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814Y1 -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814Y1
KR200335814Y1 KR20-2003-0023703U KR20030023703U KR200335814Y1 KR 200335814 Y1 KR200335814 Y1 KR 200335814Y1 KR 20030023703 U KR20030023703 U KR 20030023703U KR 200335814 Y1 KR200335814 Y1 KR 200335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capula
farm
hopper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7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헌
Original Assignee
김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헌 filed Critical 김동헌
Priority to KR20-2003-0023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8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81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꼬막 채취기는 유입구가 형성된 격자상의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로부터 그릴에 의해 분리된 상하부 포집부와, 양식장 또는 뻘의 바닥면을 파고 꼬막을 포집하는 것으로 상기 골조부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들과, 상기 돌기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성지지시키는 탄성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한 걸고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nacle harvester is rot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by divi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arm, or the upper and lower collecting section separated by the grill from the frame, the bottom of the farm or 뻘 And a hook portion having a support shaft, which is possibly installed, protrusions projecting forward from the support shaft, and elastic bias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protrusions face forward.

Description

꼬막 채취기{apparatus of picking cockles}Cockroker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본 고안은 꼬막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식장으로부터 꼬막채취기를 이용하여 채취된 꼬막을 다중으로 선별하여 꼬막의 선별효율을 높인 꼬막 채취기와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rchief so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rchief harvester and a sorter having improved the sorting efficiency of the keratoma by selecting multiple scabs collected using the kerchief harvester from the farm.

통상적으로 바다에서 채취한 꼬막은 외부에 묻어 있는 갯벌흙과 이물질을 세척하여 주어야 하며, 속이 비어있는 폐각을 선별하여야 하고, 또한 일정크기 이하의 작은 꼬막은 선별하여 다시 바다의 양식장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게 선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채취된 다량의 꼬막을 손쉽게 세척하고 폐류와 일정크기 이하의 꼬막을 선별하는 장치나 시스템이 필요하였던 것이다.Normally, the seawalls collected from the sea should be cleaned of mudflats and foreign matters buried outside, and the hollow shells should be sorted out. Also, the small seams below a certain size can be sorted and sent back to the sea farm. Should be screened. This required an apparatus or system for easily washing a large amount of collected vesicles and sorting waste streams and sub-sized pods.

한국 등록특허 제1996-0009487 호에는 꼬막 선별 시스템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996-0009487 discloses an example of the cockle screening system.

개시된 꼬막 선별 시스템은 채취한 꼬막을 받아 이송시킬 수 있게 선단으로 일정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공급이송부와, 상기 공급이송부로부터 공급된 꼬막을 회전하면서 세척과 동시에 압착하여 폐류의 껍데기를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압착롤러부와, 상기 압착롤러부를 통과한 꼬막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주는 이중 원통형상의 선별이송부와, 상기 선별이송부를 통과한 양질의 꼬막을 이송시켜 포장할 수 있게 끝단에 경사를 이루게 설치되는 회수 이송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cocklear sorting system can separate the shell of the waste stream by rotating the feeder and the feeder which is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lope to the tip so as to receive and transport the collected cockle, while simultaneously rotating and washing the cockle supplied from the feeder. Inclined at the end to transport and package the pressing roller portion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he double cylindrical sorting conveying portion for sorting the scapula passing through the squeezing roller portion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high-quality scapula passing through the sorting conveying portion It includes a recovery transfer unit is installed to mak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꼬막 선별기는 꼬막의 선별이 하나의 선별이송부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꼬막의 선별효율이 저하되고 선별 이송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소형화가 어렵고 꼬막 채취선에 설치가 어려워 별도의 바지선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꼬막의 채취와 선별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꼬막의 채취와 선별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됨으로써 산지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폐각이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above-mentioned cockle sorter is selected by one sorting transporter, the sorting efficiency of the cockle is reduced and the length of the sorting transporter is relatively long, so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and difficult to install on the cockle harvester. Barge is required. Therefore, the collection and sorting of the scapula is not carried out in a batch, and a lot of labor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the scapula.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꼬막과 폐각의 선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꼬막 채취기에 선적이 가능한 꼬막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can improve the screening force of the kerchief and closed angle,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iniscule selector that can be shipped to the kerchief harvester can be miniaturiz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식장으로부터 꼬막과 다른 폐류를 선별하여 채취할 수 있는 꼬막 채취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rchief harvester capable of sorting and collecting kerchief and other waste streams from the farm.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꼬막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ckle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선별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irst selection means,

