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964Y1 - 작업연장 걸이대 - Google Patents

작업연장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964Y1
KR200335964Y1 KR20-2003-0030379U KR20030030379U KR200335964Y1 KR 200335964 Y1 KR200335964 Y1 KR 200335964Y1 KR 20030030379 U KR20030030379 U KR 20030030379U KR 200335964 Y1 KR200335964 Y1 KR 200335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iveting
hanger
metal plate
l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철주
Original Assignee
주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철주 filed Critical 주철주
Priority to KR20-2003-003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조임대'의 심한 요동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이로써 '조임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조임대'의 위치 이탈에 따르는 지상작업자의 부상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착용자의 벨트(B)가 관통되어지도록 반분된 위치에서 접혀져 그 양단부가 리벳(R)팅에 의해 결착되는 피혁물(102); 상기 피혁물(102)의 전면에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그 일측 위치에서 저부 개구 상태하에서 반원형태를 취하는 돌출부(112)가 성형되어진 금속판(114); 상기 금속판(114)의 돌출부(112)에 비교적 직선단변부에 근접된 위치 및 이에 상응하는 부위의 상기 피혁물(10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힌지핀(H); 상기한 힌지핀(H)에 그 수직단(122)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단(122) 하단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절곡되어 폐구간이 조성되도록 걸이단(124)이 형성되어진 망치걸이구(126); 상기 금속판(114)의 타측 상부의 위치에 그 장착단(132)이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이 장착단(132)이 그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관형부재(134)로 이루어진 조임대 걸이구(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연장 걸이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작업연장 걸이대{hanger for tool}
본 고안은 작업연장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연장을 작업자 몸에 지녀 휴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작업연장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연장, 즉 망치나 조임대 등과 같은 공구가 쓰이며, 고소작업이 많아 이와 같은 다종의 공구들을 작업자의 몸에 지녀야만 할 뿐 아니라, 작업자 몸으로부터 공구를 쉽게 탈거시킬 수 있고 아울러 공구를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 몸에서 공구가 임의로 쉽게 탈거되지 않게 하여야만 한다.
대개는 뚜껑없는 가방을 만들어 이에 망치, 조임대 등을 수납하여 왔으며, 뚜껑없는 가방에 허리벨트를 달아서 사용자의 몸에 가방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방에 다종의 공구들을 함께 수납하게 됨으로써 작업종류에 해당하는 필요한 공구만을 선별적으로 꺼내 쓰기가 곤란하고, 공구가 수납 상태에서 임의로 쉽게 쏟아져 떨어질 우려가 다분하며, 이럴 경우 지상 작업자들을 부상시킬 염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피혁이나 직물에 금속판을 부착시키고 이 금속판에 다수의 걸이구를 형성하여 망치 및 조임대 등을 걸어둘 수 있는 걸이대를 널리 쓰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걸이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혁대에 착용되는 착용판(10)과, 이 착용판(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되는 후면판(30) 및 전면판(20)과, 이 전면판(20)에 장치되는 줄자걸이구(40), 조임대걸이구(50), 망치걸이구(6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면판(20), 후면판(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전면판(20)은 하단 좌우측에 저면이 개구되는 제1돌출물(21)과 제2돌출물(22)이 반원형상을 유지하면서 일체로 성형되어 착용판(10)의 전면에 위치하고, 후면판(30)은 착용판(10)의 후면에 위치하여 서로 리벳팅(70)된다.
