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098Y1 -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 Google Patents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098Y1
KR200336098Y1 KR20-2003-0030673U KR20030030673U KR200336098Y1 KR 200336098 Y1 KR200336098 Y1 KR 200336098Y1 KR 20030030673 U KR20030030673 U KR 20030030673U KR 200336098 Y1 KR200336098 Y1 KR 200336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receiver
earphone
magnetic field
protective cover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진동판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가 고투자율의 연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내장된 영구자석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자계를 차단하는 이어폰 리시버가 개시된다. 이어폰 리시버에 내장되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계가 실질적으로 외부에 적은 양이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귀와 뇌부분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를 기록한 자기매체를 구비한 제품과 접촉하여도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earphone receiver magnetic field shielded}
본 고안은 이어폰 리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귓속에 삽입하여 음을 듣는 이어폰 리시버에 내장된 영구자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계의 세기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는 보호커버를 고투자율의 연자성 금속으로 구성한 이어폰 리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리시버는 스피커 시스템을 소형화하여 귓속에 삽입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이 직접 사용자의 귓속에 방출되어 적은 출력에 의한 음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폰 리시버의 동작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보이스코일은 음성(전류)신호로 여자되며, 이때 요크와 탑플레이트 사이에 누설되는 영구자석의 자속과 쇄교하여 그 음성신호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수직적으로 진동한다. 그러면 보이스코일과 일체로 붙어 있는 진동판이 함께 진동하여 공기 중에 음파를 발생함으로써 그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어폰 리시버는 사용자의 귓속에 끼워져 사용되므로 뇌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는데, 영구자석으로부터 누설되는 자계는 보호커버를 통과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핸드폰이나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급속하게 확산됨으로써 이어폰 리시버의 사용이 늘고 있어 이어폰 리시버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계에 귀와 머리가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이어폰 리시버의 보호커버 또는 보호그릴의 재료로는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이나 비도전성 플라스틱 또는 저투자율 금속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어폰 리시버의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를 차폐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이즈를 증가시켜 영구자석과의 거리를 멀게 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어폰 리시버의 특성상 사이즈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
인체에 침투되는 자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는 여러 가지의 주장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이어폰 리시버는 일반적으로 주머니에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이어폰 리시버에 적용되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방출되는 표면자속밀도가 일반적으로 1,200 가우스이며, 100 가우스 정도에서 신용카드 등의 마그네틱 테이프가 손상되기 때문에 이어폰 리시버에 의한 신용카드 등의 손상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착된 영구자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계가 실질적으로 외부에 적은 양이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를 기록한 자기매체를 구비한 제품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이어폰 리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리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동판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가 고투자율의 연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내장된 영구자석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자계를 감쇄시키는 이어폰 리시버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보호커버의 두께는 0.1 내지 0.4㎜이며, 보호커버에는 다수개의 음 방출공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전체 표면적에 대해 40% 이하의 개구율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리시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리시버는 다이나믹형 이어폰 유니트(10)와 이어폰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다.
이어폰 유니트(10)는 요크(yoke; 11), 영구자석(12), 탑플레이트(top plate; 13), 보이스코일(voice coil; 14), 진동판(15), 회로기판(16), 보호커버(17) 및 보호그릴(18)로 구성되며, 리벳(19)은 요크(11)에 영구자석(12)과 탑플레이트(13) 및 회로기판(16)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요크(11)는 영구자석(12)을 지지하기 위한 원통부(11a)와 진동판(15)을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11b)를 가지며 그 플랜지부(11b) 일측에 보이스코일(14)의 리드(14a)를 외부의 회로기판(16)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인출구(11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어폰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이어폰 유니트(10)의 요크(11) 이면부를 포위하는 형태로 되고, 안쪽에 요크(11)의 원통부(11a) 외주면을 꼭 맞게 끼워둘 수 있는 원통형 지지부(21)를 가지고 있다.
