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300Y1 -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 Google Patents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300Y1
KR200335300Y1 KR20-2003-0024616U KR20030024616U KR200335300Y1 KR 200335300 Y1 KR200335300 Y1 KR 200335300Y1 KR 20030024616 U KR20030024616 U KR 20030024616U KR 200335300 Y1 KR200335300 Y1 KR 200335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ing
ground
cas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규
김진영
김승희
김충길
박석호
곽태용
한희석
백남현
조정래
Original Assignee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4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논 및 밭의 지면에 필름을 피복하기 위한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가 개시된다. 필름 피복장치는 피복용 필름을 수용하는 필름 케이스,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피복용 필름이 지면에 인접하게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플로트 및 롤러 플로트를 통과한 피복용 필름의 측부를 가압하며 피복용 필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 진압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피복장치는 밭뿐만 아니라 논에서도 피복용 필름을 피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범위가 넓으며,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농약 사용을 자제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재배기술을 널리 보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FILM COVERING DEVICE AND AGRICULTURAL MACHINE HAVING THE FILM COVERING DEVICE}
본 고안은 농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논 및 밭의 바닥에 피복용 필름을 밀착 고정시켜 농약의 사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은 여름철에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몬순-아시아권에 속해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벼 농사를 주로 하는 도작문화가 형성되어 있으며, 현재는 논에 물을 가두어 재배하는 벼농사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물을 가두어 재배하는 방식에 따른 벼 농사는 이앙 후부터 추수까지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생육기별로 물대기 및 물빼기를 반복하여 수분의 양을 조절해야 하며, 잡초를 수시로 제거하여야 하고, 병충해방지를 위해 제초제 및 살충제 등의 농약을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이중에서 잡초 제거 및 농약투여/살포는 수회에 걸쳐 꾸준하게 작업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농약의 사용이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농약 사용에 의한 피해가 계속 속출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법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유기농법에 의한 재배방식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더욱이, 농림부에서도 농약사용량을 2004년까지 30%, 2010년까지 50% 절감하는 병해충종합관리 대책(IPM)을 추진하고 있어, IPM 기술대책에 부응하는 친환경 재배기술 보급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 벼 농사에서 농약사용 절감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현재 벼 또는 기타작물의 농사에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 재배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여러 방식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들 친환경적 재배방식들 중 하나로 멀칭 재배기술이 있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 경기토양의 표면을 덮어주는 자재를 멀치(mulch)라 하며, 그 멀치를 이용한 농업 방식을 멀칭(mulching)이라 한다. 예전에는 멀치재로서 볏짚, 보릿짚, 목초 등이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멀칭은 토양침식방지, 토양수분유지, 지온조절, 잡초억제, 토양전염성병균방지, 토양오염방지 등의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지온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잡초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멀칭재배기술은 감자, 무우, 양파 등을 포함한 농작물과 감귤 등의 과일류의 재배에 응용되고 있다. 