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984A - 코털 제거기 - Google Patents

코털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984A
KR20230053984A KR1020210137478A KR20210137478A KR20230053984A KR 20230053984 A KR20230053984 A KR 20230053984A KR 1020210137478 A KR1020210137478 A KR 1020210137478A KR 20210137478 A KR20210137478 A KR 20210137478A KR 20230053984 A KR20230053984 A KR 20230053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hair
housing
nose
cut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원 filed Critical 이지원
Priority to KR102021013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984A/ko
Publication of KR2023005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48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removing hair from inaccessible places, e.g. nostr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단부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코털을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된 코털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에 의하여 커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코털을 집모하는 집모부와;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 코털 제거기를 제공함으로써, 코털 제거기의 커팅부를 이용하여 제거한 코털이 흩트러지지 않고 코털 제거기의 내부에 집모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털 제거기{NOSTRIL HAIRS CUTTER}
본 발명은 코털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털 제거기의 커팅부를 이용하여 제거한 코털이 흩트러지지 않고 코털 제거기의 내부에 집모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코털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들의 경우는 여성들에 비교하여 신체의 여러 곳에 많은 털이 나고 있으며, 이러한 털들 중에서 콧속에서 자라는 털은 자라서 콧구멍 밖으로까지 길어지게 되면 외견상 흉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남성들은 수시로 코털을 깎아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코털을 깎을 때는 머리카락을 자르면서 코털도 함께 자르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서 이발사로부터 쉽게 코털을 깎을 수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에는 이발사가 가위로 여러 사람의 코털을 자르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코털이 너무 빠르게 자라는 경우에는 집에서 가위로 직접 코털을 자르면서 코털이 코 밖으로 길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가위로 코털을 자르는 경우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던 가위를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 므로 위생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위로 인하여 콧속을 다치게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로 코털을 깎을 수 있도록 한 코털 깎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코털 깎기는 외부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커터를 구비하고, 그 고정 커터의 내부에 회전커터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회전커터를 모터로 회전시킴으로서 고정커터와 회전커터 사이로 삽입된 코털을 깎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털 깎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전동타입의 코털 깎기는 콧속의 상처를 최소화하면서 누구나 쉽게 코털을 깎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깎아지 코털이 콧속에 그냥 남는 경우가 빈번하게 방생하여 코털을 깎던 도중에 코를 풀어서 콧속의 깎여진 코털을 빼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털 제거기의 커팅부를 이용하여 제거한 코털이 흩트러지지 않고 코털 제거기의 내부에 집모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여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코털 제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코털 제거기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단부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코털을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된 코털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에 의하여 커팅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코털을 집모하는 집모부와;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부는 일측면에 날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코털을 커팅하는 커팅날과, 상기 커팅날의 일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틀어지게 형성된 판상의 흡입날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날의 하부와 상기 집모부 사이에는 커팅된 코털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집모부 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집모부에 집모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모부는 상기 이송유로의 단부와 상면이 연통되어 이송된 코털이 내부로 유입되며 하면에 흡입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관통 형성된 집모통과, 상기 집모통의 하면에 구비되어 공기는 빠져나가되 이송된 코털은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집모통은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건전지나 혹은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털 제거기는 코털 제거기의 커팅부를 이용하여 제거한 코털이 커팅부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흩트러지지 않고 코털 제거기의 내부에 집모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거된 코털이 코털 제거기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집모통에 수집되도록 하여 코털 제거기의 청소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 커팅부의 커터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집모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 커팅부의 커터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집모통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21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구동모터(200)의 상기 구동축(210)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단부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300)과; 상기 연결축(300)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코털을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된 코털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커팅부(400)와; 상기 커팅부(400)에 의하여 커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된 코털을 집모하는 집모부(500)와; 상기 구동모터(20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코털 제거기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여러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부재로서, 하우징(100)의 외면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적당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립하여 코털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외면 일부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도포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우징(100)의 상면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커팅부(400)를 중심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커팅부(400)를 사용자의 코 속으로 삽입시에 하우징(100)의 상면이 사용자의 안면 부위와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외면 중앙 영역에는 