도면중 22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오디오 기기로부터 상기한 회로기판(16)을 통해 보이스코일(14)에 음성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코드(cord)이고, 부호 23은 이어폰 하우징(10)과 유니트(20) 가장자리를 감싸기 위한 마감용 밴드로써, 이어폰 유니트(20) 조립후 요크(11)의 원통부(11a) 외부 바닥면에 리벳팅으로 고정된 회로기판(16)에 코드(22)를 접속한 상태에서 원통부(11a)를 이어폰 하우징(20)의 원통형 지지부(21)에 끼운 상태로 이어폰 유니트(10)와 이어폰 하우징(20)의 가장자리를 마감용 밴드(23)로 둘러서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 이어폰 리시버에 적용되는 보호커버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비자성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도전성 물질, 저투자율 금속으로써 고주파 대역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영구자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계를 감쇄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영구자석의 자계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보호커버를 영구자석으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장착할 수도 있지만, 이어폰 리시버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되고, 실제 사용에 부적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동판(15)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보호커버(17)의 재질로 고투자율의 연자성 금속을 적용한다.
바람직하게, 보호커버(17)의 두께는 가공성와 강도를 고려하여 0.1 내지 0.4㎜가 적절하며, 고투자율의 금속으로는 뮤실드 컴퍼니의 MuMETAL(상품명), HyMu80(상품명), Hipernom(상품명) 또는 Permalloy 80(상품명), Silicon Iron(상품명), Sendust(상품명)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뮤실드 컴퍼니의 고투자율 연자성 금속인 MuMETAL(두께 0.0254㎜)을 이용하여 핸드폰용 이어폰 리시버에서 방출되는 자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구자석의 표면자속밀도: 1,200 가우스
보호커버로 누설되는 표면자속밀도: 80 가우스
즉, 대부분의 누설자속이 보호커버(17)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정도의 수치는 신용카드 등의 마그네틱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에 손상을 가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이어폰 리시버를 신용카드 등과 같이 접촉시키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음의 방출을 위해 보호커버(17)에는 다수개의 음 방출공을 형성하지만 구멍의 직경이나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전체 표면적에 대한 음 방출공의 개구율이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면, 충분한 음의 방출을 실현하면서도 자계를 충분하게 감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니(Sony)사의 일부 이어폰 리시버에서는 보호커버가 없고 보호그릴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보호그릴을 고투자율 연자성 금속으로 제작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고안의 보호커버는 통상적인 보호커버는 물론이고 보호그릴과 같은 다른 형태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서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어폰 리시버에 내장되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계가 실질적으로 외부에 적은 양이 누설되도록 함으로써 귀와 뇌부분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를 기록한 자기매체를 구비한 제품과 접촉하여도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이어폰 리시버에 있어서,
    진동판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가 고투자율의 연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내장된 영구자석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자계를 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두께는 0.1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다수개의 음 방출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음 방출공들의 전체 표면적에 대한 개구율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리시버.
KR20-2003-0030673U 2003-09-29 2003-09-29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KR200336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673U KR200336098Y1 (ko) 2003-09-29 2003-09-29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673U KR200336098Y1 (ko) 2003-09-29 2003-09-29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098Y1 true KR200336098Y1 (ko) 2003-12-18

Family

ID=4942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673U KR200336098Y1 (ko) 2003-09-29 2003-09-29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0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144B2 (en) Magnetic field antenna
US9525930B2 (en) Magnetic field antenna
KR910006587Y1 (ko) 이어폰
JP3740014B2 (ja) 電流力計形磁気変換器、特に電気通信機器における変換器による磁界の広がり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225633B2 (en) Dust shielding apparatus
KR100662532B1 (ko) 스피커, 이를 사용한 모듈, 전자 기기 및 장치
WO2021174568A1 (zh) 扬声器
US9247348B2 (en) Speaker having a horizontal former
CN213126461U (zh) 发声单体、扬声器及电子终端
US10993038B2 (en) Speaker
US20090220119A1 (en) Speaker, and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device that use the speaker
JP5069620B2 (ja) ヘッドホン
US10932047B2 (en) Sound generator
US7561705B2 (en) Reduction of flux leakage in a dynamic microphone
KR200336098Y1 (ko) 자계가 차폐된 이어폰 리시버
CN108495205B (zh) 喇叭组件及电子设备
KR100541561B1 (ko) 피로 감소를 위한 소형 스피커 유닛
KR20220039550A (ko) 드라이버 고정용 브라켓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리시버
JP3557361B2 (ja) 受話用電気音響変換装置
KR200336323Y1 (ko) 영구자석의 자계 차폐용 액세서리
US11432073B2 (en) Loudspeaker assembly,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5399391B2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CN208128517U (zh) 一种高功率微型扬声器
KR200396654Y1 (ko) 피로 감소를 위한 소형 스피커 유닛
JP3955968B2 (ja) 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