도 3은 분리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3 is a partial abl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ng means,

도 4는 제2선별수단을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orting means;

도 5는 채취기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rvester,

도 6은 채취기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rvester,

도 7은 돌기부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support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꼬막선별기 20; 제1선별수단10; Pinot separator 20; First selection means

40; 분리수단 60; 제2선별수단40; Separating means 60; Second sorting means

100; 채취기100; Harves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꼬막 선별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ckle s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투입호퍼와 연결되어 꼬막과 상대적으로 큰 폐류를 분리시키는 제1선별부와, 상기 제1선별부의 외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제1선별부를 감싸며 세1선변부로부터 분리된 꼬막과 폐각을 분리하는 제2선별부와, 상기 제1,2선별부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을 구비한 제1선별수단과;A first sorting part connected to the input hopper to separate the large effusion from the scapula, and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orting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rround the first sorting part and to separate the scapula and the lung angle separated from the three first edge parts. A first sorting means having a second sorting part and a first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sorting parts;

상기 제2선별기에 의해 분리된 꼬막을 가압 및 엇갈린 외력을 가하는 적어도 두 개가 롤러와, 상기 롤러들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을 가지는 분리수단과;Separating means having at least two rollers for pressurizing and staggering the scapula separated by the second sorter, and seco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ollers;

상기 가압수단의 롤러들을 통과한 꼬막이 튜입되는 액조와, 상기 액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물의 부상력으로 꼬막과 폐각을 분리하는 제2선별수단을 구비한다.And a second selec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scapula and the closed angle by the floating force of the liquid tank having a liquid tank into which the scapula passes through the rollers of the pressing means, and a nozzle installed in the liquid tank to spray water.

본 고안에 있어서, 양식장으로부터 꼬막을 채취한 채취기와, 이 채취기로부터 채취된 꼬막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을 더 구비한다.상기 꼬막 채취기는 양식장으로부터 꼬막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가 형성된 격자상의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로부터 그릴에 의해 분리된 상하부 포집부와, 상기 골조부의 하부에 양식장 또는 뻘의 바닥면을 파고 꼬막을 포집하는 것으로 상기 골조부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돌기부들과, 상기 회전축을 돌기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탄성지지시키는 탄성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한 걸고리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harvester for collecting the stalk from the farm, and pumping means for pumping the stalk collected from the harvester. An upper and lower collecting portions separated by the grille from the frame portion, support shaft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by digg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arm or the shell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collecting the scapula; And a hook portion having projections forward from the front side and elastic bias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so that the projections face forw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꼬막 선별장치(10)는 꼬막 채취선에 설치되어 채취기(100)로부터 채취된 꼬막들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다른 종류의 폐류 및 폐각을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꼬막의 채취와 폐각의 분리 및 포장이 꼬막 채취선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Cortico sor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rticoline and is capable of separating relatively large types of waste streams and lung angles from the cortices collected from the harvester 100, and the separation of the cortico and the separation of the cortex. And packaging can all be done in the cockle harvester.

