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455Y1 -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455Y1
KR200336455Y1 KR20-2003-0029669U KR20030029669U KR200336455Y1 KR 200336455 Y1 KR200336455 Y1 KR 200336455Y1 KR 20030029669 U KR20030029669 U KR 20030029669U KR 200336455 Y1 KR200336455 Y1 KR 200336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cable
wall
case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호
이재욱
박준영
황의준
Original Assignee
강경호
박준영
이재욱
황의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호, 박준영, 이재욱, 황의준 filed Critical 강경호
Priority to KR20-2003-0029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 소켓부를 가지는 하나의 콘센트만 벽부에 매립되어 있는 일반 벽부매립형 콘센트와 달리,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는 벽부에 매립되는 케이스와 복수의 소켓부를 가지는 2개의 콘센트, 상기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을 상기 전원케이블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나선 스프링과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권취장치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필요한 경우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형 콘센트를 빼내어 쓸 수 있고, 상기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권취드럼에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Multi-Tab}
기존의 콘센트는 하나의 개별 콘센트만 벽부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따라서 멀리 떨어진 가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멀티탭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달리,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는 벽부에 매립되는 케이스와 복수의 소켓부를 가지는 2개의 콘센트, 상기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을 상기 전원케이블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나선 스프링과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권취장치를 갖는다.
상기 콘센트 중 하나는 안으로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 콘센트이고, 다른 하나는 밖으로 돌출 되어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는 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콘센트로서,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을 권취드럼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일반 콘센트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하지 않을 때는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을 권취드럼에 수용하여 보관하여 주거 환경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면 1은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의 사시도.
도면 2는 도면 1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2 : 전원 케이블 권취장치 3 : 외부전원케이블
4 : 통과공 10 : 케이스
11 : 요입홈 12 : 이동형 콘센트 수납공간
20 : 고정형 콘센트 21, 22, 31, 32 : 소켓부
23 : 고정형 콘센트 전원케이블 30 : 이동형 콘센트
33 : 탈부착 버튼 34 : 돌기
35 : 이동형 콘센트 전원케이블 40 : 권취드럼
41 : 회전축 42 : 회전판
43 : 나선스프링 50 : 스토퍼
51 : 로울러 52 : 회동바
53 : 회동축 54 : 인장스프링
55 : 되감기 버튼 56 : 지지판
57 : 스프링 지지부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는 벽부에 매립되는 케이스(10)와 복수 소켓부(21, 22, 31, 32)를 가지는 2개의 콘센트(20, 30), 상기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3, 23, 35)과 상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35)을 권취하는 권취드럼(40)과 상기 권취드럼(40)을 상기 전원케이블(35)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나선 스프링(43)과 상기 권취드럼(4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권취장치(2)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0)는 일측의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바(52)와, 상기 회동바(52)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휠에 접촉 및 이격되는 로울러(51)와, 상기 로울러(51)가 상기 권취드럼(40)에 접촉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드럼(40)의 회전을 단속하는 되감기버튼(55)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바(52)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되감기버튼(55)이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전원케이블 권취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케이스(10)을 가지며, 케이스의 전방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복수의 소켓부(21, 22, 31, 32)를 가지는 2개의 콘센트(20,30)가 앞뒤로 형성되어 있고, 전원케이블(35)을 되감기 위한 되감기 버튼(5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콘센트(20, 30)의 소켓부(21, 22, 31, 32)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23, 35)이 연결되어 있다. 외부전원케이블(3)은 케이스(10)의 측면을 통과하여 두갈래로 나뉘어져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35) 및 고정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23)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권취드럼(40)에 수용되는 전원케이블은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35)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형 콘센트(20)의 아래쪽 일측에는 이동형 콘센트(30)의 전원케이블(35)의 통과를 위한 통과공(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콘센트(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수납공간(12)에 부착하였을 때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34)가 포함된 탄력성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탈부착 버튼(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상응하여 케이스의 전방면에는 상기 돌기(34)가 요입될 수 있는 요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케이블(35)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취드럼(40)과, 권취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케이스(10) 내에 고정하는 지지판(56)과,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권취드럼(4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50)를 갖는다. 권취드럼(40)은, 전원케이블(35)이 감기는 회전축(41)과,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전원케이블(35)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판(42)을 포함하며, 회전축(41)의 중앙영역에는 도시않은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1)의 축공에는 지지판(56)으로부터 돌출한 도시 않은 지지축이 수용되어 있으며, 일측의 회전판(42)과 지지축 사이에는 일측 방향으로 감긴나선스프링(43)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권취드럼(40)은 나선스프링(43)이 감긴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갖게 된다.