또, 상기 착용판(10)은 전면판(20)과 후면판(30)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전면판(20)과 후면판(30)이 서로 리벳팅(70)될 때 상단이 절곡되면서 같이 리벳팅(70)되게 하여 작업자의 혁대가 끼워지는 착용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줄자걸이구(40)는 착용판(1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판(10) 상단에서좌우측이 리벳팅(71) 결합되면서 줄자가 걸어지는 걸이홈(41)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한 조임대걸이구(50)는 전면판(20)의 제1돌출물(21) 중간에 축설된 힌지축(21a)과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5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임대가 삽입되는 걸이홈(52)이 형성되며 외부와 간섭되면 제1돌출물(21) 내에서 일정구간 좌우 회전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망치걸이구(60)는 전면판(20)의 제2돌출물(22) 중간에 축설된 힌지축(22b)과 힌지 결합되는 고정부(61)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망치가 걸어지는 걸이홈(62)이 형성되며 외부와 간섭되면 조임대걸이구(50)와 같이 제2돌출물(22) 내에서 일정구간 좌우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망치걸이구(60)의 단부에 스프링(65)의 장력을 받는 회전레버(63)들을 각각 힌지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걸이대는, 착용판(10)의 착용구멍(11)을 작업자의 혁대에 끼운후, 줄자를 줄자걸이구(40)의 걸이홈(41)에 끼우고, '조임대'는 조임대걸이구(50)의 걸이홈(52)에, 그리고 '망치'를 망치걸이구(60)에 걸어 휴대한다.
특히 '망치'로 회전레버(63)를 밀어서 회전레버(63)로 하여금 스프링(65)의 탄력을 이기고 안쪽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함으로써 '망치'를 회전레버(63) 안쪽으로 진입시킬 수 있게 되고, 회전레버(63)에 더 이상 미는 힘이 작용되지 않으면, 회전레버(63)는 스프링(65)의 탄력으로 복귀되어 닫힘으로써, '망치'를 폐쇄구간내에서 걸어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걸이대는, 특히 조임대걸이구(50)가 링 형상의 선형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조임대'가 심하게 요동할 수 있으며, 심한 요동으로 인한 '조임대'의 위치 이탈 및 지상작업자를 다치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조임대'의 심한 요동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이로써 '조임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조임대'의 위치 이탈에 따르는 지상작업자의 부상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작업연장 걸이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작업연장 걸이대를 통하여, 부분 절첩이 가능하고 따라서 미사용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하나의 걸이구를 단순히 펴기만 하여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등의 다른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작업연장 걸이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작업연장 걸이대의 부분 사용예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 3은 종래 작업연장 걸이대의 사용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외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사용 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연장 걸이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벨트
102 : 피혁물
114 : 금속판
H : 힌지핀
126 : 망치걸이구
136 : 조임대 걸이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착용자의 벨트(B)가 관통되어지도록 반분된 위치에서 접혀져 그 양단부가 리벳(R)팅에 의해 결착되는 피혁물(102); 상기 피혁물(102)의 전면에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그 일측 위치에서 저부 개구 상태하에서 반원형태를 취하는 돌출부(112)가 성형되어진 금속판(114); 상기 금속판(114)의 돌출부(112)에 비교적 직선단변부에 근접된 위치 및 이에 상응하는 부위의 상기 피혁물(10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힌지핀(H); 상기한 힌지핀(H)에 그 수직단(122)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단(122) 하단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절곡되어 폐구간이 조성되도록 걸이단(124)이 형성되어진 망치걸이구(126); 상기 금속판(114)의 타측 상부의 위치에 그 장착단(132)이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이 장착단(132)이 그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관형부재(134)로 이루어진 조임대 걸이구(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연장 걸이대를 제공한다.