이러한 꼬막의 선별기(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기(100)에 의해 흡입펌프(11)에 의해 펌핑된 꼬막을 상대적으로 큰 다른 종류의 폐류와 꼬막 및 폐각을 분리하는 제1선별수단(20)과, 상기 제1선별수단(20)에 의해 분리된 꼬막을 가압 및 엇갈리는 외력을 가하여 죽꼬막의 껍질을 분리시키는 분리수단(40)과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꼬막을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부상력을 이용하여 꼬막과 폐각을 분리하는 제2선별수단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sorter 10 of the keratoma separates the keratoma, which is pumped by the suction pump 11 by the extractor 100, and separates the keratoma and the lung angle of a relatively large type of waste stream. 1 separating means 20 and the separating means 40 which separates the shell of the bamboo shoots by applying pressure and staggered external force to the separated scapula by the first selecting means 20 and the scapula separated by the separating means. And a second sor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scapula and the closed angle by using the floating force of water sprayed from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꼬막 선별기(10)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by component to the cockle sor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제1선별수단(20)은 채취기(100)에 의해 채취된 꼬막을 1차 분리하는 것으로,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며 경사지게 설치된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22)에 의해 지지되며 로드(23a)들이 회전축의 길이 방향 원주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원통형 발상의 제1선별부(23)와, 상기 제1선별부(23)의 외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선별부(23)를 감싸며 로드(23a)들이 상기 제1선별부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 즉, 꼬막은 통과되지 못하고 폐각만 통과하는 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 2선별부(2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선별부(23)를 이루는 로드들의 간격은 25mm 내지 30mm로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선별부(24)를 이루는 로드(24a)들의 간격은 18mm 내지 20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선별부(23)의 길이는 제2선별부(24)이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여 1차적으로 꼬막과 꼬막이 아닌 폐류가 분리되도록 하며 제1선별부를 통과하지 못한 폐류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선별부(23)(24)의 출구측에는 각각 제1,2호퍼(25)(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선별부(23)(24)의 내부에는 상기 꼬막이 제1,2선별부의 경사방향으로 바로 흘러가지 않도록 회전시 역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깃(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orting means 20 is to firstly separate the pods collected by the harvester 100, and are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22 rotatably and inclinedly installed on the frame (not shown) and the rotating shaft 22. And the rods 23a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orting portion 2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sorting part 24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sorting part 23 and the rods 23a are arranged at an interval narrower than the gap of the first sorting part, that is, the pinch does not pass and passes only the closed angle. The interval between the rods constituting the first selection unit 23 is preferably 25mm to 30m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ods 24a constituting the second selection unit 24 is preferably 18mm to 20mm. Do.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orting unit 23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orting unit 24 so as to separate the pulmonary stream and the non-cortical waste stream, and easily take out the waste stream which has not passed the first sorting unit. It is desirable to. First and second hoppers 25 and 26 are provided at the outle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units 23 and 24, respectively. At least one feather (not shown) for discontinuously mo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rotation so that the pinnacle does not flow directly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parts in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parts 23 and 24. It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상기 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은 소정의 제1구동수단(27)에 의해 구동된다. 이 구동수단은 유압모터(27a)와 이 유압모터(27a)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27b)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27c)와 상기 구동스프로킷(27b)와 종동 스프로킷(27c)에 걸리는 체인(27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shaft 22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21 is driven by a predetermined first driving means (27). The drive means includes a hydraulic motor 27a and a drive sprocket 27b provided on the drive shaft of the hydraulic motor 27a, a driven sprocket 27c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the drive sprocket 27b, and a driven sprocket 27c. It may be made of a chain 27d hanging.

상기 분리수단(40)은 제2호퍼(26)와 연결되어 제1선별수단(20)에 의해 선별된 꼬막들을 가압하고 문질러 죽은 꼬막의 껍질들을 분리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3에 나타내 보였다.The separat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pper 26 to pressurize the selected cocks by the first selection means 20 and to separate the shells of the dead cocks, one embodiment is shown in FIG. .

도면을 참조하면 분리수단(40)은 상기 제2호퍼와 연결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근접되거나 접촉되는 한 쌍의 제1,2롤러(42)(43)들과, 이 제1,2롤러(42)(43)들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44)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41)의 상부에는 상기 제1,2롤러(42)(43)들의 사이로 꼬막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부(41a)가 형성되고 이 호퍼부(41a)는 상기 제2호퍼(26)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롤러(42)(43)들 중의 적어도 일측에는 외주면에 따라 구루브(43a)가 형성되는데, 이 그루브(43a)는 길이 방향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 그루브(43a)의 깊이는 꼬막이 끼워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가능하다. 상기 제1,2롤러(42)(43)들은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수단은 제1,2롤러(42)(43)들의 일측 회전축에 설치되는 유압모터와 일측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측의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미도시)들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parating means 40 includes a housing 41 connected to the second hopper,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rollers 42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41 and in proximity or contact with each other. 43, and second driving means 44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41 is formed with a hopper portion 41a for supplying the pinc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and the hopper portion 41a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pper 26. Connected. 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is formed with a groove 43a accor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groove 43a may be helically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depth of the groove 43a can be as large as the pinch can fit.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may be made of silicon or a soft rubber material. The second driving means includes gears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hydraulic motor installed on on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and a rotation shaft of the other sid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one roller.