멀칭재배기술은 이들을 재배함에 있어서 생육촉진과 과실 수량증가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버섯류 및 원예식물 등의 재배에도 적용되고 있어 그 적용범위가 날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까지 필름을 이용한 멀칭재배기술은 밭 작물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벼 농사를 위한 논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필름 피복장치들도 역시 밭에서만 필름을 피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논에서 제기능을 수행할 수가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논은 물을 항상 가둬 두고 있으며 진흙층과 같은 매우 무른 지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밭과는 조건이 상당히 다르며, 이러한 종래의 피복장치들로는 논의 바닥에 필름을 전혀 피복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밭뿐만 아니라 논의 바닥에도 필름을 피복할 수 있는 필름 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을 가두고 있는 논에서도 필름을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필름 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논 및 밭의 바닥에 필름을 밀착 고정하여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잡초 성장을 억제시키고 병충해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재배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필름 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무리 없이 유연하게 피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면서 원활하게 필름을 피복할 수 있는 필름 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피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름 피복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름 케이스 및 지지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필름 피복장치 110:필름 케이스
112:필름 배출 슬릿 114:필름고정커버
116:힌지 118:레버
120:롤러 플로트 130:측면 진압 롤러
132:돌기 140:지지 프레임
142:지지판 144, 146:중앙바, 지지바
150:가이드 봉 160:힛치대
162:핀 164:스프링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피복장치는 필름 케이스, 롤러 플로트 및 측면 진압 롤러를 포함한다. 필름 피복장치는 이앙기 또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에 설치되어 지면에 피복용 필름을 밀착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피복용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 및 종이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논에서 잡초 성장을 억제시키거나 제초제 등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 멀칭 재배기술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가 코팅된 종이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피복용 필름은 필름 케이스에 수용되며, 농기계의 이동에 따라 피복용 필름을 공급한다. 여기서 피복용 필름은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어 바로 지면에 깔리는 것이 아니라, 필름 케이스에 인접하게 제공된 롤러 플로트의 하단을 통과하면서 지면에 인접하게 안내된다. 롤러 플로트는 피복용 필름을 지면에 인접하게 안내하는 기능 외에도, 피복용 필름이 말리거나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펼쳐진 상태로 지면에 접근하도록 피복용 필름을 안내하는 기능도 한다. 롤러 플로트는 필름을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지면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롤러 플로트를 통과한 피복용 필름의 양 측부는 측면 진압 롤러에 의해서 가압되며, 상기 측면 진압 롤러에 의해서 피복용 필름이 부분적으로 지면에 묻혀서 지면 상에 고정된다.
필름 피복장치는 농기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 힛치대 및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필름 케이스, 롤러 플로트 및 측면 진압 롤러는 일체로 연결된다. 힛치대는 필름 케이스와 결속되어 필름 피복장치를 농기계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힛치대의 양측이 스프링을 통해 필름 케이스와 결속됨으로써 일정 유격 범위 내에서 상호 움직일 수 있다. 필름 피복장치는 힛치대에 의해서 농기계의 전면부, 중간부 및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봉은 필름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피복용 필름의 저면을 지지하여 안내하며,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피복용 필름은 롤러 플로트를 경유하여 측면 진압 롤러를 통과한다. 가이드 봉이 지면을 따라 움직이고, 가이드 봉 상면에 바로 인접한 롤러 플로트 사이로 피복용 필름이 통과하면서 지면에 밀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롤러 플로트는 플라스틱과 같이 비중이 작은 물질로 구성된다. 논의 지면은 단단한 경반과 경반 상의 진흙층으로 구성되며, 진흙층의 깊이는 같은 논 내에서라도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논의 진흙층을 통과하는 필름 피복장치는 진흙층 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으며, 필름 피복장치가 가라앉음으로 해서 피복용 필름을 논의 지면 상에 용이하게 피복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비중이 작은 롤러 플로트는 필름 피복장치가 진흙층 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가이드 봉 및 롤러 플로트가 항상 지면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피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필름 피복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름 피복장치(100)는 필름 케이스(110), 롤러 플로트(120), 측면 진압 롤러(130), 지지 프레임(140), 가이드 봉(150) 및힛치대(160)를 포함한다.