한편, 스토퍼(50)는, 지지판(56)의 일측에 길이방향의 일영역에 형성된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바(52)와, 회동바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권취드럼(40)의 회전판(42)에 접촉 및 이격되는 로울러(51)와, 로울러(51)가 권취드럼(40)에 접촉 유지되도록 가압하는 인장스프링(54)을 포함한다. 회동바(52)는 로울러(51)가 장착된 일단부가 권취드럼(40)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며, 인장스프링(54)은 지지판(56)으로부터 돌출한 스프링 지지부(57)와 회동바(52)의 절곡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바(52)의 다른 부분에는 되감기버튼(55)에 접촉되어 되감기버튼(55)의 가압이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멀리 떨어진 가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35)을 원하는 위치까지 잡아 당겨 케이스(1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인출된 전원케이블(35)을 케이스(10) 내에 재수용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원케이블(35)이 케이스(10) 내에서 권취드럼(40)에 감기는 동안 되감기버튼(55)을 가압하면 된다. 되감기버튼(55)을 가압하면, 되감기버튼(55)에 접촉된 회동바(52)가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회동바(52)의 회동으로 인해 로울러(51)가 권취드럼(40)의 회전판(42)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면, 권취드럼(40)의 나선스프링(43)의 힘에 의해 전원케이블(35)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원케이블(35)이 권취드럼(40)에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케이블(35)을 케이스(10) 내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케이블(35)의 길이를 원하는 만큼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소정의 먼 거리에 있는 가전기기까지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익스텐션 기능을 가지며, 또한 멀티탭 기능까지 가능하다. 또한 불필요할 경우 전원케이블(35)을 케이스(10) 내에 수용하여 둠으로써 깨끗한 주거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는 멀리 떨어진 가전기기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익스텐션 기능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밖으로 돌출 되어 있는 콘센트를 빼내어 쓰더라도 안으로 매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콘센트를 고정된 자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멀티탭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전원케이블을 감아 둠으로써 주거 환경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에 있어서, 벽부에 매립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의 일측에 포함된 복수의 소켓부(21, 22, 31, 32)를 가진 고정형 콘센트(20) 및 이동형 콘센트(30)와 상기 콘센트로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3, 23, 35)과 상기 케이스(10)내에 설치되어 이동형 콘센트의 전원케이블(35)을 권취하는 권취드럼(40)과 상기 권취드럼(40)을 상기 전원케이블(35)의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나선스프링(43)과 상기 권취드럼(4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권취장치(2)를 갖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켓부(21, 22, 31, 32)를 가진 고정형 콘센트(20) 및 이동형 콘센트(30)에 있어서, 복수의 소켓부(21, 22)를 가지는 고정형 콘센트(20)는 상기 케이스(10) 안에 형성되어 고정되며, 복수의 소켓부(31, 32)를 가지는 이동형 콘센트(30)는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권취드럼(40)에 수용되는 전원케이블(35)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콘센트(30)는, 상기 케이스(10)와의 분리가 쉽게 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34)가 포함된 탄력성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탈부착 버튼(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면에는, 이동형 콘센트(30)의 수납공간(12)이 마련되며, 상기 돌기(34)가 요입될 수 있는 요입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5. 제 2항에 있어서,
    고정형 콘센트(20)는, 아래쪽 일측에 상기 이동형 콘센트 전원케이블(35)의 통과를 위한 통과공(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는, 일측의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바(52)와 상기 회동바(52)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40)에 접촉 및 이격되는 로울러(51)와 상기 로울러(51)가 상기 권취드럼(40)에 접촉유지 되도록 가압하는 인장스프링(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권취장치(2)를 갖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드럼(40)의 회전을 단속하는 되감기 버튼(55)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바(52)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되감기 버튼(55)이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권취장치(2)를 갖는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1).
KR20-2003-0029669U 2003-09-18 2003-09-18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KR200336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669U KR200336455Y1 (ko) 2003-09-18 2003-09-18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669U KR200336455Y1 (ko) 2003-09-18 2003-09-18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455Y1 true KR200336455Y1 (ko) 2003-12-18

Family

ID=4942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669U KR200336455Y1 (ko) 2003-09-18 2003-09-18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27A1 (en) * 2005-06-02 2006-12-07 Ho Young Choi Wall-mounted withdrawable socket out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27A1 (en) * 2005-06-02 2006-12-07 Ho Young Choi Wall-mounted withdrawable socket out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0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US6942079B2 (en) Power cord winding and releasing device
US6349808B1 (en) Cord rewinder device and horizontally-mounted electrical cord rewind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US4284180A (en) Portable reel for power lines
JP2017520101A (ja) 可動ソケット対応の電源用レールのための装置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KR101103392B1 (ko) 이중 케이블릴 장치
WO2007102649A1 (en) Cord reel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0336455Y1 (ko) 멀티탭 및 익스텐션 기능이 가능한 벽부매립형 콘센트
KR200337311Y1 (ko) 신호및 전력용 케이블 권취장치
KR100842667B1 (ko) 휴대용 전선 테이핑장치
KR101094166B1 (ko) 이미용 전기기구 수납 및 전원공급장치
KR100224645B1 (ko) 콘센트 조립체
KR200420672Y1 (ko) 휴대용 전선릴
JPH09139266A (ja) 移動コンセント
US20030192761A1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telephone cord apparatus
KR200324802Y1 (ko) 전선 권취장치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20090000234U (ko) 가전기기의 전선 권취장치
KR20000004089U (ko) 전원케이블 권취장치를 갖는 실험대
KR200285301Y1 (ko) 연장선이 부착된 벽 고정용 콘센트
KR101632669B1 (ko) 모니터에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장치
US20050006516A1 (en) Wire winding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s
CN220914691U (zh) 一种卷线器
KR200343339Y1 (ko) 착탈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