전원공급부(600)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구동모터(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온오프 버튼(110)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모터(200)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전원공급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구동축(210)을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축(300)은 구동모터(200)의 구동축(210)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단부 영역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커팅부(400)를 회전구동시켜 코털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축(300)은 구동모터(200)가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커팅부(400) 측으로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일단이 구동모터(2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커팅부(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부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털 제거기가 낮은 높이로 구성될 경우에는 구동모터(200)의 구동축(210)이 커텡부(4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축(300)의 구성을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팅부(400)는 연결축(300)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코털을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된 코털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팅부(400)에 의하여 코털이 커팅됨과 동시에 커팅된 코털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코털을 제거시에 코털이 여기저기 흩트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털을 제거한 주변을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팅부(400)는 일측면에 날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코털을 커팅하는 커팅날(410)과, 커팅날(410)의 일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틀어지게 형성된 판상의 흡입날(420)로 구성되어 있다.
커팅날(410)은 실질적으로 코털을 커팅시키며 상부에 구비되어 굴곡지게 형성된 부재로서, 커팅날(4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코털과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팅날(410)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팅날(410)의 내측에 위치한 코털이 커팅날(410)의 외측으로 이탈되어 커팅이 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커팅날(410)에 의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팅날(410)의 주연부에는 별도의 보호망(430)이 구비되어 있다.
보호망(430)의 판면에는 사용자의 피부는 삽입되지 않고 코털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흡입날(420)은 커팅날(41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판면 자체가 비틀어지게 형성되어 회전 구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흡입날(420)이 비틀어지게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입날(420)의 상부에서 커팅날(410)에 의하여 커팅된 코털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흩트러지지 않고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커팅부(400)가 6000 RPM 이상으로 회전됨을 감안한다면 흡입날(420)의 중앙 영역이 비틀어지게 형성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상이하게 배치됨으로 인하여 충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흡입날(420)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코털을 수집할 수 있도록 흡입날(420)의 하부와 집모부(500) 사이에는 커팅된 코털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집모부(500) 측으로 이송되어 집모부(500)에 집모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유로(700)가 구비되어 있다.
이송유로(700)의 일단부는 커팅부(4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집모부(500)의 집모통(510)과 연결되어 있으며, 커팅부(400)의 하측에 배치된 이송유로(700)의 일단부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벌어지게 형성됨으로서 커팅된 코털이 용이하게 이송유로(700)로 집모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집모부(500)는 커팅부(400)에 의하여 커팅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된 코털을 집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집모부(500)는 이송유로(700)의 단부와 상면이 연통되어 이송된 코털이 내부로 유입되며 하면에 흡입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공(511)이 관통 형성된 집모통(510)과, 집모통(510)의 하면에 구비되어 공기는 빠져나가되 이송된 코털은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집모통(510)은 커팅된 코털이 흡입날(420)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수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흡입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공(511)은 복수로 구비되어 열과 행을 이루도록 집모통(510)의 저부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집모통(510)은 하우징(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집된 코털을 청소시에는 집모통(51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시켜 용이하게 수집된 코털을 제거한 후에 다시 하우징(100)에 부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필터(520)는 집모통(510)에 형성된 통공(511)을 통하여 수집된 코털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공기는 통과하되 코털을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필터(520)에 형성된 공극은 코털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520)는 청소를 위하여 집모통(5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필터(520)를 집모통(510)으로부터 탈거시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원공급부(600)는 구동모터(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모터(20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전원공급부(600)는 건전지나 혹은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털 제거기를 이용하여 코털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코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의 전면 중앙에 구비된 온오프 버튼(110)을 눌러 전원공급부(600)에서 구동모터(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구동모터(20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축(210)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축(300)이 회전 구동되고, 연결축(30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커팅부(400)가 회전 구동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팅부(400)를 사용자의 코 속으로 삽입하면 코털이 보호망(430)을 통과하여 커팅부(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팅날(410)에 의하여 커팅되고, 커팅된 코털은 흡입날(420)에 의하여 형성된 흡입력으로 이송유로(700)를 따라 이동하여 집모통(510)에 수집되면서 코털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코털의 제거가 완료되면 온오프 버튼(110)을 눌러 전원공급부(600)의 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모터(200)의 동작을 멈추게 되며,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코털을 제거한 후에 집모통(510)에 코털의 수집량이 많아지면 집모통(51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시켜 수집된 코털을 외부로 배출한 후에 다시 하우징(100)에 집모통(510)을 부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코털 제거기는 코털 제거기의 커팅부를 이용하여 제거한 코털이 흩트러지지 않고 코털 제거기의 내부에 집모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온오프 버튼
200 : 구동모터 210 : 구동축
300 : 연결축 400 : 커팅부
410 : 커팅날 420 : 흡입날
430 : 보호망 500 : 집모부
510 : 집모통 520 : 필터
600 : 전원공급부 700 : 이송유로