필름 케이스(110)는 롤 형태의 필름(F)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가로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필름 케이스(110)에는 필름(F)이 배출되는 후방을 향해 필름 배출 슬릿(112)이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필름(F)은 종이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가 코팅된 종이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필름 케이스(110)의 후방에 인접하게 롤러 플로트(120)가 제공된다. 롤러 플로트(120)는 비중이 낮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양 단이 지지 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롤러 플로트(120)의 후방에는 측면 진압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측면 진압 롤러(130)에는 필름 케이스(110)로부터 풀려서 공급되는 필름(F)이 롤러 플로트(120)를 경유하여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통과한다. 필름(F)의 양 측부가 측면 진압 롤러(130)를 통과하게 되며, 측면 진압 롤러(130)는 롤러 플로트(120)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측면 진압 롤러(130)를 통과하는 부분은 논의 진흙층에 부분적으로 묻혀져서 진흙층에 고정된다. 측면 진압 롤러(130)는 외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132)를 포함한다. 돌기(132)에 의해서 필름(F)은 더 깊게 묻히게 되고, 이에 따라 필름(F)은 논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필름 케이스(110), 롤러 플로트(120) 및 측면 진압 롤러(130)는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40)은 필름 케이스(110)의 양단에 부착되는 지지판(142), 2개의 지지판(142)을 상호 연결하는 중앙바(144) 및 중앙바(144)와 연결된 T-자형의 지지바(146)를 포함한다. 지지바(146)의 양단에는 측면 진압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름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봉(150)이 제공되며, 가이드 봉들(150)은 필름 피복장치(100)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봉(150)은 지면을 따라 움직이며, 정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곡면부를 이용하여 가이드 봉(150)은 정면을 향해 원활하게 이동한다. 롤러 플로트(120)의 하면과 가이드 봉(150)의 상면 일부가 서로 맞닿아 필름(F)이 통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필름 케이스(110)의 상면 중앙부에는 힛치대(160)가 장착된다. 힛치대(160)는 핀(162)을 통해 농기계의 본체와 연결되며, 힛치대(160)를 매개로 필름 피복장치(100)는 농기계를 따라 이동한다. 힛치대(160)는 연결부재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거나 힛치대(160) 자체가 농기계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힛치대(160)는 필름 케이스(110)와 스프링(164)을 매개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는 스프링(164)의 인력에 의해서 힛치대(160)와 필름 케이스(110)는 견고하게 고정되나, 피복 과정을 수행하면서 힛치대(160)와 필름 케이스(110)가 일정 유격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지형 형태에 적응하면서 유연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힛치대(160)가 농기계와 연결됨으로써 필름 피복장치(100)가 농기계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필름 케이스 및 지지판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필름 케이스(110)의 양 단에 위치한 지지판(142)에는 필름고정커버(114)가 힌지로 연결된다. 필름 케이스(110)의 양 단은 필름(F)의 롤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개방되며, 필름 케이스(110)의 양 단의 입구를 통해서 필름(F)이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다. 필름고정커버(114)는 개방된 입구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필름 케이스(110) 양 단의 입구를 개폐한다. 필름고정커버(114)에 인접한 지지판(142)에는 고정핀이 장착되어 필름고정커버(114)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필름(F)의 롤을 삽입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핀을 해제하여 필름고정커버(114)을 열 수 있다. 필름고정커버(114)는 필름 케이스(110)의 양 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어느 쪽에서도 필름(F)의 롤을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필름고정커버(114)에 인접하게 레버(118)가 제공된다. 레버(118)는 가이드 봉(150)과 연결되며, 레버(118)를 움직여 가이드 봉(150)을 밑으로 내릴 수 있다. 레버(118)에 의해서 롤러 플로트(120) 및 가이드 봉(150)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그 틈새로 필름(F)을 투여할 수 있다. 필름(F)을 장착한 다음, 레버(118)를 원위치로 돌려서 롤러 플로트(120) 및 가이드 봉(150)을 상호 인접하게 접근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케이스(110)에 수용된 필름(F)의 롤이 풀리면서, 슬릿(112)을 통해 필름(F)이 배출된다. 필름(F)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롤러 플로트(120) 및 가이드 봉(150)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필름(F)은 지면에 밀착하게 되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면 상에 피복된다.
필름 케이스(110)로부터 비스듬하게 지면에 접근함으로써 무리 없이 지면을 통과하게 되고, 롤러 플로트(120)에 의해서 필름(F)은 풀리는 도중에 말리거나 구겨지지 않는다. 또한, 롤러 플로트(120)는 필름(F)을 적절한 압력으로 눌러주어 지면과 필름(F) 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논의 지면에 필름(F)을 피복하는 경우 필름 케이스(110)는 수면보다 높은 위치를 통과할 수가 있다. 즉, 피복 과정에서 필름 케이스(110) 내부의 필름(F)의 롤은 물에 젖거나 더러워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재사용, 교체 및 청소 등이 유리하다.