상기 제2선별수단(60)은 상기 분리수단을 통과한 꼬막을 물의 부상력을 이용하여 양질의 꼬막과 폐각을 분리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측면에 제1,2호퍼부(61)(62)를 가지며 내부에 세척액(64)이 담긴 액조(63)와, 상기 액조(63)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꼬막측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며 꼬막들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노즐관(64)들과, 상기 노즐관(64)들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펌프(65)로 이루어진 펌핑수단과, 상기 노즐관(64)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액(64)을 요동시키는 요동수단(66)을 구비한다. 상기 요동수단(66)은 세척에 잠기는 블레이드(66a)와, 브레이드(66a)를 회전 또는 회전시키는 액튜에이터(66b)를 포함한다. 상기 제1호퍼부(61)에는 제1스크류 피더(70)가 설치되어 포장을 위한 호퍼(71)로 꼬막을 공급하고 상기 상기 제2호퍼부(62)에는 제1스크류 피더(80)가 설치되어 폐각을 배출할 수 있다.The second sorting means (60) is to separate the high-quality cocktail and the closed angle by using the floating force of the water through the separation means, the first and second hopper parts on the lower and side as shown in FIG. (61) and (62) having a liquid tank 63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64 therein, 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liquid tank 63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to the side of the inlet flows and is installed at intervals that can pass through Pumping means consisting of nozzle tubes (64), a pump (65) for injecting a washing liquid into the nozzle tubes (64), and swinging means (35), which is located above the nozzle tube (64), to shake the washing liquid (64). (66). The swinging means 66 includes a blade 66a which is immersed in the washing, and an actuator 66b which rotates or rotates the braid 66a. The first hopper portion 61 is provided with a first screw feeder 70 to supply the scapula to the hopper 71 for packaging, and the first screw feeder 80 is installed in the second hopper portion 62. It can be exhausted.

한편, 제1선별부(20)의 호퍼로의 꼬막의 공급은 채취기(100)에 의해 채취된 꼬막을 흡입펌프(11)를 이용하여 펌핑하여 공급된다. 상기 채취기(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01)가 형성된 격자상의 골조부(102)와 상기 골조부(102)로부터 연장되는 포집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골조부(102)로부터 그릴(104)에 의해 상하부 포집부(105)(106)로 분리된다. 상기 그릴(104)는 로드들이 소정의 간격 꼬막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꼬막은 하부 포집부(106)로 포집되고, 꼬막보다 상대적으로 큰 폐류는 상부포집부(105)에 포집된다. 상기 상하부 포집부(105)(106)의 후단부는 접차적으로 좁아져 포집부로 모인 꼬막이 모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포집부(106)의 후단부에는 흡입펌프(11)의 흡입구와 연결된 흡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포집부(105)의 후단부에는 폐류를 모으기 위한 그물망(107)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of the vesicles to the hopper of the first selection unit 20 is supplied by pumping the vesicles collected by the harvester 100 using the suction pump 11. The harvester 100 includes a grid-shaped frame portion 102 formed with an inlet 101 and a coll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ame portion 102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ollec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rame portion 102 by the grille 104 into upper and lower collecting portions 105 and 106. The grill 104 is installed at intervals through which rods may pass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pinnacles are collected by the lower collector 106, and a waste stream larger than the pinnacles is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or 105. The rea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llecting portions 105 and 106 are preferably narrow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alks gathered into the collecting portions are collected.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ump 11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collecting unit 106, and a net 107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collecting unit 105 to collect waste flow.