Claims (6)

  1.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21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구동모터(200)의 상기 구동축(210)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단부 영역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결축(300)과;
    상기 연결축(300)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면서 코털을 커팅함과 동시에 커팅된 코털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커팅부(400)와;
    상기 커팅부(400)에 의하여 커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된 코털을 집모하는 집모부(500)와;
    상기 구동모터(20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400)는 일측면에 날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어 코털을 커팅하는 커팅날(410)과, 상기 커팅날(410)의 일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틀어지게 형성된 판상의 흡입날(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 제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날(420)의 하부와 상기 집모부(500) 사이에는 커팅된 코털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집모부(500) 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집모부(500)에 집모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유로(7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 제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모부(500)는 상기 이송유로(700)의 단부와 상면이 연통되어 이송된 코털이 내부로 유입되며 하면에 흡입되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공(511)이 관통 형성된 집모통(510)과, 상기 집모통(510)의 하면에 구비되어 공기는 빠져나가되 이송된 코털은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5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 제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모통(510)은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 제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건전지나 혹은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털 제거기.
KR1020210137478A 2021-10-15 2021-10-15 코털 제거기 KR20230053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478A KR20230053984A (ko) 2021-10-15 2021-10-15 코털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478A KR20230053984A (ko) 2021-10-15 2021-10-15 코털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84A true KR20230053984A (ko) 2023-04-24

Family

ID=8614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478A KR20230053984A (ko) 2021-10-15 2021-10-15 코털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9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2576A (en) Personal hair trimmer
US2802260A (en) Dry shaver with rotary cutting blades and suction fan
US9173532B2 (en) Pet vacuum cleaner
US20180319027A1 (en) Hair trimm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021424B (zh) 一种具有集屑功能的电动剃须刀
KR20230053984A (ko) 코털 제거기
JP2006223535A (ja) 体毛処理装置
KR200310081Y1 (ko) 코털 깎기
CN208714052U (zh) 一种外耳道剃毛器
US5909928A (en) Electrical hair remover device and method
CN203317440U (zh) 一种避免刀头黏着胡须的剃须刀
KR200284444Y1 (ko) 흡입기가 구비된 전기이발기
US5515608A (en) Powered shaver cleaner
CN203765657U (zh) 一种带有毛发收集装置的理发器
CN115067229A (zh) 一种吸尘器用宠物刷头组件
CN103921290A (zh) 一种带有毛发收集装置的理发器
US20110083691A1 (en) Vibratory apparatus
CN217777050U (zh) 一种具有吸附毛发功能的去毛器
JP7165885B2 (ja) 電動歯ブラシおよびパーソナルケアキット
CN220235711U (zh) 一种宠物毛发手持吸尘器
CN209753569U (zh) 一种吸碎发器
CN216998908U (zh) 电动毛球修剪器
CN219088103U (zh) 一种吸尘器用宠物刷头组件
CN216229520U (zh) 一种使用安全性较高的鼻毛刀
CN216229521U (zh) 一种自用剃光头剃须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