롤러 플로트(120)가 필름(F)을 눌러 주어 롤러 플로트(120)를 통과한 필름(F)은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필름(F)의 양 측부는 측면 진압 롤러(130)를 통과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측면 진압 롤러(130)에 의해서 필름(F)의 양 측부가 부분적으로 지면층 속으로 삽입되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농기계는 이앙기(200)로서 본체(210), 모심기 장치(240) 및 필름 피복장치(10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전륜(222) 및 후륜(224)을 포함하는 차체(220), 전륜(222) 및 후륜(22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230), 운전석(235)를 포함한다. 모심기 장치(240)는 본체(210)의 배면에 설치되며, 본체(21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본체(210)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필름 피복 장치(100)는 본체(210) 및 모심기 장치(240) 사이의 하부에 설치되며, 힛치대(160)를 통해서 본체(210)에 결속된다. 이앙기(200)가 진행하면서 논의 지면에 필름(F)를 피복하고 피복된 부분에 모심기 장치(240)가 모를 심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잡초의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병충해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제초제 등의 농약 사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필름 피복장치(100)가 본체(2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면의 진흙층 속으로 가라앉으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지만, 필름(F)을 가이드하는 롤러 플로트(120)가 필름 피복장치(110)의 가라앉음을 방해하여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롤러 플로트(120)에 의해서 롤러 플로트(120) 및 가이드 봉(160) 사이가 항상 거의 지면에 일치하도록 통과한다.
도 4의 농기계는 이앙기(200)로서 논에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피복장치(100)가 장착된 트랙터를 사용하여 밭 경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필름 피복장치는 밭뿐만 아니라 논에서도 지면에 필름을 효과적으로 피복할 수 있으며, 특히 물을 가두고 있는 논에서도 필름을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논 및 밭의 바닥에 필름을 밀착 고정하기 때문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잡초 성장을 억제시키고 병충해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재배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농림부도 농약사용량을 2004년까지 30%, 2010년까지 50% 절감하는 병해충종합관리 대책(IPM)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런 IPM 기술대책에 부응하여 제초제처리가 생략되는 친환경 기계기술인 필름피복장치를 농가에 보급함으로써 친환경 재배기술 보급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롤러 플로트를 이용하여 필름 피복장치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부품 간의 관계를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무리 없이 피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농기계에 장착되어 논 또는 밭에 피복용 필름을 피복하기 위한 필름 피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용 필름을 수용하는 필름 케이스;
    상기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피복용 필름이 지면에 인접하게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플로트; 및
    상기 롤러 플로트를 통과한 상기 피복용 필름의 측부를 가압하며 상기 피복용 필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 진압 롤러를 구비하는 필름 피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 상기 롤러 플로트 및 상기 측면 진압 롤러와 연결되어 일체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필름 케이스와 결속되어 상기 필름 피복장치를 상기 농기계에 연결하기 위한 힛치대; 및
    상기 필름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피복용 필름이 상기 롤러 플로트를 경유하여 상기 측면 진압 롤러까지 통과하도록 상기 피복용 필름의 저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플로트는 비중이 작은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필름 피복장치가 지면으로부터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름 피복장치를 지면 상에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 및 상기 힛치대는 스프링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일정 유격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필름 피복장치는 상기 힛치대에 의해서 상기 농기계의 전면부, 중간부 및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 봉이 상기 필름 피복장치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봉이 지면을 따라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정면은 상기 진행 방향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는 롤 형태의 상기 피복용 필름을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복용 필름을 지면에 수평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 케이스는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피복용 필름을 배출하기 위한 필름 배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의 적어도 일 측면에 제공되는 필름고정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고정커버를 통해 상기 피복용 필름의 롤이 상기 필름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고정커버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진압 롤러는 외면을 따라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복장치