한편, 상기 골조부(102)의 하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장 또는 뻘의 바닥면을 파고 꼬막을 포집하기 위한 갈고리부(110)가 형성되는데, 이 갈고리부(110)는 상기 골조부(102)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111)과, 상기 지지축(1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기부(112)들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축(111)의 일측에는 레버(113)가 형성되고 이 레버(113)는 골조부에 지지된 스프링(114)에 돌기부(112)가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돌기부(112)가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지지되는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지지축(111)에 돌기부(112)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는 골조부를 끌기 위한 로프가 설치되며 채취되는 전면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수단(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펌프(11)는 꼬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펌핑할 수 있는 진공 흡입펌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2 as shown in Figures 6 and 7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110 for digg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arm or 뻘 and collecting the scapula, the hook portion 110 is The support shaft 111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2 and the protrusions 112 forward from the support shaft 111 is provided. A lever 11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shaft 111, and the lever 113 is supported such that the protrusion 112 is elastically biased forward by a spring 114 supported by the frame part.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112 is supported to be elastically biased forwar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structure may be provided so long as the structure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shaft 111 so that the protrusion 112 may face forward. Do.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is installed with a rope for pulling the frame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means 120 for photographing the front surface to be collected. The suction pump 11 preferably uses a vacuum suction pump capable of pumping without damaging the scapula.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꼬막 선별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ckle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꼬막 채취선에 꼬막 선별기(10)와 꼬막 채취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채취선이이동하게 되면 꼬막 채취기(100)의 돌기부(112)가 양식장의 뻘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꼬막 및 이와 다른 폐류들을 골조부(102)의 유입구(101)로 유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폐류와 꼬막은 그릴(104)에 의해 꼬막 및 이 꼬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폐류로 분리된다. 즉, 꼬막은 그릴(104)을 통과하여 하부포집부(106)으로 유입되고 꼬막보다 큰 폐류는 그릴(104)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릴(104)을 따라 이동되어 그물망(107)에 담기게 된다. 이과정에서 상기 골조부(102)의 하부에 설치된 돌기부가 바위와 같은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회전축(111)이 스프링(114)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회동되어 장애물을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꼬막 채취기(100)는 선박에 의해 끌리게 되는데, 이 때에 꼬막 채취기을 끌기 위한 로프는 선박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들의 사이에서 당기거나 풀어주기 된다. 이때에 상기 롤러들은 별도의 클러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시 로프를 당기고 동력의 단락시 풀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If the collection line is moved while the coleot sorter 10 and the coleopter are mounted on the oyster collecting line, the protrusion 112 of the oyster collector 100 is moved to the inserted position of the fish farm and the kerbs and other wastes are removed. It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01 of the skeleton portion (102). The waste stream and the plexus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are separated by the grill 104 into the plexus and a relatively large waste stream as compared with the plexus. That is, the scapula passes through the grill 104 and enters the lower collecting part 106, and the waste stream larger than the scapula does not pass through the grill 104 but moves along the grill 104 and is contained in the mesh 107. In this process, when the protrusion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2 is caught by an obstacle such as a rock, the rotating shaft 11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14 so as to be rotated to cross the obstacle. And the pinnacle harvester 100 is attracted by the ship, at this time the rope for pulling the pinnare is pulled or released between the rollers driven by the power of the ship. At this time, the rollers are preferably powered by a separate clutch to pull the rope when rotating and to be released when the power is shorted.

상기와 같이 하부 포집부(106)에 모인 꼬막은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제1선별수단(20)의 호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호퍼로 공급된 꼬막은 제1구동수단(27)에 의해 회전되는 제1선별부(23)를 통과하면서 꼬막과 꼬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폐류가 분리된다. 즉 회전하는 제1선별부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큰 폐류는 제1선별부를 따라 이동되어 제1호퍼(25)로 이동되고, 제1선별부(23)의 로드 사이를 통과한 코막은 제2선별부(24)로 유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선별부(24)는 제1구동수단(27)에 의해 회전되고 로드들의 간격이 꼬막은 통과하지 못하고 페각만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2선별부(24)로 유입된 꼬막들로부터 제2선별부(24)의 로드(24a)들의 사이로 빠지지 않고 이동되어 제2호퍼(26)으로 유입되고, 폐각들은 제2선별부(24)의 로드(24a)들의 사이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유출된 폐각은 호퍼와 컨베이어에 배출된다.The pinch collected in the lower collecting unit 106 as described above is pumped by the pump and supplied to the hopper of the first sorting means 20. As described above, the cockle supplied to the hopper passes through the first selection part 23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means 27, and the wastewater relatively larger than the cockle and the cockle is separated. That is, a relatively large waste stream is moved along the first sorting unit to the first hopper 25 while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first sorting unit, and the nasal membrane passing between the rods of the first sorting unit 23 is the second sorting unit. Flows into (24). In this case, the second sorting unit 24 is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means 27 and the gap between the rods does not pass through the pinch, so that only the shell can pass, so the second sorting unit 24 flows into the second sorting unit 24. It is moved to the second hopper 26 without falling out between the rods 24a of the second selection unit 24 from the swells, and the closing angles flow out between the rods 24a of the second selection unit 24. . The waste angle thus discharged is discharged to the hopper and the conveyor.

