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240Y1 -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 Google Patents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240Y1
KR200335240Y1 KR20-2003-0028032U KR20030028032U KR200335240Y1 KR 200335240 Y1 KR200335240 Y1 KR 200335240Y1 KR 20030028032 U KR20030028032 U KR 20030028032U KR 200335240 Y1 KR200335240 Y1 KR 200335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er
distribution pipe
air distribu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균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오성균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균, 이동명 filed Critical 오성균
Priority to KR20-2003-0028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갖는 응축실이 상측에 형성되고, 증발실이 하측에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유통관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응축실 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응축팬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은 크기를 갖는 소형 제품에서 부피의 증가 없이도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하고, 응축실에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본 고안은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크기를 갖는 소형 제품에서 부피의 증가 없이도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를 확보하면서, 응축실에 흡입된 모든 공기를 확보된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균일하게 접촉시킴으로써 냉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데 적당하도록 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라 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에어컨에서는 냉매를 응축시킬 때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얼마나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는가에 따른 응축기의 열교환 능력이 에어컨 전체의 성능과 냉방용량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공냉식과 수냉식, 또는 공냉식과 수냉식을 혼합한 형태의 혼합식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오래 전부터 대용량의 냉방성능을 위하여 응축기가 설치된 실외기를 별도로 분리하고 이를 실외에 설치하여 왔으나, 건물특성에 따른 다양한 환경하에서 실외기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미관상의 이유로 실외기 없는 에어컨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편리하게 이동시키면서 실내를 냉방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포터블 에어컨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작은 크기를 갖는 에어컨에서 보다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확보된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열교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도 1 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은 상기 배기팬(63)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상기 응축실(5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응축실(5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61)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응축기(61)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배기팬(63)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증발실(53)과 응축실(51)이 배치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응축실(51)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통상 수직 또는 약간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응축기(61)가 충분한 크기로 설치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은 한정된 설치공간에 대하여 응축기의 열교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에어컨에서는 흡입되는 공기 중 많은 양의 공기가 응축기(61)와 접촉되지 못하고 외부로 그냥 배출되어 응축기의 열교환 효과마저도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응축실(51) 내에 압축기, 응축기(61) 및 배출팬(63) 등이 최적의 형태로 배치되더라도 유체 흐름의 특성상 상기 응축실(51) 내에서 공기 흐름이 불규칙적이 되기 쉽고, 뿐만 아니라 고하중을 갖는 압축기(59)가 응축실(51)의 저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응축기(61) 및 배출팬(63)의 위치,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 등의 위치를 구성하는 데 자유롭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에서는 응축기(61)를 충분한 면적으로 확보하지 못하였고, 더욱이 불충분하게 확보된 응축기(61)에 대하여도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접촉시키지 못하는 관계로 일정 이상의 냉방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제품 크기의 증가 및 대량의 전력소비가 불가피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소형제품에서 부피의 증가 없이도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실에 흡입된 모든 공기를 확보된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그리고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통관 및 응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투사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가이드용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실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기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9 : 흡입구
11 : 배출구 12 : 공기 유통관
13 : 응축팬 15a,15b : 제 1 응축기, 제 2 응축기
21 : 증발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갖는 응축실이 상측에 형성되고, 증발실이 하측에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유통관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응축실 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응축팬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유통관은 사각관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응축기는 타측변이 인접된 쐐기형의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팬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을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상하변 및 일측변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팬은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 일단 및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결되게 상기 공기 유통관 일측에 설치되고, 응축실 내의 모든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상기 응축팬의 흡입측이 상기 공기 유통관의 일단과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길이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공기가이드용 패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100)은 응축기 및 증발기가 하나의 케이싱(1) 내에 설치되는 일체형 제품으로 전면의 좌우폭 및 상하폭이 크지 않은 작은 크기의 컴팩트한 외형을 가지며, 실내에서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하지만, 본 고안은 작은 크기를 갖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구성에 의해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가 설치되고, 확보된 응축기는 높은 효율을 갖고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전력소모는 적으면서도 냉방효율이 뛰어나 제품이 크기는 작지만 작은 규모의 실내는 물론 중간급 규모의 실내까지도 충분히 냉방 가능할 정도의 냉방성능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싱(1)과, 공기 유통관(12)과, 응축팬(13)과, 압축기(31)와, 응축기(15a,15b)와, 팽창밸브(미도시됨)와, 증발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은, 응축기(15a,15b)의 설치를 위한 응축실(10)이 상측에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는 상부와 하부에 증발기(21) 설치를 위한 증발실(20) 및 압축기(31) 설치를 위한 압축실(1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실(20)은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21)가 