(30) 등을 제거한 상태에서 콧털깍기(40)의 케이스(41)를 장착한다.
이 케이스(41)는 통상의 헤드(20)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그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을 몸체(10)의 전단 외연에 형성된 걸림홈에 체결하여 일측방향으로 돌려주면 간단히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41)를 몸체(10)에 체결하게되면 그 내부의 회전축(44)에 체결된 체결구(46)의 다수개 체결핀들이 몸체(10)내에 설치되는 흡입팬(13)의 날개 사이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통상의 귀청소기(100)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몸체(10)의 작동스위치를 온작동하게 되면,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모터(11)가 구동되면서 이의 회전축(12)에 장착된 흡입팬(13)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의 흡입팬(13)의 회전동력은 체결구(46) 및 회전축(44)을 통하여 그 전단의 칼날(45)에 전달된다.
상기 칼날(45)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케이스(41)의 전단 빗살(42)과 교차되면서 이들 사이로 유입되는 콧속의 털을 원활하게 깍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7 내지 도9 에서는 본 고안을 손톱미용기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에서 부호 50은 상기 손톱미용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손톱미용기(50)는 몸체(10)의 전단에 헤드(20)와 동일하게 장착이 가능토록 전단이 좁고 후단이 넓은 나팔형의 케이스(51)로 구성되면서도 이의 내부에는 회전축(52)이 브라켓트(53)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52)의 후단에는 몸체(10)의 흡입팬(13)과 결합되는 체결구(54)가 설치됨과 동시에 전단에는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손톱의 표면을 갈아주는 연삭부재(55)가 설치된다.
이때, 체결구(54)는 몸체(10)의 흡입팬(13)으로 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핀이 형성되어 흡입팬(13)의 날개들 사이로 삽탈이 용이하면서도 회전시에는 일체로 회전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 상기 회전축(52)이 전단에 형성되는 연삭부재(55)는 전술한 회전동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손톱이나 발톱 등을 연삭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손톱 및 발톱의 미용기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귀청소기를 귓속의 귀지나 각종 이물질을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귀청소기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콧속의 털을 깍는 콧털깍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손톱이나 발톱 등을 연삭하여 다듬는 손톱미용기로도 선택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물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의 호환성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 모터, 흡입팬 등이 설치되면서도 전면의 개구부에는 귀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나팔형의 헤드 및 안내구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전동식 귀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단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고, 흡입팬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콧속의 털을 깍는 콧털깍기와, 손톱 및 발톱 등의 연삭하여 미용하는 손톱미용기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귀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털깍기(40)는 귀청소기의 몸체(10)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고 전단에는 빗살(42)이 설치되는 나팔형의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브라켓트(43)에 의해 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44)과,
    상기 회전축(44)의 전단에 체결되어 빗살(42)과 교차되면서 콧털을 절단하는 칼날(45)과,
    상기 회전축(44)의 후단에 체결되고 다수개의 체결핀을 가지면서 몸체(10)내의 흡입팬(13) 사이에 삽입체결되어 동력을 회전축(44)으로 전달토록 하는체결구(46)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귀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미용기(50)는 귀청소기의 몸체(10)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나팔형의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에 브라켓트(53)에 의해 설치되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의 전단에 고정되면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고속회전에 의해 손톱 및 발톱 등의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부재(55)와,
    상기 회전축(52)의 후단에 체결되고 다수개의 체결핀을 가지면서 몸체(10)내의 흡입팬(13) 사이에 삽입체결되어 동력을 회전축(52)으로 전달토록 하는 체결구(54)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귀청소기.
KR20-2003-0027188U 2003-08-25 2003-08-25 다기능 귀청소기 KR200336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188U KR200336557Y1 (ko) 2003-08-25 2003-08-25 다기능 귀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188U KR200336557Y1 (ko) 2003-08-25 2003-08-25 다기능 귀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557Y1 true KR200336557Y1 (ko) 2003-12-18

Family

ID=4942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188U KR200336557Y1 (ko) 2003-08-25 2003-08-25 다기능 귀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5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30B1 (ko) 2004-04-09 2006-02-22 성신공업 주식회사 애견용 귀털제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30B1 (ko) 2004-04-09 2006-02-22 성신공업 주식회사 애견용 귀털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0759B1 (en) Vibratory hair grooming tool
US5012576A (en) Personal hair trimmer
US20110226270A1 (en) Personal nail trimmer
US6314648B1 (en) Dual blade hair clipper
US11247352B2 (en) Nose hair cutter
US20180319027A1 (en) Hair trimm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36557Y1 (ko) 다기능 귀청소기
US8171942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interchangeable grooming units
KR200310081Y1 (ko) 코털 깎기
KR200406846Y1 (ko) 미장용 머리카락 소제구
KR101324984B1 (ko) 전동식 손톱정리장치
KR200242010Y1 (ko) 전동식 손톱소제기
US20150182000A1 (en) Grooming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KR200428542Y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브러시
KR200212027Y1 (ko) 진공청소기의 원리를 이용한 휴대용 귀(지) 청소기
JP6431921B2 (ja) 美容研磨機
KR102325633B1 (ko) 회전식 체모 절단기
KR100728066B1 (ko) 머리카락 제거용 미용장치
KR102300869B1 (ko)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글러브
CN215957728U (zh) 结头去除器
KR20090004904U (ko) 전동식 미용기구
KR200417062Y1 (ko) 머리카락 제거용 미용장치
JP3135862U (ja) 電動爪切り器
KR20230053984A (ko) 코털 제거기
KR200173434Y1 (ko) 손톱연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