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684Y1 - 섹션신문 - Google Patents

섹션신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684Y1
KR200335684Y1 KR20-2003-0028722U KR20030028722U KR200335684Y1 KR 200335684 Y1 KR200335684 Y1 KR 200335684Y1 KR 20030028722 U KR20030028722 U KR 20030028722U KR 200335684 Y1 KR200335684 Y1 KR 200335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newspaper
display unit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석
Original Assignee
강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석 filed Critical 강건석
Priority to KR20-2003-0028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7/00Newspapers or the like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섹션신문에 관한 것으로서, 중첩된 각 장의 소정 위치에 해당페이지가 표기되며 다수의 카테고리로 구획되는 일간지와, 주간지 등과 같이 신문 또는 신문형식으로 편집되는 신문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서 소정 형상으로 제 1카테고리확인부 및 제 1카테고리표시부가 형성되며 제 1카테고리가 게재되는 제 1카테고리신문과; 제 2카테고리가 게재되어 상기 제 1카테고리신문의 뒷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카테고리확인부를 통해 보여지는 제 2카테고리확인부 및 제 2카테고리표시부가 형성된 제 2카테고리신문과; 상기 제 2카테고리신문의 뒷면에서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각기 다른 카테고리가 게재된 각각의 카테고리신문들에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는 바로 뒤의 위치하는 카테고리신문에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 좁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독자가 신문을 펼치기 전에 제 1카테고리신문의 면에서 뒷부분 어느 부분에 어떤 카테고리의 기사가 있는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섹션신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섹션신문{Section Newspaper}
본 고안은, 신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자가 신문을 펼치기 전에 1면에서 뒷부분 어느 부분에 어떤 카테고리의 기사가 있는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 섹션신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문 또는 신문형식으로 되어 있는 일간지와, 주간지 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과 같이 3~4가지 정도의 커다란 카테고리로 기사를 분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신문 구성은, 다수의 면으로 신문을 중첩시키고 1면으로부터 이후 면으로 가면서 각 면에 페이지를 기재하여 3~4가지 정도의 카테고리로 기사를 분류하는 편집형태로 되어 있는 한편, 제 1면의 한 부분에 몇 면에 어떠한 카테고리의 기사가 몇 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지를 표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형식의 신문은, 독자가 신문에 있어서 원하는 카테고리부분만을 빨리 보고 싶을 때에는 해당 카테고리의 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신문을 몇 번이고 뒤적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종래의 신문은,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이용자가 많은 지하철 또는 버스 안에서는 원하는 카테고리를 쉽게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넓고 좁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독자가 신문을펼치기 전에 1면에서 뒷부분 어느 부분에 어떤 카테고리의 기사가 있는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섹션신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를 신문의 오른쪽 연부에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및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를 신문의 상단 연부에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및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테고리표시부가 신문의 오른쪽 연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및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테고리표시부가 반원계단식으로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및 전개도,
도 5~8은 본 고안에 따른 섹션신문에 있어서 카테고리확인부와 카테고리표시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1c, 1d, 1e, 1f, 1g : 섹션신문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 제 1카테고리신문
11, 11a, 11b, 11d, 11e, 11f, 15, 17, 19, 17a, 19a : 카테고리표시부
13, 13a, 13b, 13c, 13e : 카테고리확인부
20, 20a : 제 2카테고리신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중첩된 각 장의 소정 위치에 해당페이지가 표기되며 다수의 카테고리로 구획되는 일간지와, 주간지 등과 같이 신문 또는 신문형식으로 편집되는 신문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서 소정 형상으로 제 1카테고리확인부 및 제 1카테고리표시부가 형성되며 제 1카테고리가 게재되는 제 1카테고리신문과; 제 2카테고리가 게재되어 상기 제 1카테고리신문의 뒷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카테고리확인부를 통해 보여지는 제 2카테고리확인부 및 제 2카테고리표시부가 형성된 제 2카테고리신문과; 상기 제 2카테고리신문의 뒷면에서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각기 다른 카테고리가 게재된 각각의 카테고리신문들에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는 바로 뒤의 위치하는 카테고리신문에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신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테고리표시부는, 상기 카테고리확인부 보다 일측을 향하여 소정 폭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테고리표시부는 각 카테고리를 게재하고 있는 카테고리신문의 소정의 위치에서 앞장의 카테고리표시부 보다 외측으로 노출되어 해당 카테고리표시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를 신문의 오른쪽 연부에 형성한 것을 보인 정면 및 전개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섹션신문(1)은, 제 1카테고리신문(10)의 오른쪽에 제 1카테고리표시부부(11) 및 제 1카테고리확인부(13)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 1카데고리가 게재된 제 1카테고리신문(10)의 첫 장을 넘길 때마다 제 1카테고리확인부(13)를 통해 제 2카테고리신문(20)의 제 2카테고리표시부(15) 및 다른 카테고리표시부(17)(19)가 보일 수 있도록 카테고리표시부가 앞장에 형성된 카테고리표시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도 2 ~ 도 8에 도시된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섹션신문에 있어서 카테고리확인부와 카테고리표시부의 다른 예를 예시한 정면도 및 전개도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섹션신문(1a)은, 도 1의 섹션신문(1)이 세로식이라면 도 2에 도시된 섹션신문(1a)은 가로식 표식방법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 1카테고리신문(10a)의 위쪽에 제 1카테고리표시부(11a) 및 제 1카테고리확인부(13a)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제 1카데고리가 게재된 제 1카테고리신문(10a)의 첫 장을 넘길 때마다 제 1카테고리확인부(13a)를 통해 제 2카테고리신문(20a)의 제 2카테고리표시부(15a) 및 다른 카테고리표시부(17a)(19a)가 보일 수 있도록 카테고리표시부가 앞장에 형성된 카테고리표시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섹션신문이 노상에 진열되어 있을 때 윗 부분에 각 카테고리가 구분되어 있어서 신문을 고르는 독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관심분야가 많고 뭔가 특정한 뉴스가 있는 카테고리의 구분사항을 보고 신문을 구매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섹션신문(1b)은 파일식으로서, 카테고리표시부(11b)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카테고리가 구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섹션신문(1b)은 제 1카테고리신문(10b) 부분만 돌출되어 있고, 그 뒤로는 카테고리에 맞는 기사만 들어간다. 이와 같은 섹션신문(1b)은 경제성면에서 약간 떨어지지만 손쉽게 카테고리표시부(11b)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보기에는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섹션신문(1c)은 제 1카테고리신문(10c)에서 내측을 향하여 반원형으로 파여져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13c)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부분을 통해 다른 카테고리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계단식으로서, 제 1카테고리신문(10d)에서 뒷장으로 갈수록 신문의 폭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섹션신문(1d)는 다른 신문에 비교해 기사를 게재할 수 있는 량이 떨어지지만 신문의 일부분에 카테고리표시부(11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카테고리를 찾고 넘기는 데에는 가장 편안한 구성으로서 이와 같은 신문은 분량이 적은 어린이신문이나 학생신문에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섹션신문(1e)은 제 1카테고리신문(10e)의 오른쪽 외주면 가운데 부분에 반원형 계단식으로 카테고리표시부(11e)와 카테고리확인부(13e)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섹션신문(1e)은 모든 카테고리를 가운데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섹션신문(1f)은 제 1카테고리신문(10f)의 오른쪽 상단 구석에 대각선으로 각각의 카테고리표시부(11f)를 형성한 것으로서 뒷장으로 갈수록 각 카테고리표시부가 길어지게 된다. 이것은 도 1에 도시된 섹션신문(1)에 비해 표시 범위가 작아지게되므로 도 1의 것에 비해 시각적인 면에서 훨씬 개선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섹션신문(1g)은 제 1카테고리신문(10g)의 오른쪽 하단 구석에 대각선으로 각각의 카테고리표시부(11g)를 형성한 것으로서 뒷장으로 갈수록 각 카테고리표시부가 길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넓고 좁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독자가 신문을 펼치기 전에 제 1카테고리신문의 면에서 뒷부분 어느 부분에 어떤 카테고리의 기사가 있는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섹션신문이 제공된다.