설치된 곳으로 흡입하기 위한 실내공기 흡입구(5, 도 2 참조)가 위치하는 구획과, 상기 증발기(21) 표면에 접촉되어 냉각된 실내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구(3, 도 2 참조)가 위치하는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이처럼, 상기 케이싱(1)의 하측이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어 압축기(31)가 설치될 수 있는 별도의 압축실(30)이 형성되면, 상기 압축기(31)로 인해 상기 증발실(20)에서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싱(1)에 압축실(30)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압축기(31)가 상기 증발실(20)에 설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 압축실(30)의 형성으로 인해 소요되는 상하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12)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실(10)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일측에는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일단 및 공기 배출구(11)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응축팬(13)이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응축실(10) 내로 유입되는 모든 공기는 상기 응축팬(13)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12)을 빠짐없이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12)은 상기 응축실(10) 벽에 소정정도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공기 흡입구(9)를 통해 응축실(10)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이격된 사이로 흘러서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타측으로부터 원활하게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구(9) 및 공기 배출구(11)는 상기 응축실(10)이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1)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1)의 배면측으로 상기 공기 흡입구(9) 및 공기 배출구(11)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본 고안을 실내벽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 흡입구(9) 및 공기 배출구(11)에 각각 외부 배관 연결용의 프랜지(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실외로부터 상기 응축실(10)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배관 및 상기 응축실(10)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압축실(30) 저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압축기(31)가 상기 증발실(20)에 설치되지 않고 별도의 압축실(30)에 설치되면 전술된 것처럼 증발실(10)에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압축기(31)로 인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증발기(21) 및 상기 응축기(15)를 연결하는 중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증발실(20) 혹은 응축실(10) 내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응축기(15)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21)는 상기 증발실(20)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응축기(15a,15b)가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응축기(15a,15b)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통관 및 응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투사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가이드용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며,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실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응축기(15a,15b)는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응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15a,15b)는 사각의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15a) 및 제 2 응축기(15b)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타측변이 인접된 쐐기형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응축기(15a) 및 제 2 응축기(15b)의 상하변 및 일측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사방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 1 응축기(15a)의 경우 타측변은 상기 제 2 응축기(15b)의 타측변과 인접된 상태로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타측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상하변은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내측벽에 인접된 상태로 타측변에서 연장되어 그 일측변은 상하측변이 인접되지 않은 공기 유통관(12)의 다른 내측벽 일단 근방에 인접된다.
또한, 상기 제 2 응축기(15b)의 경우 상기 제 1 응축기(15a)와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하변은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내측벽에, 일측변은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다른 내측벽 일단 근방에 인접된다.
이처럼, 상기 응축기(15a,15b)가 쐐기형으로 그 상하변들과 일측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2)의 내측벽에 인접되어 설치되면, 상기 공기 유통관(12)을 통과하여 흐르는 모든 공기는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을 빠짐없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15a,15b)가 쐐기형의 대칭된 형태로 설치된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된 크기를 갖는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부공간에 더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15a,15b)를 확보하여 설치하는 것은 물론, 상기 공기 유통관(12)을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접촉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응축팬(13)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실(10)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12) 타측으로부터 공기 유통관(12) 내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응축기(15a,15b)의 쐐기형 타측 형상에 의해 갈라지면서 상기 응축기(15a,15b)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15a,15b)는 점차적으로 넓혀지는 쐐기형을 갖기 때문에상기 응축기(15a,15b)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공기는 점차적으로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과 접촉되면서 틈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응축팬(13)에 흡입되며, 결국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응축기(15a,15b)를 접촉하여 통과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공기 유통관(12)을 통과하는 모든 공기는 상기 응축기(15a,15b)의 표면 전체에 빠짐없이 균일하게 접촉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응축실(10) 내에 흡입된 모든 공기는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에 집중적으로 모아져 배출되면서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에 높은 밀도를 갖고 빠짐없이 접촉된다. 더욱이,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를 통과하는 공기는 쐐기형으로 설치된 응축기(15a,15b)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어 뛰어난 열교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에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기가이드용 패널(19)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가이드용 패널(19)은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응축기(15a,15b)의 타측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응축기(15a,15b)의 일측 및 타측 모두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가이드용 패널(19)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상기 응축기(15a,15b) 인근까지 끝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이처럼, 복수개의 공기가이드용 패널(19)이 설치되면 상기 제 1 응축기(15a) 및 제 2 응축기(15b)의 설치된 각도 및 공기 흐름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않아도 상기 공기 유통관(12)에 진입한 공기가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된다.