상기와 같이 제1선별수단을 통과한 꼬막은 분리수단(40)으로 유입되어 제2구동수단(44)에 의해 구동되는 제1,2롤러(42)(43)들의 사이를 통과하게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꼬막들은 압착됨과 아울러 문질러지게되어 죽은 꼬막들이나 죽어 벌어진 꼬막들이 분리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롤러(43)의 외주면에는 그루브(43a)가 형성되어 있고 제1,2롤러(42)(43)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꼬막의 손상을 최화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inch passing through the first selection means flows into the separating means 40 and pass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driven by the second driving means 44. In this process, the snorkels are compressed and rubbed to separate dead stalks or dead stalks. In this process, grooves 43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43,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42 and 43 are made of silicon,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scapula.

상기와 같이 분리수단(40)을 통과하면서 분리된 꼬막은 제2선별수단(60)을 통과하면서 폐각을 다시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선별수단의 액조(63)의 내부에는 꼬막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의 노즐관(64)들이 설치되어 세척액들이 액조(63)에 담긴 세척액 내에서 분사됨과 아울러 요동수단(66)에 의해 브레이드(66a)를 요동시켜 세척액을 요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2세척수단으로 유입된 꼬막은 세척되면서 노즐관(64)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2호퍼부(61)로 유입되고, 페각은 노즐관(64)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와 요동수단에 의한 물의 요동으로 부상되어 제1호퍼부(61)로 유입된다. 상기 제1호퍼부로 유이된 폐각은 제1파트 피더(70)에 의해 배출되고, 상기 제2호퍼부(61)로 유입된 꼬막은 제2파트 피더에 의해 포장을 위한 호퍼(71)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ed cortices pass through the separating means 40 to separate the closed angle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sorting means 60. That is, a plurality of nozzle tubes 64 having an interval enough to pass through the pinch are installed inside the liquid tank 63 of the first selection means, and the cleaning liquids are spraye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liquid tank 63. The braid 66a is rocked by the rocking means 66 to rock the washing liquid. In this way, the scapula introduced into the second washing means is passed through the nozzle tube 64 while being washed,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hopper part 61, and the pentagon is flushed with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tube 64 and the oscillating means. It floats due to the fluctuation of water and flows into the first hopper part 61. The closed angle derived from the first hopper part is discharged by the first part feeder 70, and the short-circuit introduced into the second hopper part 61 is introduced into the hopper 71 for packaging by the second part feeder.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꼬막 선별기는 양식장 또는 뻘로부터 꼬막과 상대적으로 큰 폐류를 분리하고, 이를 펌핑하여 다단으로 세척 및 분리하게 되므로 폐각이 없는 양질의 꼬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꼬막 채취기는 돌기부가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회동되므로 종래와 같이 선별기의 견인력을 반드시 조절할 필요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cockle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 relatively large waste stream from the fish farm or from the fish farm, and is pumped and washed and separated in multiple stages, thereby obtaining a quality cockle without the lung angle. In addition, the cockle harvester is rotated when th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bstacl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traction force of the sorter as in the prior art.

