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92Y1 - 수박 받침대 - Google Patents

수박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92Y1
KR200335392Y1 KR20-2003-0030150U KR20030030150U KR200335392Y1 KR 200335392 Y1 KR200335392 Y1 KR 200335392Y1 KR 20030030150 U KR20030030150 U KR 20030030150U KR 200335392 Y1 KR200335392 Y1 KR 200335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elon
drainage
pedestal
present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복
Original Assignee
박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복 filed Critical 박희복
Priority to KR20-2003-0030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장 중인 수박을 토양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수박 하측면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묻게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 및 배수를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여 고품질의 수박을 재배하도록 하는 수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박 받침대(100)는 상면으로 돌출되고 양측단이 경사지게 경사면(21)을 갖는 4개의 받침부(20)가 형성된 몸체(10)와, 몸체(10) 중앙에 배수공(30)이 형성되고, 배수공(30) 사방으로 십자형의 배수로(4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수박 받침대{Watermelon prop}
본 고안은 수박밭에서 사용하는 수박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장 중인 수박을 토양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시켜 수박 하측면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묻게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 및 배수가 용이하게 하는 수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수박은 1년생 덩굴성 초본식물로서 각 마디의 엽액에 꽃과 함께 곁가지가 발생하는 강한 광선 및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호온성 작물이다. 발아적온은 25-30℃ 이며 35℃ 까지는 발아에 큰 지장이 없지만 40℃ 이상의 고온에서는 발아율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착과기에는 꽃가루의 발생을 위해서 야간 최저 기온이 14℃ 이상이 되어야 한다.
수박은 토양 적응성이 넓어서 토질을 별로 가리지 않지만 수박의 뿌리는 호기성(好氣性)으로 넓고 깊게 뻗으므로 경토가 깊고 통기성이 좋은 사질 양토가 이상적이다. 또한 수박은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지만 뿌리는 물에 약하여 뿌리가 있는 곳에 물이 고이면 습해를 받아 잎과 줄기가 쇠약해진다.
그러므로 수박을 토양으로부터 이격시키지 않으면 고품질의 수박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토양에 접한 상태로 성장한 수박은 토양과 접촉하는 부분이 제대로 빛을 받지 못하여 누렇게 변하거나, 통풍이 원할하지 못하여 성장 도중에 썩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낮은 곳에 고인 물은 구멍을 뚫어서 빠지게 하고 착과 후에는 과실 밑에 짚을 깔았으나 통풍이 원활하지 못하고, 매번 다시 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대의 받침부 상면으로 수박을 올려 놓고 재배하여 토양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품질의 수박을 생산하도록 하는 수박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으로 돌출되고 양측단이 경사지게 경사면을 갖는 4개의 받침부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 중앙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 사방으로 십자형의 배수로가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인 받침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받침부 표면에 구멍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고정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박받침대
10: 몸체 20: 받침부
21: 경사면 30: 배수공
40: 배수로 50: 하트형
60: 배수골 70: 구멍
80: 고정테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수박 받침대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수박 받침대(100)는 받침부(20)가 형성된 몸체(10)와, 배수공(30)과 배수로(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는 원형 및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있고, 상면에는 4개의 받침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측이 높고 하측이 낮은 완만한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수박의 밑부분과 접촉하면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20)의 경사면(21)은 수박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한다.
상기 배수공(30)은 몸체(10)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수공(30) 사방으로 십자형 형태의 배수로(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20)는 첨부된 도면 도 3와 같이 4개 이상을 형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는 수박의 안착을 견고하게 하고 통풍 및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4과 같이 받침부(20) 모양을 하트형(50)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으로 배수골(60)형성하여 전체적인 디자인 뿐만 아니라 배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받침부(20) 표면에 다수 개의 구멍(70)을 형성하여 통풍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20)는 수박을 토양과 완전히 이격시켜 주므로 수박의 밑부분이 물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받침부(20) 표면에 형성된 배수골(60)과 구멍(70)이 배수 및 통풍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6와 같이 몸체(20) 저면에는 고정테(80)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테(80)는 환형의 테두리로 하측으로 10cm 이내로 형성되고 지중에 삽입되어 받침대(10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수박 받침대(100)는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수박을 재배하는 밭에 설치하게 된다. 받침대(100)의 고정테(80)가 지중에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받침부(20)의 경사면(21)으로 수박을 올려 놓고 재배하게 된다. 배수는 배십자형의 배수로(40)를 따라 흐르다가 중앙에 형성된 배수공(30)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슬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 상면으로 경사면을 갖는 수박 받침부를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십자형의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수박을 받침부 상면에 올려 놓고 재배하여 토양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만큼 이격되므로 밑부분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부에 형성된 배수골이나 구멍과 배수로를 통해 배수와 통풍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질 좋은 수박을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며, 고정테가 지중에 고정되어 수박을 보다 안정되게안장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수박 받침대에 있어서,
    상면으로 돌출되고 양측단이 경사지게 경사면(21)을 갖는 4개의 받침부(20)가 형성된 몸체(10)와, 몸체(10) 중앙에 배수공(30)이 형성되고, 배수공(30) 사방으로 십자형의 배수로(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가 4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를 하트형(50)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배수골(60)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 표면에 다수 개의 구멍(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 저면에는 지중에 고정되도록 고정테(80)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받침대.
KR20-2003-0030150U 2003-09-24 2003-09-24 수박 받침대 KR200335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50U KR200335392Y1 (ko) 2003-09-24 2003-09-24 수박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50U KR200335392Y1 (ko) 2003-09-24 2003-09-24 수박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92Y1 true KR200335392Y1 (ko) 2003-12-06

Family

ID=4942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150U KR200335392Y1 (ko) 2003-09-24 2003-09-24 수박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520A (ko) * 2006-09-29 2008-04-03 차병석 농작물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520A (ko) * 2006-09-29 2008-04-03 차병석 농작물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0466A1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with root pruning aerations apertures and exterior water level indicator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US6370820B1 (en) Self-watering vertical supporting planter
KR101645455B1 (ko)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KR101817591B1 (ko) 딸기육묘용 포트
KR101299354B1 (ko)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101823253B1 (ko)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KR20080004675U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335392Y1 (ko) 수박 받침대
KR101140959B1 (ko) 후렌지부에 지주 고정수단을 설치한 화분
CN115152470B (zh) 林业树苗培育装置及培育方法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KR101836657B1 (ko) 침대매트릭스를 이용한 넝쿨식물 팬스지지대
KR101685969B1 (ko) 화분용 식물지지대
KR20180093528A (ko) 딸기 육묘시 저면관수시스템을 이용한 적정 관수 방법
KR101040467B1 (ko) 베란다 타입의 엽채류 재배용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
JP3673251B2 (ja) 鉢植栽培方法
JPS6322850Y2 (ko)
JPH08317732A (ja) 育苗用ポット及び育苗用棚装置及びそれらからなる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KR101914112B1 (ko) 화분
KR20230168842A (ko) 우수한 통기특성을 갖는 슬릿화분
JP7453059B2 (ja) 野菜栽培器
FI110156B (fi) Kelluva kasvien kasvatuslaite
KR20240041477A (ko) 실내 장식 화분
KR200238307Y1 (ko) 식물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