또한, 상기 응축팬(13)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응축기(15a,15b)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응축팬(13)이 위치한 곳으로 모아지는 과정에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교란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15a,15b)는 넓은 표면적을 갖기 위해서 전술된 것처럼 쐐기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정정도 변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기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응축기(15')는 쐐기형 뿐만 아니라 비스듬히 설치된 단순 패널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응축기(15')가 단순 패널형으로 설치되면, 쐐기형에 비해 열교환을 위한 표면적은 감소하지만 상대적으로 증발기(21)의 용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가이드용 패널(19') 역시 설치된 응축기(15')에 조화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를 갖는 변형된 형태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축팬(13)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공기가 공기 흡입구(9)를 통해 응축실(10)로 흡입되고, 상기 응축실(10)에 흡입된 공기는 곧바로 공기 유통관(12)의 타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응축팬(13)의 흡입력이 계속 작용하여 상기 공기 유통관(12)에 진입한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12)에 대칭된 쐐기형으로 비스듬히 설치된 응축기(15a,15b) 타측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공기는 상기 쐐기형 응축기(15a,15b)의 타측 중앙에서 일부 통과하고, 나머지는 양측으로 갈라져서 상기 쐐기형 응축기(15a,15b)의 표면을 타고 흐르면서 응축기(15a,15b) 전체를 균일하게 접촉하여 통과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팬(13)에 흡출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같이 신선한 실외공기가 상기 응축기(15a,15b) 표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응축기(15a,15b)를 신속하게 냉각하게 된다.
만일, 상기 공기 유통관(12) 내에 공기가이드용 패널(19)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공기 유통관(12)에 진입한 공기가 상기 쐐기형 응축기(15a,15b) 표면을 따라 흐르는 대신 상기 공기가이드용 패널(19)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분산되어 흐르면서 상기 쐐기형 응축기(15a,15b)의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된다.
한편, 증발실(20)에서는 송풍팬(미도시됨)이 실내공기를 흡입하면서, 증발실(20) 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증발기(21) 표면에 접촉하여 냉각된다.
이후, 상기 증발기(21) 표면에 접촉되어 냉각된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팬에의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응축실과 증발실이 효과적으로 배치되고 이에 적절한 형태로 응축기가 설치되어 작은 크기를 갖는 제품에서도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 유통관 내에 응축기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응축실에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빠짐없이 균일하게 응축기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뛰어난 냉방성능을 가지면서도 효과적인 열교환에 의해 전기 사용량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효과들을 거두면서도 전면의 상하폭 및 좌우폭이 증가 없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갖는 응축실이 상측에 형성되고, 증발실이 하측에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유통관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응축실 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응축팬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관은 사각관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응축기는 타측변이 인접된 쐐기형의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팬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을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상하변 및 일측변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팬은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 일단 및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결되게 상기 공기 유통관 일측에 설치되고, 응축실 내의 모든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상기 응축팬의 흡입측이 상기 공기 유통관의 일단과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길이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공기가이드용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2003-0028032U 2003-09-01 2003-09-01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335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32U KR200335240Y1 (ko) 2003-09-01 2003-09-01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032U KR200335240Y1 (ko) 2003-09-01 2003-09-01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240Y1 true KR200335240Y1 (ko) 2003-12-03

Family

ID=4934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032U KR200335240Y1 (ko) 2003-09-01 2003-09-01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2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180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0556948B1 (ko) 창문형 에어컨
KR200335240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335241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80065176A (ko) 휴대용 공기 조화기
KR1006528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
KR200339846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321115Y1 (ko) 공기 조화기
KR200335239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포터블 에어컨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100602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9141422U (zh) 烘干机组风道结构
KR100743701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
RU2776399C1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воздуха с компонентом для свежего воздуха
CN220042032U (zh) 空调
CN220750251U (zh) 一种空调室内机
CN215597447U (zh) 一种室内空调器
CN207146649U (zh) 一种移动式空气调节器
KR20050081774A (ko)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40106090A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100430288B1 (ko) 이동이 가능한 에어컨 실외기의 유로구조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20050089274A (ko)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100615786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대용량 실외기
KR2004002070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