Claims (3)

  1. 중첩된 각 장의 소정 위치에 해당페이지가 표기되며 다수의 카테고리로 구획되는 일간지와, 주간지 등과 같이 신문 또는 신문형식으로 편집되는 신문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서 소정 형상으로 제 1카테고리확인부 및 제 1카테고리표시부가 형성되며 제 1카테고리가 게재되는 제 1카테고리신문과;
    제 2카테고리가 게재되어 상기 제 1카테고리신문의 뒷장에 위치하며 상기 제 1카테고리확인부를 통해 보여지는 제 2카테고리확인부 및 제 2카테고리표시부가 형성된 제 2카테고리신문과;
    상기 제 2카테고리신문의 뒷면에서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각기 다른 카테고리가 게재된 각각의 카테고리신문들에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는 바로 뒤의 위치하는 카테고리신문에 형성된 카테고리확인부 및 카테고리표시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신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표시부는, 상기 카테고리확인부 보다 일측을 향하여 소정 폭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신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표시부는 각 카테고리를 게재하고 있는 카테고리신문의 소정의 위치에서 앞장의 카테고리표시부 보다 외측으로 노출되어 해당 카테고리표시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션신문.
KR20-2003-0028722U 2003-09-06 2003-09-06 섹션신문 KR200335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722U KR200335684Y1 (ko) 2003-09-06 2003-09-06 섹션신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722U KR200335684Y1 (ko) 2003-09-06 2003-09-06 섹션신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684Y1 true KR200335684Y1 (ko) 2003-12-11

Family

ID=4934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722U KR200335684Y1 (ko) 2003-09-06 2003-09-06 섹션신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6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9739A (ko) 잡지에 제본 가능한 가요성 자기 삽입물
US4819962A (en) Notebook provided with pages containing a window-like aperture
KR200335684Y1 (ko) 섹션신문
US6328338B1 (en) Page marking system and method
US6722309B1 (en) Bookmark
JP2003327280A (ja) ボックスティッシュ
Nielsen Rhetorical features of the company website
US20070085327A1 (en) Folder with removable bookmark
EP1060907B1 (en) Compact newspaper
US20030012915A1 (en) Sheet with indicator lines
JP3223171U (ja) ポスター兼用雑誌
JP3217119U (ja) 切り取りリーフ付き新聞
JP3002191U (ja) 書 籍
JP3110959U (ja) チラシ
KR200278193Y1 (ko) 인덱스 기능을 가지는 서적
JP3038661U (ja) 商品種別マークを有する小冊子
JPH036453Y2 (ko)
KR200242684Y1 (ko) 홍보용 소 책자
JP3019634U (ja) 名 刺
KR200229215Y1 (ko) 광고 노트
KR200182303Y1 (ko) 광고용 메모대
KR200238380Y1 (ko) 복식 즉석복권을 겸한 광고지
JP3039860U (ja) 扇 子
JPH036452Y2 (ko)
JP3072696B2 (ja) 本の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