상기한 망치걸이구(126)는, 그 수직단(122)에 근접된 위치에서 그 걸이단(124)이 고정단부(128a)와 회동단부(128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128a)에 회동제한용 돌기(128c)가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단부(128a) 일부분과 회동제한용 돌기(128c)가 축방향으로의 섭동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회동제한용 돌기(128c)의 상면선 및 이에 직교하는 측면선에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가상의 xy축을 기준하였을 때 4/4분기 구역으로부터 4/2분기 구역까지의 회동범위가 확보되도록 반원홈(128d)이 상기한 회동단부(128b)에 파이고, 상기 고정단부(128a) 외주에 링홈이 파이고, 이 링홈에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내재되어지도록 상기한 회동단부(128b)에 법선 방향으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나사부재(S)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조임대 걸이구(136)는, 그 장착단(132)으로부터 돌출 상태로 절곡되는 연장단(138)이 그 관형부재(134)의 후부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관형부재(134)의 어느 세로선 부위에서 절개되어 맞대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부재(134)의 전방 부분이 절취되어진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고안에 따른 걸이대의 일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혁물(102)과, 이에 결착되는 금속판(114)과, 상기 금속판(114)에 결합되는 힌지핀(H)과, 상기 힌지핀(H)에 결합되는 망치걸이구(126)와, 상기 금속판(114)에 고정되는 조임대 걸이구(136)로 구성된 작업연장 걸이대를 제공한다.
즉, 상기한 피혁물(102)은 착용자의 벨트(B)가 관통되어지도록 반분된 위치에서 접혀져 그 양단부가 리벳(R)팅에 의해 결착되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피혁물(102)의 전면에 상기 금속판(114)이 리벳(R)팅으로 결착되어지는데, 이러한 금속판(114)은 그 일측 위치에서 저부 개구 상태하에서 반원형태를 취하는 돌출부(112)가 성형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핀(H)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판(114)의 돌출부(112)에 비교적 직선단변부에 근접된 위치 및 이에 상응하는 부위의 상기 피혁물(102)을 관통하여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망치걸이구(126)는 상기한 힌지핀(H)에 그 수직단(122)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단(122) 하단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절곡되어 폐구간이 조성되도록 걸이단(124)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임대 걸이구(136)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판(114)의 타측 상부의 위치에 그 장착단(132)이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이 장착단(132)이 그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관형부재(13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치 자루를 망치걸이구(126)의 걸이단(124)에 끼워넣으면 망치머리가 망치걸이구(126)의 걸이단(124)에 안착되어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망치와 망치걸이구(126)가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실시예 2]
본 고안은 도 8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망치걸이구(126)가 그 수직단(122)에 근접된 위치에서 그 걸이단(124)이 고정단부(128a)와 회동단부(128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128a)에 회동제한용 돌기(128c)가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단부(128a) 일부분과 회동제한용 돌기(128c)가 축방향으로의 섭동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회동제한용 돌기(128c)의 상면선 및 이에 직교하는 측면선에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가상의 xy축을 기준하였을 때 4/4분기 구역으로부터 4/2분기 구역까지의 회동범위가 확보되도록 반원홈(128d)이 상기한 회동단부(128b)에 파이고, 상기 고정단부(128a) 외주에 링홈이 파이고, 이 링홈에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내재되어지도록 상기한 회동단부(128b)에 법선 방향으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나사부재(S)가 구비되어진 구조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실시예3]
본 고안은 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조임대 걸이구(136)가, 그 장착단(132)으로부터 돌출 상태로 절곡되는 연장단(138)이 그관형부재(134)의 후부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관형부재(134)의 어느 세로선 부위에서 절개되어 맞대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부재(134)의 전방 부분이 절취되어진 형태로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로써, 조임대 걸이구(136)는 그 관형부재(134)의 직경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다양한 직경의 조임대를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조임대 걸이구(136)를 코일스프링 형태의 것으로 형성 구비하고, 이의 양단을 둥글게 말아 리벳팅이 가능한 장착단(132a)(132b)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연장 걸이구는, 특히 '조임대'의 심한 요동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고, 이로써 '조임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조임대'의 위치 이탈에 따르는 지상작업자의 부상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에서 부분 절첩이 가능하고 따라서 미사용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하나의 걸이구를 단순히 펴기만 하여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착용자의 벨트(B)가 관통되어지도록 반분된 위치에서 접혀져 그 양단부가 리벳(R)팅에 의해 결착되는 피혁물(102);