특히 상기 꼬막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2롤러에 의해 가압 및 문질러져 분리되고 이를 새척액이 담긴 액조에서 물의 부상력을 이용하여 분리하게 되므로 꼬막의 세척과 분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capula is pressurized and rubbed and sepa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made of silicon, and the scapula is separated by using the floating force of water from the liquid bath containing the vertebral fluid, so that the scapula can be simultaneously washed and separated.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ttached claims.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양식장으로부터 꼬막을 채취하는 꼬막 채취기에 있어서,In the scoop collector, which collects stalks from the farm, 유입구가 형성된 격자상의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로부터 그릴에 의해 분리된 상하부 포집부와, 양식장 또는 뻘의 바닥면을 파고 꼬막을 포집하는 것으로 상기 골조부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들과, 상기 돌기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탄성지지시키는 탄성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한 걸고리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막 채취기.A lattice frame part having an inlet formed therein, an upper and lower collecting part separated by the grille from the skeleton part, a support shaft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keleton part by digg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arm or the shell, And a hook portion having protrusions projecting forward from the support shaft and elastic bias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so that the protrusions face forward.
KR20-2003-0023703U 2003-07-23 2003-07-23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KR2003358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03U KR200335814Y1 (en) 2003-07-23 2003-07-23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03U KR200335814Y1 (en) 2003-07-23 2003-07-23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814Y1 true KR200335814Y1 (en) 2003-12-11

Family

ID=4934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703U KR200335814Y1 (en) 2003-07-23 2003-07-23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814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34B1 (en) 2017-10-18 2019-04-02 서홍석 Cockle seed separator
KR102016099B1 (en) * 2019-01-28 2019-08-29 김정명 Apparatus for seperating fishery products
KR20190103687A (en) * 2018-02-28 2019-09-05 김정명 Auto separating apparatus for Sea squirt
KR102106132B1 (en) 2019-11-12 2020-05-04 지문길 the loading and unloading transpire system for arkshell carrier
KR20200124443A (en) * 2019-04-24 2020-11-03 김양현 Automatic falling device of scapharca subcrenata see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34B1 (en) 2017-10-18 2019-04-02 서홍석 Cockle seed separator
KR20190103687A (en) * 2018-02-28 2019-09-05 김정명 Auto separating apparatus for Sea squirt
KR102196973B1 (en) 2018-02-28 2020-12-30 김정명 Auto separating apparatus for Sea squirt
KR102016099B1 (en) * 2019-01-28 2019-08-29 김정명 Apparatus for seperating fishery products
KR20200124443A (en) * 2019-04-24 2020-11-03 김양현 Automatic falling device of scapharca subcrenata seed
KR102264621B1 (en) 2019-04-24 2021-06-11 김양현 Automatic falling device of scapharca subcrenata seed
KR102106132B1 (en) 2019-11-12 2020-05-04 지문길 the loading and unloading transpire system for arkshell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5297A1 (en) Solid-liquid separating apparatus
JP5166974B2 (en) Food cleaning equipment
CN112301978B (en) Marine garbage collection device
CN109042822B (en) Mussel processing method
CN218111379U (en) Little plastic preprocessing device convenient to clearance soil
CN111001470B (en) Screening plant for soil remediation
CN108325732B (en) Tea-oil camellia fruit preliminary treatment production line
CN109042821B (en) Grading device
KR20130065347A (en) An appartus for conducting a drying screen of laver
KR200335814Y1 (en) apparatus of picking cockles
CN115449456A (en) Separation and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water
KR100494292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husking bulbs using High pressure water
CN109006964B (en) Rubbing device
CN109126932A (en) Rice cleaning device
CN211585521U (en) Improved generation is grid machine for sewage treatment
CN218653329U (en) Drilling fluid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08863165U (en) Self-propelled cyperue esculentus cropper
CN111705769A (en) Riverbed stubborn garbage cleaning device based on adsorption dredging
JP2003009833A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CN112825906B (en) Mussel cleaning and screening device
CN108782725B (en) Unhairing device
CN213719691U (en) Belt cleaning device is used in stew in soy sauce food processing
KR102189826B1 (en) Device for Removing Extraenous Matters in Power Plant&#39;s Intake
CN216126213U (en) Raw materials belt cleaning device is used in plastic products production
CN220068781U (en) Tea-seed oil fruit belt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