  11. 이앙기 본체 및 상기 이앙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앙기 본체의 이동에 따라 지면에 피복용 필름을 피복하기 위한 필름 피복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필름 피복장치는 상기 피복용 필름을 수용하는 필름 케이스; 상기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피복용 필름이 지면에 인접하게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플로트; 상기 롤러 플로트를 통과한 상기 피복용 필름의 측부를 가압하며 상기 피복용 필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 진압 롤러; 상기 필름 케이스, 상기 롤러 플로트 및 상기 측면 진압 롤러와 연결되어 일체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필름 케이스와 결속되어 상기 필름 피복장치를 상기 이앙기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힛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름 케이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피복용 필름이 상기 롤러 플로트를 경유하여 상기 측면 진압 롤러까지 통과하도록 상기 피복용 필름의 저면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봉은 상기 필름 피복장치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봉이 지면을 따라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상기 가이드 봉의 정면은 상기 진행 방향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플로트는 비중이 작은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필름 피복장치가 지면으로부터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름 피복장치를 지면 상에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복장치는 상기 힛치대에 의해서 상기 이앙기의 전면부, 중간부 및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는 롤 형태의 상기 피복용 필름을 수용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복용 필름을 지면에 수평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 케이스는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피복용 필름을 배출하기 위한 필름 배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케이스의 적어도 일 측면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어 제공되는 필름고정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고정커버를 통해 상기 피복용 필름의 롤이 상기 필름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앙기 본체는 휠을 포함하는 차체, 상기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 및 운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앙기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모를 심는 모심기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 피복장치는 상기 농기구 본체 및 상기 모심기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심기 장치가 모를 심기 전에 지면에 피복용 필름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20-2003-0024616U 2003-07-30 2003-07-30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KR200335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616U KR200335300Y1 (ko) 2003-07-30 2003-07-30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616U KR200335300Y1 (ko) 2003-07-30 2003-07-30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300Y1 true KR200335300Y1 (ko) 2003-12-11

Family

ID=4934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616U KR200335300Y1 (ko) 2003-07-30 2003-07-30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3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4799A (zh) * 2016-04-06 2016-06-22 广西壮族自治区农业机械研究院 一种铺放压膜装置
CN112166762A (zh) * 2020-10-28 2021-01-05 哈尔滨市农业科学院 一种水田覆膜插秧机的仿地形机构
CN112335384A (zh) * 2020-10-28 2021-02-09 哈尔滨禾志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水田覆膜插秧机的防缠膜浮板
CN112166762B (zh) * 2020-10-28 2024-05-28 哈尔滨市农业科学院 一种水田覆膜插秧机的仿地形机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4799A (zh) * 2016-04-06 2016-06-22 广西壮族自治区农业机械研究院 一种铺放压膜装置
CN112166762A (zh) * 2020-10-28 2021-01-05 哈尔滨市农业科学院 一种水田覆膜插秧机的仿地形机构
CN112335384A (zh) * 2020-10-28 2021-02-09 哈尔滨禾志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水田覆膜插秧机的防缠膜浮板
CN112166762B (zh) * 2020-10-28 2024-05-28 哈尔滨市农业科学院 一种水田覆膜插秧机的仿地形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3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ting seeds, fertilizing and applying chemicals using biodegradable applicator tape
US2754622A (en) Apparatus for weed killing and seed sowing
KR200367543Y1 (ko) 필름절단기를 포함하는 필름피복장치
KR200335300Y1 (ko) 필름 피복장치 및 그 필름 피복장치를 포함하는 이앙기
Chong Experiences with weed discs and other nonchemical alternatives for container weed control
KR102117835B1 (ko) 멀칭필름에 씨앗의 성장영역 형성이 가능한 멀칭기
KR200366577Y1 (ko) 필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필름피복장치
RU2161391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ая посевная машина
CN207885315U (zh) 一种多功能实用的玉米覆膜机
CN203646025U (zh) 一种地下灭虫式花生覆膜播种机
KR101635066B1 (ko) 친환경 멀칭소재를 이용한 건답용 직파장치
Allen Performance of three wheat seeders in conservation tillage residue
KR100746604B1 (ko) 농업용 휴립 비닐피복기
JP4300295B2 (ja) 植栽シート、植栽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植栽方法
CN2593532Y (zh) 旋耕起垅花生精量播种机
US4660650A (en) Sod cutting apparatus
JPH03503603A (ja) 米およびその他の作物の栽培装置およびその栽培方法
CN109997457B (zh) 一种谷子玉米杂粮铺膜播种机
CN113853855B (zh) 农作物定轨机械化精细生态栽培方法
KR102375474B1 (ko) 비닐 피복기
Turner Nursery production of hardwood seedlings
KR20150105829A (ko) 친환경 멀칭소재를 이용한 건답용 직파방법
KR100352637B1 (ko) 육묘판, 그에 따른 파종방법 및 파종기
JPH08266108A (ja) 稲播育材とそれを使用する稲作農法
US20040060232A1 (en) Method for preventing plant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