    상기 피혁물(102)의 전면에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그 일측 위치에서 저부개구 상태하에서 반원형태를 취하는 돌출부(112)가 성형되어진 금속판(114);
    상기 금속판(114)의 돌출부(112)에 비교적 직선단변부에 근접된 위치 및 이에 상응하는 부위의 상기 피혁물(10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힌지핀(H);
    상기한 힌지핀(H)에 그 수직단(122)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직단(122) 하단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절곡되어 폐구간이 조성되도록 걸이단(124)이 형성되어진 망치걸이구(126);
    상기 금속판(114)의 타측 상부의 위치에 그 장착단(132)이 리벳(R)팅으로 결착되되, 이 장착단(132)이 그 상측에 연장 형성되는 관형부재(134)로 이루어진 조임대 걸이구(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업연장 걸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망치걸이구(126)는,
    그 수직단(122)에 근접된 위치에서 그 걸이단(124)이 고정단부(128a)와 회동단부(128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128a)에 회동제한용 돌기(128c)가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단부(128a) 일부분과 회동제한용 돌기(128c)가 축방향으로의 섭동 가능하게 끼워지되, 상기 회동제한용 돌기(128c)의 상면선 및 이에 직교하는 측면선에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가상의 xy축을 기준하였을 때 4/4분기 구역으로부터 4/2분기 구역까지의 회동범위가 확보되도록 반원홈(128d)이 상기한 회동단부(128b)에 파이고,
    상기 고정단부(128a) 외주에 링홈이 파이고, 이 링홈에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내재되어지도록 상기한 회동단부(128b)에 법선 방향으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나사부재(S)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연장 걸이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임대 걸이구(136)는,
    그 장착단(132)으로부터 돌출 상태로 절곡되는 연장단(138)이 그 관형부재(134)의 후부 상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관형부재(134)의 어느 세로선 부위에서 절개되어 맞대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부재(134)의 전방 부분이 절취되어진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연장 걸이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임대 걸이구(136)는,
    그 양단을 리벳팅이 가능한 장착단(132a)(132b)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것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연장 걸이구.
KR20-2003-0030379U 2003-09-25 2003-09-25 작업연장 걸이대 KR200335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79U KR200335964Y1 (ko) 2003-09-25 2003-09-25 작업연장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79U KR200335964Y1 (ko) 2003-09-25 2003-09-25 작업연장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964Y1 true KR200335964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379U KR200335964Y1 (ko) 2003-09-25 2003-09-25 작업연장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9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153B2 (en) Belt mounted tool holder
US20020170933A1 (en) Tool pouch with swiveling removable belt attachment
US7222767B1 (en) Nail gun with an adjustable clip assembly
US20070170220A1 (en) Tool holder with roller edge receiver
US8534375B2 (en) Electric power tool with a holding device
US9126328B2 (en) Tool holder unit
US7353736B2 (en) Enhanced multi-function hand tool
JP4369349B2 (ja) 刈払機の吊具構造
CA2408378C (en) Personal tool carrying device
US20110132953A1 (en) Hammer holder
US20230218960A1 (en) Support for golf bag towel
GB2380701A (en) Fastening structure of handle and working part of a tool
KR200335964Y1 (ko) 작업연장 걸이대
US6513846B2 (en) Length-adjustable ground-working tool
US11065756B2 (en) Tool bag carrying assembly
KR200386257Y1 (ko) 공구 걸이구
US5356000A (en) Garment bag with multi-position front flaps
US20060022002A1 (en) Accessory bit carrier
DE102005061185A1 (de) Werkzeug- und Utensilienaufbewahrungs- und Transportsystem
JP3114256U (ja) 吊下げ具
JP3208444U (ja) 工具差し
US20230235775A1 (en) Racking carabiner
KR200164803Y1 (ko) 작업연장 걸이대(A hanger of tools)
JP3106248U (ja) ショルダーストラップ
KR20060042307A (ko) 작업용 플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